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923A - 가용성 차 생성체와 그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가용성 차 생성체와 그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923A
KR850000923A KR1019840004501A KR840004501A KR850000923A KR 850000923 A KR850000923 A KR 850000923A KR 1019840004501 A KR1019840004501 A KR 1019840004501A KR 840004501 A KR840004501 A KR 840004501A KR 850000923 A KR850000923 A KR 85000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asein
soluble
produc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909B1 (ko
Inventor
스몰우드 카렌셀리아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마스 지. 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마스 지. 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5000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용성 차 생성체와 그 생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개략도.

Claims (26)

  1. 차크림을 형성시키는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상온의 수용액에서 차크림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크림이 알칼리성 금속 카세인으로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성 금속 카세인이 카세인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생성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카세인 함유량이 생성체 중량에 대해 5중량 퍼센트 내지 50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5. 제4항에 있어서, 카세인 함유량이 10중량 퍼센트 내지 40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입학 또는 분말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액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8. 물에 잎차를 추출시켜 차액을 만들고, 상온에서 깨끗한 용액을 만들기 위해 수용성 카세인을 첨가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카세인이 없으면 차크림이 형성되는 온도에서 차. 카세인 혼합용액을 적응시키고 농축하여 밀도가 높은 용액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차, 카세인 혼합용액을 고형 생성체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농축 공정 이전에 또는 고체 전환 공정 이전에 차, 카세인 혼합용액을 섭씨 25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차, 카세인 혼합용액을 섭씨 5도나 그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농축 공정이나 고체 전환공정중에 차, 카세인 혼합용액의 본질적인 온도 상승을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차, 카세인 혼합 용액을 고밀도의 용액으로 농축시키는 공정과 상기 고밀도의 용액을 고형 생성체로 전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역삼투 또는 냉동 농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차, 카세인 혼합용액을 분사 건조 또는 냉동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7. 제8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섭씨 90도 이상의 물과 잎차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산방법.
  18. 제8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카세인 수용액과 차액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19. 제8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차, 카세인 용액의 pH농도가 4.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pH농도가 5.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차액의 pH농도를 알칼리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2. 제8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사용된 카세인 양이 건조한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퍼센트 내지 50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사용된 카세인 양이 건조한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퍼센트 내지 40중량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4. 제8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카세인이 알칼리 금속 카세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카세인이 카세인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26. 온수와 잎차를 접촉시켜 차액을 만들고, 차액을 수용성 카세인과 혼합시키고, 차, 카세인 혼합용액의 pH농도를 4.5에서 7.5의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기 전이나 후에 또는 혼합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서 알칼리를 첨가하여 조정하고, 그 혼합용액을 섭씨 25도 이하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혼합용액을 고밀도로 농축시키고, 그 농축된 혼합용액을 고체로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되어 있으며 카세인의 양이 상기 냉각 공정중에 차크림 형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며 상기 농축공정과 전환 공정에서 혼합용액의 온도 상승을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차 생성체 생산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4501A 1983-07-29 1984-07-28 가용성 차 생성체 제조방법 KR920002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38320580A GB8320580D0 (en) 1983-07-29 1983-07-29 Dry beverage product
GB8320580 1983-07-29
GB8,320,580 1983-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23A true KR850000923A (ko) 1985-03-14
KR920002909B1 KR920002909B1 (ko) 1992-04-10

Family

ID=1054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01A KR920002909B1 (ko) 1983-07-29 1984-07-28 가용성 차 생성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33772B1 (ko)
JP (1) JPS60105455A (ko)
KR (1) KR920002909B1 (ko)
AU (1) AU571395B2 (ko)
CA (1) CA1230773A (ko)
DE (1) DE3463721D1 (ko)
GB (1) GB8320580D0 (ko)
IE (1) IE55335B1 (ko)
NZ (1) NZ2089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64274T1 (de) * 1985-05-08 1991-06-15 Nestle Sa Stabilisierung von tee in kaltem wasser.
GB8627290D0 (en) * 1986-11-14 1986-12-17 Unilever Plc Concentrated tea extract
US5198259A (en) * 1986-11-14 1993-03-30 Thomas J. Lipton, Inc. Concentrated tea extract
GB8714974D0 (en) * 1987-06-26 1987-08-05 Unilever Plc Food product
JPH0763316B2 (ja) * 1988-01-29 1995-07-12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液コーヒー飲料のにごり沈殿防止法
US4980182A (en) * 1989-06-21 1990-12-25 Nestec S.A. Beverages containing a beverage base and milk protein
WO2010097255A2 (en) * 2009-02-27 2010-09-02 Unilever Plc Beverage containing a polymeric polyphenol
JP5860638B2 (ja) * 2010-12-27 2016-02-16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苦渋味が抑制された紅茶抽出液を含有する容器詰め無糖紅茶飲料
CN103109948B (zh) * 2013-03-04 2014-01-01 塔里木大学 一种用于镇静催眠、增强免疫力的保健茶饮料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4359A (en) * 1940-02-05 1941-03-05 Stephen Gabriel Van Wyk Process for preparing a tea product,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GB776565A (en) * 1954-11-19 1957-06-12 Peter Warborn Thornhill Tea extrac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id extract
US3113028A (en) * 1961-02-24 1963-12-03 Rand Dev Corp Tea concentr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ZA717113B (en) * 1971-01-22 1972-07-26 Ceylon Inst Of Scient And Ind Improvements in the preparation of tea extracts suitable for chilled beverages
GB1518794A (en) * 1974-09-17 1978-07-26 Dej Internationale Research Co Tea extract
JPS5227239A (en) * 1975-08-26 1977-03-01 Toshiba Corp Filter
JPS5231958A (en) * 1975-09-08 1977-03-10 Nippon Benkan Kogyo Kk Method of producing branch pipe coupling
US4410556A (en) * 1981-06-11 1983-10-18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Powdered tea extract
JPS585172A (ja) * 1981-06-29 1983-01-12 Miyasaka Koryo Kk 乳漿を用いて澱の析出を抑制した飲料、飲用薬剤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1395B2 (en) 1988-04-14
EP0133772A1 (en) 1985-03-06
NZ208982A (en) 1987-05-29
DE3463721D1 (en) 1987-06-25
AU3126684A (en) 1985-01-31
EP0133772B1 (en) 1987-05-20
GB8320580D0 (en) 1983-09-01
JPS60105455A (ja) 1985-06-10
CA1230773A (en) 1987-12-29
JPH0461613B2 (ko) 1992-10-01
IE841895L (en) 1985-01-29
KR920002909B1 (ko) 1992-04-10
IE55335B1 (en) 199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6500A (ko)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850000923A (ko) 가용성 차 생성체와 그 생산방법
JPS5544549A (en) Fluorine-contained cation exchange membrane for electrolysis
JPS5566929A (en) Finely-powdered fibroin and its manufacture
KR910009913A (ko) 금속성 비누의 연속 제조방법
KR830010116A (ko) 소디움 아목사실린의 제조법
KR850003121A (ko) 무취 두유의 제조법
NO160666C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papir med hoey vaatfasthet
JPS54152058A (en) Production of water-soluble gelatin composition
KR900001406A (ko) 미소 캡슐의 제조법
JPS5799158A (en) Production of soybean protein material
NL175523C (nl) Werkwijze voor het winnen van guanidinecarbonaat.
JPS5344509A (en) Preparation of powdery glyoxal
SU40070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для фрезерного торфа
JPS5573885A (en) Preparation of diaphragm
CN85101964A (zh) 一种生产酪朊酸钠的方法
KR880000017A (ko) 뚱딴지를 주재로한 차의 제조방법
US2462863A (en) Sulfur dioxide treatment of irish moss residue
US970718A (en) Method of treating milk.
KR880006994A (ko) 해조류 및 두유와 곡물의 분말을 이용한 식품제조 방법
JPS5395109A (en) Controlling method for temperature of rotary kiln
SU1539192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теплоизол 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S5729261A (en) Production of swollen starch
JPS52153882A (en) Production of solid cationic high-polymer flocculant
KR870001777A (ko) 보리차의 원액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