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082B1 -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 Google Patents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082B1
KR850000082B1 KR1019810001399A KR810001399A KR850000082B1 KR 850000082 B1 KR850000082 B1 KR 850000082B1 KR 1019810001399 A KR1019810001399 A KR 1019810001399A KR 810001399 A KR810001399 A KR 810001399A KR 850000082 B1 KR850000082 B1 KR 85000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tag pin
head
pin assembly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018A (ko
Inventor
마사미 가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스가
마쓰노 이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스가, 마쓰노 이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스가
Publication of KR83000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2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pins, stapl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Separable, striplike plur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6Pin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4691Penetrating portion includes relatively movable structure for resisting extr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제1도는 종래 태그핀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연신된 태그핀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일부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태그핀 조립체의 측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세장부를 신장하기전의 측면도.
제7도는 제3도에서의 화살표 A-A방향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3도에서의 화살표 B-B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횡봉의 접합부를 변형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0도는 횡봉이 다각형 혹은 사각형 단면으로 된 제 1실시예의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테그핀 조립체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태그핀 조립체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서의 화살표 A'-A'방향에서 본 도면.
제14도는 제11도에서의 화살표 B'-B'방향에서 본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일부 정면도.
제16도는 제3 실시예의 횡봉을 만곡 배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분리된 두부를 가지는 태그핀군과 접합된 두부를 가지는 태그핀군을 교대로 배열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일부 정면도.
제18도, 제19도 및 제20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5도, 제6도 및 제7도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두부의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일부 정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한 태그핀 조립체의 측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일부 정면도.
제24도는 제23도에 도시한 태그핀 조립체의 측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태그핀 조립체의 태그핀 두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6(a)도-제26(f)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1-제16 실시예에 의한 태그핀의 두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은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태그핀이 적어도 횡봉의 양측면에서 접촉하여 연결봉상에 배열되는 태그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태그핀은 상품판매를 위한 가격표나 라벨을 부착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태그핀은 제1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두부(1), 횡봉(2) 및 두부(1)의 횡봉(2)을 연결하는 세장부(3)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태그핀은 매주 작은 것으로 예컨대, 횡봉의 직경과 길이는 각각 0.8-1.0㎜와 8-10㎜이다. 두부의 폭, 높이 및 두께는 각각 8-10㎜, 3-5㎜ 및 0.7-1.0㎜이다. 세장부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신장된 후에는 대략 7㎜-125㎜범위이며, 신장된 후의 세장부 최소 직경은 0.3-0.4㎜이다.
이들 태그핀은 핀 하나당 중량은 약 0.04-0.1g으로, 그 두께가 매우 미세한 것이다. 생산, 포장, 운송 및 상품에의 부착을 위해서, 하나의 군을 25-50개의 태그핀을 연결핀(4)을 개재하여 보통 연결봉(5)에 직각으로 연결조립하여 태그핀 조립체(P)를 형성한다. 태그핀 조립체(P)는 그들의 분자가 비교적 쉽게 재적용되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보통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횡봉(2)의 직경과 두부의 두께가 주형제작문제에 기인하여 약 1㎜정도이다.횡봉(2)은 연결봉(5)에 약 2㎜간격으로 배열된다. 즉, 인접한 태그핀의 횡봉사이의 거리와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사이의 간격이 약 1㎜인 것이다. 다수의 태그핀이 간격을 두고있는 태그핀 조립체(P)에 있어서는 포장 혹은 운송서 종종 한쪽 조립체의 두부가 다른 조립체 두부의 열사이로 끼어들거나 다른 조립체의 횡봉사이로 끼어들어서 조립체가 서로 얽히게 되었었다.
태그핀 조립체의 세장부(3)는 그 최소직경이 약 0.35-0.4㎜정도로 작게되도록 신장시켜진다. 따라서 세장부는 매우 얇고 정교한 것이다. 그러므로 태그핀 조립체가 서로 얽히면, 그 얽힌 것을 늦추어 풀어야 하는 성가신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개개의 태그핀이 비교적큰 간격을 두고 배열된 그러한 태그핀 조립체로서는 태그핀 조립체사이에서 얽히지 않드라도, 하나의 태그핀 조립체내에서 배열이 엉크러지든가 또는 뒤엉키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교적 긴 연결봉에 다수의 태그핀을 비교적 큰 간격으로 배열한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예컨대, 연결봉이 굽혀지고, 인접한 태그핀 조립체는 전체가 쉽게 굽혀진 상태로 된다. 태그핀 조립체가 굽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연결봉을 두껍게 만드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개개의 태그핀이 큰 간격을 두고 배열된 태그핀 조립체를 부착장치에 장진하고, 상품을 통해 태그핀을 하나씩 사용함에 있어서 부착장치를 작동했을때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그핀 조립체 전체가 앞뒤로 동요되거나 혹은 조립체의 태그핀이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 여러가지 난점에 봉착된다. 즉, 부착장치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없고, 태그핀이 잘못 부착되어 태그핀에 의해 상품이 긁히며, 그에따라 예컨대, 미세한 섬유사로 만들어진 직물과 같은 상품에 단사(斷
Figure kpo00001
), 올풀림, 찢김등과 같은 손상을 주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태그핀사이에 큰 간격을 둔다는 것은 일정한 길이의 연결봉에 형성할 수 있는 태그핀의 수가 자연히 제한된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횡봉(2)의 간격을 2㎜로 가정하면, 길이가 100㎜인 하나의 연결봉에는 50개의 태그핀만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태그핀의 간격이 큰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주어진 수의 태그핀을 가지는 태그핀 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크기의 주형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불편한 점과 함께 전술한 얽히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얽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태그핀의 두부를 연결끈으로 연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품내로 끼워진 태그핀을 절단할 때, 이 연결끈을 신장하는데, 이때 태그핀 두부표면에 수염모양의 돌기가 남게 된다.
예컨대, 나일론으로 만든 태그핀의 경우에는 연결끈을 끊어지기전에 원래 길이의 4-5배로 늘어난다. 따라서 무시할 수 없는 길이의 수염모양의 돌기가 태그핀 두부의 표면에 남게 된다. 태그핀은 여러종류의 상품에 가격표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데 미세한 실로 직조된 상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그 수염모양의 돌기가 실에 걸려서 실이 끊어지든가 또는 올이 풀리게 된다.
100㎜ 길이의 연결봉에 50개의 태그핀을 2㎜ 간격으은 배열한 종래의 태그핀 조립체는 부착장치에 장진했을 때 제2도와 같이 동요되어 부착장치의 작동효과를 해칠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의 실을 절단하든가 또는 실올을 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태그핀이 얽히는 문제점을 두부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사용하여 막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끈의 사용은 연결끈의 신장에 의한 수염모양의 돌기가 발생하여 상품을 훼손한다는 새로운 문제점을 가져온다. 또한 태그핀 조립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주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얽힘, 커다란 주형의 필요성둥과 같음 종래의 태그핀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태그핀의 각 조각을 상품에 부착하기 위해 부착장치에 장치했을때 커다랗게 요동운동을 하지 않아서 작동효과를 확실히 높이게 되며, 태그핀이 상품에 걸려서 상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주형으로써 많은 수의 태그핀을 가지는 태그핀 조립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연결봉의 단위길이당 태그핀의 수가 많은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태그핀을 상품에 끼움에 있어서, 전단력에 의해 태그핀이 그들의 연결부에서 분리되며, 태그핀의 두부표면에 수염모양의 돌기가 생기지 않고, 또한 태그핀이 서로 얽히거나 태그핀의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같은 문제점이 없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낮은 제조단가로 제조할 수 있으며, 많은 수의 태그핀을 연속 사용할 수 있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태그핀이 두부, 횡봉 및 이들 두부와 횡봉을 서로 연결하는 세장부로 구성되며, 인접한 태그핀이 최소한 횡봉의 측부표면의 중앙부분의 융기부에서 서로 접합되는 상태로서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되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의 각각 정면도와 측면도인 제3도와 제4도를 보면, 태그핀 조립체(P)는 두부(1), 횡봉(2) 및 이들 두부(1)와 횡봉(2)을 잇는 세장부(3)로 된 다수개의 태그핀(P)을 보유한다. 태그핀(P)은 연결편(4)을 개재하여 연결봉(5)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태그핀 조립체는 25-50개의 태그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연결봉에 100개의 태그핀을 연결할 수도 있다. 태그핀 조립체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써 일체로 성형된다. 나일론, 폴리프로필렌등과 같은 선형 합성중합체는 보통 성형상태에서 결정상태이다. 성형된 제품 즉, 태그핀의 세장부는 열간 혹은 냉간상태에서 인발하여 세장부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그 길이를 늘릴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그 강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선형 합성중합체를 성형하는 상태와 인발하는 상태사이의 관계를 엄밀히 조사하여 그 결과로써 냉간성형을 통해서 일정한 특수 태그핀을 얻을 수 있었다. 20℃근방 혹은 그 이하로 냉각된 온도에서 주조성형된 태그핀은 무정형의 본질을 보유한다. 이러한 무정형의 본질의 특성은 본 발명의 태그핀에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즉, 각 태그핀이 부착장치에 의해서 구동될때, 세장부가 적당한 길이로 늘어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무시할 수 없는 두께의 상품 즉, 여러장의 손수건, 또는 여러컬레의 양말을 뚫어끼울때, 세장부가 부착장치의 레버작용에 의해 이들 상품을 꿰뚫어 상품을 견고하게 유지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신장된다. 인발되기전의 상태에서의 태그핀의 세장분(3)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형상이나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지지 않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부의 양측표면은 그 중앙부분에서 팽창되어 융기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1a)는 인접한 태그펜 두부의 융기부(1a)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그 반대쪽 융기부(1a)는 그들의 단부에서 접합되어 접합부(1b)를 형성한다. 융기부(1a)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두부(1)의 양측표면을 그 테두리 선단을 향하여 점차 얇아지게 한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융기부(1a)는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면이 6각형인 피라밋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혹은 원형단면과 같은 다른 횡단면을 가지는 피라밋형상으로도 융기부(1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중심부분에서만 융기부를 가지며, 수직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두부의 양측을 형성해도 좋다.
제3도에서의 화살표 A-A방향에서 본 제7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융기부(1a)가 형성되어 있는 인접한 두부(1)사이에는 V자 형상의 작은 틈(6)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는 제3도에서의 화살표 B-B방향에서 본 횡봉(2)을 도시한다. 횡봉(2)은 그 측면도에서 길이방향 중앙점에서 두께 혹은 폭이 가장 큰 점을 가지며 양단을 향해서 축소되는 형태이다. 가장 큰 폭을 가지는 횡봉의 중심부는 접합부(7)를 구성한다.
즉, 인접한 횡봉(2)(2')은 그들 사이에 V자 형상의 작은 틈(6')(6')을 형성하면서 그들의 접합부(7)에서 접합된다. 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 근처에 융기부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횡봉(2) 및 (2')는 그 측면도에서 실제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고안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인접한 태그핀이 그들의 두부와 횡봉에서 서로 접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태그핀이 마치 판을 이루는 것처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두부(1)와 횡봉(2)의 접합부(1b)와 (7)은 보통때에는 항상 인접한 태그핀이 서로 접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며, 부착기에 의해 상품을 통해 구동될 때와, 부착장치의 작등을 통해 전단력이 서로 접합된 상태의 융기부에 작용할 때는 태그핀이 절단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작은 연결력을 가진다.
제1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주형의 성형에 있어서는 V자 형상의 작은 틈(6)(6')을 유지하도록 벽을 구성하는 것이 무시할 수 없는 기술적 중요점으로 된다. 보통 태그핀에서 두부와 횡봉의 길이는 약 9㎜이며, 두부의 두께와 횡봉의 직경은 약 0.8-1.0㎜이다. V자형상의 작은 틈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의 벽은 최소 두께가 약 0.04㎜이며, 최대 두께는 약 0.2-0.3㎜이다.
그러므로 주형은 칼날처럼 날카로운 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일론 66의 경우에는 접합면적을 약 0.6×0.4㎜로 선택하면 실질적으로 인발하지 않고도 횡봉(2)의 접합부(7)가 파단될 수 있다. 접합부는 이러한 점을 계산에 넣고 설계 및 성형해야 한다.
제3도에서는 횡봉(2)을 원형횡단면을 갖도록 했으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 횡단면으로 할 수도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횡봉도, 제3도에 도시한 횡봉의 경우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그 폭은 양단부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최대폭을 가지는 중앙부분은 인접한 횡봉이 서로 접하는 접합부(7)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접합부가 두부와 횡봉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태그핀은 이들 접합부에서 접합된다. 이들 접합부는 인접하는 두부와 횡봉의 대면에는 융기부사이에서 접촉점으로서 형성되므로, 이 접합부는 태그핀을 전단력에 의해 나머지 태그핀으로부터 분리할때 쉽게 분리되며, 수염모양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를, 두부와 횡봉이 그들의 중앙 융기부에서 인접한 두부 및 횡봉과 각각 접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태그핀 조립체가 그 전체로서 마치 하나의 판과 같이 되어 다수개의 태그핀 조립체가 예기치 않게 얽히는 것뿐만 아니라 태그핀의 배열이 엉크러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조립체에서는 태그핀이 매우 밀집 배열되어 있어서, 조립체를 굽혀지는 경향이 있는 부착장치에 장진했을때, 인접한 횡봉이 접촉되어 조립체의 동요같은 것을 다른쪽으로 효과적으로 억압하므로 전반적인 취급이 매우 수월할 뿐만 아니라 상품을 손상시키는 폐단도 배제할 수 있다.
태그핀은 충분히 큰 접합력으로 가능한한 접합면적을 작게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들을 포장 또는 운송시 그들의 접합부에서 파손되지 않는다. 또, 태그핀 조립체를 부착기로써 상품에 부착할때, 접합부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태그핀이 다른 것들로부터 절단되므로 수염모양의 돌기가 생기거나 섬유제품에 태그핀을 사용했을때 실이 파손될 염려가 없다.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두부(1)는 편평한 형상이며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제11도와 제13도(제11도의 화살표 A'-A'방향에서 본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체내의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횡봉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폭이 가장 크며, 양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식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11도 및 제14도(제11도의 화살표 B'-B'방향에서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가장 큰 폭으로 된 중앙부분이 인접한 횡봉(2)이 접합되는 접합부(7)로 구성한다. 인접한 두부사이의 간극(1)은 두부(1)의 두께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되도록 선정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두부의 두께(t)는 통상 0.7-1.0㎜이며, 간극(1)은 통상 0.2-0.7㎜로서, 0.2-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0.3㎜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부의 두께(t)에 비하여 간극(1)을 상당히 작게 설정하므로써 사실상 두부는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제2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에 있어서는 한편으로 인접한 태그핀이 횡봉(2)의 접합부(7)에서 접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사이의 간극(1)이 두부의 두께(t)에 비해서 매우 작게 선정되었기 때문에 태그핀들은 마치 하나의 판을 이루는 것처럼 배열 유지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는 다른 태그핀 조립체와 얽히지 않고 각 조립체에서 태그핀의 배열이 흐트러짐이 없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태그핀을 상품을 통해 구동될때, 전단력에 의해 접합부가 파단되며, 수염모양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를 도시하며, 여기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부(1)와 횡봉(2)은 그들의 중앙부분에서 융기되어 인접한 태그핀이 접합되는 접합부(1b) 및 (7)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편(4)과 연결봉(5)은 생략된다. 이 제3 실시예는 다음의 개념에 기초를 둔 것이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각 태그핀의 횡봉(2)의 중앙부분에 접합부(7)가 형성되고,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사이 및 횡봉사이에 V형상의 작은 틈(6)(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봉(5)을 굽힐때, 횡봉(2)의 조립체가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R)의 아치형으로 굽혀진다.
그러나 사실상 횡봉의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접촉되지 않으며, 횡봉의 각각 0.8-1.0㎜와 8-10㎜의 직경과 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립체가 그렇게 작은 곡률로 굽혀지기 어렵다. 또한 연결봉(5)자체의 탄성이 조립체가 그렇게 작은 곡률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말할나위도 없이 인접한 횡봉(2)사이의 V자형상의 작은틈(6)(6')의 각이 작게 선정된다면 제16도에 도시한 반경(R)은 비교적 크게 된다.
따라서, 연결봉(5)과 연결편(4)을 생략하면, 태그핀 조립체를 제16도에 도시한 식으로 굽힐 수 있으며, 나아가서 조립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에 있어서는 가격표둥을 부착하는데 아무런 역활도 하지 않는 연결편(4)과 연결봉(5)을 생략하여, 태그핀을 두부와 횡봉상의 접합부(1b)와 (7)에서만 연결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태그핀 조립체 전체를 매우 간단하게 만들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료를 현저하게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와 횡봉이 접합되므로 태그핀이 매우 조밀하게 배열되어 태그핀 조립체의 일체도가 높아진다.
예를들면, 사실상 100㎜ 길이의 조립체의 100개의 태그핀을 배열할 수 있다. 또, 전번의 실시예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태그핀 조립체가 예기치 않게 얽히거나 태그핀 조립체내의 태그핀이 흐트러지는 것을 완전히 피할 수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두부가 분리된 태그핀 군(P1)과 두부가 접합된 태그핀군(P2)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두군(P1)(P2)의 교대배치는 태그핀의 두부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즉, 제1실시예(제3도와 제3실시예(제15도)와 같이 인접한 태그핀(1)의 두부가 접합된 경우에는 접합된 두부의 진동이 그렇게 크지 않아서 세장부(3)의 길이가 작으므로 두부들이 하나의 단위로서 움직인다. 그러나, 세장부(3)가 실제길이를 가지며 직경이 축소되어 있으면, 연합된 두부를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세장부(3)가 극도로 굽혀진다. 두부들이 일체로 움직이는 것은 제17도에 도시한 식으로 태그 핀의 두군(P1)(P2)을 교대로 배열하므로서 막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다수개의 두부가 한꺼번에 움직이는 것이 효과 적으로 저지되고, 세장부에 의해서 유지되는 두부의 수가 감소하므로, 세장부(3)가 길고 가늘게 만들어진 때에도 세장부(3)가 예기치 않게 굽혀지는 것과 그에 따라 두부(1)가 그 배열을 흐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제17도에 있어서는 두부가 분리된 상태의 군(P1)의 경우에서의 서로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사이의 거리와 두부의 두께 사이에는 상술한 제2실시예(제11도)에서와 같은 관계가 있으며, 두부사이의 거리는 두부의 두께에 비해서 사실상 작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4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부는 연결봉(5)에 접합하지 않고 직교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두부를 연결봉(5)에 임의의 소정 각도로 즉, 연결봉의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할 수도 있다.
제18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5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에 있어서는 두부(1)가 평면도에서의 조립체의 중립선 즉, 연결봉에 대해 θ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인접한 횡봉은 제8도에 도시한 식으로 접합되어있다. 그와 동시에 인접한 두부(1) 사이의 거리는 제11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두부(1)의 두께에 비해서 충분히 작게 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두부를 배열하므로써, 두개의 조립체를 함께 운반할 때, 한쪽 조립체의 두부사이 간극의 방향을 다른 조립체의 두부사이의 간격의 방향과 다르게 하여, 두부가 다른 조립체의 간극으로 끼워짐에 따른 두 조립체 사이의 얽힘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두부는 경사진 위치에서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즉, 중립축(c)에 직각으로 된 위치(1')로 움직일때 두부(1)가 서로 접촉하여 포개져서 각 조립체의 두부의 변위에 따른 조립체의 얽힘 뿐만 아니라 두부배열의 흐트러짐이 배제된다.
또, 연결봉이 굽혀질 때도 두부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6실시예를 도시하는 제19도에 대해 설명하면 두부(1)는 부메랑 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인접한 횡봉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명시한 바와같은 인접한 두부 사이의 거리(ℓ)와 두부의 두께(t)사이의 관계 즉, t>ℓ의 관계는 이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부가 부메랑 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t>ℓ로 표현되는 관계가 있으므로, 두부(1a)는 중립축(c)에 대하여 측방으로강제 이동시켜질때, 두부(1)과 접합부(1b)와 접촉하게 되어, 각 조립체에서의 태그핀 배열이 흐트러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배제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두부는 중립축(c)에 수직인 양단부(1c)(1d)와 중립축(c)에 대해 경사진 중앙부(1e)로 구성되는 뒤틀린 평면을 가진다. 인접한 태그핀은 횡봉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두부의 간극(ℓ)과 두께(t)사이에 t>ℓ의 관계는 이 실시예에서도 적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부의
Figure kpo00002
형의 뒤틀린 평면형과 t>ℓ의 관계에 기인하여 절곡점(1f) 혹은 (1g)에서 인접한 태그핀이 접촉하기 때문에 태그핀(1a)의 중립축(c)에 대한 측방변위가 방지된다. 제21도와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두부(1)의 횡봉(2)는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인접한 태그핀의 두부와 횡봉에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부가 횡봉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량이 절약되며 주형제작이 단순하게 된다. 제23도와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8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로부터 연결편(4)과 연결봉(5)이 생략되어서,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체 전체가 H형 횡단면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태그핀 조립체의 구성이 극히 간단하고 간편하여 수지재료가 절약된다.
또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조립체의 취급이 원활하게 된다. 이하 두부가 분리된 태그핀 조립체에서의 두부 형상에 관해서 논한다. 제2 및 제4실시예에서는 태그핀의 배열은 정면 및 평면도에서 참작된다. 그런데, 각 태그핀의 측면형상은 두부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인자이다.
그러므로 태그핀은 측면도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2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태그핀 조립체의 태그핀에서는 두부(1)의 하부선단(1h)이 횡봉(2)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그핀의 형상으로서는 두부(1)가 서로 얽히는 것을 해제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두부(1)의 하부선단(1h)을 V자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극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부선단의 형상은 미끄럼운동을 하여 두부가 얽힌 것이 원활하게 해제 된다.
제23도는 제10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하부선단(1h)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부선단은 세장부로부터 멀어지는 것처럼 횡봉으로부터 멀어진다.
제26(a)도-제26(f)도) 제11-제16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각각 다른 형태의 두부를 가지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26(a)도에 도시한 제11실시예에서는 두부(1)가 부채꼴 형상이며, 제26(b)도에 도시한 제12실시예에서는 두부(1)가 반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6(c)도에 도시한 제13실시예에서는 두부가 음극선관의 모양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제26(d)도-제26(f)도에 도시한 제14-제16실시예에서는 두부(1)의 하부선단(1h)이 점차 좁아져서 세장부(3)의 굵기에 접근한다. 경사진 하부선단을 가지는 두부의 이들 측면 형상을 채택하므로써, 서로 얽혔을때 두부를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세장부에 의해 연결되는 두부와 횡봉을 가지는 다수개의 태그핀을 가지며, 인접한 테그핀이 최소한 그들의 횡봉에서 접합되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핀의 횡봉이 하나의 판을 형성하는 것처럼 일체도가 높은 태그핀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태그핀의 세장부가 평판모양으로 배열되므로, 두부가 분리된 상태로 배열된다 하드라도 두부가 질서정연하게 배열된다. 종래의 태그핀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부착장치에서 처리될 때 조립체가 크게 변형 및 요동하여 부착장치의 작동효율이 비현실적으로 저하된다.
또, 태그핀의 일부분이 직물 상품에 걸려서, 실이 절단되거나 올이 풀리게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발명의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완전히 회피된다. 본 발명의 태그핀 조립체는 같은 길이를 가지는 종래의 태그핀 조립체에 의해 시행되는 것보다 2배이상의 다수개의 태그핀을 각 조립체에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단 시간내에 많은 수의 꼬리표를 부착하는데 편리하게 사용된다.
또, 태그핀이 거의 간극없이 배열되므로, 예기치 않던 얽힘이나 기타 문제점을 피하여 포장 및 운반에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된다. 종래의 태그핀 조립체에서는 태그핀을 절단할 때 끊기는 짧은 연결용끈으로써 두부를 연결하고 있어서, 수염모양의 돌기가 남게되어 상품에 심각한 손상을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봉사의 접합부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최소한 횡봉의 측면의 융기부에 의해 구성되어서 태그핀 조각을 조립체로부터 절단할 때 수염모양의 돌기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다.
또한, 태그핀들이 매우 밀집 배열되어, 태그핀 조립체 전체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때문에 조립체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의 크기가 축소되어 용융 수지의 유동이 양호하게 되어 받아들일 수 없는 제품발생율이 감소된다.

Claims (1)

  1. 두부(1), 횡봉(2) 및 이 두부와 횡봉을 서로 연결하는 세장부(3)를 가지는 다수개의 태그핀(p)…으로 구성되는 태그핀 조립체에 있어서, 태그핀 조립체(p)가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성형되며, 최소한 전기한 횡봉의 측면 중앙부분에 융기부(1a)를 형성하고, 인접한 횡봉의 융기부가 서로 접합하여, 횡봉이 판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KR1019810001399A 1980-09-11 1981-04-23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KR850000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275 1980-09-11
JP55125275A JPS6024009B2 (ja) 1980-09-11 1980-09-11 取付部片集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018A KR830005018A (ko) 1983-07-23
KR850000082B1 true KR850000082B1 (ko) 1985-02-18

Family

ID=1490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399A KR850000082B1 (ko) 1980-09-11 1981-04-23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4417656A (ko)
JP (1) JPS6024009B2 (ko)
KR (1) KR850000082B1 (ko)
AU (1) AU539080B2 (ko)
CA (2) CA1168197A (ko)
CH (1) CH643384A5 (ko)
DE (1) DE3119072A1 (ko)
ES (1) ES264972Y (ko)
FR (1) FR2489991B1 (ko)
GB (1) GB2083539B (ko)
IT (1) IT1137967B (ko)
MX (1) MX154024A (ko)
NL (1) NL191805C (ko)
PH (1) PH18666A (ko)
SE (1) SE443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225A (en) * 1982-11-24 1988-12-13 Panduit Corp. Dispenser of discrete cable ties provided on a continuous ribbon of cable ties
US4632247A (en) * 1982-11-24 1986-12-30 Panduit Corp. Tool for the automatic installation of discrete cable ties provided on a continuous ribbon of cable ties
US4534464A (en) * 1982-12-08 1985-08-13 Nypro Inc. Manufacture and use of closely spaced attachments
JPS60217071A (ja) * 1984-04-12 1985-10-30 株式会社 トスカ 係止片取付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240629A (ja) * 1984-05-04 1985-11-29 株式会社 トスカ 係止具集合体
KR860002671Y1 (ko) * 1984-06-02 1986-10-10 강용우 캡(Cap)을 갖는 태그핀(Tag Pin)
JPS6133923A (ja) * 1984-07-17 1986-02-18 株式会社 トスカ 係止片取付装置
US4554711A (en) * 1984-09-25 1985-11-2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Fastener assembly and mold for making same
US4654935A (en) * 1984-12-10 1987-04-07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 use and manufacture of fasteners
EP0252940A4 (en) * 1985-12-05 1989-07-27 Hutchinson Fred Cancer Res ANTI-DETECTION RNA FOR THE TREATMENT OF RETROVIRAL DISEASES.
WO1987004055A1 (en) * 1986-01-08 1987-07-16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 use and manufacture of fasteners
WO1987004554A1 (en) * 1986-01-17 1987-07-30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Snag resistant connected paddle fastener
US4901854A (en) * 1988-09-29 1990-02-20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Loop connected attachments
US5038931A (en) * 1989-05-04 1991-08-13 Kunreuther Steven J Assembly of attachments and device for attaching same
US4955475A (en) * 1989-09-15 1990-09-11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Continuous fastener stock
US5339954A (en) * 1993-01-29 1994-08-23 Steven Kunreuther Clip of attachments
JP3390983B2 (ja) * 1995-05-17 2003-03-31 ジェイ・イー株式会社 タッグ吊持用ループピン装着具
DE69607085T2 (de) * 1995-08-22 2001-03-22 Thomas & Betts Corp N D Ges D Selbstverriegelnder Kabelbinder mit symmetrischem Aufbau
US5934465A (en) * 1996-10-22 1999-08-10 Thomas & Betts Corporation Cable tie bandoliers for use with automatic tools
WO1998053967A1 (en) * 1997-05-29 1998-12-03 Avery Dennison Corporation Filamentary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ing insert molding
US5967316A (en) * 1997-10-22 1999-10-1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tie bandoliers for use with automatic tools
US6185792B1 (en) 1997-11-21 2001-02-1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Bi-directional self-locking cable tie
US6173836B1 (en) * 1998-07-15 2001-01-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clip
US6129206A (en) * 1998-07-15 2000-10-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clip
US6308386B1 (en) 1998-07-15 2001-10-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clip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267285B1 (en) 1998-07-15 2001-07-31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US6418597B1 (en) 1998-07-15 2002-07-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US6837413B1 (en) 1999-03-02 2005-01-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DE60032613T2 (de) * 1999-03-02 2007-11-15 Avery Dennison Corp., Pasadena AUSGABEVORRICHTUNG FüR KUNSTSTOFF-BEFESTIGUNGSELEMENTE
US6446311B1 (en) 2000-01-06 2002-09-10 Kotec's Co., Ltd. Loop pin
US6800252B1 (en) 2000-03-06 2004-10-05 Paul F. Jedzinski Burstable scent beads
US6564939B1 (en) * 2000-12-19 2003-05-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s, needles useful in dispensing said plastic fasten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needles
BR0115652B1 (pt) * 2000-11-03 2011-11-29 grampo de prendedores.
JP4848594B2 (ja) * 2001-05-09 2011-12-28 マ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ップ連結体
US20040205940A1 (en) * 2003-04-16 2004-10-21 Cooper William J.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TVI20050016A1 (it) * 2005-01-19 2006-07-20 Mainetti Tecnologie Spa Portacartellino con filo flessibile
US20080235918A1 (en) * 2007-04-02 2008-10-02 Laura Mooney Fastener
JP5012535B2 (ja) * 2007-04-27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42320A1 (en) * 2009-03-25 2010-09-30 Ying-Che Huang Label tag cord
US8347537B2 (en) * 2009-03-25 2013-01-08 Ying-Che Huang Label tag cord
GB2486214B (en) * 2010-12-06 2015-11-25 Fixxon Ltd Tag with elongate securing means for attachment to object, in particular for identifying clothing.
US10510273B2 (en) 2015-06-04 2019-12-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and plastic fastener assembly
US20220192653A1 (en) * 2019-04-01 2022-06-23 The Provost, Fellows, Foundation Scholars, and the other members of Board, of the College of the Hol Wound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705A (en) * 1966-09-20 Fastener
US3103666A (en) * 1961-12-28 1963-09-17 Dennison Mfg Co Tag attaching apparatus
US3463304A (en) * 1967-09-06 1969-08-26 Fastener Corp Assembly or package of fasteners
BE792298A (fr) * 1972-05-25 1973-03-30 Dennison Mfg Co Perfectionnements aux attaches pour la reunion de deux objets ensemble
US3850297A (en) * 1973-04-12 1974-11-26 Dennison Mfg Co Assembly of attachments
US3977050A (en) * 1974-04-19 1976-08-3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Fastener assembly
GB1514083A (en) * 1975-06-24 1978-06-14 Japan Banok Co Ltd Apparatus for attaching tag pins
JPS5220240A (en) * 1975-08-07 1977-02-16 Fuji Electric Co Lt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enclosed-type distributor array
JPS5232533A (en) * 1975-09-05 1977-03-11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Frequency demultiplier
NL7610989A (en) * 1976-10-05 1978-04-07 Japan Banok Co Ltd Pin for attaching label with head, wire and crossbar sections - has head edges sloping away from crossbar forming V=shaped or U=shaped profile
FR2368102A1 (fr) * 1976-10-13 1978-05-12 Japan Banok Co Ltd Epingle pour etiquette
JPS5426000U (ko) * 1977-07-26 1979-02-20
CA1120441A (en) * 1977-08-24 1982-03-23 David B. Russel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asteners
US4263730A (en) * 1978-01-06 1981-04-28 Ben Clements & Sons, Inc. Filament-type attachment device with labe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632864U (ko) * 1979-08-22 1981-03-31
US4456123A (en) * 1979-08-31 1984-06-26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asteners
US4361935A (en) * 1980-06-09 1982-12-07 Paxton Jerre Hale Bag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8666A (en) 1985-08-29
JPS5751013A (en) 1982-03-25
CH643384A5 (fr) 1984-05-30
CA1226854B (en) 1987-09-15
FR2489991B1 (fr) 1985-07-12
KR830005018A (ko) 1983-07-23
JPS6024009B2 (ja) 1985-06-11
NL8102001A (nl) 1982-04-01
AU6952581A (en) 1982-03-18
DE3119072A1 (de) 1982-04-15
ES264972Y (es) 1983-07-01
GB2083539A (en) 1982-03-24
FR2489991A1 (fr) 1982-03-12
SE443675B (sv) 1986-03-03
ES264972U (es) 1983-01-16
MX154024A (es) 1987-04-01
US4417656A (en) 1983-11-29
CA1168197A (en) 1984-05-29
IT1137967B (it) 1986-09-10
IT8122625A0 (it) 1981-06-29
USRE32332E (en) 1987-01-20
NL191805B (nl) 1996-04-01
SE8102338L (sv) 1982-03-12
GB2083539B (en) 1984-12-05
NL191805C (nl) 1996-08-02
AU539080B2 (en) 1984-09-13
DE3119072C2 (ko) 199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0082B1 (ko) 밀집형 태그핀 조립체
US4347932A (en) Tag pin
US6446801B2 (en) Fastener clip
JPH0720787A (ja) 織物片に付け札を取付けるのに使用される改竄防止プラスチック留め具
US4901854A (en) Loop connected attachments
KR920004977B1 (ko) 패스너 어셈블리
US6062384A (en) Fastener structure
US6129206A (en) Fastener clip
JP4846950B2 (ja) ファスナク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924298A (en) Attachment and mounting construction
JP3870090B2 (ja) 係止片集合体
JPS6396021A (ja) 取付部片集合体
JPS6233131B2 (ko)
JPS63500687A (ja) かぎ裂き防止連結パドルフアスナ−
KR840000319B1 (ko) 파스너 제조방법
KR850000094Y1 (ko) 태그핀 조립체
KR830001212Y1 (ko) 두부가 점접속된 라벨부착구
GB2083540A (en) Tag Pin Fastener Assembly
JPH0130691B2 (ko)
JPS63317438A (ja) 係止片群
JPH0329732A (ja) 頭部回転型係止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