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52B1 - 시멘트계 상재(床材) - Google Patents

시멘트계 상재(床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252B1
KR850001252B1 KR1019830000548A KR830000548A KR850001252B1 KR 850001252 B1 KR850001252 B1 KR 850001252B1 KR 1019830000548 A KR1019830000548 A KR 1019830000548A KR 830000548 A KR830000548 A KR 830000548A KR 850001252 B1 KR850001252 B1 KR 85000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ater
cement
weight
thermal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589A (ko
Inventor
김경묵
Original Assignee
로얄통산 주식회사
김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통산 주식회사, 김경묵 filed Critical 로얄통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3000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252B1/ko
Publication of KR84000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멘트계 상재(床材)
본 발명은 셀프 레벨링(Self leveling)성을 가지는 시멘트계 상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면하에 파이프를 매설해서, 매설한 파이프에 온수 또는 온풍을 통과시키는 온돌식의 상난방(床暖房)을 하는 경우의 상형성재(床形成材)는 일반적으로 시멘트 몰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시멘트 몰탈의상(床)은 열전도성이 나빠서, 상난방의 열효율이 좋지 않았다. 즉, 종래의 시멘트 몰탈로 형성된 상(床)은 미세한 기포가 있고 밀도가 작기 때문에, 매설파이프의 열이 상면(床面)에 전도가 나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결점을 해결코저 한 것으로서, 매설한 파이프의 열이 상면에 전도되기 쉬운 시멘트계 상재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 다른 목적은 시멘트 몰탈등의 상재는 수평면형성성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시공한 경질의 수평 상면이 간단히 형성되어 시공시의 흙손 자국이 남지 않는 시멘트계 상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계 상재는 수경성의 시멘트 성분과, 감수제, 보수제, 소포제, 열전도성 및 비중이 큰 분체 또는 입체등 일정한 세형상(細形狀)의 금속체, 물, 필요량의 골재가 혼합되어, 15℃에서 점도가 약 7,000-8,000cps의 페이스트상의 조성물이 되어 셀프 레벨링성이 높고, 시공후 그 물성에 의하여 간단히 수평상의 경질상면이 되는 것이다.
전기 시멘트 성분은 통상의 포트란트 시멘트, 슬라그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등의 수경성으로 통상 분체시멘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감수제는 물, 시멘트 혼합물의 수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리그닌설폰산 및 그 염, 옥시칼본산 및 그 염, 아릴알킬설폰산 및 그 염등의 표면활성제, 또는 나프탈린 설폰산-포르마린 축합물,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등이 사용되지만 특히 좋은 것은 나프탈렌 설폰산-포르마린 축합물(일본 花王-アトラス(株)제 상표명 : 마이티-100)이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수제는 물, 시멘트 혼합물의 시공시, 시공하지에 수분이 빠져 없어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갖고 있으며, 비이온성 셀루로즈 에스텔이 적당하며, 메틸 셀루로즈, 에틸 셀루로즈, 히드록시 에틸 셀루로즈, 히드록시 푸로필 셀루로즈, 히드록시 에틸메틸 셀루로즈, 히드록시 에틸에틸 셀루로즈, 히드록시 푸로필 메틸 셀루로즈등이 사용되지만, 특히 좋은 것은 것은 메틸 셀루로즈(일본 信越化學(株)제 상표명 : 메트로스 90SH)이다. 한편 비이온성 셀루로즈 에스텔은 보수기능의 물, 시멘트 혼합물증의 골재 및 혼합한 금속체의 침강방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발명에 사용되는 소포제는 실리카 실리콘계, 금속석검계, 아미드계, 고농도 실리콘계, 에스텔계, 폴리에스텔계, 광물유계등의 소포작용을 갖는 것이 사용되며, 이들은 에말죤형, 분말형등의 어느 것도 좋으나, 특히 좋은 것은 실리콘-광물유혼합물(일본 サソノブゴ(株)제 : 상표명 SN 디포마-24)이다.
전기 금속체는 열전도성이 크고 비중이 큰 금속, 예로서 철, 동, 아연, 닉켈, 알미늄, 주석등의 금속, 도는 이것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이 사용되며 물, 시멘트 혼합물 중에 분산이 용이하고 분체, 입체 또는 섬유체등의 형상으로 수 mm-100μ 정도의 미세한 것이 사용된다. 골재는 모래, 쇄사(碎砂), 슬라그등 통상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세골재로서 사용되는 것 또는 도료의 골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한수석(寒水石), 한수분(寒水粉), 백용석(白龍石), 대리석분, 규사, 규석분, 탄산칼슘분등이 사용된다.
전기 각 혼합물 성분은 시멘트 성분 100중량부(이하 부로 약칭함)에 대해서 감수제 0.01-5부와, 보수제 약 0.01-10부와, 소포제 약 0.05-5부와, 금속제 약 1-500부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
한편 골재를 혼합할 경우는 시멘트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골재 약 500부 이하로 가한다. 각 혼합성분의 혼합후에는 소정량의 물을 가하여 페이스트상의 혼합물로 만든다. 이 혼합물은 15℃에서 점도 약 7,000-8,000 CPS(b형 점도계에 의한 측정치)로 조정된다. 혼합시 가수량은 혼합물의 점도를 약 7,000-8,000 CPS가 되는데 필요한 량이며, 배합비율에 따라 상이하지만, 골재를 가하지 않는 배합에서는 약 30부-70부, 골재를 가한 배합에서는 약 50-100부이다.
전기 혼합비율에 있어서, 각 혼합성분의 가수혼합물은 플로우(flow)성이 높고, 셀프 레벨링성이 양호하며, 또한 시공성이 좋다. 또 전기 혼합비율로 된 경화물의 압축강도가 높아서, 상재로서 실용성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한 가수혼합물은 점도 약 7,000-8,000 CPS의 페이스트상의 것이므로 흙손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셀프 레벨링성이 높으므로 혼합물을 시공한 상면은 자연히 수평이 잡히고, 경화(고화)후의 표면에는 흙손 자국이 남지 않고 평활하고 아름다운 상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재는 열전도성이 높이며 비중이 큰 분상등의 세형상의 금속체를 배합하고 또한 소포제를 가하여 경화물내에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였으므로, 이 경화물의 밀도가 크고, 열전도성이 높은 물성의 것이 되어, 난방용 파이프를 매설하는 상용(床用)의 상재로서 이상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계 상재의 경화물은 압축강도가 크므로 상재로서 실용적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4]
제1표에 예시한 배합비율(제1표의 배합량의 숫자의 단위는 중량부이다)에 의하여 각 원료를 혼합해서 비교예 및 실시예의 각 몰탈을 조재하였다. 즉 비교예는 금속분을 가하지 않은 배합조성이며 실시예 1-2는 금속분으로서 철입자를 가한 배합조성, 실시예 3은 금속분으로서 동입자를 가한 배합조성, 실시예 4는 금속분으로서 철입자를 가하고 골재를 가하지 않은 배합조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혼련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각 원료를 순서대로 혼합해서 각 배합의 상재로 했으나 혼련기 및 혼련순서는 혼합이 능률적으로 되고 분산성이 양호한 상재로 되어지면 적당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혼합후의 각 배합의 상재는 흙손작업이 용이하였다.
[제 1 표]
Figure kpo00001
[제 2 표]
Figure kpo00002
한편 제2 표의 시험항목의 측정은 다음 방법에 의하였다.
플로우 값(FLOW値)……구 일본 주택공단의 규정으로 석고계상재의 셀프 레벨링 시험
압축강도……JIS-R5201
열전도율……JIS-A1412 보온재의 열저도율 측정방법(평판비교법)
제 2 표는 비교예 및 실시예 1-4의 각 경화물의 물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실시예 1-4의 경화물의 플로우값, 압축강도, 밀도 및 열전도율에 있어서 비교예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재로서 어느 것이나 양호한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및 실시예 10-4의 각가수 혼합물은 실험실의 일전한 장소에 시공하여 넓이 3.3M2의 각각 콘크리트 상면을 형성하고, 상면하(床面下) 2cm에 온수용 파이프를 배관하였다. 실시예 1-4의 가수혼합물의 시공성은 비교예와 같이 양호하며, 경화 후에는 시공중의 흙손 자국이 남지 않는 양호한 평활상면이 형성되었다. 다음에 매설파이프에 40℃의 온수를 흘려 상면(상면온도 25℃)의 가열상황을 시험하였는데, 상면의 열전도성은 비교예에 비하여 상당히 빨랐으며 특히 실시예 2의 것이 빠르고 그 다음이 실시예 1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1-4의 각 상재는 실용적 성질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경성(水硬性)의 시멘트 성분 100중량부와 감수제인 나프탈린 설폰산-포르마린 축합물 약 0.05-5중량부와 보수제인 메틸 셀루로즈 약 0.01-10중량부와 소포제인 실리콘-광물유 혼합물 약 0.01-5중량부와 열전도성 및 비중이 크고 분체(粉體) 또는 입체의 일정한 세형상의 금속체 약 1-500중량부와 일정량의 물이 혼합되어 점도 약 7,000-8,000CPS의 페이스트 조성물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계 상재.
KR1019830000548A 1983-02-11 1983-02-11 시멘트계 상재(床材) KR85000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0548A KR850001252B1 (ko) 1983-02-11 1983-02-11 시멘트계 상재(床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0548A KR850001252B1 (ko) 1983-02-11 1983-02-11 시멘트계 상재(床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89A KR840003589A (ko) 1984-09-15
KR850001252B1 true KR850001252B1 (ko) 1985-08-26

Family

ID=1922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548A KR850001252B1 (ko) 1983-02-11 1983-02-11 시멘트계 상재(床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2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89A (ko) 198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8693B (zh) 一种找平砂浆及基于该找平砂浆的地面施工工艺
US3169877A (en) Mortar compositions
CN106336183B (zh) 一种二元体系快干型厚层水泥自流平砂浆
JP4677824B2 (ja) 耐酸性グラウト組成物
JPS59146960A (ja) セルフレベリング床組成物
JPS59213655A (ja) モルタル材料
JP2004345898A (ja) グラウト組成物
JP2019172536A (ja) セルフレベリング材及びコンクリート床構造体
CN114585595B (zh) 自流平材料组合物
JP2017081763A (ja) シリカフューム含有セメント組成物
KR850001252B1 (ko) 시멘트계 상재(床材)
JP3267895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8273811A (ja) 水硬性組成物
CN111039622A (zh) 一种快速凝结自流平砂浆
JP2009184867A (ja) 水硬性組成物
JP2000086320A (ja) グラウト組成物及びグラウト材用混和材
JPS59146958A (ja) 流動性のある低ひびわれ性セメント組成物
JPH0338224B2 (ko)
JPH08333150A (ja) セルフレベリング性セメント組成物
JP2701028B2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材
JP6591784B2 (ja) コンクリート床状構造物の施工方法
JP4614122B2 (ja) 湿潤接着性が向上した水硬性組成物
JP4861565B2 (ja) 重量モルタル
JPS60195046A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材組成物
EP3008032A1 (en) Thermally conductive scr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