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59Y1 -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59Y1
KR830001959Y1 KR2019830001822U KR830001822U KR830001959Y1 KR 830001959 Y1 KR830001959 Y1 KR 830001959Y1 KR 2019830001822 U KR2019830001822 U KR 2019830001822U KR 830001822 U KR830001822 U KR 830001822U KR 830001959 Y1 KR830001959 Y1 KR 830001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box
seedling
roller
feed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끼오 가다오까
다다오 다까기
Original Assignee
스즈끼 단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스즈끼 스에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끼 단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스즈끼 스에쓰구 filed Critical 스즈끼 단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1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로울러로울 회전기구 측면도.
제3도는 상기 회전기구 평면도.
제4도는 조파체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상기 조파체의 종단 일부 정면도.
제6도는 상기 조파체의 사시도.
제7도-제11도는 작용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육묘 상자에 조파(條播)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씨나락의 조파는 제7도에서 제11도에 도시된 순서로 이것을 시행하면 대단히 합리적이다. 즉 육묘상자(1)내에 건조(체로 칠 수 있는 상태로 건조되어 있다는 뜻)된 상토(2)를 충전하는(제7도)통상이라면 상토 공급 균평(均平)후 즉시로 관수(灌水)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관수하지 않는 편이 좋다. 그것은 상토상에 평행조의 형성을 용이하게하고 또한 표면을 팽연(膨軟)한 상태로 보유하는 것으로서 씨나락의 낙하 충격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건조상토(2)그대로로 해놓고 상토면(3)을 정확하게 평탄하게 한다.
이와같이한 상토면(3)상에는 로울러로된 조부(條付)장치로 부터 평행조(4)를 형성한다(제8도).
평행조(4)가 형성되는 상기한 상토(2)는 체로쳐 놓았기 때문에 재와 같은 상태이며 대단히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해서 형성된 평행조(4)내에 씨나락(5)를 파종하지만 이 경우 평행조(4)이외의 부분에 씨나락을 파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의 유도홈(18)을 형성한 조파체(19)를 사용한다. 더우기 조파체(19)는 가급적으로 상토면(3)에 근접시키는 편이 좋다. (제9도), 즉 조파체(19)를 사용하면 확실하게 평행조(4)내에 유도할 수 있고, 낙차(落差)를 가지고 힘차게 자유낙하되는 씨나락(5)의 평행조(4)에서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후는 즉시로 복토(腹土)또는 관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복토도 관수도 하지 않고, 그전에 로울로된 진압장치로 진압한다. 그것도 상기한 평행조(4)의 철조(凸條)(6)부분을 붕괴하며 진압한다. 그러면 철조(6)부분은 제10b도와 같이 좌우측에서 씨나락(5)사이에 무너져 들어가고 또 진압시켜져서 제10a도와 같은 상태로 되며 씨나락(5)는 무너진 철조(6)부의 흙으로 매몰된 상태 또는 철조(6)부의 흙으로 위요된 상태로 되어서 미소한 외력이 가해져도 움직이지 않도록 된다. 그래서 상토(2)전부가 습윤되는 상태로 관수장치(21)을 사용해서 관수한다(제11도). 그러나 그와같이 관수하여도 상토면(3)이 평탄하고 또한 씨나락(5)의 둘레에는 상기한 것처럼 바닥흙의 철조(6)부분이 무너져 있으므로 관수한 물로 씨나락(5)가 유출되는 일없이 완전히 습윤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표면에 얇게 건조토를 끼얹어서 복토해두면 복토된 흙은 충분히 습윤된 바닥흙(2)이 수분을 흡수해서 자연히 정착되며 통기성이 좋은 상태로 복토를 완료할 수 있으며 양호한 생육이 기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중 특히 조파체(19)를 특수한 구성으로 해서 육묘상자의 크기가 여러가지로 변화되어도 항상 확실하게 씨나락을 평행조(4)내에 안내유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1도는 전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7)은 육묘상자(1)을 횡송시키는 이송대이며 모우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활차(8)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9)는 이송대(10)의 육묘상자 공급측, (10)는 육묘상자 배출축으로 된다. 이송대(7)의 중간부 상부에는 씨나락(5)의 송출장치(11)이 설치된다. (12)는 송출장치(11)중의 공급홉퍼, (13)은 그 송출구, (14)는 송출구(13)에 횡설된 송출로울이고 송출로울(14)가 회전되면 공급홉퍼(12)내의 씨나락(5)를 내보낸다. 상기한 공급홉퍼(12)등은 전부 이송대(7)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지주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한 씨나락 송출장치(11)의 전방측에서 육묘상자(1)이 횡동하는 상부위치에는, 육묘상자(1)내의 상토(2)의 상토면(3)에 접촉되어서 상토면(3)에 평행조(4)를 형성하는 조부장치인 로울러(15)가 설치된다. 그 로울러(15)는 다수의 환상륜(16)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이며 소망의 압압력을 가지고 상토면(3)상에 압착하고 그리고 평행조(4)를 형성하는 것이다. 씨나락 송출장치(11)의 후방측이며 이송대(7)의 상방위치에는 진압로울(20)을 설치한다. 그 진압로울(20)은 어느 부분도 동일직경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상토면(3)에 압착해서 평탄하게한다. 씨나락 송출장치(11)의 하부에는 후에 상기할 조파체(19)가 설치된다.
제2도와 제3도는 상기한 로울러(15)와 상기한 로울러(20)의 취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씨나락 송출장치(11)의 하부에는 그 아래를 통과하는 육묘상자(1)의 좌우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으로 전후방향으로 긴 지지간(22)를 대향상태로 설치한다. 제2도와 제3도는 전방측의 지지간(22)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지지간(22)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로히 움직이는 구조이며 소망의 위치에 하동을 제한하는 조절나사(23)(23)을 소망의 수로 취부한다. 조절나사(23)(23)의 하단은 고무(24)(24)를 취부해서, 이송대(7)의 상면에 당접되었을때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31)은 코일스프링이며 상단은 지지간(22)에 계합되며 하단은 이송대(7)측의 소망의 위치에 계합해서 상기 지지간(22)를 이송대(7)측으로 잡아당긴다.
그 잡아당기는 정도를 상기 조절나사(23)로 정하는 것이다. 지지간(22)의 공급측(9)의 단부에는 상기한 로울러(15)의 축(17)을 축지하고 축(17)에 치차(25)를 고정시킨다(제3도).
지지간(22)의 배출측(10)단부에는 로울러(20)을 축(26)으로 축지하고 축(26)에 치차(25)와 동일 치수의 치차(27)을 고정하고 양치차(25)(27)간에 체인(28)을 걸어감는다.
그리고나서 상기한 축(17)(26)어느 한편을 길게 돌출시켜서(제3도는 축(26)을 길게 돌출시킨예 이다)그 돌출된 부분에 요동완(29)의 상단을 축장한다. 요동완(29)의 하단은 상기축(17)(26)의 어느 다른편에 해당되는 위치에 가까운 상기한 활차(8)의 축(30)을 이송대(7)에서 돌출시키며 거기에 축지한다.
따라서 요동완(29)는 축(30)을 중심에 원호상으로 상하동하며 지지간(22)는 더우기 축(26)을 중심으로해서 상하동된다. 상기축(30)에는 치차(32)를 고정시킨다. 치차(32)와 맞물리는 역전치차(33)을 그 근방위치에 축(34)으로 축지된다. 축(34)는 요동완(29)에 취부된다. 축(34)에는 스포로켓트의 조차(調車)(35)를 취부하고 상기한 축(26)에는 조차(35)(37)간에 체인(36)을 걸어맨다. 따라서 활차(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로할때 로울러(15) 및 로울(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며 또한 로울러(15) 및 로울(20)이 상하동해도 축(30)으로부터 확실히 회전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4도, 제5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지의 일부로된 조파체(19)를 도시한 것이다.
조파체(19)의 상부는 홉퍼상으로 개구된 수구(受口)(38)로 되고 내부에는 상면이 산형안내부(39)로 된 유도분할편(40)을 다수 병설하였다. 그 분할편(40)은 상기한 상토면(3)으로 형성된 철조(6)의 직상위치에 향하여 상기한 분할편(49)(40)간에 평행조(4)에 향한 유도 홈(18)이 형성된다. 조파체(19)의 좌우폭은 육묘상자(1)의 좌우의 폭과 대략같으며 그 좌우측에는 전진이동해온 육묘상자(1)의 연변(41)에 당접함에 따라 조파체(19)을 상동시킬 수 있는 경사부(42)와 그 연변(41)상을 접동해서 조파체(19)를 상토면(3)에 거의 닿을 정도로 들어올리는 접동부(43)을 가진 계합편(44)가 형성된다.
조파체(19)는 육묘상자(1)의 작용으로 상하동하는 구성이며, (45)는 장공, (46)는 계합간을 나타낸다.
본 고안은 이상의 구성이므로 임의의 위치로 설치한 모우터에 통전되어 각 활차(8)(8)…을 회전시키고 또 축(30)에 축지되어 있는 치차(30)를 회전시키면 요동완(29)인 축지되어있는 역전 치차(33)은 역전되고 그축(34)에 고착되어 있는 조차(35)를 사이에 두고 체인(36)에 의해 조차(37)을 역회전시키며, 치차(27), 체인(28), 치차(25)에 의해 로울(20)과 로울러(15)를 역전시킨다.
그래서 이송대(7)의 공급측(9)에 상토 공급장치를 부설한 경우에는 빈 육묘상자(1)을 그대로 얹고, 상토 공급장치가 없을 경우에는 육묘상자(1)내에 상토를 채워서 평탄하게 한 후 공급측(9)의 활차(8)(8)상에 재치하면 활차(8)(8)의 시계방향의 회전으로 송치되어서 그 선단이 로울러(15)의 하단에 도달한다. 육묘상자(1)이 로울러(15)의 하단에 도달하면 연변로울러(15)를 코일스링(31)의 탄력에 대향하여 상동시키고 로울러(15)가 연변을 타고 넘어서 바닥토면(3)상을 압압한다. 이 경우 로울러(15)는 지지간(22)의 단부에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간(22)의 하단부에 축지되어 있는 진압로울(20)을 중심으로해서 상동한다. 로울러(15)의 압압력은, 조절나사(23)으로 조절하고, 소망의 평행조(4)를 형성한다. 또 로울러(15)는 축(26)에 취부되어 있는 치차(27)로부터 체인(28) 및 치차(25)를 사이에두고 구동회전 하고 있으며 또한 그의 원주속도는 육묘상자(1)의 이동속도와 동속으로 되도록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깨끗한 평행조(4)를 형성한다.
육묘상자(1)의 선단이 송출로울(14)의 하부에 걸리면 제6도의 상태로 되며 육묘상자(1)의 좌우측의 연변(41)이 계합편(44)의 경사부(42)에 세차게 당접된다. 따라서 화살표 C의 방향은 계합편(44)를 들어올리도록되고 계합편(44)가 고착되어 있는 조파체(19)를 상동시킨다. 육묘상자(1)이 또 전진하면 상기한 연변(41)은 수평의 접동부(43)의 하부에 감삽되어 제4도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송출로울(14)에 의해 송출된 씨나락은, 수구(38)내에 낙하되어서 분할편(40)(40)에 의해 좌우측으로 분할되어 유도 홈(18)을 지나서 평행조(4)내에 확실하게 파종되는 것이다.
육묘상자(1)이 또 전진하면 진압로울(20)의 하부에 도달하고 동일하게 코일스프링(31)의 탄력에 저항해서 로울(20)을 상동시킨다. 그러나 진압로울(20)이 상동되어도 그 전압로울(20)은, 로울러(15)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활자(8)의 축(30)에 하단을 축지한 요도완(29)의 상단에 축지되어 있고 상기한 축(30)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상하동하는 것이며 그동안, 요동완(29)로 양축간의 거리는 일정한 거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전도는 저장없이 시행된다. 로울(20)이 육묘상자(1)의 연변을 타넘은 후에는 제10a도, 제10b도와 같이 진압된다. 그리고 더우기 전진해서 관수장치(21)에 의해 관수를 받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구성작용이며 육묘상자(1)을 횡송시키는 이송대(7)의 중간위치 상부에는 씨나락 송출장치(11)을 설치해서 육묘상자(1)내에 씨나락을 파종하도록된 장치에 있어서 그 씨나락 송출장치(11)의 하부에는 씨나락 송출장차로부터 송출된 씨나락을, 육묘상자(1)의 바닥토면(3)까지 안내하는 조파체(19)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육묘상자(1)내에 조파할 수 있고 또 동시에 상기한 조파체(19)는 횡송되는 육묘상자(1)의 연변(41)에 세차게 당접되어서 상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후에는 육묘상자(1)의 연변(41)상을 접동하도록한 것이며, 상시, 조파체(19)의 하부를 상기 육묘상자(1)의 상토면(3)에 거의 닿도록해 둘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정확하게 씨나락(5)를 유도파종할 수 있는 효과를 갖어온다.
또 상기 조파체(19)의 전방위치에는 육묘상자(1)내에 평행조(4)를 형성할 수 있는 로울러(15)로된 조부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상기 구성과 어울려서 평행조(4)내에 조파하는 곤란한 잡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육묘상자를 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7)의 상방 위치에 씨나락을 공급하는 씨나락 송출장치(11)와, 그 송출장치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토면(3)에 평행조(4)를 형성하는 환상 홈을 가진 로울러(15)를 구비한 육묘상자의 조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씨나락 송출 장치(11)의 하부에, 그 송출장치로부터 송출된 씨나락을 육묘 상자내의 상기 평행조(4)에 안내유도하는 유도홈(18)이 형성되도록 산형안내부(39)를 가진 다수의 유도분할편(40)을 병설하여 된 상하동 가능한 조파체(19)를 가급적 상토면(3)에 접근한 상태에서 작용하도록 설치하고, 씨나락 송출장치(11)의 후방측에는, 씨나락 파종후의 평행조의 철조(6)를 무너뜨려서 평탄하게 하는 평로울 형태의 진압 로울(20)을 육묘상자 구동활차 및 상기 환상홈을 가진 로울러(15)와 연동하도록 요동완(29) 및 1쌍의 지지간(22)에 의해 연결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의 조파장치.
KR2019830001822U 1978-12-21 1983-03-02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KR830001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822U KR830001959Y1 (ko) 1978-12-21 1983-03-02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866 1978-12-21
KR2019830001822U KR830001959Y1 (ko) 1978-12-21 1983-03-02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866 Division 1978-12-21 1978-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959Y1 true KR830001959Y1 (ko) 1983-09-30

Family

ID=2662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822U KR830001959Y1 (ko) 1978-12-21 1983-03-02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582B2 (ja) 播種機
US3913798A (en) Attachable precision unit for seed planters
KR830001959Y1 (ko) 육묘상자의 조파(條播)장치
KR200410345Y1 (ko) 파종기용 상토공급호퍼의 출구개폐판 조정장치
US2924186A (en) Planting device for seed tape
KR200194270Y1 (ko) 종자 파종기에 있어서 육묘상자의 이송장치
JP2540454B2 (ja) ベルト式播種機の種子供給装置
JPH0123255Y2 (ko)
JPS6227062Y2 (ko)
JPH0132828Y2 (ko)
JPH0454735Y2 (ko)
JPH0123209Y2 (ko)
JP2019122322A (ja) 土供給装置
CN217326553U (zh) 一种厂房建设用地标线绘制装置
KR970000501Y1 (ko) 답토직파용 파종기
JP3755095B2 (ja) ロング苗マットの巻取り装置
JPH0753059B2 (ja) 土砂類の供給装置
JP3641037B2 (ja) 育苗容器の土供給装置
JPS6222089Y2 (ko)
JPS63177712A (ja) 種子繰出装置
JP2000166318A (ja) 育苗箱作業装置
JPH0753450Y2 (ja) 育苗箱上端縁の種籾掃散装置
JPH048737Y2 (ko)
JP2001078513A (ja) 育苗箱用播種施薬施設
SU9139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ева мелкосемянных культур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