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59B1 -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 Google Patents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59B1
KR850000959B1 KR1019810003672A KR810003672A KR850000959B1 KR 850000959 B1 KR850000959 B1 KR 850000959B1 KR 1019810003672 A KR1019810003672 A KR 1019810003672A KR 810003672 A KR810003672 A KR 810003672A KR 850000959 B1 KR850000959 B1 KR 85000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circuit
filter
wid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613A (ko
Inventor
노부야 나가오
테쓰로오 사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synchronous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46Decod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제 1 도는 comb(櫛形) 필터를 색복조회로에 사용한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comb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특성도.
제 3 도는 수상관상의 무늬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무늬의 경우의 복합영상신호를 표시한 파형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제 6 도는 가변감쇄기의 실시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 7 도-제 9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색 신호 성분 comb 필터 (2) : I 축 복조기
(3) : Q 축 복조기 (9), (28) : 지연회로
(11) : 휘도신호 성분 comb 필터 (12) : 라인 상관 판정회로
(12A), (12D), (13A), (26), (27) : 대역 통과필터
(12B), (12E) : 포락선 검파기 (12C) : 괘산기(
Figure kpo00001
)
(13) : 대역 가변 필터 (13B) : 저역 통과 필터
(13C) : 가변 감쇄기 (13Cb) : 가변 가산회로
(13D) : 가산기
(14), (15), (16), (17), (18), (19) : 트랜지스터
(25) : 감산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복합 영상신호의 색신호성분을 광대역 증폭한 경우의 크로스 컬러(cross color) 방해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의 방송신호는 색신호 성분을 복조하기 위하여 2개의 색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 2개의 색신호는 이른바 I 호 신호 및 Q 신호를 호칭되고, I 신호는 색차(色差) 시력이 높은 오렌지 시안(cyan)계의 색성분을 보유하고, Q 신호는 색차시력이 낮은 녹색-마젠터계의 색성분을 보유하고 있다. 인간의 눈은 전자(前者)의 I 신호가 화면에 재생되었을 때, 상기 이유로 해서 미세부분에 있어서도 색상으로서 포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I 신호는 송신축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대역을 충분히 증폭해서 색복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I 신호의 대역폭을 증폭해서 색복조시키는 것은 휘도신호 성분까지도 증폭하는 것이되고 또 중간 주파수 증폭단에서 I신호성분이 감쇄되고 있다는 이유에서 권장되지 아니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휘도신호 및 I 신호 및 Q 신호를 함유하는 색부(色副) 반송파는 다중화 방법의 일종류인 인터리빙의 관계에 위하여 색부반송판 부근에 순서 정연하게 스펙트럼 간삽(間揷)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의 휘도신호 성분이 색신호에 누설되는 것에 의한 이른바 크로스컬러 방해(간섭)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고, 또, Q 신호의 대역폭과 동일한 협(狹) 대역으로 I 신호를 증폭하면 휘도신호의 고조파 성분이 억압되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았다. 또, I신호를 광대역 수신복조하려면, 그 회로구성도 복잡해지는 코스트 상의 불리함도 생각해야 한다.
이상 설명한 I 신호, Q 신호는 NTSC 방식 수신기 및 PAL방식 수신기가 수신하는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것이나, SECAM방식 신호기에 있어서도 이들 양신호성분에 비례한 색신호가 선(線) 차례로 보내져 온다. 수신측에서는 이것을 동시신호로 변환해서 복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신호의 대역은 각각의 상기 방식에 의한 차이는 있으나, 대략 상기한 바와같은 대역차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크로스컬러방해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I 신호성분의 대역을 충분히 복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comb 필터(Comb filter)로 호칭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제 1 도는 이 즐형필터를 컬러텔레비젼 수신기의 색복조회로에 사용한 회로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1 도의 구성은 색신호 성분 comb필터(1)를 통과한 반송색신호를 I신호용 복조기(2) 및 Q 신호용 복조기(3)등으로 구성되는 색복조회로(4)를 개재하여 매트릭스회로(5)에 공급하고, 각 색차신호(R-Y, G-Y, B-Y)를 얻도록한 구성이다. 입력단자(6)는 복합영상신호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1수평 주사기간 지연선(이하 1H 지연선으로 칭한다)(7)에 접속되어 있다. 이 1H지연선(7)은 감산기(8)에 접속되어서, 색신호성분 즐형필터(1)을 구성하고 있다. 색신호 성분 즐형필터(1)는 I신호용 복조기(이하 I 축 복조기로 칭한다)(2) 및 신호용 복조기(이하 Q축 복조기)(3)에 접속되어서, 이들에 의하여 얻어지는 각색차신호는 광대역 필터 특성을 가지는 지연회로(9), 협대역 필터특성을 가지는 저연필터(10)을 개재하여 매트릭스회로(5)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매트릭스회로(5)의 출력은 도시를 생략한 브라운관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된 회로의 작용을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도에 표시하는 주파수특성은 색신호성분 comb필터(1)의 특성도이다. 종축은 제1도의 색재생회로의 입출력 응답을 표시하고, 횡축은 주파수 f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 fH는수평 주사신호의 1/2주파수를 표시하고, n은 그 고조파의 차수(次數)를 표시한 것이다.
제 1 도의 회로에 사용한 comb필터(1)은 입력단자(6)에서 입력하는 복합영상신호와, 1H지연선(7)에 의하여 1수평주사기간만 지연된 복합영상신호를 감산기(8)에 의하여 감산함으로서 I,Q 색신호성분을 포함하는 반송색신호의 스펙트럼 성분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 색신호 성분은 색부반송파 부근의 휘도신호성분이 억제된 신호이다. I축 복조기(2)는, 상기 색신호성분의 I신호축을 복조하고. 또 동일하게 Q축 복조기(3)은 색신호성분의 Q 신호축을 복조한다. I 축 복조기의 I 신호성부은 광대역 특성(0-1.5[MHZ])을 가지는 지연회로(9)(광대역 필터회로)에 의하여 매트릭스 회로(5)에 전송된다. Q신호성분은 저역필터(10)(협대역 필터회로)에 의하여 0-0.5[MHZ]의 대역이 중폭되어서 매트릭스회로(5)에 전송된다.
여기서, 색신호성분 comb필터(1)의 전달특성은 다음 (1)식에 표시한 것과 같다.
1-exp(-j2πf·TH)……(1)
단, TH는 1수평 주사기간.
이식을 도신한 것이 제2도이다. 따람서 색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수평주 주파수의 1/2의 기수배로 선택한 주파수 인터리빙 방식에 의한 복합영상신호, 예를들면 NTSC 복합영상신호에 있어서는 휘도신호가 억압된 반송 색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제3도 및 제4도를 따라 설명한다. 여기에서 복합영상 신호는 수상관상에 제3도에 표시하는 무늬가 나타나는 것으로 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A는 색이 있는 부분이고, B가 색이 없는 부분, C는 그 경계로 한다. 색상이 없는 B부분은 도시와 같은 휘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경우의 복합영상신호의 경계 C의 부근을 표시한 것이 제 4도이다. 이 제 4도(I)가 입력단자(6)에 가해지는 신호, 동도면 (II)이 1H지연선(7)로 지연시킨 신호, 동도면(III)이 감산기(8)로 감산시킨 신호를 표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A1,A2및 B1,B2는 제3도의 A 및 B부에 각각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NTSC 방식등의 복합 영상신호는, 색반송파의 주파수와 수평주파수는 인터리빙관계에 있으므로 상호 인접하는 1수평주사기간의 반송색신호의 위상관계는 화면상에서 수직방향, 즉 라인간에서 수직상관이 높은 무늬에 있어서는 180°상이하다. 그러므로 제 4 도(III)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감산기(8)에서 감산시키면 대부분의 휘도신호는 상호 부정하여 반송색신호는 서로 가산된다. 따라서 크로스컬러등의 휘도신호성분에 의한 방해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인상관이 낮은 부분, 예를들면 제 3 도에서의 경계 C부분에서는 사선정부가 많기 때문에 제4도(III)의 C1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comb필터(1)을 사용해도 휘도신호성분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고 이수평사기간 전후의 휘도신호의 레벨차에 의존한 양만큼 휘도신호가 남아서 크로스컬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색신호도 1라인분이 얼룩진 신호가 되고만다. 이것은 상기 인터리빙 관계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크로스컬러 방해는 특히 휘도신호 스펙트럼이 많은 중역(中域), 즉 I신호의 고역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상기 색신호성분 comb필터(1)는 근년 CCD(전하결합소자) BBD(Bucket Brigade Device)로 대표되는 전하(電荷) 전송소자의 개발에 의하여 광대역의 것이 쉽게 실현가능해 졌음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젼 수상기의 색복조회로에 있어서는 상기의 이유에 의하여 사용되지 않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광대역수신복조회로의 필요성은 상기한 바와같이 색차시력이 높은 I 신호는 미소화면도 색으로서 감지됨으로 넓은 대역폭으로 재생하지 않으면 총합색화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대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복합영상신호의 전후 양단의 주사기간의 상관성을 판정함으로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어신호가 I 신호의 대역통과 특성을 가변하도록 해서 색복조회로를 구비해서 이루어짐으로서 크로스컬러 방해가 발생하는 사선화상의 부분은 협대역 복조시켜서 상기 통과특성을 가변하고, 수직방향의 상관성이 높은 부분은 광대역 복조시켜서 상기 통과 특성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I신호를 충분한 광대역에서 복조해도 크로스컬러 방해를 받는 일이 없고, 총합색 화질 품위를 대폭적으로 개선한 광대역 수신 색복조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 5 도 내지 제 6 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대역 수신색복조회를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제 6 도는 감쇄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제 5 도의 구성은 색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 휘도신호 성분 comb 필터(11) 및 색신호성분 comb 필터(1)의 각각의 신호를 라인상관(相關) 판정회로(12)에 공급하도록 접속되고, 이 라인상관 판정회로(12)는 대역가변필터회로(13)의 대역폭이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복합영상신호 공급단(6)은 가산기(14)에 접속되고, 또 1H지연선(7)을 개재하여 가산기(14)에 복합영상신호인 1H지연선신호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가산기(14)는 휘도신호용 대역통과필터(12A)에 접속되고, 포락선 검파기(12B)를 개재하여 괘산기(12C)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된다. 상기 색신호 성분 comb 필터(1)는 대역통과필터(12D)에 반송색신호를 공급하도록 접속되고, 대역통과 필터(12D)는 포락선 검파기(12E)를 개재하여 괘산기(12C)의 다른 입력단에 포락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색신호성분 comb 필터(1)은 I 축 복조기(2)를 개재하여 광대역필터회로(13A) 및 저역통과필터(13B)에 각각 I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대역필터회로(13A)의 출력은 가변 감쇄가(13B)에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괘산기(12C)의 제어신호가 이 가변감쇄기(13C)에 인가되어서 I 신호가 광대역 필터회로(13A)를 통과하는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 감쇄기(13C) 및 저역통과필터(13B)의 출력은 가산기(13D)의 2치(値) 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도록 접속되고, 이 가산기(13D)의 출력이 화상상태에 따라 대역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가변 감쇄기(13C)의 구성을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회로는 이득 가변형의 증폭회로로서, 차동 트랜지스터(14),(15)와 차동 트랜지트터(16),(17)이 각 에미터 공통단자를 트랜지스터(18),(19)의 콜랙터에 각각 접속해서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대역통과 필터(13A)의 출력단이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입력단자(20))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는 저항(R1)을 개재하여 접지된다. 또 트랜지스터(19)의 베이스는 바이어스전압(21)이 인가되도록 되어있고, 이 에미터는 저항(R2)을 개재하여 접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15),(16)와 트랜지스타(14),(17)의 베이스는 다같이 접속되고, 이 양 베이스단자간에 는 가변 바이아스신호원(22)이 삽입된다 전원급전단(23)은 트랜지스터(14),(16)의 각 콜렉터에 접속되고, 또, 저항(R3)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이 증폭회로의 출력단다(24)는 트랜지스터(15),(17)의 콜렉터 공통단자에 접속된다. 또, 상기 가변 바이아스신호원(22)은 상기 라인 상관 판정회로(12)의 제어신호에 해당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대역 수신 색복조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라인상관 판정회로(12)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예를들면 NTSC 복합영상신호의 라인상관이 높을 경우에는 휘도신호와 반송색 신호는 주파수 인터리링의 관계에 있으므로 반송색신호의 3.58[MHZ]부근의 신호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휘도신호 성분이 감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반송신호는 큰 신호를 지니는 경우가 있고, 이때, 상기 3.58[MH2] 부근의 휘도신호 레벨이 큰것이라 할지라도 저역밖에 전송하고 있지 않는 반송색신호에서 복조되는 색신호(I신호, Q신호)는 그 포화도가 저하고, 반송색신호에서 복조되는 색신호(I신호, Q신호)는 그 포화도가 저하고, 반송색신호 레벨은 큰 상태로는 될 수 없다. 따라서 화면상 수직방향의 정보가 많은 부분을 전송하고 있을때는 다시 말하면, 라인상관이 높은 화상부분을 전송하고 있는 경우에는 휘도신호, 반송색신호는 다같이 큰 라벨의 신호를 가지는 일은 없고, 신호성분을 충분히 증폭하고, 복조해도 크로스컬러가 발생하는 일은없다.
또, 라인상관이 낮은 화상부분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인터리빙의 관계는 깨어지고, 색신호 성분 comb필터(1)을 사용했다 해도 휘도 신호와 반송신호를 분리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따라서 큰 휘도신호를 전송했을 때에 색신호성분 comb필터(1)의 출력에도 큰 휘도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이 앞에서 설명한 즐형필터를 사용했을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컬러이다. 즉, 휘도신호성분 및 색신호성분 comb필터(11),(1)의 출력이 다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또 임의로 설정된 레벨이상보다 큰 경우를 검출해 주면 문제가 되는 라인상관이 낮은 부분이 검출되게 된다.
이상의 원리를 이용한 라인상관 판정회로(12)를 사용한 제 5 도의 광대역 수신색복조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산기(14)는 휘도신호성분 comb필터(11)의 출력을 라인상관 판정회로(12)의 대역통과필터(12A)에 입력하는 것이다. 이 대역통과필터(12A)의 대역폭은, 휘도신호와 색차신호가 다중화되어 있는 2-4.2[MHZ]의 대역이면 자유로이 설정가능한 것이다. 대역통과 필터(12A)의 출력신호는 포락선 검파기(12B)에 의하여 포락선 신호가 된다. 이 포락선 신호는 괘산기(12C)의 제 1 의 출력단자에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감산기(8)에서 얻을 수 있는 색신호성분 즐형필터(1)의 출력은 소정의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통과 필터(12D) 및 포락선 검파기(12E)를 개재하여 괘산기(12C)의 제 2 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괘산기(12C)는 디지탈식으로, 또는 아날로그식으로 상기 양포락선 검파기(12B),(12E)의 출력신호를 서로 곱한 신호이다. 즉 휘도신호성분 및 색신호 성분의 양 comb필터(11),(1)의 출력신호가 클 경우에 라인상관이 없다(또는 낮다)고 판단하여 제어신호르 출력하는 것이다. 라인상관 판정회호(12)의 상기 제어신호는 가변감쇄기(13C)의 감쇄량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광대역필터회로(13A)는 I신호 성분을 증폭하는 수단으로서, 신호성분의 감쇄량을 제어함으로서 크로스컬러 방해가 발생하는 조건일 때에 감쇄량을 증대하기 때문에, I 신호성분의 고역성분을 감쇄시켜서, 크로스컬러성분을 감소지킬 수가 있다.
제 6 도에 표시한 가변 감쇄기(13C)의 동작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다. 대역통과 필터(13A)의 출력신호는 단자(20)에 공급된다.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18) 및 저항(R1)에 의하여 신호전류로 변환되어 차동트래지스터(14),(15)의 공통에미터에 입력된다. 이 차동트랜지스터(14),(15)는 그 차동 입력 전압 V(바이아스신호원(22)의 신호)가 라인상관 판정회로(12)의 제어신호인 바이아스 신호원(22)에 의하여 가변되기 때문에 예를들면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전류(저항 R3를 흐르는 전류)가 변화해서 이득을 가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다른쪽의 차동 트랜지스터(16),(17)을 접속시키지 아니하면 트랜지스터(18) 및 차동트랜지스터(14),(15)로 구성되는 이득 G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다.
차동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전류 I15C는 일반적으로
Figure kpo00002
로 표시된다.
여기서에서, I18C는 트랜지스터(18)의 콜렉커전류, α15는 트랜지스터(15)의 베이스 접지전류증폭률(대략 1이다), VT는 절대온도에 의한 전압정수[V]이다.
또,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전류 I18E는 베이스접지의 전류증폭률을 α18≒1로하면,
Figure kpo00003
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18)의 입력신호 전압 Vin으로 하면
Figure kpo00004
또, 각 트랜지스터(18),(14),(15)는 능동 영역에서 동작시키기 때문에 적당한 직류 바이아스를 받고 있으므로 트랜지스터(15)의 출력신호 전압 Vout는 (2) 및 (3)식에서
Figure kpo00005
상기 입력신호 전압 Vin과 출력신호 전압 Vout의 비 Vout1 Vin(이득 G)는
Figure kpo00006
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exp(V/VT)≥0).
따라서, 라인 상관 판정회로(12)의 제어신호(바이아스 신호 V )를 가변으로 함으로 최대이득 Gmax=-R31R1에서 0까지 이득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가변감쇄기(13C)는 대역통과 필터(13A)의 신호를 감쇄 또는 증대시킬 수가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5 도와 동일한 소자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제 7 도의 구성의 특성은 제 5 도에서 사용한 저역통과필터(13B) 대신에 지연회로(9)를 I축복조기(2)와 접속하여 지연회로(9)는 감산기(25)에접속한 것이다. 또 가변감쇄기(13Ca)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라인상관이 없는(또는 낮은) 경우에는 대역통과 필터913A)의 I신호 복조출력을 가변 감쇄기(13Ca)에 의하여 통과시키고(감쇄시키지 않고), 감산기(25)에서 I신호의 고조파성분을 감쇄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감산기(25)는 라인상관이 낮을 때에 휘도신호의 고조파영역을 감쇄시킬 수 가 있다. 즉, 지연회로(9) 및 감산기(25)에 의하여 comb필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 5 도와 동일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달고, 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I축복조기(2)는 저역통과필터(13B) 및 지연회로(9)에 접속되고, 이들의 출력은 가변가산회로(13Cb)를 개재하며 매트릭스회로(5)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가변가산회로(13Cb)는 라인상관이 높은 경우에는 지연회로(9)의 I신호를 주로 통과시키고, 라인상관이 없는 (또는 낮은) 경우에는 저역통과필터(13B)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지연회로(9)의 통과특성은, 상기한 바와같이 광대역이 0-1.5[MHz]이고, I신호를 광대역에서 복조할 수가 있다. 또 저역통과 필터(13B)는 0-1.5MHz이기 때문에 크로스컬러 방해가 발생하는 염려가 있을 때는(라인상관이 낮을 때), 협대역복조 하고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제 5 도와 동일 소자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제 9 도의 구성은 이하에 특징이 있다. 색신호성분 comb필터(1)의 감산기(8)는대역통과필터(26),(27)에 접속되고, 대역통과 필터(26)은 가변가산기(13Cb) 및 Q축 복조기(3)에 접속된다.
이 Q축 복조기(3)은 매트릭스회로(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대역통과필터(27)는 지연회로(28)을 개재하여 가변가산기(13Cb)에 접속된다. 이 각변가산기(13Cb) 는 I축 복조기(2)를 개재하여 매트릭스회로(5)에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감산기(3)의 반송색신호는 예를들면 3-4[MHz]를 전달하는 대역통과필터(26)를 개재하여 가변가산회로(13Cb)에 입력되고, 또 동시에 예를들면 대역 2-4[MHz]를 전달하는 대역 통과필터(27)를 개재하여 가변가산회로(13Cb) 에 입력되고 있으므로, 라인상관이 높을 경우에는 대역 2-4[MHz]가 전달되고, 라인상관이 낮을 경우에는 대역 3-4[MHz]가 전달된다. 이들의 대역신호는 각각 Q축 복조기(3)및 I 축 복조기(2)에 입력되기 때문에, I신호 대역을 충분히 복조할 수가 있다. 또, 지연회로(28)은 각신호의 시간의 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영상신호의 전후 양수평 주사기간의 상관성을 판정하여, 신홍의 통과대역을 가변하도록되어 있으므로 화상중의 라인상관이 높은 부분은 휘도신호중 고역성분이 억압된 반송색신호를 복조할 수 있고, 라인상관이 낮은 경우에만 I신호 복조출력의 고역성분을 감쇄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언제나 크로스컬러 방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화질품위는 충분히 세부까지 I 신호를 광대역복조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것에 비교해서 파격적인 향상이 있다.

Claims (1)

  1. 복합영상신호의 고조파영역에서 휘도 신호성분을 억압하여 이 영역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킬러 방해가 적은 색신호를 얻도록한 색신호 성분 즐형필터와, 이 comb 필터에 의해서 출력되는 색신호를 받아들연서 이 색신호중의 오렌지시안(cyan)계의 색신호를 복조하는 I촉복조기와, 상기 즐형필터에 의하여 출력되는 색신호를 받아들여서 이 색신호중 녹색 마젠터계의 색신호를 복조하는 Q축 복조기와 상기 I축 복조기에서 발신되는 색차신호를 받아들여 소정대역폭으로 증폭하는 광대역 필터회로와, 상기 Q 축 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색차신호가 입력되어 소정의 대역폭으로 증폭하는 협대역 필터회로와, 이들 양 대역필터회로에서 출력되는 각 색차신호를 받아들여 이들 색차신호에 따라 휘도신호를 합성하여 3원색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매트릭스회로로 구성되는 광대역 방식 색복조회로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의 전후양단위 주사기간에 있어서의 그들 각복합영상신호의 상관성을 상기 고조파영역에 있어서의 휘도신호성분 및 색신호성분의 쌍방이 모두 각각 소정의 기준레벨에 대하여 커졌을 때에 상관성이 낮다고 판정하여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라인상관 판정회로와, 이 라인상관 판정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항여 감쇄 특성이 가변되도록 한 가변 감쇄수단을 상기 오렌지 시안계 색신호의 광대역 필터회로에 설치해서 구성되는 대역가변필터회로로 이루어지고, 라인상관이 높은 획부에서는 광대역 재생하고, 라인상관이 낮은 획부에서는 협대역 재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수신 복조회로.
KR1019810003672A 1980-09-30 1981-09-29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KR850000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5,198 1980-09-30
JP55135198A JPS5760791A (en) 1980-09-30 1980-09-30 Demodulating circuit for wide-band receiving chrominance
JP135198 1998-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613A KR830008613A (ko) 1983-12-10
KR850000959B1 true KR850000959B1 (ko) 1985-06-29

Family

ID=1514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672A KR850000959B1 (ko) 1980-09-30 1981-09-29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389665A (ko)
JP (1) JPS5760791A (ko)
KR (1) KR850000959B1 (ko)
DE (1) DE3138752C2 (ko)
GB (1) GB2084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984A (en) * 1980-10-16 1982-04-27 Toshiba Corp Chroma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57168593A (en) * 1981-01-28 1982-10-16 Toshiba Corp Wide-band color demodulator
JPS5860888A (ja) * 1981-10-08 1983-04-11 Toshiba Corp 色分離回路
GB2127250B (en) * 1982-09-20 1986-04-09 British Broadcasting Corp Colour video signal processing
JPS605692A (ja) * 1983-06-24 1985-01-12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US4594607A (en) * 1984-06-11 1986-06-10 Rca Corporation Demodulator for sampled chrominance signals including a Nyquist filter for recovering wideband I color difference signals
JPS615675A (ja) * 1984-06-20 1986-01-1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走査記録方法
US4626894A (en) * 1984-10-04 1986-12-02 Rca Corporation Signal filtering system having adaptively cascaded filter stages for developing a variable bandwidth frequency characteristic
US4652906A (en) * 1985-03-12 1987-03-24 Racal Data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decomposition of video signals
US4651196A (en) * 1985-03-19 1987-03-17 Rca Corporation Adaptive control of the chrominance signal frequency response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4616254A (en) * 1985-04-18 1986-10-07 Rca Corporation Hanging dot reduction system
JPS6214593A (ja) * 1985-07-12 1987-01-23 Hitachi Ltd カラ−テレビ信号の動き検出回路
US4686561A (en) * 1985-07-31 1987-08-11 Rca Corporation Vertical detail information restoration circuit
US4754322A (en) * 1985-09-30 1988-06-28 Hitachi, Ltd. YC-signal separation circuit responsive to magnitude of vertical correlation
US4694331A (en) * 1985-10-01 1987-09-15 Rca Corporation Vertical transition processor for a comb filter
US4916526A (en) * 1986-01-31 1990-04-10 Yves C. Faroudja Bandwidth control for chrominance and luminance paths in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US4706112A (en) * 1986-01-31 1987-11-10 Faroudja Laboratories, Inc. Cross color suppression for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JPS62157178U (ko) * 1986-03-27 1987-10-06
JP2718668B2 (ja) * 1986-10-06 1998-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き検出回路
GB2203917B (en) * 1987-03-27 1991-10-30 Roger Neil Robinson Improved encoder for television signals
JPH01213091A (ja) * 1988-02-22 1989-08-25 Toshiba Corp 色復調回路
KR930008184B1 (ko) * 1990-06-30 1993-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휘도/색신호 분리 회로
GB9028098D0 (en) * 1990-12-27 1991-02-13 Ferguson Ltd Television receiver
DE4115213A1 (de) * 1991-05-10 1992-11-12 Nokia Deutschland Gmbh Kammfilterschaltung im wiedergabeseitigen farbartkanal eines videorecorders
DE19609193A1 (de) * 1996-03-09 1997-09-1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Trennen von Luminanz- und Chrominanzsignalen eines FBAS-Signals
JP3980692B2 (ja) * 1996-12-21 2007-09-26 ソニー株式会社 クシ形フィルタおよび映像機器
DE102004025645A1 (de) * 2004-05-24 2005-12-29 Jenoptik Laser, Optik, Systeme Gmbh Verfahren zur Reduzierung von Farbmoire in digitalen Bildern
JP6325942B2 (ja) * 2014-08-07 2018-05-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5230A (en) * 1968-02-12 1968-10-08 Motorola Inc Color television demodulation system
US3405231A (en) * 1968-02-12 1968-10-08 Motorola Inc Color television demodulation system
JPS5440802B2 (ko) * 1972-06-27 1979-12-05
JPS5087729A (ko) * 1973-12-07 1975-07-15
DE2411296C3 (de) * 1974-03-09 1978-04-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ungsanordnung zur Dämpfung der Amplitude von Signalanteilen im Leuchtdichtesignal, welche im Frequenzbereich eines hinzufügenden Farbträgersignals liegen
US3924266A (en) * 1974-08-30 1975-12-02 Rca Corp Automatic luminance channel bandwidth control apparatus responsive to the amplitude of color image information
JPS5151234A (ja) * 1974-10-30 1976-05-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inamitsukukiraakairo
US4074321A (en) * 1976-10-12 1978-02-14 The Magnavox Company Circuit for separating chroma and luminance information in a composite video signal
JPS6031302B2 (ja) * 1977-12-19 1985-07-22 ソニー株式会社 色信号の周波数特性改善回路
US4313131A (en) * 1980-09-08 1982-01-26 Zenith Radio Corporation CCD Comb filter and demodulator
US4307414A (en) * 1980-09-17 1981-12-22 Zenith Radio Corporation CCD Comb filter and demod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84426A (en) 1982-04-07
DE3138752C2 (de) 1984-09-06
KR830008613A (ko) 1983-12-10
DE3138752A1 (de) 1982-04-15
JPS5760791A (en) 1982-04-12
US4389665A (en) 1983-06-21
GB2084426B (en) 198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959B1 (ko) 광대역 수신색 복조회로
FI93073C (fi) Televisiovastaanotin, jossa on lisäsisääntuloliitin erotetun Y-C-formaatin mukaisia videosignaaleja varten
US4656502A (en) Color mixing or interference reduction circuit in color TV decoding circuits
KR970007799B1 (ko) 휘도 신호 형성 회로
JPH05115072A (ja) 相関適応型輝度及び色信号分離回路
KR850000960B1 (ko) 색신호 처리회로
FI93074C (fi) Televisiovastaanotin, jossa on aputuloliitin erotetussa Y-C-formaatissa oleville videosignaaleille
US4051510A (en) Hue correction apparatus controlled by chrominance saturation
US4333104A (en) Color demodulating apparatus with cross-color cancellation
FI92785B (fi) Televisiovastaanotin, jossa on aputuloliitin erotetussa Y-C-formaatissa oleville videosignaaleille
US4197556A (en) Hue correction circuit
JPS5845230B2 (ja) 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色制御装置
GB106295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it arrangements for use in colour television receivers
KR960004003B1 (ko) Dc 안정화 장치
KR940008845B1 (ko) 색도 신호 복조 시스템
US4370673A (en) Signal generator for a color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CA1153105A (en) Color-difference signal processing circuits
GB1527797A (en) Colour television systems
JPH04108286A (ja) Y/c分離回路
KR850003314Y1 (ko) 광대역 색복조 장치
JPS6320226Y2 (ko)
CA1146266A (en) Color-signal detection system for a color-television receiver
KR880000842B1 (ko) 휘도신호/색신호 분리방법
Onishi et al. New IC family for a single-tube color video camera
JPS5810033B2 (ja) カラ−テレビジョン信号伝送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