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72Y1 -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72Y1
KR830000372Y1 KR2019820008619U KR820008619U KR830000372Y1 KR 830000372 Y1 KR830000372 Y1 KR 830000372Y1 KR 2019820008619 U KR2019820008619 U KR 2019820008619U KR 820008619 U KR820008619 U KR 820008619U KR 830000372 Y1 KR830000372 Y1 KR 830000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hotosensitive member
developer housing
develop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까즈 즈끼지
슈우지 다나까
요시가즈 오까모도
류조오 오까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따로 filed Critical 후지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8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means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from the magnetic brush, e.g. magnetic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그 동작 설명도.
본 고안은 건식전자사진 복사기의 현상기로부터의 토우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의 복사속도가 높아지면 필연적으로 감광체표면속도 및 현상용의 자기 브러시로울동의 회전속도도 커지고 여기에 따라 현상이 하우징과 감광체 표면과의 간극에서 각종의 원인에 의하여 구름현상으로된 토우너가 분출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상기 토우너 누설은 복사기 내부를 더럽게 하고 각종의 문제점을 발생하게 하는 것이므로 그 방지에는 각종의 방지법이 제안되고 또 실용되고 있다. 그러나 감광체 표면과 현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의 개구를 완전하게 봉쇄하지 않는한 완전하게 토우너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면 토우너의 누설을 방지하고 저제감광체 표면과 현상기 하우징과의 사이를 밀봉부재에 의하여 완전이 봉쇄하면 밀봉부재의 재료에 따라서는 감광체 표면상의 상을 흩어지게 하는 결점이 생긴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안출된 것으로서 감광체 표면과 현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밀봉하여 토우너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감광체 표면상의 상을 흩어지게 하지 않은 건식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의 토우너 누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계하는 토우너 누설방지장치를 적용한 현상기의 한 실시예이다.
즉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여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가 설치되어 현상기 하우징(2)내에 예를들면 자기 브러시로울(3)이 설치되어 드럼 표면(1a)상의 정전잠상(靜電簪像)이 현상된다. 현상기 하우징(2)내에는 토우너 박스(4)에서 분배로울(4a)을 거쳐서 토우너가 공급되고 블렌디(5)에 의하여 캐리어와 같이 충분히 교반되고 패들휘일(6)에 의하여 캐리어의 주변에 정전기력으로 부착한 토우너가 자기 브러시로울(3)에 보내진다. 캐리어 비이드는 자성체이므로 자기 브러시로울(3)에 부착하고 드럼표면(1a)의 정전기력에 의하여 적량의 토우너가 캐리어로부터 박탈되어 이동하여 현상이 행해진다.
자기 브러시로울(3)의 표면에는 토우너의 브러시상, 이삭이 일어서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상 트리머라고 불리우는 브레이드(7)가 설치된다. 여기서 여분의 현상제는 크로스 혼합판(8)을 통하여 현상기 내에 환류된다.
그런데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기 브러시울(3), 트리머(7) 등을 가지는 현상기에 있어서는 감광체(드럼) 표면(1a), 자기 브러시로울(3), 및 트리머(7), 그리고 현상기 하우징 벽면(2b)에 의하여 구성되는 공간 A에 드럼표면(1a)에 의하여 말려들어가는 공기가 압입되어 기압이 상승한다. 그 때문에 구름 형상의 토우너가 현상기 하우징 개구부(2a)로부터 분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이 개구부(2a)에 에오포켓(air pocket)을 설치한다든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A의 승압한 공기를 현상기 하우징(2)내에 확산시키는 공기 빼는통로(9)를 설치한다든가 하지만 효과는 충분치 못하다.
특히 연속대량의 카피(복사)작업을 행할 경우 현상기 하우징(2)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역시 토우너 구름이 분출한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현상기 하우징 개구부(2a)를 밀폐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에 있어서의 감광체표면(1a)의 정전 잠상의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한쪽 부분에 자석(10)을 설치하고 이 자석(10)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상기 감광체 표면(1a)에 밀접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부착시켜서 캐리어 군층을 마련한다.
이렇게 하면 감광체 표면(1a)과 현상기 하우징(2)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밀봉하여 토우너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때 잠상면을 캐리어군이 접찰(摺擦)하지만 여기에 의하여 잠상이 흐트러짐은 거의 없고 실험에 있어서도 카피질에 거의 아무 영향도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더우기 상기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에서의 상기 감광체(1)상의 현상상이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쪽 부분에 동일하게 자석(11)을 설치하여 이 자석(11)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상기 감광체표면(1a)과 가볍게 접접하도록 부착시켜서 캐리어 군층을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감광체표면(1a)과 현상 하우징(2)과 의 간극을 실질적으로 밀봉하여 토우너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때 자기 브러시로울(3)에 의하여 현상된 감광체 표면(1a)의 현상상의 부분이 캐리어군층에서 가볍게 접찰되지만 형상상에 대하여 특히 나쁜 영향은 생기지 않는다.
자석(10), (11)과 감광체(1)의 표면(1a)과의 간격은 1.5 내지 2.5mm이고 자석(10), (11)의 선단에는 미리 현상 제중의 캐리어를 부착 퇴적하여 상기 간격을 막게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간격부터 토우너가 누설하는 일은 없다. 또 캐리어의 입경은 60 내지 100μ이다.
본 고안에 관한 건식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에 있어서의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는 상술과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1)의 표면(1a)과 대향하여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를 마련하여 이 현상기 하우징(2)내에 설치한 자기브러시로울(3)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2a)부터 현상제를 감광체(1)의 표면(1a)에 이동하여 감광체(1)의 표면(1a)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의 하우징(2)의 개구부(2a)에서의 상기 감광체(1)상의 정전잠상이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한쪽외 부분에 자석(10)을 설치하여 이 자석(10)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상기 감광체 표면(1a)에 밀접하는 정도로 적극적으로 부착시켜서 캐리어 군층을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에서의 상기 감광체(1)상의 현상이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다른쪽 부분에 자석(11)을 설치하여 이 자석(11)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상기 감광체 표면(1a)과 가볍게 접접하도록 부착시켜서 캐리어 군층을 마련하였으므로 감광체표면(1a)과 현상기 하우징(2)과의 간극은 자석(10), (11)에 부착시킨 캐이어 군층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로 되어 현상 제중의 토우노구름이 기외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또 자석(10), (11)에 부착시킨 캐리어군층은 감광체 표면(1a)의 회전에 의한 접접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고 또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므로 자석(10), (11)에의 캐리어의 세트에 정밀성을 요하지 않고 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령 감광체(1)가 편심되어 설치되었다 하드라도 그것에 잘 추종하고 또 캐리어 군층은 현상제중의 캐리어와 같은 것이므로 감광체 표면(1a)의 상을 훌어지게 하는 우려가 없고 또 현상제중에 혼입하여도 현상제에 하등 악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다.

Claims (1)

  1.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1)의 표면(1a)과 대향하여 현상기 하우징(2)과 개구부(2a)를 마련하고 이 현상기 하우징(2)내에 설치한 자기 브러시로울(3)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2a)부터 현상제를 감광체(1)의 표면(1a)에 이동하여 감광체(1)의 표면(1a)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에서 감광체(1)상의 정전잠상이 통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한쪽의 부분에 자석(10)을 설치하고 이 자석(10)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감광체 표면(1a)에 밀접하는 정도로 부착시키고 현상기 하우징(2)의 개구부(2a)에서 감광체(1)상의 현상상이 통과하는 부분에 다른쪽 부분에 자석(11)을 설치하고 이 자석(11)에 캐리어를 이 캐리어가 감광체표면(1a)과 가볍게 접접하도록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의 토우너 누설 방지 장치.
KR2019820008619U 1978-11-04 1982-11-01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KR83000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8619U KR830000372Y1 (ko) 1978-11-04 1982-11-01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03318 1978-11-04
KR2019820008619U KR830000372Y1 (ko) 1978-11-04 1982-11-01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72Y1 true KR830000372Y1 (ko) 1983-03-14

Family

ID=2662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619U KR830000372Y1 (ko) 1978-11-04 1982-11-01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304B1 (en) Developing apparatus
US6151467A (en) Developing apparatus
JPS62192770A (ja) 一成分現像装置
JPH0587830B2 (ko)
KR830000372Y1 (ko) 건식 전자 사진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우너 누설 방지장치
US5913094A (en) Developing device having magnetic seals at end portions of 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a rotating regulating member
JPH035751B2 (ko)
JPH08202153A (ja) 現像装置
JPS6230033Y2 (ko)
JP3328038B2 (ja) 一成分現像装置
JPH0540402A (ja) 現像装置
JP2832486B2 (ja) 現像装置
JPH05297721A (ja) 現像装置
JPH0310522Y2 (ko)
JPH0225878A (ja) 現像装置
JP3302474B2 (ja) 現像装置
JPH02139587A (ja) 現像装置
JP3797494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143073A (ja) 一成分現像装置
JPH05113716A (ja) 現像装置
JPH04251271A (ja) 現像装置
JPS5949569A (ja) 現像装置
JPS6186772A (ja) 現像剤薄層形成装置
JP2500763Y2 (ja) 現像装置
JPH0553445A (ja) 現像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