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32B1 -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32B1
KR850000832B1 KR1019830000885A KR830000885A KR850000832B1 KR 850000832 B1 KR850000832 B1 KR 850000832B1 KR 1019830000885 A KR1019830000885 A KR 1019830000885A KR 830000885 A KR830000885 A KR 830000885A KR 850000832 B1 KR850000832 B1 KR 850000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cylinder
piston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33A (ko
Inventor
제이 브우덴 차아르즈
Original Assignee
제네랄 시그날 코오포레이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랄 시그날 코오포레이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제네랄 시그날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1Valves for interconnecting the fluid chambers of an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Safety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플런저 제어 밸브의 단면도.
제2도는 플런저가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제1도 밸브의 단면도.
제3도는 플런저가 하중을 하강시키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제1도 밸브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통형 첵크 밸브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발 명본에 따른 중공이 아닌 플런저 제어 밸브의 단면도.
제6도는 플런저가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제5도 밸브의 단면도.
제7도는 플런저가 하중을 하강시키기 위한 위치에 배치된 제5도 밸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 몸체 12 : 도입 체임버
14 : 배출체임버 16 : 보어
18,20 : 실린더 체임버 22,24 : 실린더 배출 체임버
26 : 플런저 28 : 보어
30,32 : 캡 38,40 : 저압시일
42,44,46 : 랜드 48 :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50 : 실린더 54 : 피스톤 로드
62,72 : 카운터보어 64, 74 : 하중 첵크 피스톤
68,78 : 밸브시이트 70,80 : 반경방향 통로
86 : 압력감응 슬리이브 첵크 밸브 90 : 밸브가이드
94 : 플렌지 102 : 밸브 소자
118 : 첵크 피스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이 선택적으로 위치가능한 플런저 또는 소품에 의해 조절되는 유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내 유압펌프의 용량이 불충분할 때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신장측에서의 캐비테이숀(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해 그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 직접 신장측으로 유체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밸브는 대개재생(regenertive)제어 밸브로 불린다.
유사한 성능을 가진 재생 제어 밸브 및 밸브 시스템들이 수년간 알려져 왔다. 각종 타입의 그러한 밸브 또는 밸브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으나 약간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하중 첵크 밸브 및 재생 밸브가 플런저내에 배치되는 중공식(中空)식 플런저가 사용되어 왔고, 그러한 구조에서, 하중 첵크 밸브들중 하나가 재생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절한 배압을 발생시키도록 강한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bias)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한 경우, 하중 첵크 밸브의 강한 스프링은, 정규 작동중 하중 첵크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유압 펌프가 고압에서 작동하는 것을 요한다. 다른 종래 기술의 밸브시스템에서는, 별도의 재생 밸브가 통상의 제어 밸브에 나란히 연결되어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 신장측으로 유체가 흐르게 하였다. 그러한 별도의 재생 제어 밸브의 존재로 인하여 전체 제어 시스템이 복잡하게 되고 가격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별도의 재생 제어 밸브를 요하지 않고 또한 유압 효율을 감소시키는 무겁게 부하된 첵크밸브를 사용하지 않고도 재생 능력이 제공되는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가 계속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신장속에서의 캐비테이숀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수단을 구비한, 전술한 조립체용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를 작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펌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중 첵크 밸브가 가벼운 힘을 가지는 전술한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밸브를 작동시키는 압력이 이런 타입의 종래의 밸브에서 보다 균일하고 흐름에 덜 민감한 전술한 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목적 및 잇점들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밸브는 복동식 피스톤-실린더조립체에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원통형의 보어(boye)를 가진 밸브 몸체를 포함한다. 여러개의 흐름 체임버들이 그 보어와 연통하여 있고, 유압 펌프와 같은 외부 공급원으로 부터 유체를 공급 받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도입 체입버가 밸브 몸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유체를 외부 저장조 또는 섬프(sump)로 배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배출 체임버가 밸브몸체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한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일측부로 유체를 송출하고 도 그 측부로 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제 1실린더 체임버가 밸브 몸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조립체의 외측부로 유체를 송출하고 또 그 측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제2 실린더 체임버가 밸브 몸체에 제공되어 있다. 밸브 플런저가 원통형 보어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 보어내에서 미끄럼 운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고 그리하여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에 연결된 하중을 상승, 유지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도입 및 배출 체임버들과 제1 및 제2 실린더 체임버들이 상기 플런저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도입 체임버로 부터 실린더체임버들중 하나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수단과, 실린더 체임버들중 다른 하나로부터 배출 체임버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수단, 및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추축측으로 부터 비교적 높은 압력을 받는 하나의 실린더 체임버로부터, 상기 조립체의 신장측에 비교적 낮은 압력 유체를 송출하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 체임버로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실린더 체임버들 사이의 소정의 압력차에 응하여작동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소정의 압력차에 감응하는 상기 수단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압력 감응 밸브 수단이 스풀과 떨어져 밸브 몸체내에 제공되어,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부터 배출 체임버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 그 압력 감응 밸브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부터 배출 체임버로 유체가 흐르게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며 플런저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벽의 원통형 밸브 가이드를 포함한다. 얇은 벽의 원통형 밸브 소자가 그 밸브 가이드와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밸브 가이드내 통로에 대하여 밸브 소자를 이동시켜 유체가 배출체임버로 흐르도로 하기 위해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감응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얇은 벽의 원통형 밸브소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밸브 소자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피스톤표면을 가지고 있고, 그 표면에,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으로 부터의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니다. 인접환상 밸브 시이트와 접촉하도록 밸브소자를 바이어싱 시키기 위해 코일 스프링과 같은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재생밸브에 보다 균일한 작동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밸브 소자가 그의 착좌면에 인접한 그의 외 측면에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다. 그결과, 원통형 밸브 소자가 그의 시이트로 부터 먼쪽으로 이동할 때 작은 부가 면적만이 고압 유체에 노출되어, 밸브가 그의 상승 (lift-off)압력에 도달된 때 너무 신속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압력이 상승 압력 아래로 하강한 때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서유 사부품은 유사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1도-제4도는 밸브 몸체(10)이 통상의 방식으로, 유압펌프와 같은 공급원으로 부터 유체를 수용하는 Y형 도입 체임버(12)와 유체를 섬프(sump) 또는 저장조롤 송출하기 위한 중앙의 배출체임버(14)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다. 체임버(12) 및 (14)는 밸브몸체(10)의 관통하여 연장하는 원통형 보어(16)내로 개방되어 있고, 그 보어는 다수의 흐름 체임버들과 연통하여 있다. 제1 환상 실린더체임버(18)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16)주위에서 도입 및 배출 체임버(12)(14)의 좌측으로 연장하여 있고, 제2의 환상 실린더 체임버(20)이 보어(16)주위에서 체임버(12)(14)의 우측으로 연장하여 있다. 환상의 실린더 배출 체임버(22)가 보어(16)주위에서 실린더 체임버(18)의 좌측으로 연장하여 있다. 유사하게, 제2의 환상 실린더 배출 체임버(24)가 보어(16)주위에서 실린더 체임버(20)의 우측으로 연장하여 있다. 배출 체임버(22)(24)는 유체가 자장조(도시안됨)으로 흐르도록 중앙의 배출 체임버(14)와 연결되어 있다.
원통형 보어(16)내에 플런저(26)의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26)의 관통보어(28)은 각 단부에서 1쌍의 나사 캡(30)(3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캡(32)는 통상의 방식으로 적당한 밸브 작동기 기구에의 부착을 위한 수단(34)를 포함한다. 캡(30)은 밸브가 그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로 부터 해방된 때 제1도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 그 밸브를 재배시키는 통상의 복동식 복귀 기구(36)과 협동한다. 1한쌍의 저압 시일(seal)(38,40)이 밸브 조립체의 외부로 플런저(26)을 지나 누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상의 방식으로 밸브 몸체(10)내에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26)은 중앙의 원주 랜드(land)(42); 좌측의 원주랜드(44); 및 우측의 원주 랜드(4)을 포함하고, 그들 랜드 모두는 다소의 누출을 허용하면서 미끄럼 운동하도록 보어(16)내에 꼭맞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때, 펌프로부터 체임버(12)로 들어가는 유체가 밸브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하여 배출 체임버(14)로 흐르고, 반면에 보어(16)을 따른 흐름은 보어와 랜드(44) 및 (46)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실린더 체임버(18) 및 (20)은 통상의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8)과 언통하여 있다. 그 조립체(48)은 실린더(50), 피스톤(52) 및 피스톤 로드(54)를 포함하며, 그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50)의 밖으로 연장하여 있다. 실린더(50)의 피스톤 로드쪽 단부는 압력 라인(56)을 통하여 실린더 체임버(18)과 연통하여 있고, 실린더(50)의 헤드쪽 단부는 라인(58)을 통하여 실린더 체임버(20)과 연통하여 있다. 랜드(44) 및 (46)이 체임버(18) 및 (20)으로 부터의 흐름을 방지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54)에 의해 지지된 하중(60)은 재위치에 유압적으로 고정유지 된다.
제2도는 하중(60)을 상승시키기 위해 플러저(26)이 우측으로 이동된 제1도 밸브를 나타낸다. 플러저(26)의 내에서 좌측 카운터보어(couter bore)(62)내에 하중 첵크 피스톤(64)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면, 그 첵크 피스톤은 카운터보어(62)의 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밸브 시이트(68)과 접촉하도록 스프링(66)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다. 플런지(26)이 하중을 상승시키도록 위치된 때 하중 첵크 피스톤(64)는 실린더 체임버(18)로 부터 다수의 반경방향통로(70)을 통하여 플러저의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그 통로(70)의 실린더 체임버와 연통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플런저(26)의 벽에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6)의 우측단부의 우측 카운터보어(72)내에 하중 첵크 피스톤(74)가 수용되어 있다. 그 피스톤(74)는 카운터보어(72)의 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밸브 시이트(78)과 접촉하도록 스프링(78)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 있다. 플러저(26)이 하중을 상승시키도록 위치된 때, 유체는 실린더 체임버(20)으로 부터 다수의 반경방향 통로(84) 및 (80)을 통해 배출 체임버(24)로 흐르게 된다 그 통로(84) 및 (80)은 각각 실린더 체임버(20) 및 실린더 배출 체임버(24)와 연통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플러저의 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랜드(42) (44) 및 (46)은 도입 체임버(12)로 부터 배출체임버(14)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지만, 플런저(26)의 벽에 형성된 다수의 반경방향 연장 통로(82)는 유체가 도입 체임버(12)로 부터 플런저(26)의 내부로 그리고 하중 첵크 피스톤(64)를 지나고 반경방향 통로(70)을 통하여 환상 실린더 체임버(18)로 흐르고 다음, 라인(56)을 통하여 실린더(50)의 로드쪽 단부로 흐르게 하여 피스톤(52) 및 하중(60)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하중첵크 피스톤(64)를 개방시키는 압력은 스프링(66)의 탄성율 및 압축도에 좌우된다. 동시에, 피스톤(52)의 수축측의 실린더(50)에서 나오는 유체는 라인(58)을통하여 환상의 실린더 체임버(20)으로 흐르고 다수의 반경방향 통로(84)를 통과 한다.
그 통로(84)는 플런저(26)의 벽을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 플런저가 하중을 들어올리도록 배치된 체임버(20)과 연통한다. 다음 통로(84)에서 나온 유체는 하중 첵크 피스톤(74)를 지나고 반경방향통로(80)을 거쳐 실린더 배출 체임버(24)로 흐르고, 그 체임버로 부터 자장조로 복귀한다. 하중 첵크 피스톤(74)의 개방 압력도 하중 첵크피스톤(64)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3도는 하중(60)이 중력의 영향하에 하강하거나 또는 펌프의 제어하에 하강하기 위해 플런저(26)이 좌측으로 이동된 제1도 밸브를 나탄낸다. 이 위치에서, 랜드(42),(44) 및 (46)은 도입 체임버(12)로 부터배출 체임버(14)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지만, 반경 방향 통로(84)는 유체가 도입 체임버(12)로 부터 플런저(26)의 내부로 그리고 하중 첵크 피스톤(74)를 지나고 반경 방향 통로(80)을 통해 환상 실린더 체임버(20)내로 흐는다음, 라인(58)을 거쳐 실린더(50)의 헤드쪽 단내부로 흐르게 한다. 그 실린더의 단부의 체적은 하중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팽창한다. 동시에, 실린더(50)의 로드쪽단부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라인(56)을 통하여 환상 실린더 체임버(18)로 들어가고 반경방향 통로(82)를 통하고 하중 첵크 피스톤(64)를 지나 반경방향 통로(70)를 통과하게 된다. 그 통로(70)로부터 유체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응 슬리이브 첵크 밸브(86)로 들어간다.
그 첵크 밸브(86)이 제4도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 도면에서 그 첵크 밸브는 플런지(26)이 중립위치에 있는 때로 나타내어져 있다. 카운터보어(88)이 밸브 몸체(10)에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배출 체임버(22)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있다. 얇은 벽의 원통형 밸브 가이드(90)이 카운터 보어(88)의 환상 저부 표면(92)상에 착좌되어 있다. 그의 외측 단부에서 가이드(90)은 반경반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렌지(94)를 가지고 있고, 그 플렌지는 카운터 보어(88)의 측벽들에 접촉 결합된다. 가이드(90)은, 그에 작용하는 높은 압력의 유체에 감응하여 일어날 수 있는 봐 같이 그 가이드가 저압시일(38)과 접촉하도록 카운터보어(88)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운터보어(88)내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시입 랜드(96)이 가이드(90)에 제공되어 가이드와 플런저(26)사이에 미끄럼 운동하는 시일을 형성한다. 다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98)들이 플렌지(94)와 랜드(96)사이에서 가이드(90)가 벽에 형성되어 랜드(96)을 통한 누출 유체가 배출 체임버(22)를 통해 저장조로 복귀되게 한다. 환상 표면(92)상에 얹혀 있는 가이드(90)의 단부에 다수의 반경 방향연장 흐름통로(100)이 형성되어 있고, 그 통로들은 플런저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하강시키도록 배치된 때 플런저(26)의 반경방향 통로(70)과 연통한다. 얇은 벽을 가진 원통형의 밸브소자(102)가 밸브 가이드(90)의 외측에 밸브 소자(10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이드(90)의 내측 작경부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밸브 소자를 배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카운터 보어(104)가 밸브 소자(102)의 시이트 단부에 제공되어, 환상피스톤 표면(106)이 밸브 소자의 내측 직경부상에 형성되게 한다.
반경방향 통로(70)을 통하여 밸브소자(102)에 도달한 유체의 압력은 환상 피스톤 표면(106)에 작용하여 밸브를 개방시키고 유체가 반경방향통로(100)을 통하여 흐르게 한다. 좁은 환상의 착좌 표면(108)이 밸브소자(102)상에 형성되어 있고, 밸브가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 있을때 표면(92)에 지탱된다. 표면(108)의 반경방향 폭, 즉 그 표면의 면적은 밸브소자(102)의 외측 직경부상에 데이퍼부(110)을 형성함에 의해 취소로 유지된다. 그리하여, 단부표면(108)이 착좌 표면(92)로 부터 먼쪽으로 이동할 때 작은 부가표면 만이 밸브르 개방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유체에 노출된다. 그리하여 밸브가 소망의 압력에서 신뢰성 있게 개방 및 폐쇄된다. 표면(92)와 접촉하도록 밸브 소자를 바이어스시키고 소망의 압력이 통로(70)내에서 발생될 때까지 통로(100)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반경 방향 플렌지(94)와 밸브소자(102)의 타단부사이에 스프링(112)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제3도에서, 반경방향 통로(82)를 통해 플런저(26)의 내부로 통과하는 유체 억시 플런저의 중앙부에 배치된 재생 제어밸브(114)에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카운터 보어(116)이 재생 첵크 피스톤(118)을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플런저(26)에 형성되어 있다. 그 피스톤(118)은 카운터 보어(116)의 저부에 형성된 환상의 밸브 시이크(122)와 접촉하도록 스프링(120)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있다. 밸브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하강시키도록 배치된 때 도입 체임버(12)와연통하도록 랜드(42)와 (44)사이에서 플런저(26)에 다수의 반경방향 통로(124)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 통로(124)는 또한 첵크 피스톤(118)에 형성된 내부 통로(126)과도 연통되어 있고, 그 통로(126)은 피스톤(118)과 피스톤(130) 사이에 형성된 압력 체임버(128)과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130)은 카운터 보어(116)내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은 밸브 시이크(122)와 접촉하도록 첵크 피스톤(118)을 바이어스 시킬뿐만 아니라, 카운터보어(116)의 우측단부를 폐쇄하는 나사플러그(132)와 접촉하도록 피스톤(130)얼 바이어스시킨다. 통로(134)가 랜드(42)와 (46)사이에서 플런저(26)의 벽에 관통 연장하여 피스톤(130)의 우측의 작은 압력 체임버와 연통하여 있고 그리하여 그 작은 압력체임버는 밸브가 제3도에 도시된 보아 같이 배치된때 저장조내의 압력으로 그리고 밸브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때는 펌프의 압력으로 유지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도- 제4도에 도시된 타입의 밸브의 한가지 목적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신장측내 유체의 캐비테이숀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비교적 높은 압력의 유체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 비교적 낮은 압격의 신장측으로, 펌프에 의해 송출되는 유체에 대한 보충물로서 제공된다. 밸브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때 하중(60)의 하향운동은 실린더 체임버(18)및 반경방향 통로(82)를 통해 플런저(26)내에서 작용하는 압력을 상승시켜 첵크 피스톤(64) 및 재생 첵크 피스톤(118)이 높은 압력을 받게 한다. 가볍게 바이어스된 첵크 피스톤(64)가 개방되어 유체가 밸브(86)의 환상의 피스톤표면(106)에 작용하고 밸브소자(102)가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좌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하여 유체가 배출 체임버(22)를 통하여 저장조로 흐르게 허용된다. 그런, 반경방향통로(100)을 통한 흐름이 비교적 제한을 받기 때문에, 상당한 배압이 플항저(26)내에서 발생하여 재생 첵크 피스톤(118)에 작용한다. 이 압력이 스프링(120)의 힘과 체임버(128)내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결합된 힘보다 큰때, 재생 첵크 밸브(118)이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유체가 재생 첵크 피스톤(118)을 지나고 통로(124), 도입 체임버(12), 통로(84), 첵크 피스톤(74), 통로(80), 환상 체임버(20), 라인(58)을 통하여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8)의 신장측내로 들어간다. 펌프의 용량이 도입 체임버(12)내에 비교적 높은 압력을 유지하는데 적당한 경우에는 첵크, 피스톤(118)이 페쇄된 채 유지되지만, 체크 피스톤(64) 및 밸브(86)은 개방되어 유체가 저장조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제5도-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타입의 압력 감응 슬리이브 슬리이브 첵크 밸브(86)을 가진 다른 타입의 제어 밸브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밸브 몸체(10)은 하중 첵크 밸브(138)을 통하여 도입 체임버(140)과연통하는 중앙의 도입체임버(136)을 가지고 있다. 도입 체임버(140)은 보어(16)과 연통하는 좌측아암(142)와, 역시 보어(16)과 연통하는 우측 아암(144)를 가지고 있다. 좌측 배출 체임버(146) 및 우측 배출 체임버(148)이 도입 체임버(13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 도는 스풀(150)이 보어(16)내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러저(150)의 중앙 랜드(152)는 제5도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서 도입 체임버(136)으로 부터 배출 체임버(146)(148) 로 유체가 흐르게 한다.
중앙 랜드(152)의 좌측의 외측랜드(154)는 유체가 실린더 체임버(18)로 부터 배출체임버(2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내측 랜드(156)은 도입 체임버(140)으로부터 실린더 체임버(18)로의 흐름을 방지한다. 중앙랜드(152)의 우측에서 내측 랜드(158)은 도입 체임버(140)으로 부터 실린더 체임버(20)으로의 유체에 흐름을 방지하며 외측 랜드(160)은 실린더 체임버(20)으로 부터 배출 체임버(24)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한다. 그리하여, 펌프로부터의 흐름은 직접 저장조로 가고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8)은 유압적으로 저정 유지된다.
제6도는 플러저(150)이 하중(60)을 상승시키기 위해 우측으로 이동된 제5도 밸브를 나타낸다. 이경우, 펌프로 부터의 유체는 도입체임버(136), 첵크 밸브(138), 체임버(140), 통로(142), 랜드(154)와 (156) 사이, 실린더 체임버(18), 라인(56)을 통하여 실린더(50)의 로드쪽 단부로 들어가서 하중을 들어올린다. 동시에, 실린더(50)의 헤드쪽 단부에서 나온 유체는 라인(58), 실린더 체임버(20). 랜드(158)과 (16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 체임버(24)로 들어간다.
제7도는 플런저(150)이 하중(60)을 하강시키기 위해 좌측으로 이동된 때의 제5도 밸브를 나탄낸다. 막힌 보어(162)가 플런저(150)의 조자측 단부내로 연장하여 있고 다수의 반경방향 통로(164)와 교차하여 있다. 그 통로(164)는 플런저가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통로(142)와 연통한다. 보어(162)의 좌측단부의 카운터보어(166)내에 재생 첵크 밸브 피스톤(198)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그 피스톤(168)은 반경방향 통로(70)의 우측에서 카운터보어(166)의 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착좌 표면(172)와 접촉하도록 스프링(170)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피스톤(168)은 중공이고 그의 우측 단부를 관통하는 흐름 통로(174)를 가지고 있다. 그 흐름 통로는 통로(142)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밸브피스톤(168)의 양측부에 작용하도록 한다. 착좌 표면(172)의 좌측에서 피스톤(168)외측으로 연장하는 반경방향 피스톤 표면(176)을 형성하는 소직경 부분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 표면(176)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48)의 수축부로부터 라인(56), 실린더 체임버(18), 랜드(154)와 (156)사이 공간 및 반경 방향 통로(70)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받는다.
하중(6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실린더(50)의 헤드쪽 단부내 및 막힌보어(162)내에서 작용하는 압력은 스프링(170)의 힘과 첵크 밸브(168)에 작용하는 압력의 복합된 힘이 반경방향 연장 피스톤 표면(176)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작게되도록 하는 수준까지 하강한다. 이것이 일어날 때, 첵크 밸브(168)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체임버(18)로부터 유체가 보어(162) 및 통로(164)를 통하여 도입 체임버(140)내로 흐르고 다음 실린더 체임버(20) 및 라인(58)을 통하여 실린더(50)의 신장측으로 들어가고 그리하여 캐이테이숀를 방지한다. 물론, 펌프의 용량이 보어(162)내에 비교적 높은 압력을 유지하는데 적당한 경우에는, 첵크 밸브(168)이 도시된 페쇄 위치에 유지되고 실린더(50)의 수축측으로 부터의 유체의 흐름이 첵크 밸브(102)를 그의 개방 위치에 유지시켜 저장조로 유체가 흐르게 한다.

Claims (9)

  1. 원통형보어를 가진 밸브몸체, 외부 공급원으로 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보어의 연통하여 밸브 몸체내에 형성된 거어도 하나의 도입체임버, 외부 저장조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보어와 연통하여 밸브 몸체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체임버, 외부의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일측부로 유체를 송출하고또한 그 측부로부터 유체를 받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보어와 연통하여 밸브몸체내에 형성된 제 1 실린더 체임버, 상기 외부의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타측부로 유체를 송출하고 그 측부로 부터 유체를 받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보어와 연통하여 밸브 몸체내에 형성된 제2 실린더체임버, 상기 도입 및 배출 체임버들과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체임보와 작동적으로 연관하여, 상기 도입 체임버로 부터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체임버들 중 하나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1 수단과, 상기 제 1및 제2 실린더 체임버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배출 체임버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제2수단 및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의 고압 유체를 받는 상기 실린더 체임버들중 하나로 부터 상기 조립체의 신장측으로 비교적 낮은 압력의 유체를 송출하는 상기 실린더 체임버들중 다른 하나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체임버들 사이의 소정의 압력차에 감응하여 작동하는 제3 수단을 제공하도록 상기 보어내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플런저, 및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 상기 제2수단을 거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체임버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와 별도로 상기 밸브 몸체내에 설치된 압력 감을 밸브 수단으로 구성된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 밸브 수단이, 상기 플러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수단으로 부터 배출체임버로 유체가 흐르게 하기 위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는 수단, 밸브 가이드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원통용밸브 소자, 상기 유체가 상기 통로를 거쳐 배출 체임버로 흐르게 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 대하여 상기 밸브 소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복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축측으로 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감응하는수단, 및 상기 밸브 소자에 접촉 결합하기 위한 환상의 밸브 시이트를 포함하는 복동피스톤-실린더의 조립체용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 원통형의 밸브 소자상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피스톤 표면을 포함하는 복동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밸브 시이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밸브소자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제어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둘러싸는 시일을 포한하고, 상기 플러저를 둘러싸는 상기 수단 이상기 시일에 과압이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려저와의 사이에 시실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돌출한 랜드를 가진 얇은 벽의 위통형 밸브 가이드를포함하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지나는 누출 유체를 저장조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내측으로 돌출한 랜드와 상기 시일수단 사이에서 밸브 가이드를 관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통로를 포함하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밸브 소자가 상기 밸브가이드의 외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밸브 소자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밸브 소자가 상기밸브 시이트에 게합하는 그의 단부에서 원주적으로 데이퍼져 있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제어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소자가 그의 외측 표면에서 테이퍼져 있는 복동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KR1019830000885A 1982-03-05 1983-03-04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KR850000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5006 1982-03-05
US06/355,006 US4434708A (en) 1982-03-05 1982-03-05 Control valve for double-acting piston and valve assemblies
US355066 1982-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33A KR840004233A (ko) 1984-10-10
KR850000832B1 true KR850000832B1 (ko) 1985-06-15

Family

ID=2339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885A KR850000832B1 (ko) 1982-03-05 1983-03-04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34708A (ko)
EP (1) EP0088406B1 (ko)
JP (1) JPS58163802A (ko)
KR (1) KR850000832B1 (ko)
AU (1) AU556403B2 (ko)
CA (1) CA1180637A (ko)
DE (1) DE337433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81519B (en) * 1985-10-04 1989-11-29 Michael David Baxter Spool valve
US4840111A (en) * 1986-01-31 1989-06-20 Moog Inc. Energy-conserving regenerative-flow valves for hydraulic servomotors
GB2199115A (en) * 1986-11-27 1988-06-29 Michael David Baxter Spool valve
US5083428A (en) * 1988-06-17 1992-01-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Fluid control system for power shovel
GB9813660D0 (en) 1998-06-24 1998-08-26 British Aerospace Actuator system for aerospace controls and functions
JP2000170707A (ja) * 1998-12-02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方向切換弁装置
DE10004905C2 (de) * 2000-02-04 2002-10-24 Orenstein & Koppe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Hubzylinders insbesondere von Arbeitsmaschinen
KR100680841B1 (ko) * 2005-12-06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매뉴얼 밸브
US9273664B2 (en) * 2011-02-18 2016-03-01 Parker Hannifin Corporation Hydraulic control valve for a one-sided operating differential cylinder having five control edges
EP3128216B1 (en) * 2015-08-07 2019-03-13 Claverham Limited Hydraulic valve
JP6991752B2 (ja) * 2017-06-30 2022-01-1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アンチキャビテーション油圧回路
US11053958B2 (en) * 2019-03-19 2021-07-06 Caterpillar Inc. Regeneration valve for a hydraulic circuit
CN113738635A (zh) * 2021-09-15 2021-12-03 北京华德液压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柱塞式液压泵的柱塞结构及包括其的柱塞式液压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559A (en) * 1959-05-12 1965-07-20 Parker Hannifin Corp Spool valve assembly
US2954011A (en) * 1959-06-25 1960-09-27 Cessna Aircraft Co Pressure fluid control system and valve
US3215160A (en) * 1962-12-28 1965-11-02 New York Air Brake Co Valve
US3459219A (en) * 1967-10-20 1969-08-05 Gen Signal Corp Regenerative valve plunger
US3642027A (en) * 1970-01-09 1972-02-15 Parker Hannifin Corp Directional control valve
JPS5714751Y2 (ko) * 1978-09-20 1982-03-26
JPS56124704A (en) * 1980-03-07 1981-09-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Regenerating circuit in fluidic pressure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74330D1 (en) 1987-12-10
CA1180637A (en) 1985-01-08
KR840004233A (ko) 1984-10-10
JPH0243042B2 (ko) 1990-09-27
EP0088406B1 (en) 1987-11-04
US4434708A (en) 1984-03-06
AU556403B2 (en) 1986-10-30
EP0088406A2 (en) 1983-09-14
EP0088406A3 (en) 1984-04-18
JPS58163802A (ja) 1983-09-28
AU1169083A (en) 198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832B1 (ko) 복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용 제어 밸브
US5771931A (en) High pressure wear resistant pilot valve
US6848473B2 (en) Low leak boom control check valve including an insert
US4026523A (en) Hydraulic jacks
US5391002A (en) Hydrostatic radial pocket bearing for a servo cylinder
PL121567B1 (en) Overpressure valve in particular for hydraulic members of a roof support used in underground minesvlicheskikh ehlementov krepi v shakhtakh
US5349894A (en) Locking hydraulic actuator
CA2020924C (en) Logic valve
FI63177C (fi) Hydraulisk slaganordning
US3913613A (en) Safety valve
US4291718A (en) Pressure valve
JPH0536356B2 (ko)
JPH05133404A (ja) 保圧弁
US3971551A (en) Shock absorber
US3817276A (en) Self-aligning relief valve
US5540258A (en) Holding check control valve
US4197878A (en) Hydraulic valve
JP3635787B2 (ja) 油圧シリンダ
JPH10141323A (ja) 油圧シリンダ
US3003469A (en) Portable hydraulic actuator for a welding gun
JP2782188B2 (ja) パイロットチェックバルブ
CN109099023B (zh) 平衡阀
JP3684459B2 (ja) 流量調整弁
JPH0379804A (ja) シリンダ装置
US3942548A (en) Fluid contro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