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80Y1 -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80Y1
KR800001080Y1 KR790004727U KR790004727U KR800001080Y1 KR 800001080 Y1 KR800001080 Y1 KR 800001080Y1 KR 790004727 U KR790004727 U KR 790004727U KR 790004727 U KR790004727 U KR 790004727U KR 800001080 Y1 KR800001080 Y1 KR 800001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outlet
damper
screw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4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준
Original Assignee
박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준 filed Critical 박은준
Priority to KR79000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80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한 확대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수동조작간과 조정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공지된 동요식 현미분리기에 있어 선별함 내부에 착설된 현미분리판의 착설위치 중 제일 낮은 부위의 하부에 별도의 곡물통과 함을 기체에 부착하되 그 내부에는 모우터의 회동에 의하여 연동되는 스크류를 장설한 스크류함의 일측을 개폐문으로 하여 작동간의 상단에 고착하므로서 현미분리판에서 낙하되는 뉘와 현미의 일부가 곡물통과함 내부에 축설된 스크류를 통과하게 될 때 뉘와 현미의 일부가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하여 밀리는 힘으로 개폐문을 개방시키게 되어 개폐문의 개방각도 만큼 작동간이 약간 회전하면서 작동간 끝단에 형성된자형 유도간이 조절간의 동기를 밀어주어 배출함 내부에 내설된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가 요동되어 개폐문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현미를 현미배출구나 혼합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벼의 자중에 의한 선별장치가 있기는 하였으나 선별하고자 하는 벼의 종류에 따라 그 무게의 차이가 심하여 선별코저 하는 벼의 종류에 따라 일일이 선별 장치를 조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조작이 번거로워 사용자의 숙련을 요하였으므로 그다지 활용되지 못하였었다.
본 고안은 현미 선미작업시 현미 분리판의 제일 낮은 부위에서 낙하되는 뉘와 현미 일부가 곡물통과함에 내설되고 스크류함에 장설된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스크류함의 개폐문을 개방시키는데 이때 개폐문의 축 역할을 하고 있는 작동간이 개폐문의 개방각 만큼 회전하게 되어 현미분리판의 착설위치중 세번째로 높은 부위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배출함 내부에 장설된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를 요동시켜 현미분리판에서 낙하되는 현미를 현미 배출구로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현미분리기(1)에 있어서 현미분리판(2)이 착설된 위치 중 제일 낮은 부위(B) 하부에 스크류(5)가 내설되고 개폐문(6)과 곡물유출구(4')가 형성된 스크류함(4)을 내설시킨 곡물통과함(3)을 기체에 부착시키고, 작동간(7)의 끝단에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11)를 댐퍼축(11')을 중심으로 좌우 요동을 조절하여 주는 조절간(12)을 유동시키는자형의 유도간(13)을 고착하며, 조절간(12)이 부착된 배출함(10)의 반대위치의 상단 일측부에자형의 유동간(15)이 고착된 수동조작간(14)을 유착하고 이 수동조작간(14)에 의하여자형의 유동간(15)이 댐퍼축(11')에 축설된자형의 조정간(16)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부호 5'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8은 추, 8'는 나선간, 9는 추의 조절간, 9'는 넛트, 12'는 조절간의 하단에 돌설된 돌기, 14'는 수동조작간의 상하운동을 안내해 주는 안내간, 14"는 수동조작간을 안내하여 주는 안내요홈, 17은 현미낙하구, 18은 현미배출구, 19는 혼합물 배출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통상의 현미분리기로 현미분리작업을 할 때에 현미분리판(2)의 전체에 분리코져 하는 현미가 꽉 들어 찼을 때에는 현미분리판(2)의 현미낙하구(17)로 현미가 배출되는 것은 이미 기지된 사실이나 현미분리판에 분리코저 하는 현미가 조금밖에 없을 때에는 현미낙하구(17)로 혼합물이 섞여 배출되는 사례가 허다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미분리판(2)에 현미가 꽉차 있을 때에는 현미분리판의 제일 낮은 부위(B)로 뉘 및 쭉정이 등이 배출되는데 이것을 곡물통과함(3)에 내설된 스크류함(4)으로 낙하시키게 되면 스크류함(4)에 장설된 스크류(5)가 모우터(도시없음)의 회동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낙하되는 뉘 및 쭉정이 등을 스크류(5)의 진행방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작동간(7)에 상단이 고착된 스크류함(4)의 개폐문(6)이 개방되는데 개폐문(6)의 개방각도 만큼 작동간(7)을 회동시켜 주게 되어 작동간(7) 끝단에 고착된자형의 유도간(13)이 댐퍼축(11')에 유설된 조절간(12)의 돌기(12')를 밀어주면서 곡물 배출함(10) 내부에 내설된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11)를 댐퍼축(11')을 중심으로 요동시켜 주게 되므로 혼합물배출구(19)로 향하고 있던 댐퍼(11)의 끝단배출구를 현미배출구(18)로 향하게 하므로서 현미분리판(2)의 제일 낮은 부위(B)에서 뉘 및 쭉정이 등이 계속 낙하됨에 따라 곡물배출함(10) 상부의 현미낙하구(17)에서도 항상 현미만 낙하하게 되어 현미배출구(18)로는 항상 현미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현미분리판(2)의 제일 낮은 부위(B)에서 뉘나 쭉정이 등이 곡물통과함(3)으로 낙하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미분리판(2) 자체에 분리코저 하는 현미가 없을 경우이므로 이때에는 스크류(5)가 밀어줄 것이 없어 개폐문(6)을 개방시키지 못하여 작동간(7)을 작동시키지 못하므로 상광하협상으로 된 제형댐퍼(11)의 끝단배출구는 혼합배출구(19)로 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어 곡물배출함(10) 상부의 현미분리판(2)에서 낙하되는 것을 혼합물배출구(19)로 배출시켜 되돌림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그리고 추(8)와 추의 위치 조절간(9)은 현미분리판(2)의 제일 낮은 부위(B)에서 낙하되는 뉘와 쭉정이 등의 부피에 따라서 개폐문(6)의 개방각도가 결정되는데 이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하여 추(8)는 나선간(8')을 따라 전후작동으로 추의 위치조절간(9)은 작동간(7)을 따라 좌우이동시켜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제형댐퍼(11)의 요동으로 현미배출구(18)나 혼합물 배출구(19)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이것을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조절간(12)이 부착된 곡물배출함(10)의 반대측 상단일측부에 유착된 수동조작간(14)에 의하여 조작하게 되는데 이 수동조작간(14)이 제일 상단위치에 있을 때에는자형으로 된 유동간(15)의 하단이자형의 조정간(16)을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제형댐퍼(11)의 끝단배출구가 항상 현미배출구(11)로 만향하게 되어 현미낙하구(17)에서 낙하되는 곡물을 항상 현미배출구(18)로만 배출하게 되고, 수동조작간(14)을 제일 하부위치로 하게 되면자형의 유동간(15)의 상단이자형의 조정간(16)을 고정시키고 있어 제형댐퍼(11)의 끝단배출구가 항상 혼합물배출구(19)로만 향하게 되어 현미낙하구(17)에서 낙하되는 곡물은 항상 혼합물배출구(19)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를 자동으로 하고자 할 때는 수동조작간(14)을 중간위치로 하면 되는데자형의 조정간(16)이자형 유동간(15)의 중간위치(첨부도면 제 4 도 참조)에 있게 되므로자형의 조정간(16)은자형 유동간(15)의 상단과 하단 거리만큼 요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광하협상의 제형댐퍼(11)를 요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스크류함(4)에 내설된 스크류(5)에 의하여 개폐문(6)이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개폐문(6)이 개방되면 댐퍼(11)의 끝단배출구는 현미배출구(18)로 향하게 되고 개폐문(6)이 폐쇄되면 댐퍼(11)의 끝단배출구는 혼합배출구(19)로 향하게 되는 것이므로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 현미분리판(2)에 분리코저 하는 현미의 양에 따라서 제형의 댐퍼(11)가 자동으로 현미배출구(18)나 혼합물배출구(19)로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현미분리판에 분리코저 하는 현미의 양에 따라서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 현미배출구나 혼합물 배출구로 제형의 댐퍼가 요동되면서 전환시켜 주게 되어 자동으로 현미를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 수동조작간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제형의 댐퍼를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분리판(2)이 착설된 위치 중 제일 낮은 부위(B) 하부에 곡물통과함(3)을 기체에 부착한 통상의 현미분리기에 있어서 낙하되는 뉘와 현미의 양에 의하여 스크류(5)가 스크류함(4) 일측에 부착된 개폐문(6)을 개폐시킴에 따라 제형댐퍼(11)의 끝단이 댐퍼축(11')을 중심으로 현미배출구(18)나 혼합물배출구(19)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KR790004727U 1979-08-09 1979-08-09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KR800001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4727U KR800001080Y1 (ko) 1979-08-09 1979-08-09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4727U KR800001080Y1 (ko) 1979-08-09 1979-08-09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80Y1 true KR800001080Y1 (ko) 1980-07-28

Family

ID=1921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4727U KR800001080Y1 (ko) 1979-08-09 1979-08-09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13805A (en) Feed devices for discrete material
SU89710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го отбора и сортировки монтажных деталей
KR800001080Y1 (ko)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자동 현미 선별장치
US3373973A (en) Mixing apparatus for blending bulk material
US5215372A (en) Aggregate storage apparatus for use in producing asphaltic mix
US4210527A (en) Twin air classifier system
US3397782A (en) Material separator
US2273296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
Abouzeid et al. A study of the hold-up in rotary drums with discharge end constrictions
US3414164A (en) Blending apparatus for solids
US2533655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ies
KR830001252Y1 (ko) 동요식 현미분리기의 현미배출 절환장치
JP2000288471A (ja) 縦型穀類選別機
JPS589662Y2 (ja) 選別機
CN208915478U (zh) 一种塑料称重装置
US2364101A (en) Milling
US3719277A (en) Quick change system or vibratory tray system
SU1472110A2 (ru) Вибрационный смеситель
US4461700A (en) Rotary feeder
JP2909832B2 (ja) 穀粒選別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909831B2 (ja) 穀粒選別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830002588Y1 (ko) 동요식 현미 분리기의 되돌림 유도장치
AU733229B2 (en) Separation apparatus
US3015390A (en) Pneumatic separator
JPS6213073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