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79B1 -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79B1
KR850000979B1 KR1019810002784A KR810002784A KR850000979B1 KR 850000979 B1 KR850000979 B1 KR 850000979B1 KR 1019810002784 A KR1019810002784 A KR 1019810002784A KR 810002784 A KR810002784 A KR 810002784A KR 850000979 B1 KR850000979 B1 KR 85000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trideoxy
group
hydroxy
kanamyc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325A (ko
Inventor
하마오 우메자와
신 이치 콘도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진 비세이부쓰 가가구겐규가이
이치카와 토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0985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5349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6058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75198A/ja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진 비세이부쓰 가가구겐규가이, 이치카와 토쿠지 filed Critical 자이단호진 비세이부쓰 가가구겐규가이
Publication of KR83000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2Cyclohexane ring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07H15/222Cyclohexane rings substituted by at least two nitrogen atoms
    • C07H15/226Cyclohexane rings substituted by at least two nitrogen atoms with at least two saccharid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cyclohexane rings
    • C07H15/234Cyclohexane rings substituted by at least two nitrogen atoms with at least two saccharid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cyclohexane rings attached to non-adjacent ring carbon atoms of the cyclohexane rings, e.g. kanamycins, tobramycin, nebramycin, gentamicin A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2Cyclohexane ring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항생제로서 각각 유용한 새로운 화합물인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와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와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를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반합성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이들의 새로운 물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 활성성분으로서 이들의 새로운 화합물중 하나를 구성하는 항생물질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디베카신(Dibekacin), 즉 3', 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가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카나마이신으로부터 반합성으로 제조되었다(일본특허공보 특공제75-7595호, 일본특허 제794,612호, 미국특허 제3,753,973호 참조). 디베카신은 카나마이신 감응균과 카나마이신 항성균에 대하여 활성인 화학치료제로서 각종 세균감염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반합성 하베카신(habekacin), 즉 1-N-(L-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디베카신을 제조하였는 바, 이것은 디베카신 항균에 대하여 유효한 화학치료제이다(일본 특허공보 특공제77-33629호, 미국특허 제4,107,424호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6'-N-메틸디베카신을 반합성으로 제조하였는바, 이것은 각종 세균균주에 대하여 활성이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일본 특원 제74-115199호), 영국 특허 제1,475,481호, 미국 특허 제4,147,861호 참조).
이에 또, 본 발명자들은 디베카신의 6"-데옥시 또는 4", 6"-디데옥시도체와 하베카신, 즉 1-N-(L-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디베카신을 각각 합성하여 제조하였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자들은 디베카신의 6"-데옥시유도체와 4", 6'-디데옥시유도체 또는 하베카신이 낮은 오토(oto)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디베카신 또는 하베카신과 같이 높은 항균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일본 특허 출원 제79-119323호, 영국 특허원 제 GB 2058774 A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74,630호 참조). 또 본 발명자들은 디베카신의 데옥시유도체로서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를 제조하였다(일본 항생물회지 32, S-178, (1979)). 그러나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가 디베카신보다 활성이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 3'-데옥시아미카신(deoxyamikacin)(일본 특허원 제75-49105호, 미국 특허 제4,104,372호 참조), 3', 4'-디데옥시아미카신(일본 특원 제78-11402호, 영국 특원 GB 2043034 A, 미국 특원 114,779호 참조), 6"-데옥시아미카신(일본 특원 제79-54733호 참조), 4", 6"-디데옥시아미카신(일본 특원 제79-54733호 참조), 3', 4', 4", 6"-테트라데옥시아미카신(일본 특원 제79-138685호 참조)과 4, 5, 6"-트리데옥시 아미카신(일본 특허원 제80-5657호), 또 3'6"-디데옥시아미카신, 5, 3'-디데옥시아미카신 및 5, 36"-트리데옥시아미카신(모두 아미카신의 항균력과 같이 높은 유용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낮은 활성독성과 낮은 오토독성을 가짐)을 포함하여 1-N-(L-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카나마이신 A(즉 아미카신)의 부분 데옥시유도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디베카신 또는 하베카신의 데옥시 유도체에 관하여 연구하여 개발한 결과 새로운 화합물인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는바, 이 화합물은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가 유용한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신나 일부세균의 종류에 대하여 활성은 유의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일부 항성균주에 대하여 특히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보다 더 높은 항균력을 역시 나타낸 새로운 화합물인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항균력을 개량할 5, 3', 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바이신 B의 새로운 유도체를 제조할 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아미노기를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올산으로 아실화시켜 이들의 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새로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생성물인 5, 3', 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및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새로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가 카나마이신 감응균과 카나마이신 항성균에 대하여 활성이 극히 크고 또 광범위한 세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의 본 발명은 새로운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I),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또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산-첨가염을 제공하는데 있다.
Figure kpo00001
식중, R은 히드록시기 또는 수소원자,
R1은 수소원자 또는 다음식의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기 또는
Figure kpo00002
(n은 1, 2 또는 3의 정수)
R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단 R이 수소원자일때 R2는 메틸기가 아님)이다.
제1의 본 발명의 제1의 가장 바람직한 실예에 의해 일반식(I)의 화합물에 속하는 새로운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II)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산-참가염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3
위 식에서, R은 히드록시기 또는 수소원자,
n은 1, 2 또는 3의 정수,
R은 일반식(I)의 회합물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일 경우 히드록시기이나, 일반식(II)의 화합물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일 경우 R은 수소원자이다.
제1의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예는 일반식(I)의 화합물에 속하는 새로운 화합물로, 다음 일반식(III)의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그 산-참가염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04
제1의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바람직한 실예에 의한 일반식(II) 및 (III)의 새로운 화합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모노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monohydrate)는 163-166℃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 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6=+87°(C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2H44N6O9·H2CO3·H2O (C44.90%, H7.85%, N13,63%)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 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Rf 0.05와 Rf 0.09에서 단일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2) 1-N-[(RS)-3-아미미-2-노히드록시프로피오닐]-5, 3', 4'-트리데시시카나마이신 B모노카르보네이트는 113-116℃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 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7=+120°(C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1H42N6O8·H2CO3(C 42.85%, H 7.19%, N 13.6%)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Rf 0.12와 Rf 0.35에서 단일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3)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디카르보네이트는 131-135℃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7=+90°(C 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2H44N6O8·2H2CO3(C 44.71%, H 7.50%, N 13.04%)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매타놀-진한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Rf 0.07과 Rf 0.23에서 단일 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4)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디카트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는 128-136℃에서 분해되는 무식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3=+102°(C 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18H37N5O6·2H2CO3·H2O (C 42.77%, H 7.72%, N 12.47%)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Rf 0.42와 Rf 0.56에서 단일 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I)의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AHB-트리데예시 KMB로 약칭함), 1-N-[(RS)-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 3', 4'-트리데예시카나마이신 B(AHP-트리데옥시 KMB로 약칭함)와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AHB-테트라데옥시시 KMB로 약칭함)와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II)의 새로운 화합물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테트라데옥시 KMB로 약칭함)의 최저저지농도(mcg/ml)를 각종 미생물에 대하여 37℃에서 영양한천배지상에서 계열희석법(serial dilution)에 의해 결정하여 18시간 배양후에 평가를 하였다. 대비할 목적으로 하베카신의 최저저지농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이들의 새로운 물질과 기지의 물질의 항균스펙트럼은 다음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제1의 본 발명의 제3의 바람직한 실예는 일반식(I)의 화합물에 속하는 새로운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IV)로 표시되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이다.
Figure kpo00008
식중에서 n은 1, 2 또는 3의 정수이거나 또는 화합물(IV)의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이다. 제1의 본 발명의 제4의 바람직한 실예는 일반식(I)의 화합물에 속하는 새로운 화합물로서 다음 일반식(V) 또는 일반식(V)의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으로 표시되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를 제공한다.
Figure kpo00009
제1의 본 발명의 제3 및 제4의 바람직한 실예에 의한 일반식(IV) 및 (V)의 새로운 화합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5)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모노카르보네이트는 162-165℃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2=+88°(C 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3H46N6O9·H2CO3(C 47.05%, H7.90%, N13.72%)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서 Rf 0.05와 Rf 0.08에서 단일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6) 1-N-[(RS)-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모노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는 162-164℃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3=+80°(C 0.5,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2H44N6O9·H2CO3·H2O (C 44.80%, H 7.85%, N 13.62%)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
(7) 1-N-[(S)-5-아미노-2-히드록시발레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모노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는 163-166℃에서 분해하는 무색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3=+84°(C 0.5,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24H48N6O9H2CO3H2O (C 46.57%, H 8.13%, N 13.03%)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매타놀-진한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Rf 0.03과 Rf 0.08에서 단일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8)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모노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37-140℃에서 분해되는 무색분말상물질로서, 비선광도 [α]D 22=+66°(C 1, 물)를 나타낸다. 원소분석치는 이론치 C19H39N5O7·H2CO3·H2O (C 45.36%, H 8.18%, N 13.23%)와 일치한다.
이 물질은 각각 전개용매로서, 부타놀-에타놀-클로로포름-17% 암모니아수(4:5:2:5 용량(와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 암모니아수-물(1:4:2:1 용량)로 전개한 실리카겔 박층크로마토그래피로 Rf 0.22와 Rf 0.49에서 단일스포트(닌히드린)를 나타낸다.
각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V)의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AHB-트리데옥시 MKMB로 약칭함), 1-N-[(Rs)-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AHP-트리데옥시 MKMB로 약칭함) 및 1-N-[(S)-5-아미노-2-히드록시발레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AHV-트리데옥시 MKMB로 약칭함)과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V)의 새로운 화합물,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트리데옥시 MKMB로 약칭함)의 최저 저지농도(mcg/ml)를 37℃의 영양한천배지에서 계열희석법에 의해 결정하여 18시간 배양후 평가를 하였다. 대비할 목적으로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3', 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즉 하베카신)의 최저저지농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이들의 새로운 물질과 기지의 물질의 항균스펙트럼을 다음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표1 및 표 2에서, 일반식(II), (III), (IV) 및 (V)를 비롯하여 일반식(I)에 의한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각종의 세균균주의 생장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사람을 비롯하여 동물에 까지 저독성임을 알 수 있다. 또 생쥐의 정맥주사에 의해 저독성을 평가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I) 및 (III)의 새로운 화합물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 및 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는 25-50mg/kg에서 LD50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더 나아가서, 생쥐의 정맥주사에 의해 지독성을 평가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II) 및 (V)의 새로운 화합물,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1-N-[(S)-5-아미노-2-히드록시발레릴]-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및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가 50-100mg/kg에서 LD50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유리염기, 수화물 또는 그 탄산염의 형태로 통상 얻어지며,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마리에이트(maleate), 시트레이트(cirrate), 아스코르베이트(ascorbate), 메탄술포네이트등과 같은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의 형태로, 수용매체에서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무기 및 유기산과 반응하여 각각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 (II), (III), (IV) 또는 (V)의 새로운 화합물과 약리적으
예로서,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종래의 경구 투여에서 공지된 제제형태를 사용하여 경구투여를 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제제형태의 예로는 분말, 캡슐, 정제, 시럽 등을 들 수 있다. 효과적인 세균감염에 대한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의 적량은 경구투여시에 0.1-1g/인/일이며, 하루 3, 4회 경구투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사용량 50-500mg/인(人)으로 하루에 2-4회 근육주사로 투여할 수도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기지의 연고기체(基體)의 혼합물에 0.5-5중량%의 활성화합물을 가진 외과용 연고를 처방할 수 있다. 더 나아사, 본 발명의 새로운 화합물은 외과용 기기의 살균 및 위생재료에 각각 유용하다. 제2의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일반식(II)에서와 같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 또는 일반식(III)에서와 같이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을,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유효량으로 그 활성성분화합물의 담체(Carrier)와 결합하여 구성하는 항균조성물과 활성성분으로서 일반식(IV)와 같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 또는 일반식(V)에서와 같이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을 세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항균유효량으로 그 활성성분화합물의 담체와 결합하여 구성하는 항균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일반식(II)의 새로운 화합물의 제조를 설명한다.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및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와 같은 일반식(II)의 새로운 화합물은 출발화합물로서 기지의 물질인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일본 항생물회지, 32, S-178(1979))나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새로운 화합물인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를 사용하여 출발화합물의 1-아미노기를 그 대응하는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 또는 그 기능당량으로 축합시킴으로써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위 식에서,
R은 히드록시기 또는 수소원자로 R이 수소원자일 때 R'는 수소원자이고, 또는 R이 히드록시기일때 R'는 메틸기이며, A는 수소원자, 적어도 하나의 B는 1가 아미노 보호기이나 다른 B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동시에 취한 적어도 한쌍의 A 및 B는 2가 아미노-보호기를 형성하나 다른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이며, A 및 B로 나타낸 아미노-보호기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A'는 수소원자, B'는 수소원자 또는 1가 아미노-보호기, 또는 동시에 취한 A' 및 B'는 2가 아미노-보호기를 형성하며 n은 1, 2 또는 3의 정수, 또
본 발명의 공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출발물질로서 아미노기가 일체 보호되지 않은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VI-a)를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적당한 산을 가진 산-첨가염의 형태나 유리염기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1-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일부 또는 일체의 아미노기가 기지의 아미노보호기로 보호되며, 일부기지의 카나마이신B의 데옥시유도체 합성에서 미리 채용된 공지의 아미노보호기술에 의해 기지의 아미노보호기를 도입함으로써 일반식(VI-a)의 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는 일반식(VI'-a)에 의해 출발화합물로서 5, 3', 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의 일부 아미노보호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아미노기가 보호된 일반식(VI'-a)의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 카나마이신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에 있어서 이미 사용된 아미노 보호기술의 이용이 가능하다. 예로서, 미국특허 제3,781,268호 또는 미국특허 제3,929,762호의 명세서에서와 같이 카나마이신B의 6'-N-벤질옥시카르보닐유도체 제조에서 영국특허 제1,426,908호, 미국특허 제3,939,143호의 명세서에서와 같이 2', 6'-디-N-tert-부록시 카르보닐-카나마이신B 또는 6'-N-벤질옥시 카르보닐-카나마이신 B, 또는 6'-N-벤질옥시카르보닐-카나마이신B의 모노-N 또는 디-N-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유도체를 분리하거나 또는 그 혼합물 상태로 제조하는 바와같이, 또 벨기에 특허 제817,546호의 명세서와 같이 카나마이신B의 2', 3, 3", 6'-테트라-N-포르밀 유도체의 제조에서 아미노보호기술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일반식(VI'-a)의 일부 아미노보호유도체에서 일부 아미노기의 보호에 사용될 수 있는 아미노 보호기의 적당한 예로는 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tert-아밀옥시카르보닐의
일반식(VI-a)의 화합물 1mol당 0.5-6몰의 비로 사용한 아미노보호기 도입용 시약의 량을 선택함으로써 화합물(VI-a)의 각각의 아미노기의 반응성에 따라 서로 다른 부분 아미노보호유도체(VI'-a)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3의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출발화합물로서 1-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일부 또는 전 아미노기가 차단된 아미노기가 보호된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 유도체, 예로서 3, 2', 6', 3'-테트라-N-보호유도체, 3, 2', 6'-트리-N-보호유도체, 2', 6', 3'-트리-N-보호유도체, 2', 6'-디-N-보호유도체 및 6'-모노-N-보호유도체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이들의 일부 N-보호유도체 2이상의 혼합물을 정제하지 않고 본 발명의 1-N-아실화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제3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일반식(I-a)의 바람직한 생성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식(VI-a)화합물의 1-아미노기, 즉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 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를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VII)과 선택적으로 아실화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합물(VI-a)의 3, 2', 6', 3"-테트라-N-보호유도체, 즉 1-아미노기 이외에 전아미노기가 보호기로 차단된 화합물(VI'-a)의 아미노보호유도체를 출발물질로서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서 1-N-아실화 되는 것은 자명하다.
일반식(VI-a) 화합물에서 일반식(VI'-a)의 3, 2', 6', 3"-테트라-N-보호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공정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미국특허 제4,136,254호(Nagabhushan등)의 기지의 방법이 응용되는바, 이 방법은 카나마이신B의 금속착염 형성용으로 구리(II), 니켈(II), 코발트(II)와 같은 2가천이 금속의 양이온과 카나마이신B를 반응시켜, 카나마이신 B-금속착염(카나마이신 B-금속착염에서 2가 금속양이온과 착염을 형성함으로써 절단된 1-및 3"-아미노기)중 카나마이신B의 1-아미노 및 3"-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일체의 아미노기 보호에 대한 아미노보호기 도입 시약으로 공지된 아실화제와 카나마이신 B-금속착염을 반응시킨 다음 위 착염에서 2가 금속양이온을 황화수소(hydrogen sulfide)또는 암모니아수로 처리하여 이탈시킴으로써 카나마이신B의 3, 2', 6'-트리-N-아실화보호유도체를 제조하였다. 또, 일본특허원 제78-138,402호(미국특원 090,591, 영국특원 GB 2,036,020 A, 벨기에특허 제879,925호와 대응되는 특허)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아연양이온을 2가 천이금속양이온 대신 사용하는 것 이외에 위 미국특
이와같이 제조된 3, 2', 6'-트리-N-보호유도체(VI'-a)의 3"-아미노기는 1-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일체의 아미노기를 선택적으로 보호하는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물질의 아미노보호유도체 제조에 관한 위 일본특원제79-73,064호(벨기에 특허 제879,923호의 청구범위 15항 참조)의 선택적인 3"-N-아실화방법에 따라 선택적 아실화에 의해 보호될 수 있어 화합물(VI-a)의 3, 2', 6', 3"-테트라-N-보호유도체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일본특허원 제79-73,064호(벨기에 특허 제879,923호의 청구범위 15항 참조)의 선택적인 3"-N-아실화 방법에 따라 화합물(VI-a)의 3, 2', 6'-트리-N-보호유도체는 아실화제로서 개미산알킬에스테르, 디-할로 또는 트리-할로-알칸산알킬에스테르, 포르밀이미다졸 또는 N-알카노일-이미나졸과 반응시킴으로써, 3, 2', 6'-트리-N-보호유도체의 1-아미노기의 아실화를 포함함이 없이 높은 수율로 3"-아미노기가 사용된 아실화제의 아실잔류분과 선택적으로 아실화할 수 있다.
3, 2', 6', 3"-테트라-N-아실화유도체, 예로서 5, 3', 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 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의 3, 2', 6'-트리-N-벤질옥시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아세틸 유도체가 미국특허 제4,136,254호와 벨기에 특허 제879,923호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바, 이 유도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1-N-아실화 공정에서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VII)과 선택적으로 1-N-아실화가 되는 가장 바람직한 출발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일반식(VI-a)화합물의 1-아
Figure kpo00015
식중에서 A' 및 B'는 위에서와 같고, n은 아미노기가 보호되지 않거나 또는 보호또는 1, 2 또는 3의 정수이다. 이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은 3-아미노-2-히드록시 프로피온산(즉, 일반식(VII)의 화합물, n이 1이며, A' 및 B'가 수소원자임),
4-아미노-2-히드록시부틸산(즉, 일반식(VII)의 화합물, n이 2이고 A' 및 B'가 수소원자임),
또는 5-아미노-2-히드록시발레린산(즉, 일반식(VII)의 화합물, n이 3이고 A' 및 B'가 수소원자임)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중 (S)-이성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정에 있어서, 페프티드 합성에 관한 종래의 방법 즉, 공지된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방법, 공지된 혼합산무수물방법, 공지된 아지드(azide)방법 또는 활성에스테트방법 등에 의하여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을 써서 반응성 유도체의형태로(그 기능당량으로)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과의 1-N-아실화를 실시할 수 있다.
출발화합물(VI'-a)에서 본 발명과 동일 또는 상이한 아미노보호기가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의 아미노기의 보호용으로 아미노보호기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에 바람직한 아미노보호기는 트리플루오로초산수용액 또는 초산과 처리하거나 또는 묽은 염산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tert-부톡시카르보닐기이다. 팔라듐 또는 산화백금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통상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이탈시킬 수 있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는 간편한 N-보호기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1-N-아실화는 활성에스테르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수용성 유기용매와 그 활성에스테르형태의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L-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 부틸산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는 활성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에스테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활성에스테르는 0.5-3몰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1-N-아실화된 출발화합물(VI-a) 또는 (VI'-a) 1몰당 1-1.5몰 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매체로 사용된 수용성유기용매로는 디옥산(dioxane), 1, 2-디메톡시에탄, 디메틸포름 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등 물-혼화성유기용매를 들수 있다.
1-N-아실화반응은 수시간, 바람직하게는 5-6시간동안 상온에서, 필요할 경우 20-90℃의 고온에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1-N-아실화반응은 출발화합물로서 1-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일부, 그러나 일체가 아닌 아미노기가 보호되는 일부 아미노보호유도체, 즉 출발화합물(VI-a)의 6'-N-보호유도체를 사용하여 실시할 경우 형성된 아실화생성물은 실시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일부 정제될 수 있으며, 미반응 출발물질을 제거하여 하베카신합성에서와 같이 N-아실화생성물을 가진 소요의 1-N-모노-아실화 생성물의 혼합물, 즉 미국특허 제4,107,424호의 명세서와 같이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3', 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를 언는다.
이들의 혼합아실화 생성물은 정제와 분리를 하지 않고 직접 본 제조방법의 탈보호공정으로 처리한 다음 정제와 분리를 하여 필요로 하는 1-N-모노 아실화생성물을 언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의 제2공정에 있어서 1-N-아실화공정에서 얻어진 1-N-아실화 생성물(혼합 아실화생성물)은 이들의 아미노보호기가 1-N-아실화생성물에 잔류될 경우 아미노보호기를 제거시킨다.
통상의 탈보호기술에 의해 보호기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알콕시카르보닐형 아미노보호기는 트리플루오로 초산 등의 수용액 또는 염산과 같은 무기산의 묽은 수용액으로 약산 가수분해에 의해 이탈되며, 벤질옥시카르보닐과 같은 아랄킬 옥시카르보닐기는 일반적인 촉매환원[수소화분해(水素化分解)]에 의해 이탈될 수 있다. 프탈로일기가 아미노보호기로서 존재할 경우 저급알카놀의 히드라진 수화물 용액에서 가열에 의해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제2의 탈보호공정에서 언어진 탈보호아실 화생성물은 일반식(II-a)의 1-N-아실화생성물의 일부이성체를 동시에 가진 1-N-아실화생성물을 언을 수 있다.
소요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 유도체(II-a)는 앰버라이트(G-50 미국 Rohm & Hoas 사제) 또는 CM-세파덱스 C-25(스웨덴 Pharmacia 사제)와 같이 카르복시기능을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기를 써서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분리, 정제하고 세균의 적당한 카나마이신-감응균주와 카나마이신-항성균주에 의해 용출액의 분액의 항균력을 평가분석하였다.
제3의 본 발명에 의해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방법에서 출발화합물로서 사용되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는 본 발명자에 의해 이미 합성된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일본 특원 제79-119,323호, 영국 특허원 GB 2,058,774 A 명세서에서 6-데옥시디베카신에 대응되는 본 화합물) 또는 다음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N, 0-보호유도체로부터 출발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6
식중 A는 수소원자, B는 1가의 아미노보호기, 동시에 취한 A 및 B는 2가의 아미노보호기, D는 히드록시 보호아실기이다.
제4의 본 발명은(a) 다음 일반식(VIII)으로 표시되는 3', 4', 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의 펜타-N-보호 및 2"-0-보호유도체의 4"-히드록시기를 다음 일반식(VIII')의 4"-0-보호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화합물(VIII)의 2"-위치에 존재한 히드록시-보호기(D)와 동일한 종류의 1가 히드록시 보호아실기로 보호시키며, (b) 일반식(VIII')의 4"-0-보호화합물을 술푸릴클로라이드(Sulfuryl chloride)와 작용시켜 그 대응하는 5-클로로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염소(Cl)로 5-히드록시기
Figure kpo00017
식중 A는 수소원자, B는 1가의 아미노보호기, 또는 동시에 취한 A와 B는 2가의 아미노보호기, D는 히드록시 보호아실기이다.
Figure kpo00018
식중 A, B 및 D는 위와 동일함.
Figure kpo00019
식중 A, B 및 D는 위와같음.
제4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VIII)의 펜타-N-보호 및 2"-0-보호 3', 4', 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에 존재한 아미노-보호기는 이미 언급한 제3의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일반식(VI'-a)의 출발물질에 존재한 기와 동일한 종류이다. 일반식(VIII)의 출발화합물의 제조를 다음에 기술한다.
제4의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1공정에서 출발화합물(VIII)의 4"-히드록시기는 아세틸등의 저급 알카노일기 또는 벤조일 등의 아로일기인 아실형의1가 히드록시보호기로 보호된다. 출발화합물(VIII)의 4"-히드록시기에 히드록시 보호아실기의 도입은 공지의 방법, 즉 온도 10-5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피리딘과 같은 유기용매중에서 산무수물, 산할라이드 또는 활성에스테르의 형태로 적당한 아실화시약과 출발화합물(VIII)을 작용시켜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바람직한 아실화시약은 아
본 제조방법의 제2공정에서, 이와같이 언어진 보호유도체(VIII')는 일본화학회지회보(Vol 51, 2354페이지 1978)에서와 같이 공지의 방법으로 5-히드록시기에서 탈산소(deoxygenation)반응을 시키고, 보호유도체(VIII')를 교반하여 2-20시간, 상온이하의 온도로 건조피리딘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술푸릴클로라이드 1-5몰과 작용시켜 5-클로로 유도체를 언는다.
본 제조방법의 제3공정에서, 이와같이 언어진 5-클로로유도체는 환원되어 탈할로겐화(dehalogenation)된다. 이와같은 5-클로로기의 이탈은 라네이니켈(Raney nickel)의 존재하에서 종래의 접촉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 또는 위에서 밝힌 문헌에서와 같이 트리부틸주석히드라이드(hydride)등의 금속히드라이드와 반응시켜 달성된다. 이 방법으로 일반식(IX)의 5, 3' 4', 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를 제조한다.
본 발명제조방법의 제4공정에서
N, O-보호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유도체(IX)는 탈 보호공정으로 처리된다.
5-탈산화합물(IX)에 존재한 1가 히드록시-보호아실기(D)는 실온에서 알칼리가수분해, 즉 암모니아성 메타놀(즉 암모니아수와 메타놀의 혼합물)로 화합물(IX)를 용해시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출발화합물(VIII)에 존재한 아미노-보호기는 아랄킬옥시카르보닐형이며, 이 화합물의 아미노 보호기는 본 발명 제조방법의 제3공정에서 5-클로로유도체를 처리하는 접촉수소첨가반응으로 동시에 이탈할 수 있다.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이외에 다른 아미노보호기는 공지의 방법, 즉 약산 가수분해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아미노보호기가 에톡시카르보닐등의 저급알콕시 카르보닐기일 경우 바륨 히드록사이드(barium hydroxide)의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이탈시킬 수 있다.
제 4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4',6" -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가 최초화합물로서 사용되는 변형방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5개의 아미노기가 보호되고 그 다음 일반식(Ⅷ')의 N,O-보호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2개의 2"- 및 4"-히드록시기가 일단 동일한 1가 히드록시 보호기(D)로 보호된다.
제 4 의 본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출발화합물로서 사용된 일반식(Ⅷ), 3',4',6"-트리데옥시카나 마이신B의 펜타-N-보호 및 2"-0-보호유도체는 영국특허출원 GB 2,058,774명세서에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일반식(1)에 의해 표시되는 3',4'-디데옥시카나마이신B의 펜타-N-보호유도체, 그 유도체의 두 4"-및 6"-히드록시기가 이소 프로필리덴기등의 2가 히드록시보호기로 동시에 보호되며, 그 2"-히드록시기가 일반식(2)의 2",4",6"-트리-0-보호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벤조일 및 아세틸등의 1가 히드록시보호아실기로 보호된다.
Figure kpo00020
식중 A 및 B는 최초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Ⅷ)에서와 동일하다.
Figure kpo00021
식중 A 및 B는 위에서와 같으며, 기
Figure kpo00022
는 X 및 Y가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페닐과 같은 아릴기 또는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또는
Figure kpo00023
는 시클로헥실리덴기 또는 데트라히드로피라닐리덴기이며, D는 1가 히드록시보호아실기이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일반식(2)의 2",4",6"-트리-0보호유도체는 초산수(aqueous acetic acid)와 처리되 4"-아 6"-및히드록시기를 보호하는기
Figure kpo00024
를 제거한다.
이와같이 부분적으로 탈보호된 생성물은 그 6"-히드록시기를 바람직하게 술포닐레이트(Sulfonylate)시키기 위하여 피리딘중에서 P-톨루엔 술포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적당한 술포닐레이숀시약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 (3)의 6"-0-술포닐레이트 유도체를 제조한다.
Figure kpo00025
식중 A,B 및 D는 위에서와 같으며 G는 저급알킬기, 특히 탄소수 1-4의 알킬기, 페닐 또는 P-메틸페닐등의 아릴기 또는 벤질 등의 아릴기이다.
그다음, 얻어진 6"-0-술포닐레이트유도체는 알킬기금속옥화물(iodide) 또는 취화물(bromide)과 처리되어 그 대응하는 6"-요오드 또는 6"-부름유도체(일반식(3) 화합물에 대응되나 여기서 GSO3-기가 요오드 또는 염소원자)를 제조하며 이 생성물은 그 다음에 팔라듐과 같은 기지의 수소첨가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로 환원시켜 탈할로겐화 하여 소요의 일반식 (Ⅷ), 펜타-N-보호 및 2"-0-보호 3',4',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 유도체를 얻는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 (Ⅳ)의 새로운 화합물의 제조를 설명한다.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3'4'-특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 및 1-N[(S)-5-아미노-2-히드록발레릴]-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와 같은 일반식 (Ⅳ)의 새로운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5,3',4'-트리데옥시-6'-N-메틸 카나마이신B의 새로운 화합물을 출발화합물로서 사용하여 이 출발화합물의 1-아미노기를 대응하는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산 또는 그 기능당량과 축합시켜 합성할 수 있
제 5 의 본 발명은(a) 다음 일반식(Ⅳ') 또는 (Ⅳ")으로 표시되는 1-N-아실화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일반식 (Ⅶ)으로 표시되는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 또는 그의 아미노보호유도체의 작용에 의해 다음 일반식(Ⅴ)으로 표시되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의 부분 아미노보호유도체 또는 다음 일반식(Ⅴ')으로 표시되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의 1-아미노기를 아실화하여, (b)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일반식(Ⅳ') 또는 (Ⅳ)의 1-N-아실화생성물에 존재하는 잔류아미노-보호기를 이탈시켜 구성하는 다음 일반식(Ⅳ)으로 표시되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26
식중 n은 1,2 또는 3의 정수이다.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식중A는 수소원자, B'는 수소원자 또는 1가 아미노보호기, 또는 동시에 취한 A'' 및 B'는 2가 아미노보호기를 형성하며, n은 1,2 또는 3의 정수 또는 화합물(Ⅶ)의 기능당량임.
Figure kpo00029
식중 A,B,A',B 및 n은 위와 동일함.
제 5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필요하다면 공지의 방법으로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무기 또는 유기산과 작용하여 약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산-첨가염으로 제조하는 화합물(Ⅵ)을 전환시키는 공정을 더 갖고 있다.
제 5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 3 의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 5 의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출발화합물로서 아미노기가 유리염기의 형태로 또는 염산등의 적당한 산으로 처리된 산-첨가염의 형태로 일체 보호되지 않은 일반식(Ⅴ)의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1-아미노기 이외에 다른 3개의 아미노기와 메탈아미노기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기지의 아미노 보호기로 보호되며, 제 3 의 발명의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기지의 아미노보호기를 화합물(Ⅴ)로 도입시켜 제조할 수 있는 일반식(Ⅴ')에 의해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의 부분 아미노-보호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의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출발화합물(Ⅳ) 또는 (Ⅳ')를 1-N-아실화하는 공정.
1-N-아실화생성물(Ⅳ') 또는 (Ⅳ")를 탈보호하는 공정과 탈보호된 1-N-아실화생성물을 정제하는 공정은 제 3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일반식(Ⅴ)의 새로운 화합물, (Ⅳ")를 탈보호하는 공정과 탈보호된 1-N-아실화생성물을 정제하는 공정은 제 3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일반식(Ⅴ)의 새로운 화합물, 즉 제 5 의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출발화합물로 사용되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는 공지된 화합물,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일본항생물질회지 Vol 32, S-178, 1979)에서 출발하여, 일본 특허출원 제72-83671호, 미국특허 제3,925,353호 또는 "항생물질회지"(25, 743, 1972)에서와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출발화합물의 6'-아미노기에 N-메틸화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제 6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 일반식(X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식(Ⅹ)으로 표시되는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의 아미노기에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알킬옥시 카르보닐기 또는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를 도입시켜, (b) 일반식 (Ⅴ)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무수유기용매중의 금속히드라이드(hydride)로 일반식(XI)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공정으로 구성하는 일반식(Ⅴ)으로 표시되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B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식중 R3는 탄소수-1-6의 알킬기, 탄소수 3-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랄킬기, 특히 페닐(C1-C4) 알킬기, 각별하게는 벤질기(Benzyl)이다. 제 6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공정을 다음에 기술한다.
본 제조방법의 첫째공정에서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를 출발화합물(Ⅹ)의 6'-아미노기에 도입하여 우레탄형의 아미노보호기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한다. 출발화합물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Ⅹ)의 6'-아미노기에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Figure kpo00032
의 도입은 제 3 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출발물질(Ⅵ'-a)의 아미노보호유도체 제
6'-아미노기가 카나마이신 B화합물(Ⅹ)의 아미노기 중에 가장 반응서이 있으므로 6'-아미노기에 대하여 선택보호를 할 수 있다 출발화합물(Ⅹ)의 6'-아미노기에 도입되는 기
Figure kpo00033
는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이와같이하여, 일반식(XI)의 6'-N-알킬옥시카르보닐, 6'-N-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 또는 6'-N-아랄킬옥시카르보닐생성물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도입된 6'-N-알킬옥시카르보닐기, 6'-N-시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기 또는 6'-N-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가 메틸기로 환원할 수 있도록 전화되어 6'-N-메틸화(methylation)가 된다.
이것은 일반식(XI)의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무수유기용매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hydride)와 디보란(diborane) (B2H6) 등의 금속수소화합물(metal hydride)로 환원시켜 달성된다. 이와같은 환원은 통상적으로 10시간 이상 0-9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며 여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3,6,7 및 8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방법에 따라 설명한 것이고, 실시예 4 및 5는 청구범위 방법에서 출발화합물로서 사용되는 5,3',4'6"-테트라 데옥시 카나마이신B 및 5,3',4',6"-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제조를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틸]-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합성
(a)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4.36g (10mmol)을 건조된 디메틸술폭사이드 100ml에 용해한 다음 초산아연 [Zn(CH3COO)2·2H2O] 10.5g (48mmol)을 가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혼합물을 20시간, 상온에서 교반시켜 아연 양이온을 가진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착염을 형성시켰다. P-메톡시벤질-S-4,6-디메틸피리미드-2-일티오카보네이트(일본, Kokusan kagakn K.K.사 제품)12.0g(39.5mmol)을 첨가한다음 생성된 혼합물을 7.5시간 50℃에서 교반하여 N-P-메톡시 벤질옥시-카르보닐화가 되었다.
그 다음 얻어진 반응용액을 1,000ml의 물에 주입하고 암노니아수를 첨가시켜 pH 11로 조절하고 아연착염을 파괴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 500ml로 세척하고 클로로포름-메타놀-17%암모니아수(50 : 10 : 1 용량)의 혼합용매 60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동일한 혼합용매로 전개한 심리카겔(Wako-gel C-200) 500g의 컬럼상에서 크로마토 그라피에 의해 처리하여 3,2',6'-트리-N-파라메톡시벤질 옥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의 무색분말 4.1g(44%)을 얻었다. 이 무색분말 3.7g(4mmol)을 디메틸술폭사이드 50ml에 용해시킨 다음 에틸트리플로오로 아세테이트 0.95ml(8mmol)를 가하였다. 이 결과 생성된 혼합물을 심온에서 5시간 교반하여 3"-N-트리플루오로 아세틸화하고 3,2',6'-트리-N-파라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 아세틸-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를 얻었다. (b) (a)공정에서 얻어진 N-보호카나마이신 유도체를 함유한 반응용액에 트리에티아민 0.6ml (4.4mmol)를 가하고 디옥산20ml에 (S)-4-ter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2-히드록시부틸산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1.9g(6mmole)을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9시간 심온에서 교반한다음 반응용액을 물 500ml에 주입시켜 침전물을 분리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켜 물 100ml로 세척하여 무색분말 10.9g을 얻었다. 이 분말을 90% 트리플루오로 초산 20ml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심온에서 45분간 방치하여 아미노보호기를 이탈시켰다. 그다음 이 용액을 농축 건조하여 그 잔사를 물 100ml에 용해시켰다. 이 수용액을 암모니아수의 첨가로 pH를 10.5로 조정하여 20시간 심온에서 교반하고 트리플루오로 아세틸기를 제거시켰다. 그 결과 생성된 반응용액을 약 20ml까지 농축시키고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를 7.5로 조정하여 물 50ml로 희석시킨 다음 앰버라이트 CG-50수지(NH4형, 미국 Rohm & Haas사 제품) 150ml의 컬럼을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750ml와 0.5N 암모니아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한 다음 0.8N 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소요의 생성물을 함유한 용출액의 분액을 모아 농축건조시켜 무색분말로서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틸]-5,3',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모노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76g(72%)를 얻었다.
총수율 32%.
[실시예 2]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합성
(a) 5,3',4'-트리옥시 카나마이신 B 435,5mg(1mmole)을 건조된 디메틸술폭사이드 10ml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초산아연[Zn(CH3CO2)2·2H20] 1.05g (48mmole)을 가하였다. 이 결과 얻어진 혼합물을 심온에서 23시간 교반한다음 디메틸술폭사이드 5ml에 tert-부틸- S-4,6-디메틸피리미드-2-일티오카르보네이트 9.37.3mg (3.0mmole)을 용해한 용액을 가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50℃에서 24시간 교반하여 N-tert-브톡시카르보닐화 하였다.
이 얻어진 반응용액을 물 15ml와 혼합하고 암모니아수로 pH를 11로 조정한 다음 NaCl 6.4g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2×15ml)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을 모아 농축 건조시켜 그 잔사를 디메틸술폭사이드 6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에틸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0.125ml (1mmole)와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심온에서 4시간 교반하여 3"-N-트리플루오로 아세틸화하였다.
(b) 위 (a) 공정에서 제조된 3,2'6'-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 아세틸-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을함유한 반응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1ml(0.7mmole)와 파라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이소세린(isoserine)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384mg(1.05mmole)를 가하였다.
이 결과 얻어진 혼합액을 심온에서 추출핵을 소량으로 농축시킨후 3N 염산-50% 메타놀의 20ml를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심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아미노보호기로서 tert-부톡시카르보닐기와 P-메톡시벤질 옥시카르보닐기를 동시에 이탈이시켰다.
이 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암모니아수의 첨가로 pH를 10으로 조정한 다음 실온에서 21시간 교반하여 트리플루오로 아세틸기를 이탈시켰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소량이 될 때까지 증발시키고 물로 희석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Diaion WK-10S(NH4 +형, 일본미쓰비시 카세이 K.K사 제품) 25ml의 컬럼을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125ml로 세척시킨 다음 0.4N 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필요로 하는 생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출의 분액을 모아 농축 건조시켜 무색분말로서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 모노카르보네이트 257mg을 얻없다.
[실시예 3]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의 합성
(a) 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디카트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 419.5mg (0.75mmole)을 건조된 디메틸술폭사이드 10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초산아연 [Zn(CH3CO2)2·2H2O) 1.05g(4.8mmole)을 가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18시간 실온에서 교반시킨 후, 디메틸술폭사이드 5ml에 tert-부틸 S-4,6-디메틸피리미드-2-일티오카르보네이트 1.44g (6.0mmole)을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혼합액을 50℃에서 25시간 고반하였다.
얻어진 반응용액을 물 15ml와 혼합시켜 암모니아수로 PH를 11로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2×15ml)로 추출하였다. 수액층을 NaCl 6.4g과 혼합하여 20m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더 추출시켰다. 전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을 모아 농축 건조하여 잔사를 디메틸술폭사이드 6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에틸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0.125ml (1mmole)과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액을 4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b) 위 (a)공정에서 제조된 3,2',6'-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아세틸-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를 함유한 반응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1ml(0.7mmole)와 (S)-4-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부틸산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에스테르 3.994mg(1.05mmol)을 가하였다. 이 결과 얻어진 혼합액을 18시간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그 반응용액을 물 10ml와 혼합하고 에틸아세테이트(2×10ml)로 추출시켰다. 모은 추출액을 소량이 될때까지 농축시켜 3N-염산-50% 메타놀 20ml를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tert-부톡시 카르보닐기와 파라-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이탈시켰다.
이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암모니아수의 첨가로 PH를 10으로 조정한다음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하여 트리플루오로 아세틸기를 이탈시켰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소량이 될때까지 증발시키고 물로 희석하여 얻어진 수용액을 Diaion WK-10S (NH4 +형) 25ml의 컬럼에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125ml로 세척한 다음 0.32N 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필요로 하는 생성물을 함유한 용출액의 분액의 부액을 모아 농축 건조시켜 무색분말로서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B디카르보네이트 303mg을 얻었다.
총수율 63%
[실시예 4]
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합성
(a) 1,3,2',6',3"-펜타-N-에톡시카트보닐-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4.64g(10.3mmoleN을 물 45ml와 메타놀 45ml의 혼합액에 용해시킨다음 여기에 중탄산나트륨 8g(95.2mmole)을 가하고 빙냉하에서 에틸글로로포트메이트 7.2ml(75.6mmole)을 서서히 첨가시켰다.
이 결과 얻어진 혼합액을 18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여 N-에톡시카르보닐화하였다. 얻어진 반응용을 물 500ml와 혼합시켜 침전을 분리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위 목적화합물의 무색분말을 6.49g(78%) 얻었다.
(b) 1,3,2',6',3"-펜타-N-에톡시카르보닐-4",6"-0-이소프로필리덴-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c) 1,3,2',6',3"-펜타-N-예특시카르보널-4",6"-0-이소프로필덴-2"-0-벤조일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b)공정에서의 생성물 5.1g(6.0mmole)을 피리딘 75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벤조일 클로라이드 1ml(8.6mmole)를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5시간 실온에서 교반시켜 2"-0-벤조일화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물 10ml와 혼합하여 실온에서 교반한다음 농축건조시켰다. 그 잔사를 클로로포름 250ml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0.2N염산 100ml와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2×100ml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여 무수황산나트률으로 건조하고 농축건조하여 담황색분말로서 상기 목적화합물을 5.7g(99%)을 얻었다.
(d) 1,3,2',6',3,"-펜타-N-에톡시카르보닐-2"-0-벤조일-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c) 공정에서 생성물 5.3g(5.5mmole)을 초산-메타놀-물 (2 : 1 : 1 용량)의 혼합액 80ml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21시간 방치한다음 농축 건조하여 담황색분말로서 위 목적화합물 4.9g (97%)을 얻었다.
(e) 1,3,2',6',3'-펜타-N-에톡시카브로보닐02"-0-벤조일-6"-0-토실-3',4'-디데옥시카나마이신B의 제조
위 (d) 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 1.5g(1.63mmole)을 피리딘 28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파라-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374mg(1.96mmole)을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실온에서 28시간 고반하여 6"-0-토실화(tosylation)였다. 이 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농축건조하여 분말상 잔사(2.3g)를 디클로로멘탄 12.5ml에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실리카겔(Wako-gel C-2000g) 럼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처리하였다. 이 컬럼을 디클로로메탄-에타놀(60 : 1) 1,000ml로 세척한다음 디큼로로메탄-에타놀(50 : 1)로 전개시켜
(f) 1,3,2',6',3"-펜타-N-에톡시카르보닐-2"-0-벤조일-6"-요오도(iodo)-3',4',-디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e) 공정의 생성물 900mg(0.84mmole)N를 디메틸 포름아미드 18ml에 용해시켜 나트률옥화물(iodide) 12.6g(84mmole)N을 첨가하여 95℃에서 2시간 교반하여 6"-요오드화(iodination)하였다.
얻어진 반응용액을 물 250ml에 주입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여과한 다음 클로로포름 100ml에 용해시켰다. 클로로푸름용액을 20% 소튬티오술페이트용액 100ml와 NaCl 포화수용액 100ml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클로포름층을 무수소듐술페이트로 건조시키고, 농축건조하여 무색분말로서 위 목적화합물 817mg(95%)를 얻었다.
(g) 1,3,2',6',3"-펜타-N-에톡시카트보닐-2"-0-벤조일-3',4',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f) 공정의 생성물 773mg(0.75mmole)을 디옥산 20ml에 용해시킨다음 여기에 소량의 라네이니겔 W-2를 가하고 파트장치(parr apparutus)를 사용하여 23.5시간, 수소압 3.6kg/㎡이하에서 얻어진 혼합액에 수소첨가반응을 시켰다. 그 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농축건조하여 무색분말의 목적화합물 655mg(97%)을 얻었다.
(h) 1,3,2',6',3"-펜타-N'-에톡시카트보닐-2",4"-디-0-벤조일-3',4',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B의 제조
위 공정(g)에서 얻어진 생성물 622mg(0.69mmole)을 피리딘 30ml에 용해시킨다음 벤조일클로라이드 0.1ml(0.86mmole)를 첨가하여 25시간 실온에서 이 혼합물을 교반하여 4"-0-벤조일화(Benzoylation)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농축 건조하여 잔사를 클로로프롬 50ml에 용해시켰다.
그 용해된 용액을 10% 중황산칼리용액(2×30ml),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2×30ml) 및 NaCl 포화수용액(1×30ml)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에 건조시켜 농축 건조하였다. 그결과 무색분말로서 목적화합물 663mg(96%)을 얻었다.
(i) 1,3,2',6',3"-펜타-N'-에톡시카르보닐-2",4"-디-0-벤조일-5-클로로-3',4',6'-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h) 공정의 생성물 600mg(0.6mmole)을 피리딘 12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빙냉하에서 술루릴클로라이드 0.1ml(1.24mmole)을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실혼에서 18시간 교반하여 5-염소화(chlorination)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물 100ml와 혼합하여 클로로포름 60ml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액 10% 중황산칼리수용액 60ml, 중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 60ml 및 NaCl 포화수용액 60ml로 연속해서 세척한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농축 건조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분말상 잔사(572mg)을 디클로로매탄 5ml에 용해하여 실리카겔(Wako-gel C-200, 50g)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로 처리하였다. 이 컬럼을 디클로로메탄 500ml로 세척하고 디클로로메탄-에타놀(100 : 1)의 혼합액으로 전개시켜 무색분말의 본목적 화합물 356mg(58%)을 얻었다.
(j) 1,3,2',6',3"-펜타-N'-에톡시카트보닐-2",4"-0-벤조일-5,3',4',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i) 공정의 생성물 308mg(0.13mmole)을 디옥산 5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라네이니켈 W-2-소량을 가하였다. 파트장치를 써서 이 혼합액을 23.5시간, 3.6KG/㎡의 수소압에서 수소첨가반응을 시켜 탈염소화(dechlorination)하였다.
이 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다음 농축건조하여 무색분말의 본 목적화합물 295mg(100%)을 얻었다.
(k) 5,3',2',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
위 (j) 공정에서 얻어진 생성물 120mg(0.12mmole)을 디옥산 1ml와 물 1ml의 혼합액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수산화바륨[Ba(OH)2·8H2O] 400mg(1.27mmole)을 가하여 얻어진 혼합액을 환류(reflux)하여 110℃에서 15시간 가열시켜 탈보호처리를 하였다. 그다음 가스상의 이산화탄소를 반응용액에 통과시켜 탄산바륨을 침전시켜, 이것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물 30℃와 혼합하여 앰버라이트 CG-50(NH4형, Rohm & Haas사 제품, 미국) 20ml의 컬럼상에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100ml와 0.1N 암모니아수 75ml로 세척한 다음 0.3N 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소요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용출액의 분액을 모아 농축건조하여 무색분말로서 5,3',4',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디카르보네이트 모노히드레이트 19.5mg(29)을 얻었다.
[실시예 5]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합성
(a) 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4.0g(9.18mmole)을 물 40ml와 메타놀 40ml로 된 혼합액에 용해시킨 다음, 메타놀 40ml에 2-(tert-부톡시 카르보닐옥시이미노)-2-페닐아세토니트릴(미국 Aldrich사에서 "BOC-JON" 상품명으로 사용) 2.72g(11.02mmole)과 트리에틸아민 5.8ml (9.18mmole)을 용해한 용액을 가하였다.
이결과 얻어진 혼합액을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다음 형성된 6'-N-tert-부톡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를 함유한 반응용액을 17% 암모니아수 2ml와 혼합시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물 100ml에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6N 염산으로 PH를 7.4로 조정하고 에틸에테트 50ml로 세척한 다음 앰버라이트 CG-50(NH4 +형, Rohm & Haas 사제품, 미국) 100ml의 컬럼에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300ml와 0.1M 암모니아수 150ml로 세척한다음 0.2M 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5ml-분액에서 모으며, 분액 11-24를 모아 농축건조하여 6'-N-tert-부톡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42g(36%)을 회수하였다.
(b) 위에서 얻어진 6'-N-tert-부톡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1.86g(3.45mmole)을 건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60ml에 용해시킨 다음 리튬 알루미늄 히드라이드 1.31g(34.5mmole)을 첨가하여 환류하에서 20시간 80℃에서 가열하였다. 이결과 얻어진 반응혼합액에 물 200ml를 적가하여 PH를 6.5로 조정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용액을 앰버라이트 CG-50(NH4 +) 30ml 컬럼에 통과시켜 이 컬럼을 물 150ml로 세척하고 0.2M 암모니아수(150ml), 0.3M 암ㅁ니아수(150ml) 및 0.4M 암모니아수(150ml)로 연속해서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6ml-분액에서 모으며, 분액 11-17를 모아 농축건조하여 반응하지 않은 6'-N-tert-부톡시카르보닐0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740mg(39.9%)를 회수하였다.
그러나, 분액 37-55는 동일하게 농축 건조하여 목저화합물 5,3'4'-트리데옥시-6'-N-메틸 카나마이신 B 592mg(32.4%)를 얻었다.
[실시예 6]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틸릴]-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합성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제조된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583mg(1.10mmole)을 90% 디메틸술폭사이드 10ml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초산아연[Zn(CH3CO2)2H2O] 1.16g(5.28mmole)을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한다음 디메틸 술폭사이드 5ml)에 2-(tert-부톡시카르보닐 옥시이미노)-2-페닐아세트니트릴 1.06g(4.29mmole)을 용해한 용액을 가하여 6시간, 50℃에서 더 교반시켜 N-tert-부톡시카르보닐화 하였다.
이결과 얻어진 반응용액에 17% 암모니아수 2ml와 그다음 물 100ml를 혼합시키고 에틸에테르 50ml로 세척하였다. 분리된 수액층을 17% 암모니아수로 PH를 11로 조정하고 NaCl 2g을 혼합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 (3×100ml)로 추출하였다. 모은 에틸아세이트를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 건조하였다.
용리액으로 클로로포름-메타놀-진한암모니아수(30 : 10 : 1 용량)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실리카겔(Wako gelC-200 Wako Junyaku K.K.사 제품 일본) 50g을 가진 컬럼(니경 20mm)상에서 크로마토 그라피에 의해 그 잔사를 처리하였다. 용출액을 10ml-분액에서 모으며 분액 25-50을 모아 농축건조하여 3,2',6-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607mg(73.6%)을 얻었다.
방금 위에서 얻은 생성물 590mg(0.787mmole)을 디메틸술폭사이드 1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에틸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0.14ml(1.18mmole)를 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5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여 3"-트리플루오로 아세틸화 하였다. 이결과 제조된 3,2',6'-트리-Ntert-부톡시 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아세틸-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를 함유한 반응용액을 테트라히드로푸란 4ml)에 용해한 (S)-4-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 부티릴산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그 다음에, 물 100ml)를 이 반응용액에 가하고 이것을 에틸아세테이트(2×100ml)로 추출하였다. 모은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에 건조하고 농축건조하여 아미노-보호유도체의 형태로 1-아실화생성물을 얻었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1-N-아실화생성물을 90% 트리플루오로초산 10ml)에 용해시켜, 이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여 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P-메톡시 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이탈시킨 다음 이 반응용액을 농축건조하였다.
잔사를 물 30ml에 용해시켜 17% 암모니아수로 PH를 10으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18시간 교반시켜 트리플루오로 아세틸기를 이탈시켰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6N 염산을 첨가시켜 PH를 7.5로 조정하고 앰버라이트 CG-50(NH4 +형) 20ml를 가진 컬럼(내경 13mm)를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100ml로 세척시켜 0.5M 암모니아수용액 160ml, 0.8M 암모니아수용액 100ml로 계속해서 용출시켰다.
이 용출액을 4ml분액에서 모으며 분액 27-62를 모아 농축 건조시켜 목적화합물을 모노카르보네이트 형태로 1-N-[(S)-4-아미노-2-히드록시부티릴]-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346mg(71.8%)를 얻었다.
[실시예 7]
1-N-[3-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오닐]-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합성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제조된 3,2',6'-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102mg (0.136mmole)를 디메틸 술폭사이드 3ml에 용해시켜 에틸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0.02ml(0.204mmole)를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1시간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제조된 3,2',6'-트리-N-tert-부톡시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아세틸-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를 함유한 이 반응용액을 트리에틸아민 0.0ml(0.204mmole)과 테트라히드로푸란 0.5ml에 용해한 3-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온산 75mg(0.24mmole)와 혼합시켜 실온에서 7시간 교반시켜 1-N=아실화하였다. 그다음, 물 10ml를 이 반응용액에 가하고 이것을 에틸아세테이트(2×10ml)로 추출하였다. 모은 추출액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아미노보호유도체의 형태로 1-N-아실화제품 136mg을 얻었다.
이 1-N-아실화제품을 90% 트리플루오로초산 30ml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P-메톡시 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이탈시킨 다음 이 반응용액을 농축건조하였다. 잔사를 물 10ml)에 용해하고 17% 암모니아수로 PH를 10으로 조정한다음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여 트리플루오로 아세틸기를 이탈시켰다.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6N 염산의 첨가로 PH 6.4로 조정하고 앰버라이트 CG-50 (NH4 +형) 10ml를 가진 컬럼(내겨 11mm)를 통과시켰다. 이 컬럼을 물 30ml와 0.2M 암모니아수 30ml로 세척한 다음 0.5M암모니아수로 용출시켰다.
이 용출액을 1ml분액에서 모으며 분액 4-7을 모아 농축 건조시켜 모노카르보네이트의 형태로 필요로하는 1-N-[3-아미노-2-히드록시 프로피오닐]-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38.1mg(45.4%)를 얻었다.
[실시예 8]
1-N-[(S)-5-아미노-2-히드록시발]-5',3',4'-레릴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의 합성
실시예 7과 같이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나 3',2',6-트리-N-tert-카르보닐-3"-N-트리플루오로 아세틸-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와 반응하는 3-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프로피온산-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대신에 (S)-5-P--메톡시벤질옥시 카르보닐아미노-2-히드록시발레린산의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로 76mg(0.204mmole)를 사용하였다.
앰버라이트 CG-50컬럼에서의 용출후에 용출액의 분액 11-18을 서로 모아 농축건조시켜 본 목적화합물(모노 카보네이트) 47.2mg(53.8%)을 얻었다.

Claims (1)

  1. 다음 일반식(Ⅵ-a)의 -5',3',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 또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5',3',4',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의 1-아미노기, 또는 다음 일반식(Ⅵ'-a)의 5',3',4'-트리데옥시 카나마이신 B 또는 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5',3',4',6"-테트라데옥시 카나마이신 B의 부분아미노-보호유도체를 다음 일반식(Ⅶ)의 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칸산 또는 그아미노-보호유도체와 반응시켜 아실화하고, 다음 일반식(Ⅱ'a) 또는 (Ⅱ"-a)의 1-N-아실화생성물을 제조한 다음 다음일반식(Ⅱ'-a) 또는 (Ⅱ"-a)의 1-N-아실화생성물에 존재하는 잔유 아미노보호기를 이탈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일반식(Ⅱ-a)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3',4'-트리데옥시카나마이신 B 또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 알카노일)-5,3',4'-트리데옥시-6'-N-메틸-카나마이신 B 또는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5,3',4',6"-테느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제조방법.
    위 식에서 R은 히드록시기 또는 수소원자로 R이 수소원자일 때, R'는 수소원자이고, 또는 R이 히드록시기 일때 R'는 메틸기이며, A는 수소원자, 적어도 하나의 B는 1가 아미노 보호 기이나 다른 B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동시에 취한 적어도 한쌍의 A 및 B는 2가 아미노-보호기를 형성하나 다른 A 및 B는 각각 수소원자이며, A 및 B로 나타낸 아미노 보호기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A'는 수소원자 B'는 수소원자 또는 1가 아미노보호기, 또는 동시에 취한 A' 및 B'는 2가 아미노보호기를 형성하며 n은 1,2 또는 3의 정수, 또는 일반식(Ⅶ)의 기능당량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KR1019810002784A 1980-08-12 1981-07-31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0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09854A JPS5753496A (en) 1980-08-12 1980-08-12 1-n-acyl derivative of 5,3',4'-trideoxykanamycin b or 5,3',4',6'- tetradeoxykanamycin b, and their preparation
JP109854/80 1980-08-12
JP58389/81 1981-04-20
JP56058389A JPS57175198A (en) 1981-04-20 1981-04-20 1-n-acyl derivative of 5,3,4-trideoxy-6-n-methylkanamycin b and their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325A KR830006325A (ko) 1983-09-24
KR850000979B1 true KR850000979B1 (ko) 1985-07-05

Family

ID=263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784A KR850000979B1 (ko) 1980-08-12 1981-07-31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KR (1) KR850000979B1 (ko)
CA (1) CA1175816A (ko)
CH (1) CH648564A5 (ko)
DE (1) DE3131731C2 (ko)
ES (4) ES8301486A1 (ko)
FR (1) FR2491073A1 (ko)
GB (1) GB2082575B (ko)
IT (1) IT1167959B (ko)
NL (1) NL8103639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118B2 (ko) * 1973-08-29 1980-01-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308334A1 (es) 1983-08-16
IT8109493A0 (it) 1981-08-07
ES504697A0 (es) 1982-12-01
IT1167959B (it) 1987-05-20
ES514621A0 (es) 1983-12-16
ES514622A0 (es) 1983-08-16
DE3131731C2 (de) 1984-02-16
ES8301486A1 (es) 1982-12-01
ES8401092A1 (es) 1983-12-16
GB2082575B (en) 1984-04-18
FR2491073A1 (fr) 1982-04-02
CA1175816A (en) 1984-10-09
CH648564A5 (de) 1985-03-29
ES8401093A1 (es) 1983-12-16
DE3131731A1 (de) 1982-03-11
GB2082575A (en) 1982-03-10
ES514620A0 (es) 1983-12-16
NL8103639A (nl) 1982-03-01
FR2491073B1 (ko) 1984-08-03
KR830006325A (ko) 198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7354A (en) Preparation of 1-N-[ω-amino-α-hydroxyalkanoyl]aminoglycoside polysilylated antibiotics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P0317970B1 (en) A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amikacin
US4170642A (en) Derivatives of kanamycin A
US4120955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kanamycin C and its derivatives
US4104372A (en) 1-N-(α-hydroxy-ω-aminoalkanoyl) derivatives of 3'-deoxykanamycin A and the production thereof
KR840001622B1 (ko) 3-0-데메틸 이스타마이신 b의 제조방법
EP0071251B1 (en) Novel aminoglycosides and use thereof
KR850000979B1 (ko) 5, 3', 4'-트리데옥시-또는 5, 3', 4'-트리데옥시-6'-N-메틸-또는 5, 3', 4', 6"-테트라데옥시-카나마이신 B의 1-N-(α-히드록시-ω-아미노알카노일)유도체의 제조방법
KR920003838B1 (ko) I-N-(ω-아미노-α-히드록시알카노일)-2', 3'-디데옥시가나마이신 A의 제조방법
IE4727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n-acyl-aminoglycosides
US4140849A (en) Kanamycin C derivatives
CA1105452A (en) PREPARATION OF 1-N-[.omega.-AMINO-.alpha.- HYDROXYALKANOYL]AMINOGLYCOSIDE ANTIBIOTICS
US5053395A (en) Pradimicin amide derivatives
US3796698A (en) Antibiotic derivatives of gentamicin c2
GB160045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n-acylaminoglycosides
EP0108563B1 (en) 3-demethoxyistamycin b and its 2"-n-formimidoyl derivative
US4455419A (en) 2'-Modified kanamycins and production thereof
JPS631954B2 (ko)
US4298727A (en) 3',4'-Dideoxykanamycin A and 1-N-(S)-α-hydroxy-ω-aminoalkanoyl) derivatives thereof
EP0094625B1 (en) Novel aminoglycosid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4410516A (en) 1-N(αHydroxy-ω-aminoalkanoyl) derivatives of 5,3',4'-trideoxy- or 5,3', 4'-trideoxy-6'-N- methyl- or 5, 3', 4',6"-tetradeoxykannamyci B and production thereof
CA1188309A (en) 3-0-demethyl derivatives of the istamycin b series of compounds and their preparation
IE904092A1 (en) Pradimicin derivatives
EP0104125B1 (en) 5,2',3',4',4",6"-hexadeoxykanamycin and its 1-n-acylated derivative
CA1152063A (en) 3',4'-DIDEOXYKANAMYCIN A AND 1-N-((S)-.alpha.- HYDROXY-.omega.-AMINOALKANOLY) DERIVATIV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