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96Y1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796Y1
KR830001796Y1 KR2019790007174U KR790007174U KR830001796Y1 KR 830001796 Y1 KR830001796 Y1 KR 830001796Y1 KR 2019790007174 U KR2019790007174 U KR 2019790007174U KR 790007174 U KR790007174 U KR 790007174U KR 830001796 Y1 KR830001796 Y1 KR 830001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case
spring
shim
penci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7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22U (ko
Inventor
마사시찌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고스계 쇼오시찌
유우겐 가이샤 도오교오 긴소꾸 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계 쇼오시찌, 유우겐 가이샤 도오교오 긴소꾸 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고스계 쇼오시찌
Priority to KR2019790007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796Y1/ko
Publication of KR830000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43K21/20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with writing-cores automatically replaced from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프 펜슬
제1도는 본 고안 샤프 펜슬의 필기 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
제2도는 연필심의 끌어당기는 동작을 시작할 때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 정면도.
제3도는 연필심을 끌어당기는 동작중의 일부 종단 정면도.
제4도는 연필시을 끌어당기는 동작중에 있어서, 연필심의 끌어당겨지는 직전을 나타내는 일부 종단 정면도.
제5도는 연필심을 끌어당긴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 정면도.
제6도는 연필심을 끌어당긴 후에 각 부재가 원래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 정면도.
본 고안은 샤프펜슬 중에서도 압출식, 기타 척(chuck)을 갖춘 샤프펜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연필심이 끌어당겨질시에는 부러지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좀더 상세하게로는 연핀심을 끌어당길때 심케이스에 어느정도 여분의 압동력(押動力)을 가해서 압동해도 그 압동력을 쿠숀 스프링으로 완충시켜서 척과 연필심에는 전혀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고 더욱이 척이 연필심을 부러트리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축통(軸筒) 안으로 혹은 축통 앞끝의 가는관(細管) 안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척을 갖춘 공지의 압출식 샤프펜슬, 기타 척을 구비한 공지의 샤프펜슬에는 각종의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구성에서 공통된 현저한 결점은 연필심을 끌어당기는데에 있어서 심케이스를 누르면 이 케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척이 동시에 눌러져서 척이 연필심을 꼭 쥐게될 때 그 쥐는 힘이 연필심에 대해서 한때 급격하게 작용하여 연필심은 그 급격히 쥐는힘에 경디지 못하고 잭의 입구끝에서 부러져 버리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현저한 결점은 굵으면서 연한 연필심을 쓸때나, 딱딱하면서 가느다란 연필시(약 0.5mm-0.2mm가량의 지름으로 된 연필심)을 사용할 때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이 생기는 원인은 연필심에 대해서 쥐는 힘이 서서히 작용되도록 하는 완충구성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샤프펜슬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기한 특징을 가진 구성이면서도 연필심을 부러트릴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축통 안으로 혹은 축통앞끝의 가는 관내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한 샤프펜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축통(1)은 중간기구(7)를 개재하여 앞축(101)에 뒷축(102)을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해서 구성하고, 앞축(101)의 앞끝 내부에 이동링(8)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장시키고 또한 그 링의 앞쪽에 연필심(a)을 꼭쥐거나 또는 풀어주는 두쪽 혹은 세쪽으로 형성된 파지조(把持爪)(201)와 심케이스(5)에 연결되는 통부(筒部)(202)로 구성하고 그 통부는 파지조(201)를 가진 전반부와 심케이스(5)에 연결되는 후반부로 구성하여서, 후반부의 기단(機端)가까이에는 플랜지(203)를 돌설시켜 심케이스(5)에 이동가능할 정도로 긴밀하게 끼워맞추고, 그 플랜지를 심케이스(5)의 앞끝 내부에 계합할 수 있게 구성하며, 통부(202)를 중간기구(7)에 관통시켜서 파지조(201)를 앞축(101)내에 배치시킨다.
연필심을 끌어당기게 하는 스프링(3)은 심케이스(5)의 중간기구(7)의 앞끝과 중간기구(7)의 심케이스(5)쪽 기단부와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심케이스(5)에 연결된 척(2)을 항상 연필심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한다.
체결링(4)은 내면에 전부 또는 일부가 깔대기를 뒤집어 놓은 모양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서 척(2)의 파지조(201)가 서서히 좁혀지도록 구성되며, 또한 중간기구(7)쪽 기단에는 플랜지(401)가 돌설되어서 앞축(101)기단에서 가까운 내면에 구성된 단부(段部)(103)와, 끝면이 그 단부(103)와 면일(面一)하게 되도록 앞축(101)의 내면에 장착된 조립용링(104)의 상기한 단면과, 중간기구(7)의 앞끝면 과의 사이에 플랜지(401)가 끼어서 그 플랜지가 중간기구(7)의 앞끝면과 단부(103) 및 조립용 링(104)의 단면과의 거리(12)가 유동하지 않고 원활하게 왕복 되도록 구성하고, 척(2)을 관통시켜서 파지조(201)가 끼워 맞추어지거나 빠져나가도록 구성한다.
체결링(4)이 상기한 거리(12)를 전진하여서 정지하면, 끼워맞추어져 있던 척(2)의 파지조(201)가 빠져나와서 개방되고, 파지되었던 연필심(a)을 해방하여 그 연필심(a)을 가느다란 관(10)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하여서 필기가능한 상태가 얻어지게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연필심(a)의 끌어당겨질 때에 있어서 이동링(8)에 깊게 끼워맞추어져서 연필심(a)을 파지하였던 척(2)의 파지조(201)가 스프링(3)에 의해서 이동링(8)과 함께 끌어당겨지면, 상기한 전진 정지상태의 체결용 링(4)의 선단으로 이동링(8)의 기단이 당접하고, 그 이동링(8)이 체결링(4)을 전기한 거리(12)만큼 압입하여서 정지시키고 이 후퇴정지한 체결용 링(4)으로 척(2)의 파지조(201)를 거의 열리는 일이 없도록 끼워맞추며, 척(2)의 파지조(201)에 대한 이동링(8)의 조이는 것이 체결용 링(4)에 의해서 계속되게 연필심(a)이 부러질 염려가 없이 당겨지도록 구성하고, 그외에 척의 파지조(201)가 상기한 후퇴 정지된 체결용 링(4)으로 이동하면, 그 링에 당접하여서 이동링(8)이 이탈되어 자체무게로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욱 조립용 링(104)의 안지름은 앞축(101)의 앞끝 안지름(이동링(8)이 배치되는 앞끝 안지름)보다도 작게 작은 지름으로 성형하여 체결용링(4)이 흔들리지 않고 원활히 왕복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쿳숀 스프링(6)은 심케이스(5)의 내부앞끝에 배치되며 이를 더욱 상세히 말하면, 심케이스(5)에 끼워 맞춰지는 척(2)의 통부(202)의 기단에 가까운 플랜지(203)와 심케이스(5)의 내부 앞급에 가까운 압압구(501)와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항상 척(2)을 앞쪽(연필심(a)이 압출되는 방향)으로 탄발되게 연필심 케이스(5)의 전진시에 휘지 않도록 척(2)을 연동시킨다.
심케이스(5)와, 척(2)의 통부(202)와, 쿳숀 스프링(6)과의 관련 구성을 설명하면, 플랜지(203)를 가지고 있는 통부(202)의 후반부는 심케이스(5)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긴밀하게 관통되어서 플랜지(203)가 심케이스(5)의 내부앞끝과 계합하여서 쿳숀 스프링(6)이 심케이스(5)안에 끼워맞춰지게 되며, 심케이스(5)안에 압압구(501)를 장착하여 쿳숀 스프링(203)와 압압구(501)의 사이에 개재시켜 파지조(201)를 가진 통부(202)의 전반부를 통부(202)의 후반부에 접속시켜서 척(2)을 심케이스(5)에 연결하고, 쿳숀 스프링(6)으로서 척(2)을 항상 앞쪽으로 탄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심케이스(5)가 약간 압동되면 쿳숀스프링(6)은 휘는 일 없도록 척(2)을 연동시켜 척(2)의 파지조(201)가 함께 이동되어 체결용 링(4)에서 빠져나와 이동링(8)에 얕게 끼워맞춰지도록 구성한다.
심케이스(5)의 중간기구 앞끝에는 관(502)을 돌설시키고 이관에 스프링(3)의 한쪽끝을 감아서 장치함과 아울러, 이 관과 중간기구(7)의 연필심케이스쪽 기단에 돌설한 관(701)과, 이들 양관사이의 거리(1)로서 쿳숀스프링(6)의 작동기구(9)를 구성하지만, 이 작동기구는 상기한 거리(1)을 척(2)의 전체 전진거리 보다 더 길게 즉, 극한까지 끌어당겨서 체결용 링(4)에 감합되어 있는 척(2)의 파지조(201)가 연필심 케이스(5)와 연동되어서 동시에 전진을 개시한후, 이동링(8)에 깊게 감합할때까지의 파지조(201)의 전체 전진거리(척(2)의 파지조(201)가 제1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링(8)에 깊게 감합한 제4도에 표시한 상태에 이를때까지의 전체전진 거리)보다 더길게 구성하고, 심케이스(5)가 압동되어서 관(502)이 관(701)에 당접하여 거리(1)가 제로로 될 때에 쿳숀 스프링(6)이 작동하여 척(2)의 파지조(201)를 이동링(8)에 서서히 깊게 감합되도록 구성한다.
중간기구(7)는 심케이스(5)와 대향하는 심케이스쪽 기단면에 관(701)이 돌설되며, 반대쪽의 앞끝면에는 공지의 감합구멍을 갖는 일이 없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중심에 척(2)이 관통된다. 그러므로 중간기구(7)의 둘레면을 이용해서 압축(101)에 뒷축(102)을 연결하여 축통(1)을 구성함과 동시에 관(701)과 심케이스(5)의 관(502)과 양관 사이의 거리를(1)로 하여서 전기한 작동기구(9)를 구성한다.
이동 링(80은 안쪽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깔대기 모양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축통(1)의 앞끝내부에 끼워 맞춰져서 척(2)의 파지조(201)가 서서히 끼워져서 좁혀지고 서서히 열려서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작동기(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필심(a)이 끌어당겨질때에 있어서 압출길이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연필심케이스(5)의 관(502) 및 중간기구(7)의 관(701)과, 이를 양관의 거리(1)로서 구성되며, 또한 그거리가 척(2)의 전체 전진거리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작동기구(9)는 연필심(a)의 압축조작에 관여하는 일은 없으며, 다른 구성과 아울러서 연필심(a)이 끌어당겨지도록 하는 것에만 관련이 있는 기구이다.
즉, 연필심(a)의 압출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심케이스(5)를 약간씩 반복하여 압동시켜서 척(2)을 연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체결용링(4)에 반복해서 끼워졌다 빼어졌다 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연필심(a)을 끌어당겨지도록 가능하게 구성함에도 연필심(a)압출시의 압출길이 보다 더 길게 심케이스(5)를 압압하고, 그 심케이스의 관(502)을 그 압출길이 보다 더 길게 거리(1)만큼 전진시켜서 중간기구(7)의 관(701)에 당접시키며, 그 양관의 당접으로서 길게 압압되는 심케이스(50의 압출길이를 일정길이로 규정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그 당접으로서 거리(1)가 제로로 되어서 심케이스(5)가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하여서 심케이스(5)가 정지되면 스프링(3)이 압축되어서 심케이스(5)를 압압하여 복귀시키기 위한 힘을 축적하나, 그 압축된 스프링(3)의 탄발력이 쿳숀 스프링(6)에 대하여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척(2)의 통부(202)를 심케이스(5)에 이동가능학0ㅔ 구성함과 아울러, 그 케이스의 정지로서 쿳숀 스프링(6)이 압축되어서 척(2)을 전진시키기 위한 힘을 축적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그 심케이스(5)의 정지중에 압축되어 있던 쿳숀스프링(6)이 스프링(3)의 영향을 받지않고 탄발하여 심케이스(5)와 연동전진하여서 이동링(8)에 얕게 감합되어 있는 척(2)의 파지조(201)를 그다음에 깊게 감합시키고, 연필심(a)을 서서히 조여서 파지할 수 있도록 이동링(8)의 내면을 깔때기 모양 경사면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거리(1)의 길이를 척(2)의 전체 전진거리 보다 더 길게 구성한다.
이동링에 깊게 감합한 파지조(201)의 조여지게 하는 힘으로서 연필심(a)이 부러져 버리는 일이 없도록 쿳숀 스프링(6)의 탄발력과 파지조(201)의 조이는 힘과의 힘에 관계를 조정하여, 그 조이는 힘이 쿳숀 스프링(6)으로서 균형이 유지되어 필요이상으로 연필심(a)을 조이는 일이 없도록 구성한다. 그외에, 스프링(3)가 쿳숀 스프링(6)과의 상대적인 힘관계는 어느쪽이 강하고 또는 동일하더라도 상관은 없다.
만약 쿳숀스프링(6)의 탄발력이 강하면 심케이스(5)가 거리(1)를 전진중에 있어서, 쿳숀스프링(6)은 압축되지 않고 척(2)을 연동전진시켜서 파지조(201)를 체결용 링(4)에서 이동링(8)으로 이동하여 얕게 감합되게하여, 쿳숀스프링(6)의 탄발력이 약하면 심케이스(5)의 전진에 따라서 쿳숀스프링(6)은 압축되지만, 심케이스(5)의 관(502)이 중간기구(7)의 관에 당접하여서 심케이스(5)가 정지하면 압축된 스프링(3)의 탄발력이 굿숀스프링(6)에 대하여 하등의 영향을 주지않으므로서, 압축된 쿳숀스프링(6)은 탄발하여서 척(2)을 연동전진시켜 파지조(201)를 이동링(8)으로 움직이게 하여서 얕게 감합시키며, 양 스프링(3)(6)의 힘 관계가 동일하다면 심케이스(5)에 대한 손가락끝의 압동력의 쪽이 쿳숀스프링(6)의 탄발력 보다 더 강해져서 쿳숀스프링(6)의 힘이 스프링(3)의 힘보다 더 강한 관계로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서, 심케이스(5)의 전진중에 있어서 쿳숀스프링(6)은 압축되지 않고 척(2)을 연동전진시켜서 파지조(201)를 체결링(4)에서 이동링(8)으로 이동시켜서 얕게 감합되게 한다. 따라서 스프링(3)과 쿳숀스프링(6)과의 힘관계로 측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다음에 연필심(a)을 끌어당길때의 작용을 제1도에서 순서대로 설명하면, 제1도는 연필심(a)이 가는관(11)에서 돌출되어 필기가능한 상태이나 이 상태에 있어서 심케이스(5) 맨끝의 누르는 부분(도면표시 생략)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심케이스(5)는 조금 전진하여 스프링(3)을 약간 압축해서 관(502)(701)사이의 거리(1)이 거리(11)으로 짧게되었을 때에 척(2)은 쿳숀 스프링(6)으로 전방으로 탄압되어 있으므로 플랜지(203)가 심케이스(5)의 내부선단과의 계합을 보전지지한채로 심케이스(5)와 함께 연동전진하여, 전진 정지된 체결링(4)에서 파지조(201)를 이동링(8)에 이동하고, 그 이동링(8)에 얕게 감합되도록 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는 것이다.
제1도에서 제2도의 상태로 이동할 시 쿳숀 스프링(6)은 압축되거나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서 스프링(3)이 심케이스(5)로서 압축되며, 척(2)은 심케이스(5)와 연동전진 하여서, 파지조(201)를 체결링(4)에서 빠지도록 함에 따라 일단 열려서 연필심(a)을 해방하고 그 연필심을 제1도의 상태보다도 가는관(11)에서 조금 길게 돌출시키지만, 잠시후에는 이동링(8)에 얕게 끼워맞춰져서 약간 조여짐에 따라 연필심(a)을 느슨하게 조인다.
이 제2도의 상태로 심케이스(5)를 다시 압동하면 관(502)이 스프링(3)을 다시 압축하면서 거리(11)만큼 전진하여 관(701)에 당접해서 정지되는 것이다. 심케이스(5)가 정지하면 동시에 척(2)의 플랜지(203)는 심케이스(5)의 내부 앞끝에서 떨어져서 계합을 풀고 전기한 거리(11)과 같은 거리(11)를 그 내부 앞끝과의 사이에서 생기도록 함과 동시에 심케이스(5)의 압압구(501)에서 그 거리분만큼 돌출시켜서 쿳숀 스프링(6)이 압축되어 제3도의 상태로 된다.
이 제3도에 있어서 척(2)의 상태는 파지조(201)가 이동링(8)에 얕게 끼워 맞춰지고 조금 조여져서 연필심(a)을 느슨하게 조이는 제2도의 상태 그대로이며, 제2도의 상태에서 조금도 전진하지 않은 상태이나 쿳숀스프링(6)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잠시후에는 쿳숀 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서 그스프링의 강도만큼 천천히 전진해서 척(201)을 이동링(8)에 천천히 깊게 끼워맞춰주므로 연필심(a)을 단단히 잡아주어 제4도의 연필심을 끌어당기기 직전상태로 된다(제4도의 상태에 있어서는 작동기구(9)의 거리(1)가 파지조(9)의 전체 전진거리 보다 더 길므로서 그 양거리의 차이, 심케이스(5)내에 있어서 척(2)의 플랜지(203)와 심케이스(5)의 내부 선단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제2도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무리 심케이스(5)를 압동시켜서 그 압동력은 쿳숀 스프링(6)의 압축으로 완충되고, 그 케이스는 거리(11)를 전진하여 정지할뿐 이므로 그 케이스가 정지하면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척(2)은 제3도의 상태를 거쳐서 끌어당기기 직전의 제4도의 상태로 되어 척(2)의 파지조(201)가 순간적으로 강하게 연필심(a)을 조이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필심(a)이 부러지는 등의 염려가 없다.
또, 제3도 및 제4도의 상태에서는 심케이스(5)의 관(502)이 중간기구(7)의 관(701)에 당접하고 있어서 심케이스(5)를 아무리 눌러도 움직일 수 없고 따라서 척(2)의 파지조(201)와 연필심(a)이 심케이스(5)의 압동력으로 영향을 받는 염려가 없다.
제4도의 상태대로 누르는 부분(도면표시 생략)에서 손가락을 떼고 심케이스(5)를 해방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3)이 연필심(a)의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탄발신장되어 심케이스(5)를 튕겨줌과 동시에 압축되었던 쿳숀 스프링(6)이 연필심(a)의 압출방향으로 탄발신장되어 척(2)의 통부(202)에 있어서 플랜지(203)를 심케이스(5)의 내부 앞 끝에 계합시켜서 원상태로 복귀신장되어 심케이스(5)는 스프링(3)의 탄발신장으로 전진한 거리(11) 만큼 튕겨져서 이동링(8)에 깊게 끼워맞춰져서 연필심(a)을 단단히 조이고 있는 척(2)에 파지조(210)를 거리(11) 분만큼 들어가게함으로서 연필심(a)의 끌어당김을 시작한다.
이 연필심을 끌어당기는 시작에 있어서 심케이스(5)의 위치, 전기한 플랜지(203)의 계합상태, 스프링(3)의 신장상태 쿳숀 스프링(6)의 신장상태등은 제2도의 상태와 같으며, 전기한 파지조(201)와 그 파지조가 깊이 끼워맞춰지고 있는 이동링(8)과는 제4도의 2점 쇄선으로 보이는 위치로 끌어당겨 이동된다.
연필심(a)의 끌어당김을 시작하면 스프링(3)은 계속하여 늘어나는 탄발신장을 계속해서 심케이스(5)와 이 케이스의 플랜지(203)에 계합하고 있는 척(2)과를 계속하여 끌어잡어 당겨들이지만, 척(2)은 파지조(201)가 이동링(8)에 깊게 끼워맞춰져서 연필심(a)을 잡아쥐고 있으므로 이동링(8)을 한꺼번에 끌어당겨서 이동시켜 제5도의 표시한바와 같이 앞축(101)의 단부(103)와 조립용 링(104)의 끝면과의 플랜지(401)가 계합해서 정지되어 있는 체결용 링(4)의 앞끝에 이동링(8)의 기단을 당접시켜서 체결용링(4)를 플랜지(401)가 중간기구(7)의 앞끝면에 당접할때까지 이동 링(8)와 한꺼번에 끌어당겨져서 체결용링(4)이 중간기구(7)에 당접되어 정지하면 파지조(201)를 거의 열지 못하고 이동링(8)에서 체결용링(4)으로 옮겨서 끼워맞추어 이동링(8)을 제1도의 원위치(제5도에서 2점 쇄선으로 보이는 위치)까지 자중으로 낙하시켜서 복귀시킴과 동시에 가는관(11)에서 돌출되었던 연필심(a)을 절손할 염려없이 가는관(11) 안으로 완전히 끌어당겨서 제6도의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4도에 보이는 연필심(a)의 끌어당기기 직전상태에서 연필심(a)의 끌어당김이 시작되어서 연필심(a)이 완전히 끌어당겨진 때에 각부재의 위치는 제4도에서 제5도를 거쳐서 제6도의 상태로 된다. 제5도의 상태에 있어서 척(2)의 파지조(201)는 이동링(8)에서 체결용 링(4)으로 옮겨질때 그 양 링의 내면모양에 따라 다소 열려지지만 연필심(a)은 앞축(101)의 고무링(10) 때문에 가는관(11)에서 돌출이 저지된다.
제6도의 상태에서 연필심(a)을 돌출시켜서 제1도의 상태로 하려면 전기한 누르는 부분(도면표시생략)을 손가락으로 재차 반복해서 누르면 심케이스(5)가 압동되면서 동시에 척(2)의 파지조(201)가 이동링(8)에 유감되는 위치까지 왕복해서 개폐를 되풀이하여 연필심(a)을 가는관(11)에서 돌출시킨다.
즉, 심케이스(5)의 압동이 되풀이되면 파지조(201)는 제2도의 2점 쇄선으로 보이는 위치까지 전진해서 열려져서 이 위치까지로 왕복을 되풀이해서 개폐하여 연필심(a)을 가는관(11)에서 돌출시키므로 연필심(a)이 돌출하면 심케이스(5)의 압동을 그치고 제1도와 같이 필기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축통 혹은 가는관에서 돌출되어 있는 연필심의 끌어당김에 있어서 척의 연필심에 대한 잡아주는 힘이 일시에 급격히 작용하는 일이 없게되어 연필심이 부러질 염려가 없이 끌어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연필심을 끌어당길때에 있어서 아무리 심케이스를 압동시켜도 그 압동력은 쿳숀 스프링으로 완충되어 척이나 연필심이 영향을 받는일이 없게되어 연필심은 안전하게 끌어 당겨져서 들어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압축내에 쿳숀 스프링을 배치한 것에 비하여서 척의 끼워맞추어진 링의 위치가 축통의 앞쪽에 위치하므로서 필기중에 체결링의 입구끝에서 연필심이 부러져도 나머지 심이 계속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공지의 전기한 샤프펜슬을 개량하게 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Claims (1)

  1. 축통(1)내에 구비한 척(2)을 스프링(3)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당겨서 그척을 체결링(4)에 끼워맞추어서 연필심(a)을 파지하고, 도한 체결링에서 빠지게 하여서 연필심을 해방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척의 기단부를 심케이스(5) 내의 앞끝에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서 척의 기단 근처에 설치한 플랜지(203)를 심케이스의 내부선단에 계합시키고, 척의 플랜지와 심케이스의 내부선단 근처에 설치한 압압구(501)와의 사이에 척을 심케이스의 전진에 연동시켜서 체결링(4)에서 빠지도록 하는 쿳숀 스프링(6)을 개재시키고, 심케이스와 축통내의 중간기구(7)에 걸쳐서 스프링(3)을 배치함과 아울 러, 축통의 선단내부에는 척이 탈착(脫着)되는 내면이 깔대기 모양경사면의 이동링(8)을 장치시키며, 심케이스의 중간기구쪽 선단에 돌설한 관(502)과 중간기구(7)의 심케이스쪽 기단에 돌설된 관(701), 이들 양간 사이의 거리(1)로서 쿳숀 스프링의 작동기구(9)를 구성하고, 그 작동기구는 상기한 거리(1)를 척의 전체 전진거리 보다 더 길게 구성하며, 전기한 쿳숀스프링(6)의 작동기구의 관(502)(701)의 당접으로서 심케이스를 정지하도록 탄발가능하게 배설하고, 심케이스와의 연동 및 그 케이스의 정지로서 이동링에 얕게 끼워맞추워진 척이 서서히 깊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변위가능하게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KR2019790007174U 1979-11-29 1979-11-29 샤프 펜슬 KR830001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174U KR830001796Y1 (ko) 1979-11-29 1979-11-29 샤프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174U KR830001796Y1 (ko) 1979-11-29 1979-11-29 샤프 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22U KR830000222U (ko) 1983-04-30
KR830001796Y1 true KR830001796Y1 (ko) 1983-09-17

Family

ID=192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7174U KR830001796Y1 (ko) 1979-11-29 1979-11-29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7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22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2706A (en) Mechanical pencil
DE2946870A1 (de) Mechanischer schreibstift
KR830001796Y1 (ko) 샤프 펜슬
US2484640A (en) Mechanical pencil
US4343558A (en) Mechanical pencil
EP0210350A1 (en) Mechanical pencil
US6854909B2 (en) Lead propelling device
GB1572269A (en) Jaw assembly for blind riveting apparatus
US2503080A (en) Mechanical pencil with push-button type lead feeding means
US4165941A (en) Mechanical pencil
JP253008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CN218197661U (zh) 一种对书写压力进行缓冲的自动铅笔
JPH09511463A (ja) 筆記用具
JP201210645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519913B2 (ja) 自動繰出式シヤ−プペンシル
JPS583296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3982386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870002712Y1 (ko) 샤아프 펜슬
JPS6144873Y2 (ko)
JPH0356386Y2 (ko)
JPH0615721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880001860B1 (ko) 샤아프 펜슬
JPH0726178U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870000022Y1 (ko) 이중 노크식 필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