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041B1 -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41B1
KR830001041B1 KR1019810005259A KR810005259A KR830001041B1 KR 830001041 B1 KR830001041 B1 KR 830001041B1 KR 1019810005259 A KR1019810005259 A KR 1019810005259A KR 810005259 A KR810005259 A KR 810005259A KR 830001041 B1 KR830001041 B1 KR 83000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ish
meat
water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1981000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통상의 사료에 엿기름, 홍당무, C.M.C.(카복실 메칠 쎄루로스), 수육, 어육 등을 배합한 것에 있어서, 이들 배합물을 적당한 묽기로 반죽하여 철벨트표면에 고무로울러를 이용하여 얇게 압연하면서 10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이 40∼50% 정도 건조하였을 때 가열하지 않는 상온의 철벨트를 표면에 대고 100∼300㎏/㎠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0.05∼0.3mm정도로 얇게 압연하는 즉시 100∼130℃의 건조기를 통과시키어 건조된 벌집형의 다공성사료를 철벨트에서 긁어내어 다공성이면서 부드러운 사료를 만들고 각 배합사료별로 만든 것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사료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료를 물에 던지면 즉시 흡수하여 부드럽게되어 고기들이 용이하게 먹을 수 있는 동시 고기들이 모두 먹기까지 물에 풀리지 않고 고형질로 유지하여 물의 현탁이나 수질오염을 방지하면서 각종 고기들이 식성대로 즐겨 먹을 수 있는 사료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종래의 양어용 사료는 이것저것 배합한 단일종의 과립 또는 분말사료로만 제조하였으나 과립으로 된 사료는 너무 단단하여 치어들이 먹기 어렵고 분말사료는 물에 풀리어 고기들이 잘 먹을수 없을뿐 아니라 수질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있을 뿐 아니라 이들 단일종의 사료는 어떤 종류의 고기는 잘 먹는 반면 어떤 종류의 고기는 잘 먹지 않는 등 고기종류의 식성의 차이로 어느 고기에게나 공통적으로 사료를 공급하여서는 편식에 의한 영양의 결핍으로 고기들의 폐사율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어류의 식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열대어중의 시크릿트과에 속하는 엔젤, 디스커스 등은 새우, 지렁이, 육류, 어분 등 담백한 육식만 먹고 간, 계란, 번데기, 비타민 등의 구수한 맛을 싫어하는 반면, 카라신과에 속하는 스마트라, 헤드엔드 테엘 라이트 휘쉬, 사폐 블랙데트라 등은 육식성이지만 상기한 구수한 맛이 첨가된 사료를 잘 먹는다. 또한 실버바브, 초어 킷싱스케일 등의 어류는 초식성으로써 초식을 하지 않으면 성장발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기타 잡식성의 어류는 무엇이나 잘 먹으며 어류의 식성은 이상과 같이 다양하다. 따라서 종래의 사료처럼 이것저것 혼합하여 단일 사료로 만들게 되면 어류의 까다로운 식성으로 인하여 편식하게 될뿐 아니라 모든 고기가 육식만 한다고해서 계속 육식사료만 먹이게 되면 얼마 안가서 편식에 의한 폐사율이 높아지게 되며, 또한 사료에 대한 싫증으로 먹지 않게 되면 나머지의 사료가 물에서 부패하여 물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수질의 오염으로 고기들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수시로 어장의 물을 갈아주어야 하는 비경제적이고도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지금까지 사료에 별로 사용한 바 없는 해조류, 수육(짐승의 육질 및 내장 등), 어육(신선한 생어류의 살, 내장 등), 엿기름, 맥반석, 홍당무, C.M.C.(카복실메칠 셀루로우즈)등을 각종 어류의 식성에 합당한 종류로 선택 배합하여 사료의 주재로 하고 이를 묽게 반죽하여 가열된 철벨트상에 도포하여 서회전로러로 가합하면서 가열 증숙시키어 수증기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벌집형의 다공성 사료가 되게 하고 이를 긁어 입자로 하여 물에 투입시 쉽게 연질화되어 고기들이 용이하게 먹을 수 있게 유연성을 유지하는 동시 물을 현탁시키지 않게 하고 각종 어류의 식성대로 즐겨 먹어 편식을 없애고 폐사율을 감소시키며 발육촉진, 건강유지, 산란의 양호, 어류특유의 자연 색상을 유지시킬 수 있게하는 새로운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을 발명한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성별 고기의 사료의 배합에는 다음과 같다.
(1) 육식성 기타 어류를 위한 사료의 배합
1kg당-수육 100g, 어육 150g, 새우분 및 기타 어분 540g, 소맥분 140g, 맥반석분 10g, 피(선지) 200cc, C.M.C. 10g, 홍당무 건조분 50g을 배합한 것으로 붉은 사료 820g을 얻으며 홍당무와 피와 붉은 새우에 의하여 사료의 색상이 붉다.
(2) 육식성 어류와 기타 어류용 사료로 맛과 영양을 달리한 배합
1kg당-수육 50g, 어육 150g, 간 100g, 새우분 및 기타 어분 460g, 소맥분 180g, 엿기름 50g, 피 800cc, C.M.C. 10g을 배합한 것으로 암적색의 사료 780g을 얻으며 간과 피로 인하여 암적색을 이룬다.
(3) 카라신과 잡식성 어류용 사료의 배합
1kg당-어육 100g, 대두박 100g, 깻묵 50g, 새우분 및 기타 어분 430g, 소맥분 180g, 사료용 종합비타민 50g, 계란 3∼5개, 엿기름 50g, C.M.C. 10g을 배합한 것으로 황색상의 사료 840g을 얻으며 황색 비타민에 의하여 사료의 색상이 황색을 이룬다.
(4) 초식성 어류용 사료의 배합
1kg당-어육 100g, 수육 50g, 녹색 해조류 300g, 소맥분 180g, 엿기름 30g, 새우분말 및 기타 어분 330g, C.M.C. 10g을 배합한 것에서 녹색사료 810g을 얻으며 해조류로 인하여 사료의 색상이 녹색을 이룬다.
(5) 전체 어류용 미네랄사료의 배합
1kg당-미네랄, 아미노산 및 비타민군이 혼합된 종합비타민 10g, 흑색 해초분(미역, 김 등) 300g, 새우 및 기타 어분 350g, 소맥분 190g, 탈지분유 100g, 엿기름 30g, 맥반석분 10g, C.M.C. 10g을 배합하여 흑색의 사료 920g을 얻으며 흑색식물로 인하여 사료의 색상이 흑색을 이룬다.
이상의 배합에 1,2,3,4,5의 각 배합물은 각각 개별적으로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공정으로 제조한다.
상기한 배합물을 적당한 묽기로 반죽하여 철벨트상에 얇게 고무 로울러를 이용하여 도포하면서 이송하는 중에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분이 40∼50% 정도로 건조되었을때 서회전 로러로 100∼300㎏/㎠정도의 압력으로 압연한 다음 곧바로 100∼130℃의 건조실을 1∼2분간 통과시키어 건조되어 나오는 배합물을 철벨트에서 긁어내어 두께 0.05∼0.3mm의 벌집형의 엷은 입자 사료를 얻거나 반죽배합물은 철판상에 적당두께로 도포한후 100∼130℃의 온도로 가열하는 동시 10∼30℃ 정도의 낮은 온도로 유지된 철판을 배합물 위에 대고 압력을 가하여 형성된 법집형의 사료를 얻으며 이와 같이 상기한 배합에 1,2,3,4,5의 각 배합물을 각각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 다음 이들 제조된 각 사료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오색의 아름다운 본 발명의 복합 양어용 사료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배합물의 반죽의 묽기는 고무 로울러에 의하여 철벨트에 도포하기 용이한 정도로 하며 너무 수분이 많으면 로울러에 묻어 압연이 잘 안되고 너무 수분이 부족하면 압연이 잘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에 C.M.C.를 배합하여 점성을 높게 하므로 소맥분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고단백질을 더 넣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M.C.의 첨가량은 1% 내외가 바람직하며 2%를 초과하게 되면 소화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사료에 배합된 엿기름은 소화를 촉진하며 홍당무는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어류의 색상을 윤택하게 할 뿐 아니라 비타민 A를 공급한다. 또한 맥반석은 300멧슈 이상으로 분말화하여 첨가하며 이는 물을 알카리화하여 미네랄을 용출하고 용존산소량을 풍부히 하며 수질을 조절하고 수중의 오염물질이나 유리염소 유기물 등을 흡착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배합물의 반죽한 것을 철벨트상에서 압착하면서 가열하였기 때문에 가열시의 증기가 철벨트와 로울러 사이에서 폭발적으로 확산하면서 호화된 증숙 배합물의 질을 다공성의 유연한 고형질로 형성케 되어 사료를 물에 던졌을 경우 즉시 물기를 흡수하여 부드럽게 되는 동시 물에 풀리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게 되어 고기들이 용이하게 먹을 수 있으며 각종 사료를 배합한 복합사료인 만큼 어느 고기나 싫증나지 않고 잘 먹게 되어서 편식으로 인한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생육이 양호하며 건강과 색상을 윤택하게 유지케되는 잇점이 있으며 사료의 먹다남은 것이 물에 풀리지 않고 있으므로 다음에 고기들이 또 찾아 먹을수 있고 물을 현탁시키지 않으므로 수질오염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사료의 배합성분인 맥반석에 의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사료원료에 엿기름, 홍당무, C.M.C.수육, 어육 등을 배합한 것에 있어서, 이들 배합물을 적당한 묽기로 반죽을 하여 철벨트표면에 고무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얇게 도포하면서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분이 40∼50% 정도 건조되었을 때 로울러로 100∼300kg/㎠ 정도로 가압하여 0.05∼0.3mm 정도로 얇게 압연하여 즉시 100∼130℃의 건조기로 통과시키어 건조된 것을 긁어내어 벌집형의 다공성 사료를 만들어 각 배합사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사료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2. 상기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반죽한 배합물을 철판 위에 깔고 100∼130℃로 가열하는 동시 10∼30℃정도의 낮은 온도로 유지된 철판을 배합물 위에 대고 100∼300㎏/㎠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0.05∼0.3mm 정도로 압연하여 폭발적으로 확산하는 수증기로 인하여 0.1∼0.01mm 정도의 무수한 구멍이 세로로 형성된 벌집형상으로 하고 이를 긁어 얇고 부드러운 사료를 만든 다음 각 사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사료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10005259A 1981-12-30 1981-12-30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KR83000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5259A KR830001041B1 (ko) 1981-12-30 1981-12-30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5259A KR830001041B1 (ko) 1981-12-30 1981-12-30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41B1 true KR830001041B1 (ko) 1983-05-27

Family

ID=1922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259A KR830001041B1 (ko) 1981-12-30 1981-12-30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0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007A (en) Aquatic animal food composition
CN102366126B (zh) 一种烤鱼的制作方法
DE2256008A1 (de) Nahrungsmittelzuberei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514135B1 (ko) 고소애 분말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 및 이의 제조 방법
US389286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eed for cultivating macrura
CN105053700A (zh) 一种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912748A (zh) 七彩神仙鱼人工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262556B1 (ko) 면의 제조방법
KR830001041B1 (ko) 양어용 복합사료의 제조방법
JP4089146B2 (ja) スクランブルエッグ様食品の製造法
CN1726818A (zh) 一种黄粉虫食品及其制备方法
JPH0675473B2 (ja) 養魚用膨化飼料の製造方法
JPH04320651A (ja) 養魚餌料及釣り餌の製造方法
CN108850716A (zh) 抗病黄鳝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432977A (zh) 一种以酵母类组分为主促进乌鳢生长的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87793A (ko) 톳에서 추출한 헴(Heme) 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떡갈비 제조방법
KR840000645B1 (ko) 섬게알 모양 식품의 제조법
KR960015511B1 (ko) 청둥오리의 사육 사료 제조방법
CN118160873A (zh) 一种草金鱼防病饲料及其制备方法
CN1215570A (zh) 高纤维食品及其制作方法
KR20220137480A (ko) 톳에서 추출한 헴(Heme) 분자를 활용한 대체육류 육포 제조방법
RU2259062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рма и корм для морских ежей
JPS59203475A (ja) 練成食品
JPS61108341A (ja) 観賞魚用飼料の製造方法
CN115336721A (zh) 一种瘦身鱼鱼饼及其加工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