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540Y1 - 인덕턴스소자 - Google Patents

인덕턴스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540Y1
KR820002540Y1 KR7906583U KR790006583U KR820002540Y1 KR 820002540 Y1 KR820002540 Y1 KR 820002540Y1 KR 7906583 U KR7906583 U KR 7906583U KR 790006583 U KR790006583 U KR 790006583U KR 820002540 Y1 KR820002540 Y1 KR 820002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ort
inductance element
cores
me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6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미쓰이
마사루 와사끼
Original Assignee
소노 후꾸지로우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노 후꾸지로우, 도교덴기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소노 후꾸지로우
Priority to KR7906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540Y1/ko

Links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덕턴스소자
제1도는 종래의 인덕턴스소자의 코어체착 일체화용의 금속부품을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덕턴스소자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동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5a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5b도는 동 실시예에 사용되는 핀이 붙은 보빈의 사시도.
제6도는 제5a도의 저면도.
본 고안은, 인덕턴스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포트코어내에 코일을 감은 보빈을 착설하고, 이 포트코어를 금속부품으로 체착 일체화하는 구조의 인덕턴스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빈 테두리의 일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를 포트코어에 걸리도록해서 보빈의 회전을 방지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포트코어를 체착 일체화하기 위한 금속부품과 보빈과는 서로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속부품(1)은 포트코어의 측면을 누르기 위한 절곡부(2)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금속부품의 제조공정수가 많고, 생산비가 비싸게 되며, 또 포트코어의 체착 고정작업이 귀찮은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참착하여 보면, 코어, 금속부품의 3자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인덕턴스소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한 인덕턴스소자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제1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도면등에 있어서, 보빈(10)의 상부 테두리(11)에는, 부채꼴의 절결부(A)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절결부(A)에 연해서 상부 테두리(11)에 수직으로 또한 외부로 향하게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빈(10)에는 코일(15)이 감기게 되어있다. 포트코어(20A)(20B)는, 평판형의 원반부(21)와, 그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각부(22)와 원반부(21)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주형의 슬랙부(23)로 구성되고, 상기 보빈(10)의 결합부(12),(14)는 상기 원반부(21)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포트코어(20A)(20B)를 체착 일체화하기 위한 금속부품(30)은, ㄷ자형을 이루는 탄성곡면을 가진 상면(31) 및 양측면(32)과, 양측면(32)의 선단을 안쪽에 절곡한 연결부(33)를 갖고 있으며, 상기 상면(31)은 상기 보빈(10)의 결합부(12) 안쪽면에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연접하고 또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부재의 조립은, 코일(15)을 착설한 보빈(10)에, 포트코어(20A)(20B)의 원반부(21)가 보빈(10)의 결합부(12),(14)를 감합하고, 다시 금속부품(30)의 상면(31)이 상기 결합부(12)에 결합하도록, 이 금속부품(30)을 포트코어(20A)(20B)주위에 장착해서, 포트코어(20A)(20B)를 체착 일체화하므로서 행하여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올릴 수 있다.
① 보빈(10)에 결합부(12)를 포트코어(20A) 및 금속부품(30)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포트코어(20A)(20B), 금속부품(30)의 위치결정이 용이하며,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② 금속부품(30)의 형상이 간단하게 되어, 금속부품(30)의 제조공정수의 삭감 및 생산가 저감이 가능하다.
③ 보빈(10)에 형성된 결합부(12)(14)는, 포트코어(20A)(20B), 금속부품(30)의 측면부분을 덮게되므로, 코일(15)로 부터의 인출선의 절연보호가 가능하다.
④ 보빈(10)의 하부테두리(13)에 형성된 결합부(14)의 존재에 의해 인덕턴스소자를 프린트 기판에 부착한 경우는 포트코어(20B) 하면과 트린트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긴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위의 패턴을 단락하는 불편이 없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제2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핀이 붙은 보빈(40)의 상부테두리(41)에는 부채꼴의 절결부(B)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절결부(B)를 따라서 상부테두리(41)에 수직으로 또한 외부로 향하게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빈(40)의 하부테두리(43)에는, 단차(44)가 형성되어, 이것에 의해 하부테두리(43)의 내면 일부는 한단이 낮은 단차면(45)이 되어있다. 그리고, 단차면(45)에 단편(46)이 형성되고, 이 단편(46)에 단차가 되는 핀(47)이 착설된다.
이와 같은 핀이 붙은 보빈(40)에, 포트코어(20A)의 원반부(21)가 이 보빈(40)의 결합부(42)와 결합하도록, 상하방향에서 각각 포트코어(20A)(20B)가 감입되고, 그 위에 금속부품(30)의 상면이 상기 결합부(42)에 결합하도록, 이 금속부품(30)이 포트코어(20A)(20B)의 주위에 장착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 핀이 붙은 보빈(40)의 하부테두리(43)에 단차(44)를 형성하므로서, 인출선을 핀(47)으로의 인출 및 절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a,b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및 본 고안에 사용되는 핀이 붙은 보빈을 이 도면 등에 있어서, 핀이 붙은 보빈(50)의 상부테두리(51)는, 결합부(52)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폭이 좁은 부채꼴의 절결부(C)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보빈(50)의 하부테두리(53)에는, 상기 절결부(C)에 대응한 위치에 단차(54)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하부테두리(53)의 내면의 일부는 한단 낮은 단차면(55)이 되어있다. 그리고, 단차면(55)에 단편(56)이 형성되고, 이 단편(56)에 단자가 되는 핀(57)이 착설된다.
또, 하부테두리(53)의 외부면에는, 포트코어(20D)를 따라서 돌출된 스페이서(58)가 형성된다. 이 스페이서(58)는, 핀(57)의 권선뭉치 부분이 직접 부착기판에 접촉하거나 하는 불편을 제거함과 동시에 권선뭉치 부분과 포트코어(20D)와의 필요한 연면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핀이 붙은 보빈(50)에 상하방향에서 각각 포트코어(20C)(20D)가 감입되어, 다시 금속부품(30A)이 상기 결합부(52)와 결합하도록 포트코어(20C)(20D)의 주위에 장착된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절결부(C) 및 단차면(55)의 폭을 좁게 하였으므로 권선의 선직경이 가는 경우에도 권선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빈, 코어, 금속부품의 3자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한 인덕턴스소자를 얻는다.

Claims (1)

  1. 한쌍의 포트코어(20A)(20B)내에 코일(15)을 감는 보빈(10)을 착설하고, 상기 포트코어(20A)(20B)를 금속부품(1)으로 체착일체화해서 된 인덕턴스소자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의 적어도 한쪽테두리(13)(43)(53)에, 단자(14)(44)(54)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포트코어(20A)(20B) 및 금속부품(30)(30A)을 결합하는 결합부(12)(14)(42)(52)를 외부로 향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턴스소자.
KR7906583U 1979-10-31 1979-10-31 인덕턴스소자 KR820002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583U KR820002540Y1 (ko) 1979-10-31 1979-10-31 인덕턴스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6583U KR820002540Y1 (ko) 1979-10-31 1979-10-31 인덕턴스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540Y1 true KR820002540Y1 (ko) 1982-12-08

Family

ID=1921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6583U KR820002540Y1 (ko) 1979-10-31 1979-10-31 인덕턴스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8148A (en) Encapsulated electronic circuit
KR820002540Y1 (ko) 인덕턴스소자
JPS5824406Y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US4912448A (en) Coil device with coil and lead terminals
JPH043459Y2 (ko)
JPS6025869Y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602038B2 (ja) 小型コイル
JPH0217447Y2 (ko)
JPH064569Y2 (ja) コモンチョークコイル
JPH10144537A (ja) 小型トランス
JPS62230014A (ja) トランス
JPS6244512Y2 (ko)
JPH0638412Y2 (ja) インバータ用トランス
JPS5918647Y2 (ja) 同調装置
JPH0864435A (ja) 小型トランス
JPH0138730Y2 (ko)
JPS6025870Y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648824Y2 (ja) カレントトランス用ボビン
JPS6185804A (ja) コイル体
JPS6144404Y2 (ko)
JPS5818185Y2 (ja) 近接スイッチ
JPH087610Y2 (ja) 小型トランス
JPS6220977Y2 (ko)
JPH0247016U (ko)
JPH043850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