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52Y1 -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52Y1
KR830001252Y1 KR2019820000348U KR820000348U KR830001252Y1 KR 830001252 Y1 KR830001252 Y1 KR 830001252Y1 KR 2019820000348 U KR2019820000348 U KR 2019820000348U KR 820000348 U KR820000348 U KR 820000348U KR 830001252 Y1 KR830001252 Y1 KR 830001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mixture
separator
support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0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준
Original Assignee
박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준 filed Critical 박은준
Priority to KR2019820000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제3(a)도는 혼합물 유출흡퍼로부터 혼합물이 회전원판상에 소량으로 낙하하는 상태이고,
제3(b)도는 혼합물 유출흡퍼로부터 혼합물이 회전원판상에 다량으로 계속해서 낙하하는 상태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현미분리기 선별함 내부에 착설된 현미선별판의 일측하부모서리에 혼합물 낙하함체를 고착한 것에 있어서, 다수의 익편이 부착된 회전원판의 저부에 지지구를 핀으로 착설하고, 이의 내하부에 베어링을 축삽하되, 사향지게 절고시킨 지지간 일측 상방에 용착시킨 지지돌기를 상기 베어링의 중심에 삽치시키므로서, 회전원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고, 혼합물 유출 흡퍼로부터 낙하되는 혼합물이 회전원판의 일측상부에 낙하될때 이의 중량에 의해 회전원판이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며, 지속적으로 회전원판의 일측상부에 혼합물이 낙하될 때에는 회전원판이 혼합물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하락하게 하므로서 곡물배출함내에 유설된 제형댐퍼를 절환 가능케 하여 현미배출구로 순수 현미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인의 기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8563호(공고번호 제80-1080호)의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자동현미 선별장치에 있어서는, 혼합물 낙하함체내에 스크류를 내설하고, 이 스크류를 모우터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시키고, 이의 회전력에 의하여 개·폐문을개방시킴과 동시에, 개·폐문의 개방각도만큼 작동간이 약간 회전토록 하여 곡물배출함내부에 내설된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를 요동시켜 개폐문의 개폐정도에 따라서 현미나 혼합현미를 현미배출구 또는 혼합물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는 스크류를 모우터에 의하여 연동되게 하고, 낙하되는 혼합현미의 양에 관계없이 항상 모우터를 가동케 하므로서 전력의 낭비가 많았을 뿐 아니라, 뉘, 쭉정이 등을 동반한 혼합현미가 소량으로 스크류상에 낙하될 때에도 개·폐문을 작동시키게 되어 현미 배출구상에 혼합된 현미를 배출케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익편이 부착된 회전원판상에 혼합물 유출흡퍼로부터 소량의 나락, 쭉정이 등이 낙하될 때에는 회전원판이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혼합물 배출구측으로 혼합현미가 배출되도록 하고, 회전원판상에 다량의 나락, 쭉정이 등이 지속해서 낙하될 때에는 회전원판이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혼합물 낙하함체 하부상으로 하락하여 현미 배출구측으로 현미만이 배출토록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상의 현미분리기(1) 선별함 내부에 착설된 현미 선별판(2)의 일측하부 모서리에 혼합물 낙하함체(3)를 고착한 것에 있어서, 다수의 익편(4)이 부착된 회전원판(5)의 저부에 체착핀(6)으로 착설시킨 지지구(7)의 내하부에 베어링(8)을 축삽하되, 사향지게 절곡시킨 지지간(10) 일측상방에 용착시킨 지지돌기(9)를 상기 베어링(8)의 중심에 끼워 회전원판(5)을 경사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사향지게 절곡시킨 지지간(10)의 타단을 횡봉(11)의 일단에 감착시킨 지지링(12)에 고착시켜 회전원판(5)에 혼합물 유출흡퍼(13)로부터 소량 또는 다량의 나락, 쭉정이 등의 낙하될때 회전원판(5)이 회전자재 또는 승강자재토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3'는 혼합물 유출흡퍼, 14는 나선간, 15는 추 16, 16'는 작동간, 17은 제형댐퍼의 유설핀, 18은 작동레버, 19는 작동레버 안내요홈, 20은 혼합배출구, 21은 현미배출구, 22는 곡물 재출함, 23은 제형댐퍼, 24는 혼합현미 공급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시킨 본 고안에 있어서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모우터(도시생략)에 의하여 요동되는 현미분리기(1)의 선별판(2)상에 뉘, 쭉정이, 현미 등이 혼합된 혼합현미를 혼합미공급구(24)를 통하여 투입하게 되면, 현미선별판(2)이 요동되면서, 현미는 현미선별판(2)의 상저부(도시중 "A"부분)로 이동되고, 쭉정이등의 혼합물은 현미현별판(2)의 하저부(도시중 "B"부분)로 이동되게 되는바, 최초에는 현미선별판(2)의 상저부("A"부분)측으로 쭉정이 등이 현미와 같이 혼합되어 이동되므로서, 소량의 쭉정이, 뉘 등의 혼합물이 현미선별판(2)의 하저부("B"부분)에 착설되어 있는 혼합물 유출흡퍼(13)를 통해 낙하되어지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혼합물 유출흡퍼(13)를 통해 소량의 뉘, 쭉정이 등의 혼합물이 낙하되면서, 혼합물 낙하함체(3)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원판(5) 일측 상부의 익편(4)에 낙하하게 되어, 회전원판(5)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혼합물 낙하함체(3)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착핀(6)으로 회전원판(5) 저부에 지지구(7)를 착설하고, 지지구(7) 내하부에 베어링(8)을 축삽하되, 사향지게 절곡시킨 지지간(10)의 일측상방에 용착시킨 지지돌기(9)를 상기 베어링(8)의 중심에 삽치시켜 회전원판(5)을 경사지게 설치하므로서, 혼합물 유출흡퍼(13)로부터 낙하되는 소량의 혼합물이 혼합물 유출흡퍼(13) 직하방에 위치하는 익편(4)의 절곡부위에 낙하되어 어느 일편으로 편중되어지는 순간 즉, 익편(4)의 절곡부위에 낙하되는 소량의 혼합물의 중량이 익편(4)의 어느 일편으로 가해져, 회전원판(5)이 지지돌기(9)를 중심으로 하여 어느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익편(4)의 절곡부위에 낙하된 소량의 혼합물은 회전원판(5)이 회전함에 따라 익편(4)의 외부로 유출되어 진다.
이때, 현미선별판(2)의 상저부("A"부분)측으로 이동되어지는 혼합현미는 혼합물 유출흡퍼(13')와 제형댐퍼(23)를 통해 혼합배출구(20)측으로 배출되어진다.
계속해서 모우터가 가동되어 혼합현미를 현미선별판(2)상에서 선별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순수한 현미 선별판(2)의 상저부("A"부분)측으로 이동하고, 뉘, 쭉정이 등의 혼합현미는 선별판(2)의 하저부("B"부분)측으로 이동하여 선별되어지므로서, 혼합물 유출흡퍼(13)에는 다량의 뉘, 쭉정이 등이 혼합물이 통과하면서 회전되고 있는 회전원판(5) 일측 상방의 익편(4)에 낙하하게 되는데, 뉘, 쭉정이 등의 혼합물이 다량으로 익편(4)의 절곡부위에 낙하되므로서, 혼합물의 중량에 의하여 회전원판(5)이 하방으로 하락하게 된다.
즉, 다량의 혼합물의 중량이 회전하고 있는 회전원판(5)의 익편(4)에 가해지면, 나선간(14)에 나착시킨 추(15)의 무게보다 회전원판(5)과 낙하되면서 가해지는 혼합물의 중량의 합이 더 무거워지므로 제3(b)도와 같이 회전원판(5)이 혼합물 낙하함체(3) 내하부로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횡봉(110을 중심으로 제3(b)도와 같이 추(15)가 상승되면 작동간(16)이 하락하면서 작동간(16')을 당접하게 되므로서, 제형댐퍼의 유설핀(17)을 중심을 작동레바(18)가 안내요홈(19)을 따라 하락함과 동시에, 혼합배출구(20)측으로 향하고 있던 제현댐퍼(23)가 현미배출구(21)측으로 절환되어져 현미 선별판(2)의 상저부("A"부분)측으로 이동되어진 순수현미가 현미배출구(21)측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현미분리기(1)를 작동시키고, 혼합 배출구(20)측으로 배출되어진 혼합현미를 혼합현미 공급구(24)측으로 되돌리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반복 동작케 하므로서 순수현미만을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나락 등의 혼합물의 양에 따라 회전원판을 회전 또는 하락케 하므로서 제형댐퍼를 현미 배출구 또는 혼합 배출구로 절환케 하여 순수현미만을 확실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도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현미분리기(1) 선별함 내부에 착설된 현미선별판(2)의 일측하부 모서리에 혼합물 낙하함체(3)를 고착한 것에 있어서, 다수의 익편(4)이 부착된 회전원판(5)의 저부에 착설시킨 지지구(7)의 내하부에 베어링(8)을 축삽하되, 사향지게 절곡시킨 지지간(10) 일측상방에 용착시킨 지지돌기(9)를 상기 베어링(8)의 중심에 끼워 회전원판(5)을 경사지게 함과 동시에 회동자재토록 구성한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 배출 절환 장치.
KR2019820000348U 1982-01-18 1982-01-18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KR830001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348U KR830001252Y1 (ko) 1982-01-18 1982-01-18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0348U KR830001252Y1 (ko) 1982-01-18 1982-01-18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52Y1 true KR830001252Y1 (ko) 1983-07-27

Family

ID=19223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0348U KR830001252Y1 (ko) 1982-01-18 1982-01-18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990B1 (ko) * 2012-01-19 2014-08-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990B1 (ko) * 2012-01-19 2014-08-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컴팩트 라이스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3094A (en) Coin feed mechanism
KR830001252Y1 (ko)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JP4289444B2 (ja) 縦型穀類選別機
JPS6349336Y2 (ko)
JP3845812B2 (ja) 穀類選別計量機
JP2003320263A (ja) 包装食品自動分別処理装置
JPS6333663Y2 (ko)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JPS6366274B2 (ko)
JPS601066B2 (ja) 籾摺装置に於ける揺動式選別装置
JPH0734895B2 (ja) 石抜選別機
KR800001080Y1 (ko)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JPS589662Y2 (ja) 選別機
JP3530816B2 (ja) 削り節用風力選別機
JPH0335424Y2 (ko)
KR19990018212U (ko) 분말 선별장치
JPS6014973A (ja) 揺動式穀物選別装置
JP3254591B2 (ja) 穀類選別機における残粒排出装置
US2607488A (en) Sizer and classifier
JPH0334299Y2 (ko)
KR870002272Y1 (ko) 곡립요동 선별장치
JPS6031826Y2 (ja) 選別機の屑粒排出案内装置
JP2561487B2 (ja) 穀粒選別装置
JP3069904B1 (ja) 石抜機
JPH10192724A (ja) 籾摺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