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79B1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79B1
KR820001179B1 KR7902391A KR790002391A KR820001179B1 KR 820001179 B1 KR820001179 B1 KR 820001179B1 KR 7902391 A KR7902391 A KR 7902391A KR 790002391 A KR790002391 A KR 790002391A KR 820001179 B1 KR820001179 B1 KR 82000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methoxy
glucamine
acid
naphthaleneace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더 에른스트
피트레 데이비데
주터 한스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비. 워커
신텍스(미합중국)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비. 워커, 신텍스(미합중국)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비. 워커
Priority to KR790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5/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21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5/24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poly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1/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1/10Saturated compoun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seven-to-twelve-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 하는 방법
본 발명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對掌體 : enantiomer)로 분할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D-2-(2-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은 유효한 소염제, 진통제검해열제이다.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2,039602호에 의하면, 라세미체로부터 선태적인 생물학적 분해 또는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국부 대장체(局部對掌體, diastereisomer)의 염류 및 신코니딘등의 분할된, 광학적으로 활성인 아민 염기를 제조한 다음, 이 때 생성된 국부 대장체들을 분별결정화로 분리 시켜 제조한다. 분리된 국부 대장체의 염들을 강산으로 가수분해시켜 대응하는 (+)- 또는(-)-6-메톡시-α-메틸-2-나프타렌초산을 제조한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라세미체는 하나의 대장체를 자발적 분리 및 차별선태적 결정화에 의해 분할시킬 수는 없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제2,007,177호 및 제2,008,272호에서는 분리 단계에서 광학적으로 활성인 아민염기로서, 신코딘 외에천연 알칼로이드, 아나바신, 브루산, 코네씬, 신코니신, 신코닌, D-데스옥시에페드린, L-에페드린, 에피퀴닌, 모르핀, 퀴니딘, 퀴닌, 스트리키닌, 데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솔라니딘 콜레스테릴아민, D-멘틸아민, 글루코스아민, 제1급, 제2급 및 제3급 아민 예를들어, L-2-아미노-1-프로판올, L-2-아미노부탄올, D-2-아미노부탄올, D-트레오-2-아미노-1-p-니트로페닐-1,3-프로판디올, D-암페타민, L-2-벤질아미노-1-프로판올, D-4-디메틸아미노,1,2-디페닐-3-메틸-2-부탄올, D-α-(1-나프틸) 에틸아민, L-α-(1-나프틸) 에틸아민, D-α-메틸벤질아민 및 L-α-메틸벤질아민을 열거하고 있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1,934,460호, 제2,013,641호, 제2,007,177호, 제2,005,454호, 제2,008,272호 및 제2,039,602호에 의하면, 알칼로이드인 신코니딘, 데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및 퀴닌이 적합하다.
기타 다른 알칼로이드 및 염기들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2,007,177호의 실시예 7 및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2,008,272호의 실시예 3에 기재되어 있다.
독일연방공과국 특허 출원 제2,005,454호는 염증, 발열 등의 치료 및 완화에 적합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특허 청구하고 있다. 광범위하게는 청구되었지만, 보다 자세히 기재되지 않은 염들로는 N-메틸-D-글루카민 염들이 있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2,005,454호의 실시예 26에 가능한 목적물로서 기재되어 있다. 이 염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N-메틸-D-글루카민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그러나,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의 N-메틸-D-글루카민 염들에 과한 언급은 없었다.
탄수화물 구조를 가진 비대칭 염기들은 분할제 [엔. 엘. 알린저(N.L.Allinger) 및 이.엘.엘리엠(E.L.Eliel) 저술의 "입체화학 총론(Topics in Stereochemistry), "제6권과 윌레이-인터싸이언즈(Wiley-Intersience), 뉴욕, 1971, 중의 에수. 에이취. 윌렌(S.H. Wilen) 저술의 "유기화학에 있어서 분할제 및 분할(Resoving Agen ts and Resolution in Organic Chemistry)" 이라는 제하의 장(章) 및 에스. 에이취. 윌렌(S.H.Wilen)이 저술하고 이. 엘. 엘리엘(E.L.Eliel)이 편술한 "분할제 목록 및 광학적 분할(Tables of Resolving Agents and Optical Resolutions), "1972, 노트르담 프레스 유니버시티(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참조]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지 않았으며, 본 발명 이전에는 그러한 목적으로 부적합하다고 생각되어 왔었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출원 제2,007,177호에는 6-메톡시-α-메틸나프타렌초산의 분할용으로 글루코스아민의 사용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 출원에는 그에 관한 상세한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글루코스아민 [=2-아미노-2-데옥시-D-글루코스]은 합성하기가 힘들고 실제적으로 키틴으로부터만 제조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불안정하다. 분할제로서의 이 물질의 적합도를 판정하기 위하여, (+)-및 (-)-A(여기서, A는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임)와 함께 그 염들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위 표 1에 의하면, 불피룡한 이성체, 즉(-)-A체를 글루코스아민염을 사용하여 단리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실제로 회피할 수 없는 40℃ 정도의 저온에서도, 글루코스아민염은 분해되므로 부적합하다. 이 점이 그들의 제조, 단리 및 재생산에 결정적으로 결점이 된다. 사실상, 공업적 측면에서 볼 때, 글루코스아민은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혼합물의 분할제로서 적합하지 않은 바, 이것이 바로 탄수화물 구조를 갖는 비대칭 염기는 극히 불량한 분할제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N-메틸-D-글루카민이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혼합물을 그 대장체로 분할 시키는 데 공업적으로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N-메틸-D-글루카민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 또는 그의 염을 분할제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또는 그의 가요성염의 혼합물의 분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혼합물을 N-메틸-D-글루카민와 혼합하여 생성된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N-메틸-D-글루카민염의 혼합물을 분별결정화시킨다.
별법으로서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가용성염을 N-메틸-D-글루카민의 적당한 염을 사용하여 분할시킬 수 있다.
수득된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N-메틸-D-글루카민염은, 예컨대 무기산을 사용하여 산 침전을 일으키는 산 개열(開裂) 또는 염기 개열에 이어산성화시킴으로써 각각 분해된다. 소기의 (+)체는 순수한 형태로 얼을 수 있다. 이어서, 공기 방법을 사용하여 (-) 체를 라세미화시키고 N-메틸-D-글루카민을 산성 모액으로부터 회수시킨다.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과 광학적으로 활성인 염기인 N-메틸-D-글루카민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으로 이루어진 염은 매우 큰 용해도차를 가지고 있는바, 이들은 국부 대장체의 분리에 이상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목적하는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대응하는 염보다 훨씬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므로, 순수한 형태로 극히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각종 용매 중에서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 초산 N-메틸-D-글루카민의 국부 대장체염의 짝들의 용해도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A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주 : (1) 환류 : 용해도차는 물속에서도 극히 현저한데, 이것은 검토된 다른 어떠한 이성체의 짝에 관한 경우는 아니었다. 냉. 온 메탄올 중의 용해도차는 상당히 크다. 이들 용해도차는 실온에서 1.3 : 18(1 : 14)이고, 비점에서는 6.5 : 100(1 : 15.4)이므로, (+)- A체의 목적하는 이성체를 분리하기에 좋다. 이러한 호조건 및 N-메틸-D-글루카민염의 성분을 갖는 (-)- 체의 용해도의 높은 절대치로 인하여, 최소량의 용매 소비와 최대의 분할 효과, 즉 목적 생성물을 최대의 광학적 순도 및 고수율로 경제적인 분리가 가능해진다.
값이 저렴하고 구득하기에 제한이 없는 D-글루코스(포도당)를 메틸아민 존재하에 환원시켜 N-메틸-D-글루카민을 극히 용이하게 얼을 수 있다는 부차적인 이유 때문에,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분할시키는 데에는 N-메틸-D-글루카미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은 일반적으로 실온 또는 상온(常溫)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의 환류 온도까지의 상승된 온도 범위 내의 온도에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간에 현저한 용해도차를 갖는 불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실시한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보다 용해 중에서 훨씬 덜 가용성이므로, 이들의 가열된 용액을 일반적으로 상온(常溫) 또는 실온으로 냉각시키게 되면,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이 우선적으로 결정화된다. 적당한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2-에틸헥산올, 벤질알코올, 푸르푸릴알코올등의 C1-C10모노하이드릭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 필렌 글리코 등의 C2-C6디하이드릭 알코올류, 글리세롤 등의 C3-C4트리하이드릭 알코올류, 아세톤, 아세틸 아세톤, 에틸 메틸 케톤, 디에틸 케톤, 디-n-프로필케톤, 디이소 프로필 케톤, 디이소부틸 케톤 등의 C3-C11케톤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용매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의 모노-및 디(저급) 알킬 에테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술폴란,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 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피리딘, 디옥산,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1-C3알코올류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특히 메탄올이 현재 적합하게 사용되는 용매이다. 첨가할 물질을 모두 용해시킬 필요가 있으면 용매에 충분한 양의 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원료 [즉,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과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혼합물]을 상승된 온도, 일반적으로 약 60℃ 내지 약 100℃범위의 온도 또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N-메틸-D-글루카민 존재하에 가열시켜 용매에 첨가시킨 모든 물질이 용해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모든 물질이 녹아 용액으로 될 때까지 용매를 상승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필요한 시간동안 용액을 고온으로 유지시킨 후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냉각 과정에서 용액으로부터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종정(種晶)을 가한다. 생성된 결정성 침전물에는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용액을 취하는 최종 온도는 실질적인 고려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온도차가 고수율의 결정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선택한다. 결정화된 혼합물을 결정화가 종료될 때까지의 저온 또는 그 온도 부근에서 통상 약 30분 내지 약 수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생성된 결정성침전물은 여거시킨 다음 세척한다.
이 단계에서, 여과, 분리 및 세척하여 얻은 결정성 물질 [즉,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을 물에 넣은 다음, 필요하다면 가열하여 결정성 물질을 재용해 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예컨대 황산이나 염산 등의 무기산 또는 초산이나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으로 산성화하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결정성 침전물을 여과, 분리 및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이 실질적으로 다량함유된 백색 결정성 생성물이 얻어진다. 별법으로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을 강염기, 예컨대 수산화칼륨이나 pKa 값이 10이상인 다른 강산으로 처리하여 염을 분해시키고, 예컨대 무기산(염산이나 황산) 또는 유기산(초산)으로 산성화시킨 다음,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이 실질적으로 다량함유된 백색 결정성 생성물을 얻는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을 재용해시킨 다음 산성화시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얻기 전에, 일반적으로 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을 용매에 다시 더 용해시키고, 그 용매를 필요한 온도로 가열시켜 얻은 용액에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을 종정으로 가하고 냉각시켜서 1회 이상 더 재결정화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각각의 결정화에 의하여, 재결정된 물질중에 함유되는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의 비율이 가일층 증대되는 것이다. 생성된 결정성 물질을 재용해하여 산성화시키기 전에, 단 1회의 재결정화만으로도 순도 약 97-99%의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이나 이것의 N-메틸-D-글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을 처리하여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회수한 다음 공지의 방법에 따라 라세미화시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다량 함유하는 물질을 얻을 수 있다[예컨대, 디슨(Dyson)의 미국 특허 제3,686,183호 참조]. 이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다른 혼합물과의 혼합물 형태로 재순환시키면, 본 발명의 분할방법에 사용되는 원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N-메틸-D-글루카민의 사용량 [분할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에 대한 몰량 기준으로]은 약 50% 내지 100%이다. 그러나,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 초산의 불용성염을 제조하는 데에는 N-메틸-D-글루카민이 단지 약 50% [분할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에 대한 몰량기준으로] 만이 필요하므로, N-메틸-D-글루카민의 나머지 (일반적으로 약 40-50% 몰% 가량)는 필요하다면 보다 값이 싼 염기,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무기염 또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n-부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 제6급 아민으로 바꿀 수 있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단리시킬 때 생성되는 수용성 모액은, 예컨대 N-메틸-D-글루카민과 산성화단계에서 이용되는 산과의 반응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이 모액을 무기 염기로 처리하면, 용액 중에 N-메틸-D-글루카민은 남겨 놓은 채 불용성 무기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칼슘 현탁액으로 처리하여 대응하는 칼슘염을 침전시킨 다음 이 침전을 여별, 제거한다. 여액은 고온 및 진공하에 농축건고하되, 초기 농축 단계에서 형성된 다른 염, 예컨대 칼슘염은 제거한다. 잔사를 고온 내지 용매의 환료 온도에서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본 발명의 분할 공정에서 단독으로 또는 새로운 물질과 혼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분할제인 결정성 침전물을 얻을 수 있다. 별법으로서는, N-메틸-D-글루카민은 음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해서 회수하여 재활용 할 수 있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혼합물"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분할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가용성인 이들의 염들도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염으로서는, 예컨대 대응하는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이 있다. 이들 염은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 초사의 혼합물 용액에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등과 같은 염기를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성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염의 혼합물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ㅜ-메틸-D-글루카민과이 염을 형성하도록 반응하는 분할제의 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분할시킬 수 있다. 적당한 N-메틸-D-글루카민염의 예로서는 염산염 및 초산염을 들 수 있다. 다른 염으로서는 프로피온산염, 부틸산염, 이소부틸산염, 황산염, 질산염 등이 있다. 따라서, "N-메틸-D-글루카민"에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혼합물의 적당한 염과 함께 사용할 때, 본 발명이 기하고자 하는 분할을 제공하는 그들의 염들도 포함된다.
[실시예 1]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N-메틸-D-글루카민염의 제조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 460.7g(2몰) 및 N-메틸-D-글루카민 [=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시톨] 390.5g (2몰)을 비등 중인 메탄올 4ℓ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여과하여 정화시키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45℃로 조심스럽게 냉각시켰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결정 1g(예비시험에서, 냉각하여 유리봉으로 문지르고, 흡입 여과하고 약간의 메탄올로 세척하여 얻은 것임)을 첨가하였다. 종정 첨가 즉시(+)-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의 거대 결정이 나타났다. 온도를 45℃로 유지하고 이어서 15℃까지 서냉시켰다.
침전된 결정들을 여과하고 소량의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생성량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360g, 즉 이론치의 84%, 융점 : 156-158℃.
20℃에서의 비선광도(농도=물에서 1%)
Figure kpo00003
생성물(360g)을 비등 중인 메탄올 4.4ℓ에 재용해하여 여과 및 서냉시킨 다음, 순수 물질을 종정으로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키고, 이어서 냉각, 여과 및 세척하였다.
생성량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순품, 278g, 즉 이론치의 65%
융 점 : 160-161℃
비선광도 : (20℃, 농도=물에서 1%)
Figure kpo00004
미량 분석치 : C21H31NO8
계산치 : C, 59.28%; N, 3.29%
실측치 : C, 59.58%; N, 3.42%
메탄올은 모약을 완전히 증발시킴으로써 회수하였다.
증발 잔사를 물에 용해시키고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그염용액을 산성화시켰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이 침전되었다.
생성량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288g, 즉 이론치의 99.1%
융 점 : 145-146℃
Figure kpo00005
(농도=클로로포름에서 1%) (589) 광학적 순도 : 67.15%
생성물은 라세미화하여 라세미체, 즉 출발 물질로 전환시킨 다음, 분할 공정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모액의 재사용
메탄올성 모액은 재생하기 전에 추가 분할 공정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무은 분할 공정을 같은 양의 원료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메탄올 대신 메탄올성 모액을 사용하였다.
제1생성물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431g, 즉 이론치의 100%.
융점 : 155-158℃
비선광도(20℃, 농도=물에서 1%)
Figure kpo00006
새로운 메탄올 4.4ℓ로 부터 재결정화시켜 얻은 생성물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326g, 즉 이론치의 76%.
융점 : 159-160℃.
비선광도(20℃, 농도=물에서 1%)
Figure kpo00007
앞의 과정에서 나온 모액을 다시 사용하여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의 분할을 3회 더 계속하였다.
다음과 같은 물질 수질을 얻었다.
사용 물질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 2,303.5g.
생성 물질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 1,613.5g, 즉 이론치의 75.8%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1.120g.
Figure kpo00008
, 광학적 순도 : 69%
[실시예 3]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제조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 460.7g(2몰) 및 N-메틸-D-글루카민 390g을 비등중인 메탄올 4ℓ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국부 대장체의 짝들을 분리하였다.
생성물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N-메틸-D-글루카민염 370g, 즉 이론치의 86.9%
융점 : 158-159℃
Figure kpo00009
매탄올성 모액은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및 N-메틸-D-글루카민을 회수하는데 사용하였다. 생성된 염(370g)을 물 175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을 80℃로 가온시키고 이어서 과하여 정화시켰다. 이 용액에 80℃에서 4N 황산 250ml를 서서히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산성화시켰다. 형성된 현탁액을 20℃ 이하로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수집하였다. 여과 생성물을 황산 이온이 없어질 때까지 산성화시킨 물(0.001N 염산)로 세척하였다.
생성물 :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196.3g
즉 사용한 염에 비교한 이론치의 98% 및 사용한 라세미체에 비교한 이론치의 85.16%
융점 : 156-157°
Figure kpo00010
함량 : 99.4%
부산말 : 무시할 정도임.
(DC)
건조 감량 : 0.1%
이 방법에 의해 직접 생성시킨 생성물(나프톡센)의 품질은 예컨대 영국 약전(부칙 75)(British Pharmacopeia, Addendum 75)에 공시된 바와 같이 보건 기관에서 요구하는 선광도(상기 약전에서는
Figure kpo00011
내지 +63.5°를 요구함)를 이미 충족시키고 있다.
[실시예 4]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A)의 회수 및 N-메틸-D-글루카민(B)의 회수 방법(A)의 회수 방법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이성체 분리로부터 나온 메탄올성 모액을 증발건고시켰다. 잔서를 80℃에서 물 2300ml에 용해하였다. 실시예 3에 상세히 기재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4N 황산 290ml로 산성화하여 냉각 및 건조시켜서,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255g을 회수하였는데, 이것은 공지기술로 라세미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Figure kpo00012
(B)이 회수 방법
실시예 3의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 및 (-)-체를 분리시킬 때 얻은 것으로서, N-메틸-D-글루카민 황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성 모액들을 혼가하여 수산화칼슘 현탁액 수산화칼슘 63.7g(즉, 사용한 황산에 대한 이론치의 105%)을 물 250ml로 소화(消和)시켜 조제함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것의 대부분 침전된 황산칼슘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소량으로 농축하고 새로 침전된 황산칼슘을 여과한 다음 소량의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85-95℃에서 진공 증발 및 농축 견고시켰다.
증발 잔사를 95% 메탄올 2400ml에 환류비등하에 용해시켰다. 가온 상태에서 여과하여 정화시키고 15℃로 냉각시켰다. N-메틸-D-글루카민 결정이 석출되었다.
회수량 : N-메틸-D-글루카민 351g 수율 : 이론치의 90% 함량 : 99%
융점 : 127-128℃
Figure kpo00013
[실시예 5]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한 N-메틸-D-글루카민의 회수 방법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을 분해시키고, 또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침전시킬 목적으로, 실시예 3 및 4(A)에서 사용한 황산 대신 염산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N-메틸-D-글루카민 염산염은 수용액 상태도 용해되므로, 황산 이온보다 훨씬 용이하게 이온 교환수단에 의하여 염소 이온을 제것할 수 있다.
2몰의 출발 재형으로부터 N-메틸-D-글루카민 염산염을 함유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을 침전시켜 얻은 모액을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킨 다음 Amberlite
Figure kpo00014
IR-120가 1.6ℓ 피복된 이온 교환층을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교환수지를 탈이온수 3.2ℓ로 세척하였다. 염소이온을 함유한 용출액을 경사(傾瀉) 처리하였다. 그 교환수지를 암모니아수(2.5N) 2400ml 및 탈이온수 3.2ℓ로 여과하여 N-메틸-D-글루카민을 용출시켰다. 용출액을 한데 모아서 증발 및 농축 견고시켰다.
실시에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증발 잔사를 95% 에탄올 2400ml로 재결정화 하였다.
회수량 : N-메틸-D-글루카민 351g 수율 : 90% 함량 : 99.1%
융점 : 127-128℃
Figure kpo00015
-17
Figure kpo00016
[실시예 6]
dl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 4.60g6을 메탄올 중의 6% 톨루엔 20ml중에 용해시킨 트리에틸아민(0.5 당량)과 함께 사용한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가열시켜 dl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을 용해시켰다. N-메틸-D-글루카민 1.95g(0.5당량)을 첨가하고 이 용액을 실온(즉, 약 20-23℃)으로 냉각시켜 d2-(6-메톡시-2-나프틸) 피로피온산 N-메틸-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 3.52g을 얻었다.
이 물질을 물 약 25ml에 용해시키고,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이 다량 함유된 물질이 용액 중에서 침전되어 여과에 의해 회수되는 시간에 염산으로 처리하여 산성화시켰다([α]D+48.8°).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의 N-메탈-D-글루카민염이 다량 함유된 물질 1.00g을 메탄올 10ml 및 에탄올 20ml에서 재결정화시키고 환류, 농축시켜 용매 5ml를 제거하고 냉각시켜 재결정염 0.85g을 얻었다. 이 물질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염산으로 처리하여 거의 순수한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을 얻었다([α]D+64.6°)
[실시예 7]
d,l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 50g에 메탄올 432ml 및 톨루엔 21.1ml를 가하여 슬러리를 얻은 다음, 이 슬러리에 N-메틸-D-글루카민 42.36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환류 온도로 가열하여 맑은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50℃로 냉각시키고,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을 종점으로서 첨가하였다. 용액이 45℃로 냉각됨에 따라 결정화가 시작되었다.
온도를 3시간에 걸쳐 매시 10℃씩 낮추고 용액을 15℃에서 30분간 유지시켰다. 용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케이크를 새로운 메탄올 21ml로 세척하여 습식 케이크 84.20g을 얻었다.
이 습식 케이크를 메탄올 451ml 및 톨루엔 21.3ml에 직접 넣고 교반하여 환류 온도로 가열시킨 다음, 50℃로 냉각하여 d2-(6-메톡시-나프틸) 프로피온산의 N-메틸-D-글루카민염을 종정으로서 첨가하고, 2시간에 걸쳐 15℃로 더욱 냉각시킨 다음 30분 동안 15℃로 유지하였다. 이 용액을 여과하고 습식 케이크를 메탄올 중의 5% 톨루엔 50ml로 세척하고 부분 건조시켜 부분 건조된 케이크 38.77g을 얻었다.
이 부분 건조된 케이크를 물 184ml에 넣고 교반하에 80℃로 가열하였다. 이 용액을 20분 동안 탈색 탄소 0.97g으로 처리하였다. 이 용액을 셀라이트 여과기로 여과하고 용액의 온도를 85℃로 상승시켰다.
3.3N 황산 51ml을 30분에 걸쳐 첨가하여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이 상당히 다량 함유된 침전물을 얻었다. 용액을 85℃로 30분간 유지한 다음 2시간에 걸쳐 15℃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을 15℃에서 30분간 숙성시키고, 여과하여 중성으로 될 때까지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 18.84g(직접적인 수율=39.68%)을 얻었다([α]D64.6°).
[실시예 8]
실시예 7에 기재된 방법을 반복하여, d2-(6-메톡시-2-나프틸) 프로피온산 20.02g(직접적인 수율=40.0%)을 얻었다. ([α]D65.4°)

Claims (1)

  1. N-메틸-D-글루카민[=1-데옥시-1-(메틸아미노)-D-글루키톨] 또는 그의 염을 분할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및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또는 이들의 염의 혼합물을 그의 대장체(對掌體)로 분할하는 방법.
KR7902391A 1979-07-18 1979-07-18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KR82000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391A KR820001179B1 (ko) 1979-07-18 1979-07-18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391A KR820001179B1 (ko) 1979-07-18 1979-07-18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79B1 true KR820001179B1 (ko) 1982-06-29

Family

ID=1921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391A KR820001179B1 (ko) 1979-07-18 1979-07-18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7116B1 (en) Method for resolving racemic 6-methoxy-alpha-methyl-2-naphthalene acetic acid into its enantiomers and resolving medium
KR820001179B1 (ko) 6-메톡시-α-메틸-2-나프탈렌초산 라세미체를 그의 대장체로 분할하는 방법.
US521028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4-hydroxyphenylglycine and l-(+)-4-hydroxyphenylglycine, starting from d.l.-4-hydroxyphenylglycine
US439557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1-2-(6-methoxy-2-naphthyl)propionic acid
JPH04234342A (ja) S(+)−6−メトキシ−α−メチル−2−ナフタレン−酢酸の製造方法
US4346045A (en) Process for resolving DL-S-benzoyl-β-mercaptoisobutyric acid, and products obtained
US2361576A (en) Method of refining a crude 1-naphthylacetic acid
IE48592B1 (en) Method for resolving racemic 6-methoxy-alpha-methyl-2-naphthaleneacetic acid into its enantiomers
US2766286A (en) Process for the resolution of racemic threo-1-phenyl-2-amino-1. 3-propanediol
US2423062A (en) Resolution of alpha-hydroxy-beta:beta-dimethyl-gamma-butyrolactone
JP3316917B2 (ja) 新規フェニルアラニン塩結晶とその製造法
JPH069683A (ja) 製薬等級高純度イオデオキシコール酸の製造法
JP2917464B2 (ja) 光学活性1―メチル―3―フェニルプロピルアミンの製法
JPS593476B2 (ja) 光学活性クロルフエニラミン・アシルフエニルグリシン塩及びその製造法
DK157003B (da) Anvendelse af n-methyl-d-glucamin eller salte deraf som spaltningsmiddel ved fremstillingen af (+)-6-methoxy-alfa-methyl-2-naphthaleneddikesyre
US2870199A (en) Gentisic acid purification
US2822365A (en) Procaine-8-chlorotheophyllinate and processes for preparing it
SI7911736A8 (sl) Postopek za ločenje (+) in (-)-6-metoksi-alfa-metil-2-naftalenocetne kisline in njenih soli
DE2406898C2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L-α-Methyl-DOPA
JPH021429A (ja) 光学活性1−メチル−3−フェニルプロピルアミンの製造方法
JPH023627A (ja) 光学活性1−メチル−3−フェニルプロピルアミンの製造法
DE1081467B (de) Verfahren zur optischen Spaltung von d, 1-Glutaminsaeure
Thorpe et al. LXXXII.—cis-and trans-αα 1 ββ-Tetramethylglutaric acids
JPS6146A (ja) ジヒドロキシフエニルグリシン塩及びその製法
CS197175B1 (cs) Zp&eob čištění 3-msthoxy.-6-sulfanilamidopyrídazi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