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70Y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70Y1
KR840002370Y1 KR2019840005451U KR840005451U KR840002370Y1 KR 840002370 Y1 KR840002370 Y1 KR 840002370Y1 KR 2019840005451 U KR2019840005451 U KR 2019840005451U KR 840005451 U KR840005451 U KR 840005451U KR 840002370 Y1 KR840002370 Y1 KR 840002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ing
temperature
contacts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루다까 아오시마
Original Assignee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0108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822A/ko
Application filed by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5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밥솥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1도는 부분 단면한 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전기회로도.
제3도는 타이머 장치의 반복 타이머익 타임차아트.
제4도는 솔저부 온도의 상승특성 곡선도.
제5도는 작용설명용의 타임차아트.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측면도.
제8도는 동 실시예의 타임 차아트이다.
본 고안은 취반 동작에 앞서서, 쌀을 물에 불리는, 이른바 쌀불리기 동작을 자동적으로 하도록 한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전기밥솥으로 밥을 맛있게 짓기 위해서는, 취반동작에 앞서서, 쌀을 솥의 물에 불리는 이른바 쌀불리기 기간을 충분히 취하여, 쌀이 충분히 물을 흡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밥솥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해서 밥을 맛있게 지으려면, 솥안에 쌀과 물을 넣은 상태를 잠시동안 계속한 후,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 연후에 취반개시용 스위치를 세트해야 하는 번거러운 조작이 필요했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쌀의 수분흡수의 정도는 수온에 의존해서 변화하는 사정하에 있으므로, 쌀불리기 효과가 불안정해지고, 밥의 완성상태가 바깥기온의 변화에 수반하는 수온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와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 계절에 따라 쌀의 쌀불리기 기간을 조절해야 하고, 사용상의 불편이 조장되었다.
그래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반동작에 앞서서 솥의 수온을 상승시킨 상태에서의 쌀불리기 동작을 자동적으로 할수 있고, 쌀불리기 동작에서 시작되는 취반작업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바깥기온의 구애됨이 없이 안정된 쌀불리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매회의 밥의 완성상태를 일정화 할 수가 있고, 또 지금 현재 쌀불리기 동작기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실히 표시할 수 있는 취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에서 (1)은 대략 원통상의 외부 케이스, (2)는 외부 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된 바닥틀, (3)은 외부 케이스(1)내에 설치된 내부 케이스, (4)는 외부 케이스 (1) 및 내부 케이스(3)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 (5)는 내부 케이스(3)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솥, (6)은 내부 케이스(3)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된 취반용의, 예를들면 정격(定格) 출력 600W의 전기히이터, (7)은 내부 케이스(3)의 상부외주에 설치된, 예를들면 정격 출력 50W의 보온히이터, (8)은 외부 케이스(1)에 회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외부뚜껑, (9)는 내부뚜껑(10)의 상면에 당접하도록 설치한 뚜껑 히이터, (11)은 외부 케이스(1)의 외측부 상하에 이르도록 부설된 화장커버이다. (12)는 취반개시용의 스위치로 기능하는 온도 스위치이고, 이 온도스위치(12)는 솥(5)의 외저부에 압접되어 이 솥(5)의 저부온도(이하 솔저부 온도 D로 호칭함)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자기식의 온도 감지부(13)과, 1단이 온도감지부(13)에 연결되고, 또 타단인 조작 손잡이(14a)가 화장커버(11)에서 외부로 돌출된 조작레버(14)와, 이 조작레버(14)의 왕복 회전에 따라 동작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5)로 구성되는 주지구성의 것이다.
또, 이러한 온도스위치(12)는 조작레버(14)의 조작에 따라 세트되어서 마이크로 스위치(15)의 접점(c1-a1)간 및 (c1-a1)간 (제2도 참조)을 접속하고, 또 솥저부 온도 D가 수정의 밥완성온도, 예를들면 130℃에 도달했을때 이것을 감지한 온도감지부(13)에 의하여 리세트 되어서 마이크로 스위치(15)의 접점(c1- b1)간 및 (c2-b2)간 (제2도 참조)을 접속하는 구성이다. 이리하여 (16)은 화장커버(11)내의 하부에 설치된 선택스위치이고, 이것은 이 화장커버(11) 밖으로 돌출된 조작손잡이(16a)에 의하여 그 접점(C-A)간 또는 (C-B)간 (제2도 참조)의 어느 한쪽을 접속한다. 또, (17)은 바닥틀(2)의 외저부에 설치된 타이머 장치인 반복타이머이고, 이것의 구체적 구성은 후에 설명한다. 또, (18),(19),(20) 및 (21)은 각각 화장커버(11)내에 설치된 취반표시 램프, 뜸들이기 표시램프, 보온 표시램프 및 쌀불리기 표시램프이고, 이것들 중, 특히 쌀불리기 표시램프(21)가 본 고안의 표시용 발광소자에 해당한다.
다음에 전기적 구성을 제2도를 따라 설명한다. 즉 상기 반복타이머(17)은 타이머 모우터(22) 및 캠스위치(23),(24)가 있고, 그 타이머 모우터(22)에 통전되면 소정시간(이경우 예를들면 31분간)을 1주기로 한 시한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그 시한동작 중에 각 캠스위치(23),(24)를 제3도의 타임차아트 중 사선대로 나타내는 기간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주기의 시한 동작중의 31분간에 있어서, 캠 스위치(23)은 최초의 16분간 접점(f1-d1)간을 접속한 후에 나머지 15분간 접점(f1-e1)간을 접속하도록 절환되고, 또 캠스위치(24)는, 최초의 5분간 접점(f2-d2)간을 접속한 후에 10분간 접점(f2-e2)간을 접속하고, 또 나머지 16분간에는 그 도중에서 1분간만 접점(f2-e2)간을 접속해서 다른(15)분간 접점(f2-d2)간을 접속하도록 절환된다. 그런데, (25)는 제1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부 케이스(3)에 설치된 보온동작용의 주지 구성의 더어모스위치이고, 이것을 전원플럭(26)의 양단간에 상기 전기히이터(6), 보온히이터(7), 뚜껑히이터(9), 마이크로 스위치(15), 선택스위치(16), 반복타이머(17) 및 각 표시램프(18)내지 (21)등과 같이 도시와 같이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하여 제4도에 나타내는 솔저부 온도 D의 온도특성곡선, 제5도에 나타내는 타임 챠아트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4도에서 횡축에 나타낸 취반시간 T에 대응한 솥저부온도D(℃)를 종축에 나타내고, 또 제5도에 있어서는 쌀불리기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 표시램프(18)내지 (21)의 점등기간 및 전기히이터(6)이 정격출력으로 발열하는 기간 및 마이크로 스위치(15), 캠 스위치(23),(24)의 각 접속상태를 사선대로 표시했다. 그리고 지금 솥(5)에 소정량의 쌀과 물을 넣어서 이것을 내부 케이스(3)에 장착하고, 외부뚜껑(8)을 폐쇄상태로 한 후, 진원플럭(26)을 진원 콘센트에 삽입하는 취반 준동작을 행하고, 다음에 조작레버(14)에 의해 온도스위치(12)를 세트 조작해서, 취반 개시조작을 행하는 동시에 조작손잡이(16a)로 선택스위치(16)의 접점(C-B)간을 접속시킨다. 그 결과, 마이크로 스위치(15)의 접점(c1-a1)간 및 (c2-a2)간이 접속되고, 이 시점에서는 캠스위치 (23) 및 (24)가 각각 접점(f1-d1)간 및 접점(f2-d2)간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진기 히이터(6)가 접점(c1-a1)간 및 접점(f2-d2)간을 개재하여 통전되어서 발열하고, 동시에 타이머 모우터(22)가 접점(c1-a1)간 및 접점(f1-d1)간을 개재하여 통전되어서 반복타이머 (17)이 31분을 1주기로 한 시한동작을 개시하고, 이것으로 의하여 쌀불리기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시한동작 개시시각 te에서 5분 경과한 시각 t1에 이르게되면 캠 스위치(24)가 접점(f2-e2)간 접속상태로 절환되기 때문에, 보온 히이터(7)이 더어모 스위치(25) 및 전기 히이터(6)(이 경우 그 인가전압이 낮기 때문에 거의 발열하지 아니한다)을 개재하여 통전발열된다.
즉 쌀불리기 동작시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 초기의 5분간에 있어서 솥(5)가 전기 히이터(6)에 의해 600W의 출력으로 가열되어서 솥(5)내의 수온이 40℃ 정도까지 상승되어, 그후 솥(5)가 보온 히이터(7)에 의하여 50W의 출력으로 가열되어서 상기 수온이 40℃ 정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쌀불리기 동작기간 중에는 솥(5)내의 수온이 상승하여 쌀의 수분 흡수작용이 활발해지고, 따라서 솥(5)내의 쌀은 단시간으로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같은 쌀불리기 동작이 15분간 계속된 시각 t2에 오면, 캠 스위치(24)가 재차 접점(f2-d2)간 폐성상태로 절환되어 전기히이터(6)이 이 접점(f2-d2)간 등을 개재하여 정격출력으로 통진되게 되어, 계속 취반동작으로 이행된다. 그리고 상기 시각 t2에서 1분 경과한 시각 t3에 오면, 캠스위치(23)이 접점(f1-e1)간 접속상태로 절환되기 때문에 타이머 모우터(22)가 단전되어서 반복 타이머(17)의 시한동작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그후, 취반동작의 계속으로 솥(5)내의 물이 비등하여 이 상태로 솥(5)내의 물이 남아있는 동안은 솥저부온도 D가 대략 100℃로 유지되나, 솥(5)내의 물이 없어져서, 이것이 이른바 드라이업 상태를 이루면, 솔저부온도 D가 상승한다. 이것으로 의하여 솥저부온도 D가 시각 t4에서 130℃를 초과하게되면, 이솥저부 온도 D를 감지한 온도 감지부(13)에 의하여 조작레버(14)가 복귀회동되어, 그 결과로 마이크로 스위치(15)의 각 접점(c1-a1)간, (c2-a2)간이 개방되고, 또 접점(c1-b1)간 (c2-b2)간이 접속된다. 따라서, 타이머 모우터(22)가 접점(c1-b1)간 및 접점(c2-b2)간을 개재하여 재차 통진되게 되어 반복타이머(17)의 시한동작이 재개되는 동시에 전기히이터(6)가 단전되어서 뜸들이기 동작으로 이행된다. 이와같은 반복타이머(17)의 시한동작의 재개시각 t4에서 5분 경과한 시각 t5에 이르게 되면, 캠스위치(24)의 접점(f2-e2)간이 1분간만 접속되기 때문에, 전기히이터(6)이 접점(c1-b1)간, 접점(f1-e1)간, 접점(f2-e2)간 및 접점(c2-b2)간을 개재하여 제통진되어, 이것에 의하여 솥(5)가 재가열되어서 이른바 재취반이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의 시한동작 재개로부터 15분이 경과하면(시각 t6) 캠스위치(23)이 접점(f1-p1)간 접속상태로 복귀하여 타이머 모우터(22)가 단진되어, 그 결과 반복타이머(17)은 그 시한동작의 1주기분이 종료해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 이후에 있어서, 솥저부온도 D가 소정의 보온온도 이하까지 저하하면 더어모스위치(25)의 동작에 따라 보온히이터(7)이 통진되게 되어 이것에 의해 보온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취반동작, 뜸들이기 동작, 보온동작 및 쌀불리기 동작시에는 취반 표시램프(18), 뜸들이기 표시램프(19) 보온 표시램프(20) 및 쌀불리기 표시램프(21)이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점등되어서 이것에 의하여 각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되어있고, 특히 쌀불리기 표시램프(21)은 쌀불리기 동작개시시에 있어서의 전기히이터(6)에의 통진시(시각 t0-t1)에도 이 전기히이터(6)과 접점(C-B)간을 개재하여 병렬 접속상태가 되어서 점등하고, 적어도 쌀불리기 동작기간을 통해서 점등된다.
한편, 쌀불리기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택스위치(16)의 접점(C-A)간을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한 취반준비 동작 및 취반개시 조작을 행하도록 하면, 이 취반개시 조작 후 즉시로 이 접점(C-A)간을 개재하여 전기 히이터(6)에 통전해서 취반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택스위치(16)을 대신하여 서로 연동하는 절환 스위치부(28aa),(28b)를 가진 선택스위치(28)을 설치해서, 이것을 쌀불리기 램프(21) 등과 같이 도시와 같이 접속하고 있다.
상기 선택스위치(28)은 쌀불리기 동작을 하도록 선택할때, 그 접점(C1-B1)간 및 (C2-B2)간이 접속되는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제3실시예에서는 반복타이머(17)에 그 시한동작 개시에서 15분간만 폐성되는 캠스위치(29)를 추가 설치하고, 이 캠스위치(29)를 선택스위치(16)의 고정접점 B와 쌀불리기용 표시램프(21)와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5도와 동일한 타임차아트를 나타낸 제8도와 같이 쌀불리기 표시램프(21)이 쌀불리기 동작기간 중에만 점등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취반동작에 앞서서 쌀불리기 동작을 자동적으로 할수가 있고, 쌀불리기 동작에서 시작되는 취반작업의 번거러움을 제거할 수가 있고, 또한 쌀불리기 동작개시 초기에는 솥가열용의 전기히이터에 소정시간만 통전해서 솥안의 수온을 올리도록 했으므로, 바깥기온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된 쌀불리기 효과를 얻을수 있고, 이것으로서 매회의 취반완성 상태를 일정화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쌀불리기 동작기간 중에는 반드시 점등되는 표시용 발광소자를 설치했으므로 지금 현재 쌀불리기 기간중인 인가의 여부를 확실히 표시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취반개시 조작에 응동하여 솥가열용의 전기 히이터에 통전해서 취반동작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솥에 온도를 감지하여, 이것이 취반완성 온도에 도달했을때, 상기 전기히이터를 단전시키는 온도 스위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취반개시 조작후에 소정의 쌀불리기 동작기간을 지난후에 상기 취반동작으로 이행시키는 동시에 그 쌀불리기 동작기간의 초기에 소정시간만 상기 전기히이터에 통전시키는 타이머 장치와, 상기 쌀불리기 동작개시시에 상기 전기 히이터와 병렬로 접속되도록 설치되고 또 적어도 쌀불리기 동작기간 중에 상기 온도스위치를 개재하여 통전되어 점등하는 표시용 발광소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
KR2019840005451U 1981-01-15 1984-06-11 전기밥솥 KR840002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5451U KR840002370Y1 (ko) 1981-01-15 1984-06-11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108A KR830004822A (ko) 1981-01-15 1981-01-15 취 반 기
KR2019840005451U KR840002370Y1 (ko) 1981-01-15 1984-06-11 전기밥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108A Division KR830004822A (ko) 1981-01-15 1981-01-15 취 반 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70Y1 true KR840002370Y1 (ko) 1984-11-22

Family

ID=2662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451U KR840002370Y1 (ko) 1981-01-15 1984-06-11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5126Y2 (ko)
US4315139A (en) Electric rice cooker
US4315138A (en) Electric rice cooker
JPS62202490A (ja) 電子レンジ
KR840002370Y1 (ko) 전기밥솥
JPH0822255B2 (ja) 炊飯器
JP2553703B2 (ja) 加熱調理器
JPS6016334Y2 (ja) 沸騰形電気ポツト
JPS6037055Y2 (ja) 炊飯器
JPS5942972Y2 (ja) 炊飯器
JPH0123368Y2 (ko)
JPH0433826Y2 (ko)
JPS6312816Y2 (ko)
JPH0433825Y2 (ko)
JPS5920175Y2 (ja) 炊飯器
JPS5917229Y2 (ja) 電気圧力調理器のヒ−タ回路
JPS642651Y2 (ko)
JPS6129399Y2 (ko)
JPS6037060Y2 (ja) タイマ−付電気炊飯器
JPS6226765B2 (ko)
JPS6241707Y2 (ko)
KR840002274Y1 (ko) 전기밥솥
JPS6244931B2 (ko)
JPS5916027Y2 (ja) 炊飯器
JPS62449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