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092Y1 - 유량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092Y1
KR850001092Y1 KR2019830002566U KR830002566U KR850001092Y1 KR 850001092 Y1 KR850001092 Y1 KR 850001092Y1 KR 2019830002566 U KR2019830002566 U KR 2019830002566U KR 830002566 U KR830002566 U KR 830002566U KR 850001092 Y1 KR850001092 Y1 KR 850001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rifice
control valve
spun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631U (ko
Inventor
이찌로오 고이께
Original Assignee
지도오샤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도오샤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와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지도오샤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F16K17/28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K17/30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operating in one direction only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2Flow-dividers; Priori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2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74Bypass or relief controlled by main line fluid condition
    • Y10T137/2579Flow rate responsive
    • Y10T137/2592Carried ch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afety Valv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량제어 밸브
제1도는 종래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장치의 공급유량의 특성곡선을 이상적인 특성곡선과 아울러 표시하는 도표.
제3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실시예 장치 및 종래 장치의 공급유량, 오리피스 개구면적, 환류로 개구면적, 스푸울밸브 변위량을 각각 표시하는 도표.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종래 장치의 스푸울밸브의 변위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5(e)도 내지 제5(h)도는 실시예 장치의 스푸울밸브의 변위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6(a)도 내지 제6(e)도는 스푸울밸브의 랜드(Land)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밸브구멍 (3)(4) : 연통로
(5) : 환류로 (6)(7) : 오리피스
(8) : 환류로 개구부 (9) : 스푸울밸브
(12) : 랜드 (13) : 랜드의 연부
(21) : 테이퍼 (22)(23) : 단부(段部)
(24)(25) : 곡면형상의 테이퍼
본 고안은 오일펌프의 토출구와 유압기기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壓油) 중 필요한 양을 유압기기로 공급하는 유량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동력조타(操舵)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응하여 압유의 공급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저속시, 현위치를 유지할시에는 조타력이 적어도 끝낼 수 있도록 다량의 압유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반대로 고속시에는 주행안정성 때문에 압유의 공급량을 감소시켜서 조타력을 크게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력조타장치와 오일펌프 사이에 유량제어밸브가 설치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 유량제어밸브는 예컨대, 오일펌프와 동력조타장치를 연통하는 유로의 도중에 오리피스와 밸브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밸브구멍에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에 응하여 진퇴운동하는 스푸울밸브가 감합되어 있으며, 차량속도 즉, 오일펌프 회전수에 응하여 토출유량이 증대하여서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가 일정한 값이상의 크기로 되면, 스푸울밸브가 이동하여 상기한 오리피스를 쥐어짜는 것과 아울러 탱크에의 환류로를 개방하며, 이 탱크에 잉여유(剩餘油)를 환류시켜서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이러한 종류의 유량제어밸브의 1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하우징(1)에 천설된 밸브구멍(2)은 흡입통로(3)을 개재하여 오일펌프(도면표시 아니하였음)의 토출구에 연통함과 아울러 토출통로(4)를 개재하여 동력조타장치(도면표시 아니하였음)에 접속하고, 또 환류로(5)은 탱크(도면표시 아니하였음)로 통하고 있다. 흡입통로(3)의 밸브구멍(2)에 개구하는 부분에는 고정오리피스(6)와 가변오리피스(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변오리피스(7)는 환류로(5)의 개구부(8)과 아울러 스푸울밸브(9)에 의하여 개구도가 바꾸어진다.
즉, 스푸울밸브(9)는 밸브구멍(2)내에 접동자재하게 감합됨과 아울러 스프링(10)에 의하여 상시 개구부(8)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작동하지 않을시에 있어서는 이 스푸울밸브(9)의 단면에 돌설된 스톱퍼(11)가 밸브구멍(2)의 단벽에 당접하여 정지하여서 가변오리피스(7)를 전부 개방함과 아울러 환류로(5)를 폐쇄하고 있으나, 오리피스(6)(7) 전후의 압력차가 일정한 값이상으로 되면, 스푸울밸브(9)는 스프링(10)에 저항하여 좌측으로 가서 도면표시 상태와 같이 환류로(5)를 개방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가변오리피스(7)를 쥐어짠다. 따라서, 이 장치에 의한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의 특성은 예컨대 제2도의 실선(A)으로 표시된 것으로 된다. 즉, 펌프회전수가 낮을시는 회전수의 상승과 아울러 공급유량은 증가하나, 회전수(No)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는 환류로(5)를 개방하기 시작하고, 이후 잉여유를 탱크로 환류하여서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을 일정한 값(Q1)으로 한다.
그리고 회전수가 N1까지 상승하면, 스푸울밸브(9)는 가변오리피스(7)를 쥐어짜기 시작하여 토출통로(4)로 토출되는 유량을 감소시키고, 회전수가 N2이상으로 되면, 스푸울밸브(9)는 가변오리피스(7)를 완전히 폐쇄하므로, 이후 고정오리피스(6)를 통과한 압유만이 토출통로(4)로 토출되도록 하여서 공급유량은 일정한 값(Q3)으로 된다.
여기에서, 예컨대 펌프회전수(N2)에 있어서의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Q3)이 이상적인 것이라고 하면, 낮은 회전수(N1) 부근에 있어서의 공급유량(Q1)이 충분한 것은 아니어서 조타력이 지나치게 크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오리피스의 개도구를 확대하여 낮은 회전수(N1)에 있어서의 공급유량을 Q2로 하여 충분한 것으로 하면, 펌프회전수가 상당히 상승하지 않으면 이 오리피스를 완전히 쥐여짤 수가 없는 것으로 되어서 실선(B)으로 표시하는 것같이 고속주행에 있어서는 회전수(N3)까지 상승되지 않으면 공급유량이 Q3까지 감소되지 않고, 고속시에 있어서 조타력이 지나치게 적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유압기기가 다량의 압유를 필요로 하는 낮은 펌프회전수에 있어서 필요하고 충분한 압유를 공급함과 아울러 펌프회전수가 높을시 잉여유를 확실하게 탱크로 환류시켜서, 예컨대 제2도의 파선(C)으로 표시하는 것 같은 이상적인 특성곡선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한 그 성능이 안정한 유량제어밸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탱크에의 환류로를 개폐하는 스푸울 밸브의 랜드의 연부를 밸브구멍의 안지름보다도 약간 적은 지름으로 하고, 이 적은 기름부와 환류로 개구부의 연부와의 사이에 가변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표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환류로(5)를 개폐하는 랜드(12)는 연부(13)가 밸브구멍(2)보다 약간 적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랜드(12)의 지름(D1)은 18mm, 연부(13)의 지름(D2)은 17.5mm, 연부(13)의 축방향길이(L)는 0.5-2.0mm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수치로서는 다음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D1: 10-25mm D2: 8-24.8mm L : 0.5-3.0mm
이상과 같이 랜드(12)의 연부(13)를 약간 적은 지름으로 하였으므로, 이 연부(13)와 환류로 개구부(8)의 연부와의 사이에 가변오리피스가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의 특성곡선을 이상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제4(a)도 내지 제4(d)도 및 제5(a)도 내지 제5(h)도는 본 실시예 장치의 작용을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제4(a)도는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 제4(b)도는 오리피스(6)(7)의 전체 개구면적, 제4(c)도는 환류로(5)의 개구면적, 제4(d)도는 스푸울밸브(9)의 변위량을 각각 표시하며, 실선이 종래 장치, 파선이 본 실시예 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또, 제5(a)도 내지 제5(h)도는 스푸울밸브(9)의 변위의 상태를 표시하며, 제5(a)도 내지 제5(d)도가 종래 장치, 제5(e)도 내지 제5(h)도가 본 실시예 장치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5(a)도, 제5(e)도는 비작동상태, 제5(b)도, 제5(f)도는 펌프회전수(N1), 제5(c)도, 제5(g)도는 펌프회전수(N2), 제5(d)도, 제5(h)도는 펌프회전수(N3)일때의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비작동상태에 있어서의 스푸울밸브(9)는 본 실시예장치, 종래 장치 모두 스톱퍼(11)를 개재하여 밸브구멍(2)의 단벽에 당접하고, 흡입통로(3)는 오리피스(6)(7), 밸브구멍(2)를 개재하여 토출통로(4)만에 연통하고 있으며, 펌프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압유는 전부 토출통로(4)에서 토출된다(제5(a)도, 제5(e)도).
펌프회전수의 상승에 응하여 토출유량이 증가함에 수반하여 오리피스(6)(7) 전후의 압력차가 증대하면, 스푸울밸브(9)는 이동하여 회전수(N1)에 있어서 환류로(5)를 개구하기 시작한다(제5(b)도, 제5(f)도).
이 환류로(8)를 개구하는 직전에 있어서 가변오리피스(7)는 전부 개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상태가 가장 공급유량(Q)이 크게 된다(제4(a)도 참조).
또한 펌프회전수가 크게 되면, 스푸울밸브(9)는 또 다시 이동하여 환류로(5)를 개구함과 아울러 오리피스(7)를 쥐어짜는바, 본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는 이 개구동작시에 환류로 개구부(8)의 연부와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와의 사이에 가변오리피스가 형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유로저항이 증대하므로 종래 장치에 비하여 스푸울밸브(9)의 이동량은 크게 된다.
이 결과, 펌프회전수(N2)에 있어서, 종래 장치는 가변오리피스(7)를 충분히 쥐어짜지 못하여서(제5(c)도) 공급유량(Q)이 충분히 감소하지 않음에(제4(a)도) 대하여, 본 실시예 장치는 오리피스(7)를 완전히 폐쇄하여서(제5(g)도) 공급유량(Q)을 필요한 양으로까지 감소시키고 있다(제4(a)도).
이 이상으로 펌프회전수가 상승하면, 스푸울밸브(9)는 또다시 이동하여 회전수(N3)에 있어서 종래 장치는 점차로 오리피스(7)를 폐쇄하여서 (제5(d)도) 공급유량(Q)을 필요한 양으로까지 감소시킨다.
한편, 실시예 장치는 회전수(N2)일때 보다도 환류로(5)를 개구하므로 펌프회전수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동력조타장치에의 공급유량은 회전수(N2)일때와 대략 동일한 양으로 되어서 바람직한 유량이 유지된다.
반대로 펌프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경우에 상기한 동작과는 도리어 반대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장치는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를 약간 적은 지름으로 하였으므로, 공급유량을 최소값으로 하여야할 펌프회전수(N2)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변위량을 크게 하여 오리피스(7)를 폐쇄함과 아울러 환류로(5)의 개구도를 크게 하고,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서 공급유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랜드(12)의 형상은 제6(a)도 내지 제6(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것이 생각된다. 즉 제6도중 제6(a)도와 같이 테이퍼(21)를 보유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제6(b)도, 제6(c)도와 같이 단부(段部)(22)(23)를 여러 단(段)으로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6(d)도, 제6(e)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부에 곡면형상의 테이퍼(24), (25)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낮은 펌프회전수에 있어서 필요하고 충분한 공급유량을 얻음과 아울러 높은 펌프회전수에 있어서 공급유량을 필요한 양으로까지 감소시키며, 또한 그 작용을 안정하고 확실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오일펌프의 토출구와 유압기기 사이의 연통로(3)(4)의 도중에 밸브구멍(2)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밸브구멍에 면하는 오리피스(6)(7)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한 밸브구멍내에는 스푸울밸브(9)를 접동자재하게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한 오일펌프의 탱크와 연통하는 환류로(5)를 개구시키고, 상기한 스푸울밸브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에 응하여 진퇴운동하여서 오리피스 및 환류로의 개구도를 변화시켜 상기한 유압기기에의 압유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유량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환류로를 개폐하는 스푸울밸브의 랜드(12)의 연부(13)를 상기한 밸브구멍의 안지름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으로 하고, 이 작은 지름부와 환류로 개구부(8)의 연부와의 사이에 가변오리피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를 단부(段部)(22)(23)를 보유하는 작은 지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를 테이퍼(21) 형상의 작은 지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를 복수의 단부(段部)(22)(23)를 보유하는 작은 지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스푸울밸브(9)의 랜드연부(13)를 곡면형상의 테이퍼(24)(25)를 이루는 작은 지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밸브.
KR2019830002566U 1982-03-26 1983-03-23 유량제어 밸브 KR8500010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43018U JPS58146168U (ja) 1982-03-26 1982-03-26 流量制御弁
JP82-43018 198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31U KR840005631U (ko) 1984-10-20
KR850001092Y1 true KR850001092Y1 (ko) 1985-05-31

Family

ID=1265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566U KR850001092Y1 (ko) 1982-03-26 1983-03-23 유량제어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46786A (ko)
JP (1) JPS58146168U (ko)
KR (1) KR850001092Y1 (ko)
DE (1) DE3309435A1 (ko)
ES (1) ES282774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632A (en) * 1987-05-20 1989-12-1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Flow control apparatus
GB2207218A (en) * 1987-07-18 1989-01-25 Hunter Hydraulic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ntrol of hydraulically operated equipment
JPH0729267Y2 (ja) * 1989-06-02 1995-07-05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ベーンポンプ
JP2522121Y2 (ja) * 1990-03-29 1997-01-08 自動車機器株式会社 流量制御弁装置
JP2562489Y2 (ja) * 1991-07-03 1998-02-1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流量制御弁
EP0762256B1 (de) * 1995-08-14 2001-10-31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Stromregelventil
GB9723466D0 (en) * 1997-11-07 1998-01-07 Lucas Ind Plc Fluid flow valve and fluid flow system
WO1999067534A1 (de) * 1998-06-24 1999-12-29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Hydraulische fördereinrichtung
JP4080120B2 (ja) * 1999-11-12 2008-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構造
US6796546B2 (en) * 2002-06-26 2004-09-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ve assembly
DE10303418B4 (de) * 2003-01-29 2006-02-16 Voith Turbo Gmbh & Co. Kg Ventileinrichtung
CN101545554B (zh) * 2008-03-24 2011-04-13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压力控制阀
US8955533B2 (en) 2013-06-07 2015-02-17 Sonnax Industries, Inc. Multiple pressure ratio valve assembly
US9447871B2 (en) 2013-11-20 2016-09-20 Sonnax Industries, Inc. Multiple-ratio boost valve
DE102017200874A1 (de) 2016-11-14 2018-05-17 Mahle International Gmbh Elektrische Kühlmittelpumpe
US11448313B2 (en) * 2017-11-02 2022-09-20 Superior Transmission Parts, Inc. Pressure regulator valve
CN112161094A (zh) * 2020-10-12 2021-01-01 任莉莉 一种自适应式压力控制阀
CN114673705A (zh) * 2022-03-29 2022-06-28 天津瀚福精密液压技术有限公司 一种流量与进口油压力成比例增加的液压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9688A (en) * 1964-01-16 1966-12-06 New York Air Brake Co Flow divider valve for use with two pumps
JPS5540373A (en) * 1979-01-22 1980-03-21 Jidosha Kiki Co Ltd Flow rate control valve
US4244389A (en) * 1978-09-08 1981-01-13 Jidoshakiki Co., Ltd. Flow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09435A1 (de) 1983-10-06
ES282774Y (es) 1985-12-01
ES282774U (es) 1985-05-01
US4546786A (en) 1985-10-15
JPS58146168U (ja) 1983-10-01
KR840005631U (ko) 198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092Y1 (ko) 유량제어 밸브
KR890002244B1 (ko) 유량 제어밸브
US6186750B1 (en) Oil pump control valve spool with pilot pressure relief valve
JP2662950B2 (ja) 油圧制御装置
US6802182B2 (en) Tapping circuit including a tapping valve for replenishing and/or flushing the casing of a hydraulic motor
US5832949A (en) Control valve
JP2564216Y2 (ja) オイルリリーフ装置
US7243672B2 (en) Flow control valve
JPS59213568A (ja) 動力舵取装置用流量制御装置
JP3659702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21109Y2 (ko)
KR100577503B1 (ko) 유체 유동 제어 밸브
JPH0335540B2 (ko)
JP2561819B2 (ja) 流量制御弁
JPH06272762A (ja)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114542Y2 (ko)
JP2530461Y2 (ja) 流量制御装置
JPH03602Y2 (ko)
JPS59220456A (ja) 動力舵取装置用流量制御装置
JPH0221342Y2 (ko)
JPH0523840Y2 (ko)
JPH0245038B2 (ko)
JPS6324061Y2 (ko)
JPH0339642Y2 (ko)
JP2525715Y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流量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