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82Y1 -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 Google Patents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82Y1
KR840002382Y1 KR2019830001059U KR830001059U KR840002382Y1 KR 840002382 Y1 KR840002382 Y1 KR 840002382Y1 KR 2019830001059 U KR2019830001059 U KR 2019830001059U KR 830001059 U KR830001059 U KR 830001059U KR 840002382 Y1 KR840002382 Y1 KR 840002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valve unit
paint
inlet hole
pain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76U (ko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주식회사
허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주식회사, 허집 filed Critical 동아연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1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82Y1/ko
Publication of KR840005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제1a도는 종래의 밸브 유니트 사시도. 제1b도는 동 종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전체 종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요부의 다른 형태 종단면도.
제4a도는 본 고안 요부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제4c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구 1 : 페인트 잉크 수장실
2 : 심홀더 3 : 밸브 유니트
4 : 페인트 잉크 유입공 5 : 측면 유입공
본 고안은 심을 눌러주어야만 필기구내의 페인트 잉크가 심으로 공급되는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이하 필기구라 함)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에 내장된 강구(Steel Ball)의 운동에 의한 필기구 잉크 교반이 밸브유니트 하부까지 골고루되게하여, 필기되는 페인트 잉크의 색상 농도가 항상 균일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는 사용되는 잉크가 점도가 높은 체질안료로된 페인트 잉크로서 교반하여 주지 않으면 잉크의 색소가 침전되어 필기되는 잉크의 색상의 농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잉크저장실내부에 수개의 볼을 내장하여 그 잉크를 교반케 하였는바, 밸브 유니트 내부에 충진된 잉크는 밸브 유니트의 구멍이 상부 일부에만 뚫려있어서 충분히 교반되지 못하여 역시 필기되는 색상의 농도가 균일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시정코져 밸브유니트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을 측벽 하단까지 연장하여 천공하므로서 강구의 운동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 내부에 충진된 페인트 잉크도 골고루 교반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강구(1')를 내장한 페인트 잉크 수장실(1)과 심홀더(2) 사이에 밸브유니트(3)을 끼워서 고정하며 밸브 유니트(3)의 상면에 페인트 잉크 유입공(4)이 천공된 공지의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에 있어서, 그 유입공(4)을 측벽하부까지 연장천공하여 측면 유입공(5)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또한 제4a, b, c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밸브 유니트(3)의 상부직경이 하부 직경보다 작도록 측벽을 계단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의 유입공(4)을 측벽까지 연장하여 천공하거나 또는 측벽유입공만(5)을 천공하여도 본 고안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a도와 같이 밸브 유니트(3)의 측벽에만 유입공을 천공 할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6은 밸브 유니트(3)에 탄설한 밸브봉, 7은 밸브시트, 8은 밸브, 9는 밸브케이스, 10은 흡장체, 11은 밸브봉의 스프링, 12는 심(芯)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밸브 유니트(3) 상면의 잉크 유입공(4)을 측벽까지 연장하여 측면 유입공(4)을 천공하여 주므로서 휴대하거나 보관하여 잉크수장실(1)의 점도가 높은 체질안료로된 페인트 잉크가 밸브 유니트(3)의 내부에 침전되어도 필기구를 흔들어주면 잉크 수장실(1)의 강구(1')의 운동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3)의 상면 유입공(5)을 통하여 상부는 물론 측면 유입공(4)을 통하여 하부까지도 교반하여 주므로, 따라서 밸브 유니트(3)내의 침전물을 골고루 교반시켜 주어 항상 농도가 일정한 페인트 잉크를 심(12)과 흡장체(10)에 공급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기구 전체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통상의 필기구와 같이 사용할때 심(12)이 눌러지는데 이때 밸브유니트(3)에 탄설된 밸브봉(6)이 상승하면서 밸브(8)와 밸브시트(7)사이에 틈이 생겨 이 틈으로 잉크 수장실(1)의 페인트 잉크가 밸브 유니트(3)을 거쳐 유출되며, 이유출된 페인트 잉크는 흡장체(10)와 심(12)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장체(10)와 심(12)에 충분히 잉크가 충만된후 심(12)의 모세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페인트 잉크가 비로소 종이에 써지기 시작하는데 심(12)을 눌러쓰는 힘의 세기를 조절하면 밸브(8)와 밸브시트(7) 사이의 틈 크기가 조절되므로 심(12)으로 배출되는 페인트 잉크양을 조절할수 있다.
그리고 필기를 중단하여 심(12)을 종이에서 떼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밸브봉(6)은 원래 위치로 하강하면서 밸브(8)는 밸브시트(7)에 밀착되어 밸브유니트(3)의 잉크는 더이상 유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하여 밸브 유니트(3)에 페인트 잉크가 침전되었더라도 필기구를 흔들어주면 강구(1')의 운동에 의한 페인트 잉크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3)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골고루 교반시키므로 필기되는 페인트 잉크의 색상 농도가 항상 일정하게 될뿐만 아니라 항상 농도가 일정한 페인트 잉크가 흡장체와 심에 공급되므로 농도 짙은 침전물만의 유출에 의하여 흡장체와 심의 모세관이 막혀서 필기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페인트 잉크 수장실(1)과 심홀더(2) 사이에 밸브유니트(3)을 넣고 끼워서 고정하며 밸브유니트(3)의 상면에 페인트 잉크 유입공(4)이 천공된 것에 있어서 그 유입공(4)을 측벽 하부까지 연장 천공하여 측면 유입공(5)을 형성한 심 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유니트(3)의 측벽에만 유입공(5)을 형성한 것.
KR2019830001059U 1983-02-07 1983-02-07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KR840002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059U KR840002382Y1 (ko) 1983-02-07 1983-02-07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059U KR840002382Y1 (ko) 1983-02-07 1983-02-07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76U KR840005276U (ko) 1984-10-15
KR840002382Y1 true KR840002382Y1 (ko) 1984-11-22

Family

ID=1922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059U KR840002382Y1 (ko) 1983-02-07 1983-02-07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76U (ko) 198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26804T2 (de) Tintenstrahlschreiber mit einem zweiteiligen Deckel
KR0152453B1 (ko) 잉크 제트 기록 장치용 액체 용기
JPS644541Y2 (ko)
US3640631A (en) Marking pen
KR840002382Y1 (ko)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JP2008516791A (ja) S字型液体筆記道具
KR840002733Y1 (ko) 심녹크식 페인트 잉크 필기구
US1513889A (en) Fountain pen for recording instruments
JPH0519907B2 (ko)
JP2002356089A (ja) 筆記具
JP2512038Y2 (ja) キャップを備えたフエルトペン
JP2535837Y2 (ja) 弁付筆記具
KR100441347B1 (ko) 일정한 잉크량을 공급하는 필기구
JPS626121A (ja) インク書き記録器のインク供給装置
US236877A (en) Chaeles h
JP3131689U (ja) 筆記具及びインキ補充装置
JPH0712674B2 (ja) インクドツトプリンタ
JPS6212639Y2 (ko)
JP2001260381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314618A (ja) 筆記具及びインキ補充装置
KR100507047B1 (ko) 잉크펜 구조
JP2612141B2 (ja) 筆記具
JPS6142865Y2 (ko)
US6168336B1 (en) Ballpoint pen for ink
GB175382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untain p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