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269B1 -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269B1
KR850000269B1 KR1019810002233A KR810002233A KR850000269B1 KR 850000269 B1 KR850000269 B1 KR 850000269B1 KR 1019810002233 A KR1019810002233 A KR 1019810002233A KR 810002233 A KR810002233 A KR 810002233A KR 850000269 B1 KR850000269 B1 KR 85000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urface roughness
abrasive
tap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사또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도시히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도시히요시 filed Critical 티디케이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1Clean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to the layer
    • G11B5/708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addition of non-magnetic particles to the layer non-magnetic abrasive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13Metal or metal comp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609Particulate metal or metal compound-containing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제1도는 표면 조도를 변수로 한때의 연마제 첨가량과 크리닝 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동일한 표면 조도를 변수로 한 때의 연마제 첨가량과 헤드 마모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자기 기록장치의 자기 헤드를 크리닝하기 위한 크리닝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자기 테이프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자기 헤드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의 자성층의 일부가 깎여져서 이것이 헤드 표면에 부착한다. 이 깎인 이물이 헤드의 홈부에 부착하면 화질이나 음질이 열화되며 나아가서는 기록, 재생이 불능하게 되는 소위 헤드 막힘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이 자기 헤드에 부착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크리닝 테이프가 쓰여지는 것인데 종래의 크리닝 테이프는 지지체 상에 화지(和紙) 또는 양지를 발라 부친것, 또는 연마제를 바인더에 함유시키고 이것을 지지체 상에 도포함하여서 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것에 있어는 자성층을 구성하는 바인더가 극히 점착력이 강한 물질이므로 크리닝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으며 또 몇번 사용하면 종이의 섬유가 절단되어 이 섬유 부스러기가 자기 테이프에 부착하므로 테이프와 헤드 사이의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드롭 아우트(재생 신호의 결제)가 발생한다. 또 후자의 연마제로써된 크리닝 테이프에 있어는 크리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굳은 연마제를 사용하면 헤드면에 손상이 생기며 이를 방지하려고 하면 크리닝 효과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크리닝 효과의 고양과 헤드면의 손상 방지의 양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정이 극히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크리닝 테이프가 갖는 결점을 제거함을 목적으로 하여 크리닝층을 산화철에 모오스 경도(Mohsscale) 6이상의 연마제를 첨가하여 형성하여 이 연마제의 산화철에 대한 함유 중량 비율을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와 연관 지어 설정함으로써 헤드 마모가 적고 그러면서도 큰 크리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크리닝 테이프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즉,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가 0.5㎛미만의 경우 헤드에 부착한 이물을 연마하기에는 너무도 지나치게 평활하여 연마제를 다량으로 첨가하여도 크리닝 효과는 극히 적으므로 표면 조도를 0.5㎛ 이상으로 함으로써 크리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연마제량을 일정하게한 경우에 표면 조도가 커짐에 따라 상승적으로 증대한다. 그러나 헤드 마모는 역으로 표면 조도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또 표면 조도를 일정하게한 경우, 연마 제량을 증가할수록 크리닝 효과는 발휘되지만 반면 헤드 마모의 증대를 가져온다. 이와같은 헤드 마모와 크리닝 효과에 대한 작용이 다른 표면 조도와 연마제량의 2개의 인자를 이용하여 그 수치를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크리닝 작용을 개선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체상에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에 모오스 경도 6이상의 연마제를 함유 하여서된 크리닝층을 표면 조도 0.5㎛-5㎛로 형성한 크리닝 테이프로서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가 0.5㎛이상 1㎛미만의 범위에 있어는 산화철에 대한 연마제의 함유 중량 비율을 3%-40%로 설정하고, 표면 조도가 1㎛이상 2㎛미만의 범위에 있어는 연마제의 함유중량 비율을 0.5%-20%에 설정하고 또 표면 조도가 2㎛이상 5㎛미만의 범위에 있어는 연마제의 함유 중량 비율을 0.3%-10%에 설정하여 대략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가 증대함에 따라서 산화철에 대한 함유 중량비율이 대략 저하하도록 각각 조정한다.
즉,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가 0.5-1㎛미만에서는 연마제와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크리닝 효과는 충분히 인정되지만 효과가 비교적 적으므로 충분한 크리닝 효과를 얻으려면 연마제의 함유 비율은 최저 3%이상을 요한다. 그러나 이 비율은 헤드 마모를 고려하면 40%이하로 억제함이 필요하다.
표면 조도 1㎛-2㎛미만에서는 표면의 요철에 의한 크리닝 효과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연마제의 함유 비율은 적게 하며 실용적으로는 0.5%부터 유효 크리닝 효과를 발휘한다. 이 경우 헤드 마모를 고려하여 함유비율을 최대 20%로 함이 필요하다.
또 표면 조도가 2㎛-5㎛의 범위에서는 표면의 요철에 의한 크리닝 효과가 극히 커지기 때문에 첨가 연마제는 소량으로 족하나 너무 소량이면 크리닝 도포막의 분탁이 발생하므로 실용적으로는 최저 0.3%는 필요하다. 단 헤드 마모를 고려하면 이 범위에서는 연마제 함유 비율은 10%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연마제의 첨가량과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와의 수치 조정을 함으로써 헤드 손상을 방지하면서 연마제 첨가에 의한 효과와 표면 조도에 따른 효과가 상승적으로 크리닝 효과를 높이고 있다.
다음에 실험 데이터에 의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Fe3O4…400 중량부, 카아본…20중량부, 페녹시수지(UCC사제 PKHH)…50중량부, 우레탄 엘라스트머(긋리치사제에스텐 5703)…50 중량부, 윤활제…3 중량부, 메틸에틸케톤…6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200중량부로써 된 자성분(磁性紛)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α-Al2O3, WA+8000을 여러가지의 비율로 첨가하여 크리닝 도료로서 이에 이소시아네 이트계 경화제를 첨가 후 폴리에스테르필름 상에 약 5㎜의 두께로 도포한다. 또 도포한 테이프를 스퍼칼렌더(Super­calender)에 의하여 표면 조도를 여러가지 변화 시켜서 상이한 표면 조도와 연마제량의 여러가지의 조합의 크리닝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1도 및 제2도는 표면 조도를 변수로 한 때의 연마제 첨가량과 크리닝 효과 및 헤드 마모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의 크리닝 효과는 VTR 헤드에 강제적으로 헤드막힘을 일으키고 이에 제작한 크리닝 테이프를 걸고 출력이 회복되는데 걸린 시간을 나타냈다. 크리닝 효과에 대하여는 약 30초 이내에 출력이 회복되면 충분하지만 바람진하기는 15초이내에 회복함이 바람직하다.
또 헤드 마모는 크리닝 테이프 10m를 반복하여 100회 사용한 후의 마모량을 나타낸 것인데 이 마모량에 대하여는 실용상 약 10㎛이내/100파스 이면 족하며, 바람직하기는 5㎛이내/100파스로 억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표면 조도는 일본 고사까 연구소제 표면조사계 모델 SE-3C 픽업 DJ을 사용하여 측정한 치이며 피이크-피이크의 치로써 나타났다.
이 데이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표면 조도 0.3㎛의 것은 연마제의 량을 늘려도 크리닝효과는 그다지 올라가지 않는데 대하여 표면 조도가 0.5㎛-1㎛미만에서 연마제량 3%이상, 바람직하기는 5%이상 1㎛-2㎛미만에서 0.5%이상 바람직하기는 1%이상, 2㎛-5㎛에서 0.3%이상에서 뛰어난 크리닝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헤드의 마모를 고려하면 연마제의 량을 0.5㎛-1㎛미만에서 40%이하 바람직하기는 30%이하, 1㎛-2㎛미만에서 20%이하 바람직하기는 7%이하, 2㎛-5㎛에서 10%이하 바람직하기는 5%이하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의 크리닝 도료용 조성물에 있어 α-Al2O3에 대신하여 모오스 경도 6이상의 연마제 예를들면 Cr2O3, SiC, TiO2, ZrO2, α-Fe2O3을 사용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거의 같은 결과가 인정되었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칼렌더에 의하여 표면 조도를 여러가지 변화 시켰으나 도료 제조 공정에 있어의 분산조건 및 도포 조건 등에 따라서 표면 조도를 바꿔도 거의 같은 효과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 크리닝 도료용 조성물에 있어 페녹시 수지에 대신하여 일반으로 자기 테이프용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수지 예를들면 염화 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 에스테르 수지, 니트로셀루로오즈 등을 사용하여 같은 크리닝 테이프를 작성하였으나 표면조도와 연마제 첨가량이 헤드 마모 및 크리닝 효과에 주는 수치는 실시예 1과 거의 같았다.
또 실시예 1에 있어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소계 크리닝 테이프를 제작하였는데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의 소성 변형에 따라서 크리닝 효과의 내용회수가 약간 적어진 점을 제외하고는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의 크리닝 도료 조성물에 있어 Fe3O4에 대신하여 α-Fe2O3, Co 함유 Fe2O3등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의하반 코리닝 테이프를 제작하영는데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크리닝 테이프에 의하면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와 연마제의 함유 중량비를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상대방의 상승적 크리닝 효과를 발휘하면서 또 헤드 마모를 적게하게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에 모오스 경도 6이상의 연마제를 함유하여서된 크리닝층을 표면 조도0.5㎛-5㎛로써 지지체상에 형성할 때 그 크리닝층의 표면 조도를 증대함에 반비례 시켜서 연마제의 산화철에 대한 함유 중량비율을 0.3%-40%로써 대략 저하하도록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 자기 기록장치용 크리닝테이프.
KR1019810002233A 1980-06-20 1981-06-19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KR850000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83660 1980-06-20
JP8366080A JPS578917A (en) 1980-06-20 1980-06-20 Cleaning tape for magnetic reco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69B1 true KR850000269B1 (ko) 1985-03-14

Family

ID=1380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233A KR850000269B1 (ko) 1980-06-20 1981-06-19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379800A (ko)
JP (1) JPS578917A (ko)
KR (1) KR850000269B1 (ko)
DE (1) DE3123832A1 (ko)
GB (1) GB2078433B (ko)
HK (1) HK67985A (ko)
NL (1) NL1889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314U (ja) * 1984-05-01 1985-11-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クリ−ニングテ−プ
JPS61123012A (ja) * 1984-11-20 1986-06-10 Fuji Photo Film Co Ltd クリ−ニングテ−プ
JPH06101102B2 (ja) * 1985-03-30 1994-12-12 ソニー株式会社 クリ−ニングデイスク
JPH0736210B2 (ja) * 1985-05-15 1995-04-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ニングテ−プ
JPS62199364A (ja) * 1986-02-27 1987-09-03 Fuji Photo Film Co Ltd 研磨テ−プ
JPH0626006B2 (ja) * 1987-03-25 1994-04-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研磨テ−プ
JPH01252366A (ja) * 1988-04-01 1989-10-09 Tdk Corp ラッピングテープ
DE4022221A1 (de) * 1990-07-12 1992-01-23 Basf Magnetics Gmbh Magnetband mit schleifmittel
US5846270A (en) * 1998-04-06 1998-12-08 Feygin; Savva Magnetic-abrasive pow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520A (en) * 1974-11-29 1976-08-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gnetic head cleaning tape and method
JPS5377612A (en) * 1976-12-21 1978-07-10 Fuji Photo Film Co Ltd Cleaning tape for magnetic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123832C2 (ko) 1990-11-15
GB2078433A (en) 1982-01-06
GB2078433B (en) 1984-04-26
HK67985A (en) 1985-09-13
NL188921C (nl) 1992-11-02
NL8102787A (nl) 1982-01-18
JPS633368B2 (ko) 1988-01-23
DE3123832A1 (de) 1982-03-04
US4379800A (en) 1983-04-12
JPS578917A (en) 198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131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KR850000269B1 (ko) 자기기록 장치용 크리닝 테이프
JPH0481256B2 (ko)
US5387457A (en) Abrasive tape and method for polishing magnetic heads
US4397911A (en) Cleaning tape
JPS63259830A (ja) 磁気記録媒体の製法
JPH02193313A (ja) 磁気記録媒体
JPH0473216B2 (ko)
JPS6237447B2 (ko)
US5094904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037973B2 (ja) 磁気記録体
JPH0573550B2 (ko)
JPS6057130B2 (ja) 重層磁気記録テ−プの製法
JPS6222170B2 (ko)
US5482762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049451B2 (ja) 研磨テ−プ
JP2877118B2 (ja) 磁気記録媒体
KR900000012B1 (ko) 자기기록 테이프의 제조방법
JPS63181120A (ja) 磁気記録媒体の研磨装置
JPS63181119A (ja) 磁気記録媒体の研磨装置
JPS61182630A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05314452A (ja) 磁気テープ用リーダーテープおよびトレーラーテープ
JPH04137220A (ja) 磁気記録媒体
JPH0541058A (ja) テ−プカセツト
JPS62114880A (ja) 研磨テ−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