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904B1 -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 Google Patents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904B1
KR840001904B1 KR1019810002802A KR810002802A KR840001904B1 KR 840001904 B1 KR840001904 B1 KR 840001904B1 KR 1019810002802 A KR1019810002802 A KR 1019810002802A KR 810002802 A KR810002802 A KR 810002802A KR 840001904 B1 KR840001904 B1 KR 84000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standard
healds
circular loom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499A (ko
Inventor
소오이찌 도리
Original Assignee
소오이찌 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오이찌 도리 filed Critical 소오이찌 도리
Publication of KR83000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형직기의 실시양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수의 북, 다수의 종광틀 및 개구운동에 대한 기구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익종광, 급사구 및 내부안내게이지링을 도시하는 도식적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익종광틀 및 개구운동에 대한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기구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익종광은 제거하였음).
제5도는 익종광의 내부표준종광이 상승되고 외부표준종광이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상태하에서 표준경사, 익경사 및 위사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관계도.
제7도는 내부표준종광이 하강하고 외부표준종광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상태하에서 표준경사, 익경사 및 위사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관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원형직기로 제직한, 관상직물의 조직 구조를 도시하는 구조도.
본 발명은 원형직기에서 레노직(leno weave) 관상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과 이를 제직하기 위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는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들면 본 발명자가 개발한 원형직기(미합중국 특허 제3,871,413호 및 제3,961,648호 참조)와 영국의 패어베언 로우슨 기계회사(Fairbairn Lawson Machinery Ltd)가 제조, 시판하고 있는 원형직기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한 유형의 원형직기에서는 우수(even number)의 북이 환상 북 안내부재위에 설치되어 있어서 북은 이 안내부재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상응하는 북에 결합된 가압로울러 등의 결합장치는 북안내부재를 따라 움직인다. 각각의 북은 상응하는 결합장치에 의해 압력을 받으며 북안내부재를 따라 추진된다. 각각의 북에서 나온 위사는 각각의 북의 상측과 하측에서 종광에 의해 경사와 제직되어 관상직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몇몇 종광은 종광틀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종광틀을 원형의 2열로 배열된다.
원형 배열에서 내부종광틀과 외부종광틀로 이루어진 한 셋트(set)는 북의 전진과 동시에 회전하는 원통형 캠기구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개개의 셋트는 연속적으로 개구된다. 개구기구(shedding mechanism)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한 셋트의 종광틀은 내부종광틀과 외부종광틀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상의 원형직기에서는 평직의 직물만을 수득할 수 있으며, 그밖의 상이한 직조직의 직물은 수득할 수 없다.
합성수지(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합성수지 스트랜드(예를들면, 멀티필라멘트사)의 테이프 또는 합성수지의 코오드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이러한 원형직기로 제직한 관상직물은 각종 재료의 수송 및 저장용 백과 쇼핑백으로 널리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이들 백의 중량이 가볍고, 백이 튼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의 원형직기로 제직한 관상직물은 직조직이 평직이고 경, 위사가 서로 밀접해지도록 제직되기 때문에 공기투과도가 뒤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이 결과, 이러한 백은 양파나 감자 따위의 채소류를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공기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나 위사의 수를 줄여서 조직밀도를 감소시킬 경우, 특히 합성테이프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할 경우 직상의 사들이 쉽게 변위되고 또 관상직물에서 구멍이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는 결점이 있다.
레노직은 우수한 투과도를 수득할 수 있으며, 사들의 변위를 막을 수 있는 직조직으로 공지되어 있다. 레노직에서 교차부위는 위사 사이에 형성되므로 사 사이의 거리를 크게할 수 있는 반면에 사의 변위는 발생하지 않는다.
부언하면, 통상의 직기에서는 레노직의 직물을 제직하기 위해 종광을 4개 사용한다. 특히, 종광 2개는 표준경사와 익경사(leno warp)용이며, 익종광(doup heald) 2개는 표준종광과 반종광(skeleton heald)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통상적인 원형직기의 개구기구는 원통형 캠기구장치로 종광틀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므로 한 셋트의 틀을 구성하는 종광틀을 3개 또는 그 이상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종광틀 3개 또는 그 이상을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개구기구를 설계하려고 시도한 결과, 이러한 개구기구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게 되었으며, 제직속도도 감소하여 직기는 실용성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투과도가 우수하며, 구성사의 직상 변위가 거의 없는 관상직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상의 방법과 동일하게 원형의 2열로 배열된 다수의 종광틀과 종광틀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원통형 캠기구로 이루어진 개구기구를 이용하여 레노직 관상직물을 제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방법을 행하기 위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표준경사는 적극개구운동(positive shedding motion)을 받지않고 실제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익경사는 표준경사의 한쪽에서 상승하여 개구를 형성하며, 후속의 개구에서 익경사가 표준경사의 아래를 통과한 후 익경사가 표준경사의 반대쪽에서 상승되어 익경사의 개구운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에서 레노직 관상직물을 제직하는 방법으로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라, 쌍을 이루는 종광틀이 익경사용 표준종광을 지지하고, 반종광이 표준종광의 쌍과 함께 들어 있으며, 또한 익경사를 안내하는 구멍(eye)을 제공하며, 제직지역에서 사의 통과는 종광틀의 바깥쪽 원을 따라 배열된 급사구(yarn guide), 종광틀의 바깥쪽 원을 따라 배열된 수직로드 사이에 형성된 간극 및 직물을 안내하는 내부안내게이지링에 의해 제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쌍을 이루는 종광틀 중의 하나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다른 종광틀은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제작되어 내부 종광틀과 이에 상응하는 외부종광틀로 쌍을 형성하여 두 동심원을 따라 2열로 배열된 다수의 종광틀로 이루어진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로 목적을 달성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원형직기의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원형직기 1에서 개구형성장치 및 필링장치를 포함하는 제직지역 4는 프레임 9안에 설치되고, 개구형성장치 및 필링장치는 프레임 9의 하단에 있는 전기모터 5에 의해 제 1동력전달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거쳐서 구동된다. 제직된 관상직물을 끌어올리는 장치 8은 제직지역의 윗쪽에 있으며, 제2동력전달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거쳐서 구동된다. 제2동력전달기구는 제1동력전달기구에 의해 구동전달레버 11을 거쳐서 구동되므로 직물을 끌어 올리는 장치는 제지역과 동시에 구동된다. 소망하는 관상직물 2를 제직하는 데에 필요한 경사 3은 제직지역 4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제직지역 4의 양쪽에 놓여있으며 경사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장가되어 있는 패키지 6a가 다수있는 한쌍의 크릴 6(제1도의 오른쪽에만 크릴이 도시되어 있음)에서 공급되며, 경사송출장치 7을 거쳐서 제직지역 4에 공급된다. 원형직기 1의 제직지역 4에서 제직작동에 의해 형성된 관상직물 2는 장치 8에 의해 윗쪽으로 송출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권취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안내된다.
다수의 종광틀은 원형직기의 제직지역 4에서 두 동심원을 따라 2열로 배열되며, 각각의 내부종광틀 25(제2도)는 이와 상응하는 외부종광틀 26과 쌍을 이루고 있다. 쌍을 이루고 있는 종광틀중의 하나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다른 종광틀이 이에 상응하여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한쌍의 종광틀을 제작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원형직기에서 다수 쌍의 종광틀은 파상(wave like)의 개구운동을 행하며, 다수의 북 13은 개구를 통과하는 경사급사구 14를 제공한다.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종광틀을 수직으로 움직이게 하는 개구운동기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원형직기에서 다수의 안내로드 18은 저부 북안내레일 16과 기계를 17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안내로드 18에는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 부재(sliding piece)19가 있다. 미끄럼부재 19에는 캠 디스크23의 양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돌출부 24와 맞물려 있는 두개의 로울러 21 및 22가 있다. 제2도의 아래쪽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캠 돌출부 24는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기가 작동하는 동안 캠디스크 23이 회전할 때 미끄럼부재 19는 안내로드 18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인다.
내부종광틀 25 및 외부종광틀 26에는 이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 시이트 27 및 28이 있으며, 지지 시이트 27 및 28의 하단은 적당한 고정장치에 의해서 무한벨트에 연결되어 있다. 무한벨트 29는 브래킷(도시하지 않았음)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안내풀리 31 및 32에 감겨져 있으며, 따라서 무한벨트는 양쪽방향 즉,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내부종광틀 25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 시이트 27은 핀 33에 의해 미끄럼부재 19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미끄럼부재 19가 캠 디스크 23의 회전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움직일 때 내부종광틀 25와 외부종광틀 26도 수직으로 움직인다. 제2도는 북13, 미끄럼부재19, 내부종광틀 25 및 외부종광틀 26간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의 윗쪽에서 점(.)은 표준경사 Y1을 나타내며, 작은 원에 둘러싸인 점(⊙)은 익경사 Y2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구운동기구는 미합중국 특허 제3,961,648호의 개구운동기구와 유사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종광은 통상적인 종광 뿐만 아니라 익종광이다. 내부종광틀 25 및 외부종광틀 26에는 이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어 종광을 지지하는 상부 바(upper bar) 및 하부바 35가 있다. 각각의 표준종광 37 또는 38은 적어도 구멍 37a 또는 38a 하나, 바람직하게는 37a 및 37b 또는 38a 및 38b 들을 제공한다. 제3도,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표준종광 37 또는 38의 상부 구멍 37a 또는 38a는 반대쪽 표준종광 38 또는 37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종광틀 25 및 외부종광틀 26에는 반종광 39가 있다. 반종광 39의 상부 41에는 여기에서 형성된 익경사를 안내하는 구멍 41a가 있으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뻗은 두 다리부분 42 및 43은 내부표준종광 37 및 외부표준종광 38의 구멍 37a 및 37b, 및 38a 및 38b를 통과한다.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2 및 43의 하단은 스프링 44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다른쪽 끝은 기계틀 17(제4도 참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종광 39는 항상 스프링 44에 의해 아래쪽으로 당겨져 있다.
원형직기의 제직지역에서 표준경사 Y1은 원을 따라 종광틀 25 및 26의 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급사구 45를 통과한 다음, 반종광 39와 내부 또는 외부표준종광 37 또는 38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상부 북안내레일 15 및 하부 북안내레일 1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접한 수직로드 47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과한 다음, 내부 안내게이지링 46으로 뻗는다. 내부 안내게이지링 46에서 Y1, Y2와 위사 Y3가 교차하여 직물 F를 형성한다.
이와는 반대로, 익경사 Y2는 급사구45를 통과한 다음, 반종광 39의 구멍 41a를 통과하고, 이어서 표준경사 Y1이 통과한 간극과 동일한 수직로드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내부 안내게이지링 46에 도달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내부종광틀 25 및 외부종광틀 26은 북 13이 움직일때 윗쪽 및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2 및 43이 내부표준종광 37의 구멍 37a 및 37b와 외부표준종광 38의 구멍 38a 및 38b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북 13이 움직일때 반종광은 표준경사 Y1의 좌측과 우측에서 교대로 움직이며, 반종광이 윗쪽으로 움직일때 전구개구(open shed)와 상구개구(closed shed)가 형성된다.
제5도는 내부표준종광 37이 상승되어 있고 외부표준종광 38이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부표준종광 37의 구멍 37a는 반종광 49의 상부 41과 맞닿아 있으며, 따라서 반종광 39는 스프링 44에 대하여 표준종광 37의 구멍 37a에 의해 상승된다. 내부표준종광 37의 구멍 37a는 북 13의 윗쪽으로 움직이며,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41a에 의해 북 13의 위로 상승된다. 외부표준종광 38의 구멍 38a는 북 13의 아래쪽에 있다. 표준경사 Y1은 표준종광 38의 구멍 38a의 윗쪽에서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3과 표준종광 38 사이를 통과하며, 급사구 45와 내부안내게이지링 46을 연결하는 선상에 있다. 북 13이 움직일때,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41a에 의하여 북 13의 상축으로 도입되며, 표준경사 Y1은 경사안내 14에 의해 북 13의 하측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급사구 45의 위치가 북 13의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평면 H보다 아래의 설정되면 표준경사를 북 13의 하측으로 순조롭게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실용적인 견지에서 바람직하다.
북 13이 익경사 Y2와 표준경사 Y1의 사이를 통과한 후, 표준종광 38은 상승된다. 스프링 44는 반종광 39의 상부 41이 표준종광 37의 구멍 37a와 확실하게 맞닿아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반종광 39는 표준종광 37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7a가 움직인 후 하강한다.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의 구멍 41a에 의해 하강된다. 표준종광 38의 구멍 38a는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3을 따라 윗쪽으로 움직이며, 표준경사의 아래에서 표준경사 Y1과 맞닿는다. 표준경사 Y1은 표준종광 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8a의 경사부분에 의해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3을 따라 상승한다.
표준종광 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8a는 반종광 39의 상부 41과 맞닿으며, 표준경사 Y1은 반종광 39의 상부 41로 상승한다. 그후, 반종광 39는 표준종광 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8a에 의해 상승되며, 이와는 반대로 표준종광 37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7a는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2를 따라 하강한다. 이때, 표준경사 Y1은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1을 통과하기 위해 표준종광 3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38a에 의해 안내되며, 표준경사 Y1은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2와 표준종광 37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의 구멍 41a에 의해 안내되며, 표준경사 Y1아래로 통과한다. 이 결과, 익경사 Y2와 표준경사 Y1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지며, 교차부분이 형성된다.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41a에 의해 윗쪽으로 상승되며, 이와는 반대로 표준경사 Y1은 표준종광 37의 구멍 37a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반종광 39의 다리 42를 따라 하강한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준종광 38의 구멍 38a는 북 13의 윗쪽으로 상승하며, 익경사 Y2는 반종광 39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41a에 의해 북 13의 윗쪽으로 상승한다. 표준종광 37의 구멍 37a는 북 13의 아래쪽으로 하강하며, 표준경사 Y1은 급사구 45와 내부 안내게이지링 46을 연결하는 선상에 있다. 그후 다음의 북 13이 움직일 때 익경사 Y2는 북 13의 윗쪽으로 도입되며, 이와는 반대로 표준경사 Y1은 북 13의 아랫쪽으로 도입된다. 북 13이 통과한 후, 표준종광 38은 하강하며, 표준종광 37은 상승한다. 따라서 익경사 Y2와 표준경사 Y1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지며, 이들은 제5도에서 설명한 상태로 다시 되돌아간다.
제6도는 제5도에서 설명한 익경사 Y2, 표준경사 Y1및 북 13에서 나온 위사 Y3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표준경사 Y1이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3과 표준종광 38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개구를 형성하는 익경사 Y2는 제6도에 도시한 도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6도에서 표준경사 Y1의 위에 있다. 제8도는 제7도에서 도시한 익경사 Y2, 표준경사 Y1및 북 13에서 나온 위사 Y3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표준경사 Y1이 반종광 39의 다리부분 42와 표준종광 37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8도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익경사 Y2는 제8도에 도시한 도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보았을 때 표준경사 Y1의 아래에 있으며, 제8도에서 개구를 함께 형성하는 익경사와 표준경사 Y1의 관계는 제6도와 반대이다.
제5도 및 제7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조작은 북안내 15 및 16에 배열된 다수의 익종광에 의해 연속적인 동시에 교호적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익종광에 맞닿아 있는 익경사 Y2와 표준경사 Y1의 교차부위는 북 13에서 나온 인접한 위사 Y3사이에 형성된다. 그 결과, 제9도에서 설명한 직조직인 레노직 관상직물 2가 제직된다. 이렇게 제직한 레노직 관상직물 2는 내부 안내게이지링 46에서 안내하여 윗쪽으로 권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양태에서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원형 북안내의 외주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익종광이 연속적인 동시에 교호적으로 위와 아래로 움직인다. 이러한 제작에 따라 익경사 Y2와 표준경사 Y1과의 교차부위는 인접한 위사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인접한 사 사이의 거리가 큰 관상직물을 제직할 수 있으며, 이 관상직물은 양파, 감자등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백을 제조하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종광틀과 이에 상응하는 외부종광틀로 쌍을 형성하며, 이 쌍은 쌍을 형성하는 종광틀중의 하나가 상승하거나 하강할때 다른 종광틀은 하강하거나 상승하도록 제작하여 두 동심원을 따라 2열로 배열된 다수의 종광틀로 이루어진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에 있어서, 쌍을 형성하는 종광틀이 익경사용 표준종광을 지지하며 ; 반종광이 한 쌍의 표준종광 사이에 끼워져 있고, 반종광은 익경사를 안내하는 구멍을 제공하며 ; 제직지역에서 사의 통과는 종광틀 외부의 원을 따라 배열된 급사구, 종광틀 내부의 원을 따라 인접하게 배열된 수직로드 사이에 형성된 간극 및 제직물을 안내하는 내부 안내게이지링에 의해 제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KR1019810002802A 1980-08-01 1981-08-01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KR840001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507 1980-08-01
JP?55-106507 1980-08-01
JP10650780A JPS5735028A (en) 1980-08-01 1980-08-01 Method and circular loom for weaving entangled cylindrical cl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499A KR830006499A (ko) 1983-09-24
KR840001904B1 true KR840001904B1 (ko) 1984-10-24

Family

ID=1443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802A KR840001904B1 (ko) 1980-08-01 1981-08-01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057237A4 (ko)
JP (1) JPS5735028A (ko)
KR (1) KR840001904B1 (ko)
IT (1) IT1137763B (ko)
PH (1) PH19067A (ko)
PT (1) PT73451B (ko)
WO (1) WO19820004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50B1 (ko) * 2007-10-01 2009-04-22 (주)유성특수산업 레노 조직용 제직장치
KR101067238B1 (ko) * 2008-12-18 2011-09-26 박상구 와이어 종광의 제조방법 및 그 와이어 종광
KR101157818B1 (ko) * 2007-11-21 2012-06-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레노 직물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7993B (de) * 1986-09-01 1989-04-10 Chemiefaser Lenzing Ag Fachbildungseinrichtung fuer dreherbindung
FR2685358A1 (fr) * 1991-12-19 1993-06-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Tissu tridimensionnel,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tissu et dispositifs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EP1036228B1 (de) 1997-11-03 2002-06-05 Klöcker-Entwicklungs-Gmbh Vorrichtung zur regulierung der fadenspannung der durch eine dreherkantenvorrichtung geführten dreher- und steherfäden
AT504348B8 (de) 2007-03-07 2008-09-15 Starlinger & Co Gmbh Rundwebmaschine
CN106081716A (zh) * 2016-07-29 2016-11-09 天津市旭辉恒远塑料包装股份有限公司 编织布机用收卷机
EP4065758A4 (en) * 2019-11-26 2023-12-20 Lohia Corp Limited CIRCULAR LOOM FOR PRODUCING DOUBLE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410995B (zh) * 2020-11-10 2022-03-22 邵阳市昌兴实业有限公司 一种纱线防缠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6384Y1 (ko) * 1966-11-29 1969-07-15
JPS5547139B2 (ko) * 1972-12-26 1980-11-28
JPS5063271A (ko) * 1973-10-11 1975-05-2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50B1 (ko) * 2007-10-01 2009-04-22 (주)유성특수산업 레노 조직용 제직장치
KR101157818B1 (ko) * 2007-11-21 2012-06-22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레노 직물 제조 장치
KR101067238B1 (ko) * 2008-12-18 2011-09-26 박상구 와이어 종광의 제조방법 및 그 와이어 종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57237A1 (en) 1982-08-11
IT8123282A0 (it) 1981-07-31
PT73451A (pt) 1981-08-01
JPS5735028A (en) 1982-02-25
KR830006499A (ko) 1983-09-24
WO1982000480A1 (en) 1982-02-18
EP0057237A4 (en) 1982-11-25
PH19067A (en) 1985-12-17
PT73451B (pt) 1982-10-21
IT1137763B (it)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904B1 (ko) 레노직 관상직물 제직용 원형직기
EP0263392B1 (en) Tetraaxial woven fabrics and tetraaxial weaving machine thereof
US4355666A (en) Shuttle propelling mechanism in circular loom
US3961648A (en) Positive shedding motion device for a circular loom
US20050011576A1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GB2113725A (en) Circular looms
US4424836A (en) Warp tension regulating and warp feed apparatus in circular loom
JPS6320933B2 (ko)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US4579149A (en) Circular loom
US62572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extile articles with an underlying warp and an additional warp
US4036262A (en) Triaxial weaving machine with warp strand guides
JPH04100955A (ja) 厚地織物用オサ打ち装置
EP0396408B1 (en) Shed-forming mechanism applied to a circular loom
JPH04214441A (ja) 重織物用グリッパ式織機
JPH03185148A (ja) 織布側縁部のからみ織り装置
US2830623A (en) Inside selvedge motion for looms
KR101673440B1 (ko) 개구를 크게 하여 콘 셔틀을 위입 시키는 고속 세폭 직기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JPH07300735A (ja) 織りひ口の下方に配置されたジャカード機を有する連続プラスチック織布を製造する継ぎ目織り機
KR101800187B1 (ko) 원형직기용 바디 장치
KR910006407B1 (ko) 원형 직기의 축 구동장치
KR800000009B1 (ko) 원형직기
US4796674A (en) Shed-forming apparatus for doup weave
KR900006279B1 (ko) 관상물 제조용 원형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