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141B1 -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141B1
KR850000141B1 KR1019810001539A KR810001539A KR850000141B1 KR 850000141 B1 KR850000141 B1 KR 850000141B1 KR 1019810001539 A KR1019810001539 A KR 1019810001539A KR 810001539 A KR810001539 A KR 810001539A KR 850000141 B1 KR850000141 B1 KR 85000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ing
solder
lead wire
soldering method
patch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031A (ko
Inventor
세이끼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히고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히고 이찌로오 filed Critical 신닛뽄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141B1/ko
Publication of KR83000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제1도는 종래의 2회 납땜 처리 방법에 있어서의 납땜 접합장치의 개략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납땜 처리 방법에 있어서의 납땜 접합장치의 개략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처리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을 사용한 경우의 납땜디프 후의 배선체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배선체를 완성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환형단자를 사용한 배선체에 있어서의 완성후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부품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특히리이드선을 보유하는 전자부품 배선체에 있어서의 납땜 처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리이드선이 부착된 전자 부품을 배선하는 방법으로서 적당한 기판, 예컨대 프리니트 기판을 부품 보전 지지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기판 보전지지체의 사용은 전자부품의 삽입배치나 납땜 처리를 자동화합에 있어서 필수요건이나, 이 기판 보전지지체는 지그(Jig)로서 이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자동 납땜 접합 공정은 소정된 위치에 삽통공을 보유하는 프린트 기판과 소정의 결합 장입된 부품을 준비한 후,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콘베이어식으로서 행해진다.
즉, 프린트 기판(1)에 비교적 긴 리이드선(2)을 보유하는 전자부품(3)을 소정된 위치에 삽통 배치하여서 콘베이어(4)에 화살표와 같이 공급한다. 콘베이어(4)는 공급된 프린트 기판(1)을 1차 플럭스 탱크(5)에서 순차로 1차 예비가열로(6), 1차 납땜탱크(7), 1차 냉각기(8), 리이드선 재단기(9), 2차 플럭스 탱크(10), 2차 예비가열로(11), 2차 납땜탱크(12)및 2차 냉각기(13)를 경유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수된다.
이러한 콘베이어 납땜처리 방식은 소위 예비납땜과 본래의 납땜과의 2회의 납땜처리를 행하므로 공정을 복잡화할 뿐 만 아니라, 납땜처리 작업에 있어서의 막대한 에너지의 소비를 초래하여 자원 절감시대에 적합한 방식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서로 접근하여서 배치된 리이드선 사이에 발생되는 납땜 접합에 불량이 생겨서 이것의 수정에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에 비추어 제안된 것이며, 자동납뗌 처리 공정의 개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당한 보전지지체에 결합장입된 다수의 리이드선이 부착된 전자부품이 납땜 처리 공정에서 플럭스 처리, 예비가열, 납땜디프, 리이드선 절단 및 납땜 수정가열의 각 공정을 경유하여 납땜이 완료한 배선체로 된다.
여기에서, 납땜 수정 가열공정은 불필요한 리이드선 부분의 저러단 처리에서 발생되는 납땜의 균열부분이나 납땜이 박리된 것을 부착된 납땜의 제차 용착에 의하여 수정하는 것이며, 특히 프린트 기판을 사용하여 리이드선 사이가 접근한 경우에 발생되는 납땜 접합의 수리를 결한다. 주목하여야 할 것은 종래의 2회 납땜 방식에 비하여 납땜 장치의간소화와 함께, 이 장치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어서 에너지 절감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납땜 작업의 간소화에 의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이 도모되는 동실용적인 효과가 크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바러명에 관한 부품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식을 표시하는 자동납땜 접합장치의 설명도이다. 이 남땜 접함공정에 앞서서, 다수의 삽통공을 설치한 회로부의 품보전지지체, 예컨대 프린트 기판(21)에 다수의 리이드선(22)을 보유하는 전자부품(23)이 삽입배치된 소정의 저너기회로용 조립체(20)가 준비된다. 조립체(20)는 콘베어(24)에 재치되어서 플럭시(25)로서 납땜 처리부분을 플럭스 처리하고, 프리 히이터(26)로서 예비 가열된다. 예비가열된 조립체(20)는 납땜탱크(27)에 의하여 평면법, 분류법 혹은 플로우법 등으로서 납땜 침지하여 납땜 디프 처리된다. 납땜 디프 처리후 불필요한 나머지 리이드선은 절단기(28)로서 절단된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 플럿시(29)로서 플럭스 처리하여 본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납땜 수정 처리는 가열동(30), 바람직하게로는 저거외선 램프를 사용한 가열기로서 절단된 리이드선의 재단면을 가열한다. 이 가열처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걸쳐서 부착된 납땜(31)을 재차 용착시키는 것을 의도한 것이며, 그때 납땜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남겨진 리이드선 부분의 납땜 접합상태를 재차 용착시켜서 수정하는 것이다. 이 가열로 (30)을 경유하여 일련의 압땜 처리가 완성되는 바, 납땜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명원(32)을 설치하여서 검사하게 된다. 완성품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수되어서 자동적으로 납땜 처리를 완료한다. 제2도에 표시하는 납땜 처리공정에 있어서의 특징은 가열로(30)를 서러치하여 종래의 분류식 납땜 디프 공정은 바꾸어 놓은 것인바, 재차 납땜 처리에 비하여 작업을 극히 간소화함과 동시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프린트 기판의 사용할 때에 있어 배선 패턴 사이나 리이드선 사이가 접근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납땜 집합 불량이 이 가열로(30)의 처리로서 수정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제3도 및 제 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프린트 기판(41)을 사용하여서 납땜처리되는 경우, 납땜 디프처리에 의하여 서로 접근하는 전자부품(43)의 리이드선(42)사이 또는 도전펜드(44)에 납땜 접합(45)이 생기고, 절단에 의한 중심선으로부터의 재단후에도 납땜 저항막(46)을 개재하여 납땜 접합이 남게된다.
이와같이 납땜 접합은 본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가열처리공정에 의하여 절단분리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가터이 납땜 부착상태가 수정된다. 이것은 가열처리로서 부착한 납땜이 용해되고, 그 표면장력 의하여 서로 수축되는 작용에 의한 것이며, 납땜 부재의 재차 용착은 절단에 의한 재단면에 발생되는 납땜의 균열이나 박리된 부분도 매꾸어져서 양호한 납땜상태를 얻는다.
따라서, 납땜접함 수정에 대하여 극히 효과적이며, 작업능률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배선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보전지지체에 납땜이 부착되지 않는 성질의 지그판 및 환형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3도의 프린트 기판 대신에 환형단자(50)와 납땜이 부착되지 않는 성질의 지그판(51)이 사용되고 있으며, 환형단자(50)에 삽입된 리이드선(52)이 제2도에 표시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서로 디프 납땜처리에 의해 납땜(55)으로서 결합되어 있다.
즉,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플럭서(25), 프리히이터(26), 납땜텡크(27), 절단기(28)를 경유한 후 필요에 따라서 플럭서(29)또는 납땜 페이스로 도포공정을 경유하여 가열로(30)에서 제차 가열되며, 여기에서 납땜 부착 상태의 수정이 행하여진다. 납땜 디프에 있어서는 용융된 납땜이 표면장력의 작용이 환형단자(50)내로 침입하여서 완전한 결합상태를 얻는 것에 대하여 절단(28)의 공정에서 발생되는 표면쪽 근처의 피착불량 부분의 발생이 본 발명의 특징으로하는 재차 가열공정에서 수정된다. 완성후 지그판(51)이 환형단자(50)에서 제거되어 환형단자(50)를 중계점으로 한 공중배선체가 얻어진다.

Claims (1)

  1. 다수의 삽통공을 보유하는 보지지체(21)에 리이드선(22)이 부착된 전자부품(23)을 그 리이드선을 상기한 삽통공에 삽입하여서 배치하고, 납땜 침지에 의하여 납땜 접합하며, 그후 불필요한 리이드선 부분을 절단하는 공지된 첫번째의 납땜처리를 실시한 후, 계속하여 플럭시 처리와 상기한 첫번째의 리이드선 납땜처리부분을 재가열하여 납땜의 피착상태를 수정처리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KR1019810001539A 1981-05-04 1981-05-04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KR85000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539A KR850000141B1 (ko) 1981-05-04 1981-05-04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1539A KR850000141B1 (ko) 1981-05-04 1981-05-04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31A KR830007031A (ko) 1983-10-12
KR850000141B1 true KR850000141B1 (ko) 1985-02-27

Family

ID=1922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539A KR850000141B1 (ko) 1981-05-04 1981-05-04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1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31A (ko) 198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304A (en) 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US20050161252A1 (en) Method for fitting out and soldering a circuit board, reflow oven and circuit board for said method
CN113068324A (zh) 一种用重熔焊料作为可焊性保护层的制造电路板方法
CN108337821A (zh) 一种电路板的焊接方法
KR19980701441A (ko) 전기 전도성 와이어
KR850000141B1 (ko) 배선체의 납땜 처리방법
EP0104565B1 (en) 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JPH03120789A (ja) プリント配線板への電子部品取付法
JPH07307563A (ja) ハンダ付け装置
US3903581A (en) Method of repairing soldered connections
CN110548948B (zh) 一种含细间距连接器的印制板组件的焊接方法、装置及系统
JPS5854518B2 (ja) 混成集積回路の製作法
US9706694B2 (en) Electronic module produced by sequential fixation of the components
AU2019437513B2 (en) Printed wiring board
JP6503112B2 (ja) はんだ付け修正装置
JPH1022699A (ja) 基板実装方法
JPH09214115A (ja) ファインピッチ部品のはんだコート方法
KR20230171502A (ko) 가요성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방법 및 그에 적합한 지그
JP2597695Y2 (ja) リフロー炉
JPS61168289A (ja) 電気部品を実装したプリント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S61189692A (ja) プリント配線板の回路パタ−ン修正方法
JP2022070305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H06120652A (ja) 電子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半田ディップ槽
CN115361800A (zh) 一种电路板自动焊接方法
JPH06164133A (ja) プリント配線板とこれを用いたはんだ除去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