KR850001483B1 -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 Google Patents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83B1
KR850001483B1 KR1019810005240A KR810005240A KR850001483B1 KR 850001483 B1 KR850001483 B1 KR 850001483B1 KR 1019810005240 A KR1019810005240 A KR 1019810005240A KR 810005240 A KR810005240 A KR 810005240A KR 850001483 B1 KR850001483 B1 KR 85000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jacket
spring
force
cara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315A (ko
Inventor
다께오 모리기
아끼라 후구미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6Manual contro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와 자켓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를 사용한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아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동일한 회동체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동일한 카아트리지 안내체 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동일한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동일한 구동 규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터언 테이블 (27) : 회전축
(28) : 슬라이더 (30) : 구동아암
(39) : 카아트리지 안내체 (40) : 카아트리지
(42) : 구동자 (43) : 플리
(74) ; 요동체 (79) : 회동판
(85) : 용수철 (87) : 판상 용수철재
(92) : 돌출부
본 발명은 레코오드 재생 장치용의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켓을 레코오드 재생장치내에 삽입해서 레코오드에 직접 사람의 손이 필요없이 삽탈이 가능 하도록 한구서의 레코오드 재생 장치에 사용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악용 레코오드는 이 레코오드를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에는 자캐트내에서 레코오드를 손으로 잡아서 꺼내서 플레이어의 터언 테이블 위에 놓고 재생을 해야 했다. 또, 레코오드의 재생 종료 후는 재차 손으로 잡아서 자켓내에 수납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PCM레코오드가 주목을 끌고 있고, 일부 이미 상품화되고 있다. 또 이 PCM레코오드와 같이 소리 뿐 아니라 화상까지 레코오드에 기록한 비디오 디스크 레코오드도 발표되고, 광학식 비디오 디스크 및 그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상품화되어 있고, 미국에서는 이미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PCM레코오드 및 비디오 디스크 레코오드도 같이 이하에 설명 하겠으나, 이들 레코오드는 종래의 레코오드와는 달라서 미세한 피트에 의한 디지탈 신호 기록에 의하여 신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이 미세한 피트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아트리지도 각각 고정 밀도의 것이 아니면 안된다. 예를들면 레이저 광을 이용하거나 사파이어나 다이아몬드에 전극을 형성한 이와 같이 수 미크론 오오더(micronorder)의 피트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레코오드를 직접, 사람의 손으로 자켓에서 꺼내거나 수납하는 조작을 하면 레코오드 기록면의 손때나 먼지 등이 부착하기 쉽고, 이러한 이물이 부착하면 잡음으로 재생음이나 재생화면에 나타나거나 또느 스타이러스를 손상하는 등의 결함이 있다. 그래서 레코오드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자켓에 레코오드를 수납한 상태로 플레이어 속에 자켓을 삽입하여 플레이어 내에서 레코오드를 자켓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꺼내어 빈 자켓만을 플레이어의 밖으로 꺼내어 플레이어내에 남은 레코오드를 터언 테이블 위에 놓고 재생 동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 조료 후에는 빈 자켓을 플레이어내에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플레이어 내에서 레코오드가 자켓내에 수납되고, 플레이어에서 자켓을 꺼내면 자켓내에 레코오드가 수납된 상태로 밖으로 꺼내지도록 고안되고 있다. 이하에 이러한 방법의 비디오 디스크 재생 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러한 자켓과 플레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자켓(11)은 엷은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1측면에만 개구(12)부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2)는 개체(13)에 의해서 덮어지고, 이 개체(13)에는 환상의 스파인(spine)(14)가 일체로 부착된다. 이 스파인(14)는 대략 링모양을 하고 있다. 이 공간 내에 레코오드(15)가 수용된다. 한편 플레이어 본체(16)에는 이 자켓(11)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7)이 설치되고, 자켓(11)을 삽입할 때에는 도면중 화살표로 지시하는 것과 같이 자켓(11)의 개체(13)측으로 부터 플레이어 본체(16)의 개구부(17)을 통하여 플레이어 본체(16)내에 자켓(11)을 삽입한다.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자켓(11)은 여기에서 플레이어 본체(16)내에 설치되는 커킹(chucking)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자켓(11)의 개체(13)이 플레이어 본체내에 고정 유지된다. 그후 자켓(11)을 플레이어 본체(16)에서 빼내면 플레이어 본체(16)내에 개체(13), 스파인(14) 및 레코오드(15)가 남게되고, 빈 자켓(11)만이 밖으로 나온다. 그리고 재생종료 후에 빈 자켓(11)을 플레이어 본체(16)내에 삽입하면 플레이어 본체(16)내의 처킹 장치의 고정유지 기능이 해제되어 자켓(11)내에 재생종료 후의 레코오드(15) 및 스파인(14), 기체(13)이 원상태로 수납된다. 그 후 자켓(11)을 플레이어 본체(16)에서 꺼내므로써 자켓(11)내에 레코오드(15)가 수납된 상태로 꺼낼 수가 있고 이용자는 레코오드(15)에 손을 대지않고 재생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카아트리지의 구동은 모두 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재생기 및 복귀시에 다같이 모우터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모우터 드라이브하는 방법에서는 재생 종료시에서 카아트리지가 원 상태로 복귀하고 다시 자켓을 삽입하기까지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재생 종료후 즉시 다음 레코오드를 재생하기 위해 재생 종료후의 레코오드를 빈 자켓내에 수납해서 꺼낼 수 없는 결점이 있고, 이것을 단시간에 하려고 하면 반송용 및 복귀용과 전혀 개별적으로 각각 독립된 모우터를 따로따로 써야 하고, 또는 정역전이 가능한 모우터를 이용하여 각각 기어 또는 벨트 등의 전동 수단의 조합을 변경해서 하는 등의 필요가 생기고 값이 비싸지고 구성이 복잡화하고, 그만큼 트러블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결점이 있다. 또, 고속으로 스타아트 위치에 카아트리지를 복귀시켰을 때에는 카아트리지의 반발 등으로 정확한 스타아트 위치에의 복귀가 어렵고, 스타아트 위치가 어긋났을 때에는 스타일러스(stylus)의 손상이나 재생 위치의 어긋남 등의 트러블의 발생이 고려되고, 그로인해 또 특별히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 스타아트 위치 복귀후 확실히 그 위치를 유지할 경우에는 재생 동작시에 고정 유지력이 반대로 재생 구동시의 저항이 되어 역작용하고 재생시에도 큰 구동력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악순환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플레이어 본체내에 자켓을 삽입했을 때에 이 자켓에 의하여 카아트리지를 플레이어 깊숙히 밀어 넣어서 카아트리지를 스타아트 위치에 세트하는 동시에 카아트리지를 이동 시킨때 카아트리지 구동용의 구동자의 긴체력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카아트리지에 반동에 의한 이동을 방지하도록한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를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플레이어 본체(21)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개요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주 샤시(22)상에는 레코오드를 놓은 터언테이블(23)이 회전가능으로 배치되고, 이 터언 테이블(23)을 모우터(24)의 축에 고착된 구동륜(25)과의 사이에 가설된 벨트(26)에 의하여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터언 테이블(23)의 회전축(27)의 일단은 주 샤시(22)이면측에서 슬라이더(28)과 당접 계합되고, 슬라이더(28)에 설치한 경사된 계합홈(29)내를 이동 자재로 장착된다. 즉 슬라이더(28)의 이동에 의해서 회전축(27)은 그계합홈(29)에 의해서 회전축(27)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비재생 상태에서는 터언 판이블(23)은 제일최저(부주샤시측)에 위치하고, 재생 상태에서는 터언 테이블(23)은 최고부에 위치하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 슬라이더(28)은 구동아암과 계합되고, 이 아암(30)은 기어(31)에 연결된다. 이 기어(31)은 워움기어(32)와 교합하고,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진다. 상기 주샤시(22)의 판면과 직각으로 상기 터언 테이블(23)을 협지하도록 부샤시(33),(34)가 주샤시(22)에 고착되고, 이 부샤시(33),(34)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터언 테이블(23)의 최하부 위치 보다도 높고, 최고부 위치와 대략 동일, 또는 그것 보다도 약간 낮을 위치에 자켓 안내부(35),(36)이 주샤시(22)면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된다. 이 부샤시(33),(34)의 최고부와 중간부에 절기부를 형성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안내간 지지부(37)이 각각 설치된다. 이 안내간 지지부(37)사이에는 원주상의 안내간(38)이 고정되고, 이 안내간(38)에는 카아트리지의 안내체(39)가 접동 자재로 감압된다. 이 대향하는 안내체(39)간에 카아트리지(40)이 고착되고, 안내체(39)의 이동에 따라서 카아트리지(40)이 터언 테이블(23)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내체(39)는 그 일부에 계합간(41)이 돌설되고, 이 계합간(41)에 고무벨트, 와이어 등의 구동자(42)가 계합되고, 계합간(41)에 대하여 구동자(42)는 고착되지 않고, 계합간(41)의 주위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양단부를 감합 계지된다. 이 구동자(42)는 1쌍의 플리(43),(44)간에 가설되고, 한쪽 플리(43)은 후기하는 회동판에 회전자재로 축지되고, 다른쪽의 플리(44)는 기어(45)에 일체적으로 축지되어 기어(45)의 회전에 따라 플리(44)도 회전하고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플리로서 동작한다. 이 기어(45)는 또 별도의 소기어(46)와 교합하여 이 소기어(46)는 별개의 기어(47)와 일체적으로 축지되고, 이 기어(47)는 워음기어(48)와 교합한다. 이 워음기어48)는 벨트(49)에 의하여 모우터(50)에서 회전력을 부여 받도록 구서된다. 상기 부샤시(33),(34)의 일단간에는 개체(51)이 선택적으로 개폐 설치되고, 이 개체(51)은 요동판(52)의 일단에 장착되고, 이 요동판(52)와 주샤시(22)간에 선택적으로 스토퍼(53)이 삽입된다. 이 스포터(53)은 그 일단을 요동간(54)의 일단과 계합하고, 요동간(54)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28)와 계합되고, 요동간(54)의 중간 부분을 주샤시(22)등에 축지된다. 또 슬라이더(28)와 요동간(54) 및 요동간(54)과 스토퍼(53)와의 계합은 슬라이더(28)의 직선 방향의 움직임을 요동간(54)의 회전 방향의 움직임에 변환하여, 이 요동간(54)의 회전 방향의 움직임을 재차 스토퍼(53)의 직선 방향의 움직임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계합 상태로 하는 계합 방법에 의하여 실시되고, 예를들면 도시와 같이 돌기와 장공(長孔)에 의하여 서로를 연결하면 된다. 이 개체(51)를 설치한 것과 반대쪽에는 처킹 장치(55)가 설치된다. 제 1도에서 설명된 자켓내의 개체를 계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주샤시(22)상에서 터언 테이블(23)의 외주위 4개소에는 삽입된 자켓을 한쪽 방향으로 압압 또는 레코오드를 올려놓는 탄성력이 부여된 부상판(56)이 배치되고 또 자켓의 자동반송 및 자동리터언을 시키는 오오트로딩(automatic loading)기구(57)을 설치했을 때를 가정해서 도시를 하고 있고, 이 오오트로딩 기구(57)은 자켓 위를 가로질러 배치하는 연결관(58)과, 이 연결관 (58)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기어(59) 및 이기어(59)와 교합해서 상기 연결관(58)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삽입되어서 배치된 워움기어(60)로 구성되고, 워음기어(60)의 한쪽에는 플리(61)이 고정된다. 이 플리(61)에는 벨트(62)가 가설되고, 이 벨트(62)는 모우터(63)으로 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이 모우터(63)의 회전력이 각기어(59)에 전달되어 이 기어(59)에 고전되는 로울러(64)를 회전하고, 이 로울러(64)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된 자켓의 측면에 당접시키므로써 자켓을 삽입, 또는 이탈 방향으로 이동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대하여 그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플레이어가 비재생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 재생 상태로 들어가기 까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터언 테이블(23)는 주샤시(22)에 대하여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로인해 개체(51)도 자유로이 요동판(52)의 동작에 의해서 상하동을 할수가 있고, 카아트리지(40)도 스타아트 위치, 즉 개체(51)에 대하여 가장 깊숙이 위치하고,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오오트로딩 장치(57)이 없는 것으로 가상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레코오드가 수납되고 있는 자켓을 개체(51)부분에서 삽입하면, 개체(51)은 자켓에 의해서 하방으로 압하 되어서 자켓의 삽입을 가능케 한다. 이 개체(51)이 설치된 삽입부분으로 부터 플레이어 본체(21)내에 삽입된 자켓은 자켓 안내부(36),(36)를 개재하여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자켓 삽입 가능 최심부까지 자켓을 삽입하면 자켓은 카아트리지(40)의 하방을 지나서 스토퍼(65)에 당접한다. 이 상태로 처킹 장치(55)는 자켓내의 개체와 계합한다.(이 체킹 장치와 자켓과의 계합 상태 및 구성에 대해서는 먼저 본건 출원인이 출원한 소화 56년 4월 18일부 특허원 기록원반 재생장치 발명자 복만명에도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자켓을삽입 방향과 반대로 플레이어 본체(21)에서 꺼내면 플레이어 본체(21)내에는 처킹 장치(55)에 의하여 개체, 스파인 및 레코오드가 남고, 레코오드는 정확히 터언 테이블(23)위에 공간을 두고 위치된다. 이 레코오드가 공간을 두고 터언 테이블(23)위에 위치하는 것은 부상판(56)상에 레코오드가 놓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플레이버튼을 누르면 플레이어 본체(21)은 재생동작으로 들어가서, 우선 모우터(제3도에 번호(66)으로 도시)에 의하여 워음기어(32)가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기어(31)가 회전한다. 이 기어(31)의 회전으로 구동 아암(30)이 이동을 개시하여 슬라이더(28)를 그 계합홈(29)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터언 판이블(23)은 이 계합홈(29)을 따라 접동하여 계합홈(29)의 사면에 의하여 서서히 도면에서 상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 슬라이더(28)은 터언 테이블(23)을 최저부에서 상승시키도록 작용을 하나, 이 슬라이더(28)의 이동에 의하여 요동간(54)도 지점(支點)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8)이 구동 아암(30)에 의하여 1번 기어(31)쪽으로 끌렸을 때(물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에 터언 테이블(23)이 최상부에 위치된다. 이 터언 테이블(23)이 최상부에 왔을 때에는 터언 테이블(23)상에는 레코오드가 놓여 있고, 레코오드는 부상판(56)면에서 뜬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 위치에서 스위치에 의하여 모우터(66)의 회전이 정지하여 워음기어(32)의 회전이 정지하고, 이것으로 슬라이더(28)도 이동을 정지한다. 이 결과로 요동간(54)도 최대로 변위하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53)은 개체(51)의 하측에 들어가서 개체(51)를 이제는 개방시키지 않고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즉 터언 테이블(23)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는 개체(51)을 닫은 채로하여 다른 자켓이나 빈 자켓 및 다른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그 다음에 모우터(24)의 전원이 투입된 모우터(24)가 회전을 시작하여 구동륜(25) 및 밸브(26)를 개제하여 터언 테이블(23)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터언테이블(23)이 회전을 시작한다. 이 회전 동작이 개시되면 모우터(50)도 전원이 투입되어 회전 동작을 개시한다. 이 모우터(50)의 회전은 밸브(49) 및 워음기어(48), 각기어(47),(46),(45) 및 플리(44)에 각각 전달되어 구동자(42)를 회동한다. 이로인해 구동자(42)에 계합되는 카아트리지 안내체(39)도 스타아트 위치에서 터언 테이블(23)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카아트리지 안내체(39)의 이동에 의하여 카아트리지(40)이 이동을 진행하게 되나 레코오드의 기록부 최외주 근방에 온 위치에서 카아트리지(40)에서 칸티레버(cantilever)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는 스타일러스가 레코오드면상에 하강하여 스타일러스와 레코오드가 당접하여 재생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카아트리지(40)이 레코오드 면상을 스타일러스를 접접하면서 이동을 하여 레코오드의 기록부 최내주에 도달하면 스타일러스는 레코오드 면상에서 이간하여 재차 카아트리지(40)내에 수납된다. 여기에서 터언 테이블(23)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모우터(2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재생 종료시에서 레코오드를 빈 자켓에 수납하기 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언 테이블(23)의 회전이 정지되면 모우터(66)가 회전을 시작하여 워움기어(32)를 회전시키고 기어(31)를 회전시켜서 구동아암(30)을 구동하여 슬라이더(28)을 이번에는 기어(31)와 떨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28)를 원위치에 복귀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으로서, 이 슬라이더(28)의 이동에 따라 터언 테이블(23)도 최고부에서 서서히 저하를 시작하여 도중에서 레코오드를 부상판(56)상에 올려놓고, 다시 저하를 계속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8)이 원위치에 도달했을 때 모우터의 회전이 정지하고 기어(31)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 스토퍼(53)도 앞에서의 동작과 역동작을 하기 때문에 개체(51)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고 개체(51)가 자유로이 개페할 수 있도록 스토퍼 기능을 해제한다. 또 구동아암(30)을 구동하는 모우터는 역회전해도 되고, 또는 기어(31)와 구동아암(30)과의 관계를 180°의 위치에서 구동 아암(30)이 최대이동거리가 되도록 치수관계를 설정해 놓으면 0°-180°의 범위에서는 구동 아암(30)을 잡아당기도록, 또 180°-360°의 범위에서는 구동 아암(30)을 밀어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모우터를 동일 방향의 회전만 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때 카아트리지(40)는 재생 종료 위치에서 정지되고 있고 모우터(50)의 회전은 정지되고 있다. 따라서 카아트리지(40)를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키려면 일반적으로는 모우터(50)의 회전을 재생 상태시에 비해서 역회전 시키면 카아트리지(40)를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킬 수가 있다. 또 이 모우터(50)를 역회전시키는 대신에 후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카아트리지(40)를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킨다. 그리고 카아트리지(40)이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하면 빈 자켓을 개체(51)를 열어서 삽입하므로써 자켓내에 레코오드 및 스핀을 취입하면서 스토퍼(65)에 당접될 때까지 삽입하면 처킹 장치(55)의 처킹 기능을 해제시킬 수가 있고, 이 상태로 자켓을 뽑아내면 자켓내에 레코오드를 수납한채로 자켓용의 개체가 계지되어 취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레코오드의 재생이나 레코오드의 삽탈이 이루어지나, 다시 카아트리지 스타아트 위치에의 복귀 기구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카아트리지의 원위치에의 복귀는 모우터의 역회전으로 실시하도록 설명 했으나, 다른 방법, 즉 수동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수동 복귀는 모우터의 반송보다 신속하고, 또 간단히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에 있어서 편리한 기구이다. 이 기구는 카아트리지(40)의 재생용의 반송은 모우터(50)에 의해서 실시하고 있으므로 복귀시에는 카아트리지(40)을 모우터(50)으로부터의 반송용 구동수단에서 절리할 필요가 있고, 이와같은 점에서 차례로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도 모우터(50)도 부터의 카아트리지(40)구동력을 최종적으로는 구동자(42)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구동자(42)는 예를들면 와이어로우프에 의해서 실시되고 이 와이어로우프의 양단을 환상으로 하여 윤상부(71),(72)를 형성하고, 이 윤상부(71),(72)를 카아트리지 안내체(39)의 계갑간(41)에 감합해서 계지시킨다. 필요하면 이 계합간(41) 선단에서 나사 등을 나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나사의 두부 또는 와셔(washer)등에 의하여 윤상부(71),(72)가 계합간(41)에서 쉽게 이탈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모우터(50)에서의 구동력을 카아트리지(40)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동자(42)를 팽팽히 하면 구동력이 전달되고, 구동자(42)를 늦추면 각 플리(43),(44)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약화되어서 플리(44)가 공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28)의 이동력을 이용하고 있다. 즉 슬라이더(28)를 이동시키는 구동아암(30)의 중간에 돌기(도시생략)를 가지고, 이 돌기와 계합하는 장홈(73)을 일단에 가지는 요동체(74)를 배치시킨다. 이 요동체(74)는 그 중간 부분에 투공(75)가 있고, 이 투공(75)속에 와셔(76)를 개재하여 나사(77)를 삽입하여 샤시 등에 나사(77)를 고정하므로써 축지된다. 그리고 요동체(74)의 타단에는 갈고리부(78)를 형성하고 요동체(74)는 투공(75)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자재로 구성되고, 구동 아암(30)의 이동에 따라 요동체(74)를 요동시켜서 갈고리부(78)를 좌우로 요동한다. 이 갈고리부(78)는 회동체(79)에 당접된다. 이 회동체(79)는 평판상의 판체(80)와 그 자형의 판상 용수철재 지지부(81)로 구성되고, 판체(80)와 지지부(81)는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판체(80)와 지지부(81)는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다같이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으로서 필요하면 판체(80)에 설편을 형성하고, 이것을 절곡해서 형성해도 된다. 이 판체(80)는 그 중간 부분에 지지부(81)가 있고, 이 지지부(81) 및 판체(80)를 관통해서 샤시(83)등에서 돌설된 고정축(82)에 축지된다. 그리고 판체(80)의 일단이 주샤시(22)에 설치한 관통공(84)를 관통하고, 다시 상기의 갈고리부(78)와 당접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용수철(85)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용수철(85)의 타단은 안내간 지지부(37)에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판체(80)는 언제나 갈고리부(78)와 당접되도록 용수철(85)에 의해서 회동력을 부여받는다. 그리고, 판체(80)의 고정축(82)과 용수철(85)고정 부간에 플리(43)가 회전자재로 축지된다. 그리고 용수철재 지지부(81)에는 선단을 절곡하여 행성한 계지부(86)가 있는 판상 용수철재(87)가 나사(88)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카아트리지 안내체(39)는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형성되고, 안내체 본체(89)와 기어용의 이를 형성한 클러치부(90)과 빗니부(91) 및 돌출부(92)로 구성된다. 안내체 본체(89)는 그 양 측판부(93)에 안내간(38)을 삽통하고, 택(rack)부(90)에는 보정 제어용 검출기어(94)가 교합되고, 빗니부(91)는 제6도에 도시하는 카아트리지 이송 검출용의 검출 장치(95)의 포토다이오드(96)과 발광다이오드(97(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 안내체 본체(89)는 나사(98)에 의하여 프레임(99)에 고정되고, 프레임(99)은 나사(100)로 카아트리지(40)와 고정된다. 또 돌출부(92)는 카아트리지(40)가 스타아트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용수철재(87)의 계지부(86)와 계합하여 용수철재(87)에 의하여 카아트리지(40)를 스타아트 위치에 정지시켜 놓도록 그 위치를 규제한다. 따라서 제 4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스타아트 위치에 카아트리지(40)가 복귀하는 경우에는 돌출부(92)는 용수철재(87)의 계지부(86)와 당접하나 그 탄성력에 반항하여 이동하고, 돌출부(92)는 계지부(86)를 통해서 가게되나 통과한 위치가 스타아트 위치가 되기 때문에 계지부(86)의 선단 사면과 돌출부(92)의 사면이 당접한 채로의 상태로 계합하여 스타아트 위치를 유지한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써 스타아트 위치에서는 요동체(74)의 선단은 1번 슬라이더(28)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갈고리부(78)는 판체(80)의 일단을 용수철(85)이 제일 인장되는 상태, 즉 제4도의 도면중 우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판체(80), 다시 말하면 회동체(79)는 용수철(85)의 힘에 항거해서 최대 위치까지 변위되고, 이로 인해 플리(43)는 플리(44)측으로 크게 변위하고 구동자(42)를 휘게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령 이 상태로 모우터(50)가 회전한다해도 그 회전력은 구동자(42)까지는 전달되지 않고 카아트리지 안내체(39)는 이동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용수철재(87)와 돌출부(92)가 반대로 계합 상태에 있으므로 카아트리지 안내체(39)는 그 위치를 유지한 채로이다. 다음에 슬라이더(28)가 이동을 개시하면 그것에 따라 요동체(74)가 요동하고 지점을 중심으로 그 양단을 회전시키므로 갈고리부(78)는 차례로 회전 변위한다. 즉 제4도의 도면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되나, 이것을 따라서 용수철(85)에 의하여 힘을 받고 있는 회동체(79)도 고정축(82)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서서히 플리(43)를 플리(44)에서 이간하는 도면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고, 또 용수철재(87)는 계지부(86)와 돌출부(92)와의 당접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 즉 제4도의 도면중 하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슬라이더(28)가 터언 테이블(23)을 최고 위치까지 밀어올린 상태에서는 회동체(79)는 최대변위하고 플리(43)는 플리(44)와의 사이에 구동자(42)를 최대한으로 인장하여 플리(44)와 구동자(42)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얻어지도록 하여 플리(44)의 회전을 구동자(42)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용수철재(87)와 돌출부(92)와의 계합 관계는 이미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모우터(50)에 회전력이 생기면 카아트리지 안내체(39)는 자유로히 이동되어 터언 테이블(23)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또, 이 카아트리지 안내체(39)의 이동에 따라 랙부(90)와 교합하는 기어(94)도 회전되기 때문에 이 기어축을 가변 저항기 등과 연결해 놓으므로써 카아트리지(40)의 위치, 즉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레코오드의 외주와 내주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검출용 수단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빗니부(91)도 이동을 하기 때문에 이 빗니부(91)의 간격 및 이의 폭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므로써 카아트리지(40)의 속도 검출에 사용할 수가 있고, 포토다이오드(96)과 발광다이오드(97)간을 통과하는 빗니부에 (91) 의하여 펄스상 신호가 얻어지고, 이 신호와 터언 테이블(23)의 회전에 의하여 얻어지는 스트로브스코프펄스 신호 등과 비교하여 카아트리지(40)또는 터언 테이블(23)의 상대적 속도 보정의 실시하거나 카아트리지(40)의 위치 검출이나 재생시간 검출용 또는 액세스용 등의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검출 장치(95)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기체(110)에서 수대(受臺)(111)를 돌출시키고, 이수대(111)에 서로 대향하는 자형의 한쌍의 다이오드 지지부(112)를 형성하고, 이 지지부(112)에 포토마이오드(96) 및 발광다이오드(97)를 각각 감합하고, 각각의 리이드선을 수대(111)에 입설한 단자편(113)에 각각 접속시켜서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 기체(110)는 비스(114)등으로 빗니부(91)이 양 다이오드(96),(97)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샤시(83)등에 고정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므로써 카아트리지(40)는 재생상태에 있어서만 모우터(50)으로 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비재생 상태에 있어서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키려면 인력으로 실시한다. 즉 비재생 상태에 있어서는 턴 테이블(23)이 강하하고 있기 때문에 회동체(79)는 갈고리부(78)에 의하여 변위하고 플리(43)를 구동자(42)가 휘어서 용수철재(87)가 돌출부(92)와 계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카아트리지(40)는 복귀용의 구동력이 하나도 가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재생종료 시점의 위치, 즉 턴 테이블(23)의 상방위치에 있다. 그리고 재생종료 상태에 있으므로 개체(51)는 빈 자켓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폐 자재로 되어있으므로 빈자켓의 일단으로 카아트리지 안내체(39)를 압압해서 울리면 카아트리지 안내체(39)는 구동자(42)가 휘었기 때문에 자유 상태에 있으므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빈자켓을 삽입하면서 카아트리지 안내체(39)를 밀고 가서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키면 된다. 그리고 스타아트 위치까지 넣으므로써 용수철재(87)와 돌출부(92)가 감합하고 카아트리지 안내체(39)의 반발등으로 스타아트 위치에서 어긋나는 등의 예측외의 사태도 저지할 수 있고, 확실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자켓으로 카아트리지 안내체(39)를 압압하는 것은 가능하나 자켓은 카아트리지(40)의 아래를 통과시켜서 스토퍼(65)의 위치에 까지 삽입할 필요가 있고 카아트리지 안내체(39)를 그대로 밀고 가서는 스토퍼(65) 위치, 다시말하면, 최심부까지 자켓을 삽입할 수 없다. 이로인해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구동규칙 장치가 카아트리지 안내체(39)에 장착된다.
즉, 카아트리지 안내체(39)에 장착되는 기체(121)에는 선단을 절곡해서 형성한 절곡부(122)와 설편(123)이 형성된다. 이 절곡부(122)에는 만곡해서 관통한 슬릿(124)과 투공(125)이 형성되고, 이 슬릿(124)과 반대측 단부에는 절결부(126)이 형성된다. 이 슬릿(124)에는 봉체(127)이 삽입되고 이봉체(127)의 일단과 상기 설편(123)간에는 용수철(128)이 장설된다. 그리고 이봉체(127)에는 일부에 당접용 절결면(129)이 있는 대략 원판의 4반분의 크기의 캠판(130)이 고정되고 또, 이 캠판(130)과 병치되어서 당접판(131)도 설치된다. 이 당접판(131)도 봉체(127)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투공(125)에 관통 고정되는 고정핀(132)을 꽂는 구멍 (133)이 다시 형성되고 상기 캠판(130)에도 동일한 구멍(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캠판(130)과 당접판(131)과는 양자 일체적으로 붕체(127)와 핀(132)에 고정되어 있고 같은 역할을 한다. 한편 캠판(130)의 절결면(129)에는 절곡부(122)에 구멍(135)을 개재하여 축지되는 규제판(136)의 일단이 선택적으로 당접되도록 구성되고, 이 규제판(136)은 축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자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판(136)의 타단에는 구동간(137), 관통되고, 이 구동간(137)은 상기 절결부(126)부분에 위치하고, 이 구동간(137)은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아트리지 안내체(39)에 형성한 돌출편(138),(139)을 통해서 그 단부를 안내간 지지부(37)와 대향시켜서 배치된다. 그리고 양돌출편(138),(139)간에 돌기(140)를 형성하여 이 돌기(140)와 돌출편(138)간에 용수철(141)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구동규제 장치에 의하면 당접판(131)선단을 자켓 안내부(35)내에 돌출시켜서 자켓 선단 부분이 이 당접판(131)과 당접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기판(121)은 카아트리지 안내체(39)에 고정되어 있고, 또 당접판(131)과 캠판(130)은 용수철(128)에 의해서 상시 붕체(127)가 슬릿(124)의 일단에도 당접되어 있도록 편향된다. 그리고 카아트리지(40)이 스타아트 위치에 있을 때는 구동간(137)의 단부가 안내간 지지부(37)(또는 샤시등 다른 장소도 된다)와 당접되기 때문에 용수철(141)은 꽉 죄져서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밀려 있으므로 규제판(136)의 일단과 캠판(130)의 절결면(129)과의 당접 상태는 해제되고 있다. 가령 이 상태로 자켓이 들어왔다고 가정하면 자켓 선단은 당접판(13과 당접하나 캠판(130)과 규제판(136)과의 계합이 구동간(137)의 이동으로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핀(13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봉체(127)가 슬릿(124)의 반대 단부에 올때까지 회동한다. 즉 도면에서 당접판(131)이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회전 하기 때문에 자켓 선단은 이 당접판(131)을 회동 시키면서 통과할 수가 있다. 즉 당접판(131)은 하등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
한편, 카아트리지(40)가 재생 종료시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생각하면 구동간(139)은 안내간 지지부(37)면과는 당접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용수철(141)은 신장되어 있고, 규제판(136)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있으므로 캠판(130)과 당접하고 있다. 이 캠판(130) 및 당접판(131)은 상기 용수철(128)의 힘으로 원상 복귀하고 있으므로 캠판(130)과 규제판(136)이 당접하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로 자켓을 삽입하면 자켓 선단과 당접(131)판이 당접하고, 또 자켓을 삽입해도 당접판(131)은 캠판(130)과 규제판(136)과의 계합에 의해서 회동 동작을 하지 않는다. 이 규제판(136)은 용수철(141)에 의하여 탄성력에 의해서 힘을 받고 있으므로, 당접판(131)에 자켓이 당접해도 캠판(130)과의 계합을 해제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자켓의 삽입력은 그대로 당접판(131)에 가해진 채로이고 이로 인해 자켓을 계속 삽입하므로써 구동 규제 장치, 즉 카아트리지 안내체(39)가 자켓의 삽입에 맞추어서 스타아트 지점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카아트리지(40)가 스타아트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구동간(137)은 지지부(37)에 의하여 압압되고, 그 결과 규제판(136)이 회동해서 캠판(130)과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여 캠판(130)과 당접판(131)은 회동하여 자켓의 더욱 심부에의 진입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자켓을 빼내면 재차 캠판(130)과 당접판(131)은 원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스타아트 위치에 카아트리지(40)가 있는 한 자켓의 통과는 자유롭고, 그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만 자켓으로 카아트리지(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형상을 고려하면 캠판과 당접판은 별개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단일의 것으로 양자를 겸용하는 구조로할 수도 있다. 또 구동간은 그 당접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샤시 등에 나합한 나사의 선단 또는 나사 등에 의하여 조정이 자유로운 받침판등과 당접시키므로써 캠판과 규제판과의 당접 해제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용수철 등의 배치 및 구성 등도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각 예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시 설명한 것으로 이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변경, 응용 및 조합이 고려되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아니하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상태에 있어서 턴 테의블을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이 턴 테이블의 상승 및 하강을 구동하는 구동 아암의 변위를 이용하여 이 구동 아암과 회동판을 당접하여 이 회동판의 움직임에 따라서 플리나 용수철재와 카아트리지 안내체와의 계합 관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므로써, 예를들면 플리이동의 경우에는 카아트리지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고, 재생 동작 종료후에 삽입되는 자켓에 의하여 카아트리지를 자켓 삽입 동작과 동시에 스타아트 위치에 자동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히 또한 가벼운 삽입력으로 카아트리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또 예를들면 용수철재 이동의 경우에는 카아트리지의 스타아트 위치 복귀시에는 확실히 카아트리지를 스타아트 위치에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카아트리지의 반발에 의한 위치의 어긋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아트리지 스타아트 준비 시점이후는 이 용수 철재가 하등의 장해가 되지 아니하므로 카아트리지의 고정 유지 및 이동에 극히 우수한 이점이 있고, 이들의 조정을 위해서 특별히 구성한 모우터 등의 구동원을 설치함이 없이 이미 다른 용도에 사용하는 구동원의 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값이 싸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는 등 실용에 있어서 극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회전구동되는 턴 테이블 상에 놓인 레코오드를 가아트리지에 의해서 재생하도록 한 레코오드 재생 장치의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에 있어서,
    턴 테이블의 회전축에 당접하여 이 회전축을 축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모우터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접동시키는 구동 아암과, 이 아암의 이동에 연동하고,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력이 부여되는 요동체와 이 요동체와 당접하여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동판과, 이 회동판과 요동체가 상시 당접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용수철과 회동판에 설치되고 카아트리지에 설치된 카아트리지 안내체와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수단을 구비하고, 이 계합 수단은 요동체로 부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카아트리지 안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2. 제1항에서 계합 수단은 회동판에 회동이 자재하게 축지된 플리로 구성되고, 이 플리에는 카아트리지 안내체에 유지된 구동자가 가설되고, 용수철의 힘에 반발해서 요동체에서 구동력이 가해졌을 때에 회동판을 회동하여 플리와 구동자 간의 긴체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3. 제1항에서 계합 수단은 회동판과 같이 이동하는 판상 용수철재로 구성되고, 카아트리지 안내체에 설치한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되고, 판상 용수철재의 힘에 반발해서 카아트리지 안내체의 돌출부를 한쪽 방향으로 통과 시키고 다른 방향에는 이 용수철재에 의하여 통과 못하도록 구성하고, 용수철의 힘에 반발해서 요동체로 부터 구동력이 가해졌을 때 회동판을 회동하고, 카아트리지 안내체의 돌출부가 다른 방향에도 통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KR1019810005240A 1981-05-09 1981-12-30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KR850001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9830 1981-05-09
JP56-69830 1981-05-09
JP56069830A JPS57186260A (en) 1981-05-09 1981-05-09 Cartridge engag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315A KR830008315A (ko) 1983-11-18
KR850001483B1 true KR850001483B1 (ko) 1985-10-10

Family

ID=1341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240A KR850001483B1 (ko) 1981-05-09 1981-12-30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26695A (ko)
JP (1) JPS57186260A (ko)
KR (1) KR850001483B1 (ko)
DE (1) DE3217272C2 (ko)
GB (1) GB20983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166A (en) * 1981-03-12 1982-09-16 Victor Co Of Japan Ltd Reproducer for disc recording medium
JPS57152668U (ko) * 1981-03-20 1982-09-25
US4390978A (en) * 1981-06-30 1983-06-28 Rca Corporation Carriage translating mechanism for video disc player
JPS5819773A (ja) * 1981-07-29 1983-02-04 Toshiba Corp レコ−ド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JPS58105462A (ja) * 1981-12-17 1983-06-23 Toshiba Corp 記録円盤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JPS58205952A (ja) * 1982-05-27 1983-12-01 Toshiba Corp モ−タ駆動装置
JPS59112356U (ja) * 1983-01-18 1984-07-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回転記録媒体再生装置
US4467466A (en) * 1983-02-04 1984-08-21 Rca Corporation Video disk player having door lock mechanism
US4545045A (en) * 1983-05-31 1985-10-01 Storage Technology Partners Ii Recording disk load and unload apparatus
US4453240A (en) * 1983-09-27 1984-06-05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ddy overtravel mechanism
US4627037A (en) * 1984-04-12 1986-12-02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isc reproducing apparatus
US4493070A (en) * 1984-05-07 1985-01-08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rriage drive mechanism
US4773058A (en) * 1986-10-27 1988-09-20 Eastman Kodak Company Disk handling system and apparatus
US5172362A (en) * 1987-05-15 1992-12-15 Hirachi, Ltd. Recording medium loading mechanism
MY122078A (en) * 1996-10-02 2006-03-31 Sony Corp Disk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320A (en) * 1974-03-25 1975-03-11 Rca Corp Pickup arm control for video disc player
US4351046A (en) * 1981-02-25 1982-09-21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rriage deten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26695A (en) 1984-01-17
DE3217272A1 (de) 1982-11-25
JPS57186260A (en) 1982-11-16
GB2098377A (en) 1982-11-17
GB2098377B (en) 1984-11-28
KR830008315A (ko) 1983-11-18
DE3217272C2 (de) 198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83B1 (ko) 카아트리지 계합 장치
US5299185A (en) Disc player for playing both naked disc and cartridge-encased disc
KR100320134B1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위한 로딩구조
US5914929A (en) Optical disk recording/playback device with means to recognize, read from and record to multiple types of optical disk types
KR920008683A (ko) 자기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KR100305916B1 (ko) 디스크플레이어장치
JPH037146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728816B2 (ja) ディスク装置
KR860000657B1 (ko) 디스크 로우딩기구
JP364008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367405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989185B2 (ja) 駆動装置
JP370472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781783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71435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714358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21617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920006915Y1 (ko) 자기테이프 카트리지의 프리즘 이탈 방지장치
JP3591002B2 (ja) 駆動力伝達切り換え機構
JP286591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429988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4339416B2 (ja) ディスク装置
JPH08167209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H0223946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4419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