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195B1 - 왕 관 - Google Patents

왕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195B1
KR820000195B1 KR7700429A KR770000429A KR820000195B1 KR 820000195 B1 KR820000195 B1 KR 820000195B1 KR 7700429 A KR7700429 A KR 7700429A KR 770000429 A KR770000429 A KR 770000429A KR 820000195 B1 KR820000195 B1 KR 82000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layer
liner
polyethylene oxid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이찌노세
미시히로 사게모도
노보루 스스끼
Original Assignee
후지에 산지로오
니홍크라운 코르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에 산지로오, 니홍크라운 코르크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에 산지로오
Priority to KR770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 관
제 1 도는 본 발명 왕관의 개략단면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각각 본 발명 왕관의 상부의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나타낸 타잎의 왕관의 라이너를 탈리시키는 상태도이며,
제 5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타잎의 왕관의 라이너를 탈리시키는 상태도.
본 발명은 왕관, 특히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가진 경품부 왕관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병마개의 내측면에 표시한 표지를 폴리올레핀 라이너에 전사된 상태로 병마개로부터 용이하게 탈리시킬 수 있는 경품부 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병에 넣은 제품의 선전 및 그 판매량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또는 제조번호, 제조일자, 제조공장 등과 같은 제품식별의 목적으로 내측상면에 "당첨"이나 "낙첨" 또는 기타 문자, 기호, 도형 등의 표시 마크를 인쇄한 왕관(본 명세서에서는 이 왕관을 "경품부 왕관"이라고 칭함)으로 병을 막는 것이 상례이었다.
종래의 경품부 왕관은 통상 왕관의 내측 상면에 경품 표시를 한 후에, 그 위에 라이너용 영화비닐 수지 화합물에 대한 접착력이 약한 반접착성 랙커를 균일하게 도포한 황관 내측면에, 염화비닐 수지 화합물 졸을 도입하고, 왕관 자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형타기로 조형하여 그 졸을 확포시킨 후 고온의 오븐내에서 그 졸을 겔화시킨 후 발포시킨다. 그러나, 그러한 왕관의 경우에 라이너를 제거한 다음 왕관 자체를 그 병에 든 제품의 제조업자에게 우송하여야만 한다. 이 왕관은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우송 중에 봉투가 파손되거나 또는 우체국에서의 분류 및 소인과 같은 기계적인 작업 중에 기계에 고장을 주는 요인을 일으키는 등의 위험성이 있게 된다.
또한, 염화비닐수지 화합물의 경우에는, 염화비닐 수지 가소제에 의한 환경 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왕관이 음료수 및 음식물용기의 마개로서 사용되어야 할 경우에는 특히 이 화합물의 사용을 피하여야할 필요가 있다. 근래 염화비닐수지 화합물 대신에 라이너 재료로서 폴리올레핀의 사용이 제안되었으나, 폴리올레핀은 종래 왕관에 사용되어 왔던 부식 방지 플라이머(Primer : 밑칠도료)에 대한 접착력이 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특별한 플라이머가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플라이머 중에서 산화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여 경품부 왕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플라이머 층을 2층으로 하면, 이들 2층간의 접착력이 반접착 상태로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왕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작용효과는 하기 기재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하여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면에 플라이머 층을 갖는 왕관 셀(shell)과 이 왕관 셀의 내부에 부착된 폴리올레핀 라이너로 구성되며, 이 플라이머 층은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하층과 산화폴리에틸렌 및 최소한 1종의 다른 수지를 함유하는 표면층의 2개의 층을 가지며, 이 하층과 표면층 사이에 계면(界面) 또는 표면층 상에 표시마크의 인쇄층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탈리가능한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가진 왕관이 제공된다.
현재 널리 사용중에 있는 왕관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주석도금 또는 크롬도금한 강철 박판(薄板) 등의 원판의 한면에 랙커칠을 한 다음, 제조원, 상품명, 내용량 등을 인쇄하고, 다른면에 라이너와의 접착성 플라이머(랙커)를 도포한 후, 그 원판을 펀치 프레스로 찍어 왕관 셀형에 성형하여 왕관 셀을 만들고, 다음에 그 왕관 셀에 라이너를 도포시켜 생산된다.
본 발명의 경품부 왕관은 그의 라이너 재료로서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며, 왕관 내면의 플라이머 층이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하층과 산화폴리에틸렌 및 다른 상용성수지를 함유하는 표면층의 2층을 갖는 것에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필요시에는, 이 하층의 아래에 다시 1층 또는 랙커층을 갖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왕관에서, 라이너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류로는 적합한 폴리에틸렌이 가장 적합하다.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1공중합체, 폴리부텐-1,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티폴리머 또는 올레핀 이외에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소량 함유하는 올레핀 공중합체(최소한 50몰%, 바람직하게는 80몰% 또는 그 이상)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류로는, 예컨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주합체(E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부분 검화 생성물(EVAL),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변성 폴리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들면 말레산,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그리고 이들 산의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변성 폴리프로필렌(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 유용한 것들은, 예를 들면 말레산 및 아크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오노머(ionomer) 및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류이다.
이들 올레핀 수지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블랜드(blend)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EVA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폴리이소부틸렌(PIB), 부틸고무(IIR), 폴리부타디엔(PB), 천연고무(NR), 입체특이성 폴리이소프렌, 니트릴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폴리클로로프렌(CR) 등의 탄성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예를들면 1내지 60중량%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라이너에 대한 이들의 성형능을 감안할 때, 전술한 올레핀수지들은 일반적으로 용융지수가 0.1 내지 5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어야 유리하다.
이러한 폴리올레핀에는, 그 자체 공지의 처방에 따라 예컨대, 유기황, 유기질소 및 유기인 형태의 산화방지제 또는 열안정제, 예컨대 금속비누 및 기타 지방산 유도체 등의 윤활제, 그리고 충전제 또는 안료, 예컨대 탄산칼슘, 화이트 카아본, 티타늄화이트,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카아본 블랙 및 각종 점토 등의 충전제 또는 안료등의 배합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올레핀류는 필요시에 따라, 가교제 또는 발포제를 단독 또는 배합시켜 가고, 발포 또는 가교 발포시킨 폴리올레핀 라이너로될 수 있다.
이들 가교제 및 발포제로서 유용한 것들로서는 다음의 화합물들이 있다. 가교제로서는 사용된 수지의 가공온도(연화온도) 근처에서 분해되는 가교제, 예를 들면, 과산화디쿠밀, 과산화 디-t-부틸) 과산화수소 쿠밀 및 2,5-디메틸-2,5-디(과산화 t-부틸) 헥센-3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이다. 한편, 발포제로서 유용한 것은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수지의 가공온도 근처에서 분해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디카르본아미드류 또는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짓드 등이다.
전술한 가교제는 수지의 0.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왕관의 플라이머층에 사용된 산화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하는 중합체를 용융 또는 용액상태에서 산화시켜 얻을 수 있으며, 그 자체 공지의 것이다.
사용 가능한 산화폴리에틸렌의 평균 분자량에 대하여 어떤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 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평균 분자량이 4000∼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산화 폴리올레핀의 산화도는 왕관 본체와 폴리올레핀라이너 간에 소요되는 접착 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하중의 경우에, 그 산화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산소 함량이 약 0.1중량% 이하로 저함량 내지 산소함량이 약 10중량 이상으로 고함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산소 함량이 0.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6.0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플라이머의 표면층으로 사용되는 산화폴리에틸렌의 산화도에도 역시 제한이 없다. 그러나, 폴리올레핀 라이너에 대한 그의 고접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플라이머의 표면층의 산화폴리에틸렌의 산소함량은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6.0중량%의 범위가 좋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산소함량"이란 용어는, 일정량의 산화 폴리에틸렌중에 존재하는 결합 산소(O)의 중량 백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플라이머의 하층 및 표면층에 사용된 산화폴리에틸렌은 산소함량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경우에는, 산소 함량이 전술한 범위내에 있는 한, 하층의 산소함량이 표면층의 산소 함량보다 낮거나 높거나 간에 무관하게 하등의 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산화폴리에틸렌 중에 존재하는 결합산소는 일부는 카르복실기 형태로 존재하지만, 나머지는 하이드록실기와 카르보닐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라 믿어진다. 산화폴리에틸렌의 산화도(산소 함량의 척도)는 산화폴리에틸렌의 산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산화폴리에틸렌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도(AV) 2∼100, 특히 5∼40을 가진 것들이 많다.
한편, 그의 결정화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산화 폴리에틸렌의 밀도에 관해서 말하자면, 이것은 비교적 큰 것,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0.90 내지 1.0g/cc3, 특히 0.96 내지 1.0g/cc3가 좋다.
플라이머층의 하층을 형성하는 산화폴리에틸렌 함유층은 산화폴리에틸렌 만으로 구성하거나 산화폴리에틸렌과 기타 적절한 수지들과의 혼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기타 수지로서는, 왕관 셀을 도포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랙커의 부형제와 같이 통상 사용되는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들이 있는데, 이를 테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와 멜라민 또는 요소수지와 같은 아미노수지, 올레오수지형 수지, 알키드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말레산공중합체 및 비닐부티랄 등의 비닐 수지류가 여기에 속한다. 이들 수지들은 단독 또는 이들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수지들 중에서, 열경화성이라 분류되는 것들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며, 특히 페놀-에폭시 수지와 페놀-에폭시-비닐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기타의 적절한 수지들을 사용할 경우에 이들 수지에 대한 산화폴리에틸렌의 중량비는 2 : 98∼99 : 1,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 95∼60 : 40의 범위이다.
이 플라이머 하층은 왕관 셀의 내면 전체에 형성시키거나, 도는 라이너가 접착되는 상부에만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플라이머 층의 표면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산화 폴리에틸렌에 가하고 다른 상용성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필수이다. 표면층에 사용되는 기타 상용성 수지에 대하여는 하층에 대하여 전술한 것중에서 선택 될 수 있다. 이들 기타 상용성 수지의 사용비율은, 산화폴리에틸렌 대 기타 상용성수지의 중량비로 1 : 99 내지 50 : 50, 특히 3 : 97 내지 30 : 70의 범위가 유리하다.
플라이머 층의 하층 및 표면층의 양쪽에 다른 상용성 수지가 존재하는 경우 하층과 표면층의 산화 폴리에틸렌의 존재비율은 같거나, 또는 하층의 쪽이 많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플라이머 표면층은 왕관 셀의 내면 전체를 형성하여도 좋으나 라이너를 접착시킬 상부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플라이머 하층 및 플라이머 표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산화폴리올레핀 및 기타 상용성 수지를 전술한 지적한 비율로, 도포에 적합한 농도로 용제에 용해 내지 분산시킨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로는, 예컨대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플라이머 하층 및 표면층은 건조 후에 비휘발성 성분, 즉 산화폴리에틸렌과 기타 상용성 수지들의 합계중량이 단위 면적당 하층에 대하여 5∼500mg/dm2, 바람직하기로는 10∼100mg/dm2; 표면층에 대하여는 5∼500mg/dm2, 바람직하기로는 20∼100mg/dm2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왕관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첫째로, 산화폴리에틸렌 함유 플라이머 하층/표면층을 금속 박판의 일면에 도포한다. 다음에, (ㄱ)이 하층 위에 표지를 인쇄하고, 그 다음에 산화폴리에틸렌과 기타 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플라이머 표면층을 이 인쇄된 하층의 상면에 형성하거나, 또는 (ㄴ) 산화폴리에틸렌과 기타 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플라이머 표면층을 상기 하층의 상면에 형성한 후에 그 표면층 상면에 표지를 인쇄한다. 그리하여 그 도포층이 왕관 셀의 내측으로 오도록 금속 박판으로부터 왕관 셀을 형성한다.
다음에, 폴리올레핀 괴체를 그 왕관 셀내에 부착하고 라이너 형태를 성형한다.
이 왕관 셀에 공지의 왕관 성형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전술한 플라이머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주석 도금 박강판, 크롬 도금 박강판 또는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원료 금속박판에 랙커칠을 한 다음 필요한 표지를 인쇄하고, 그 타면에는 플라이머 층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플라이머층은 직접 도포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지 않은 랙커조성을 먼저 원료박판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그위에 플라이머 층을 도포한다.
산화폴리에틸렌만을 피복하는 경우에는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예를 들면, 가열시에는 그것이 크실렌에 용해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현탁액 또는 에멀젼 상태로 할 수 있다.
또는 그것은 데칼린중에 용해하여 용액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산화폴리에틸렌을 기타의 수지들과 조합하여 플라이머 조성으로 사용하고자할 때에는, 이들 용액등을 베이스수지의 용액에 첨가하고, 산화폴리에틸렌이 플라이머 조성물 중에 세밀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플라이머 하층 및 표면층의 도포공정은 그 자체 공지의 도포수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는 침적 도포, 분무 도포, 로올도포 기구 및 바아 도포기구의 사용, 정전장치, 전착(電着)도포, 분말 도포 등의 수단을 들 수 있다.
피복된 플라이머 하층은 단순히 건조한 후, 표시마크 인쇄 및 표면층 도포 공정에 따라 가능하다. 미리 13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0∼250℃ 소부(燒付) 처리한 후 다음 공정으로 보내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 플라이머 하층의 도포 공정 및 소부 후, 후술하는 바와같이, 표지 인쇄 후 또는 인쇄하지 않고 표면층을 도포시킨다. 도포된 플라이머 표면층은 단순히 건조하기만 하여도 좋고,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온도에서 소부를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경품부 왕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플라이머 하층과 플라이머 표면층의 계면 또는 이 표면층상에 표시마크를 인쇄한다. 표시마크의 플라이머 하층의 소부처리 후 그 표면에 또는 표면층을 도포하고 그것을 단순히 건조하는 단계에서, 또는 다시 그것을 소분 처리한 후에 처리하여도 좋다.
표시마크 인쇄용 잉크로서는 왕관의 인쇄시 통상 사용되는 금속인쇄에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키드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비닐 수지와 같은 바인더를 사용하고, 그러한 바인더를 안료 및 기타 적절할 첨가재와 함께 케로신,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셀로솔브 및 글리콜 등의 적절한 용제에 용해 내지 분산시킨 잉크로 사용한다.
표시마크의 인쇄는 통상의 방법 즉, 석판, 옵셋 및 활판인쇄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단층 또는 수개의 층으로 인쇄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마크의 인쇄층은 왕관 상부의 일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왕관 상부의 전체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인쇄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온도에서 소부할 수도 있다.
2층의 플라이머층 및 표시 마크의 인쇄층을 형성한 기판은 필요에 따라 전술한 온도에서 다시 소부처리한 후 왕관 셀 상으로 타형하여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형성한다. 폴리올레핀 라이너의 접착은 일정량의 폴리올레핀을 왕관 셀에 넣고, 이것을 120∼250℃에서 용융 내지 연화시켜 소정의 형상으로 압형하는 것에 의해, 그 자체 공지의 용융 내지 연화 접착법,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135,019호 명세서, 동 제3,360,827호 명세서, 영국특허 명세서 제1,112,023호 명세서, 일본국 특허공보 제193836/73호 명세서, 미국특허 명세서 제3,414,938호 명세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05689/74 및 미국특허공보 제3,278,985호 명세서 등의 기재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관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 왕관의 개략단면도로서, 이 왕관은 기본적으로 원형상부(2)와 하부에 스커어트부(3)를 가진 왕관 셀(1)과, 이 왕관 셀(1)의 내부에 실시된 폴리올레핀 라이너(4)로 구성되어 있으며, 왕관 셀의 상부(2)와 라이너(4) 사이의 플라이머층에 표시마크를 인쇄층(5)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도와 제 3 도는 본 발명 왕관 상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 왕관의 플라이머층은 직접 왕관 셀의 상부에 형성시킬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피랙커층(6)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플라이머 층은 2개의 층, 즉 하층(7)과 표면층(8)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표시마크 인쇄층(5)은 제 2 도에서는 하층(7)과 표면층(8)의 계면에 있으며, 제 3 도에서는 표면층(8)의 상면에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9)는 왕관 외측의 랙커 도포층을 나타낸다.
폴리올레핀 라이너(4)는 전술한 바 있는 방법에 의하여 용융 또는 연화시킴으로써 표면층(8)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왕관의 경우에 있어서, 플라이머 하층(7)은 왕관의 상부(2)에 견고히 접착되고, 플라이머 표면층(8)은 그 위에 용융접착된 폴리에틸렌 라이너(4)에 견고히 접착되지만, 놀랍게도 플라이머 하층(7)과 플라이머 표면층(8)간의 접착은 그 정도로 견고하지 않다(즉, 이들 2개의 층간의 접착은 반착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폴리올레핀라이너(4)를 왕관의 상부(2)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플라이머 하층(7)과 표면층(8)간에서 분리가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에,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마크 인쇄층(5)가 하층(7)과 표면층(8) 사이의 계면에 있게 될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인쇄층은 일반적으로 하층(7) 보다는 표면층(8)에 더욱 견고하게 접착되므로, 폴리올레핀 라이너(4)를 벗기면 그 인쇄층은 표면층(8)에 붙은채 벗겨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왕관으로부터 폴리올레핀라이너(4)를 벗겨냄에 있어서는 제 2 도에 도시한 형태의 왕관의 경우에는 제 4 도에, 그리고 제 3 도에 도시한 형태의 왕관의 경우에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시 마크를 라이너에 전사시킴과 동시에 그 표지를 벗겨낼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전기도금 주석판의 일면에 방청
Figure kpo00001
용 하도(下塗) 랙커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70중량부, 분자량 37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25중량부와 아미노수지(부틸화 요소수지) 5 중량부 및 용제(메틸이소부틸케톤과 메틸셀로솔브의 2 : 1 용량비의 혼합물)로 된 도료를 50mg/100cm2의 건조 도막(塗膜)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했다. 그 위에 플라이머 하층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6500, 산도 28.0, 밀도 1.00g/cc 및 산소 함량 0.58중량%를 가진 산화폴리에틸렌 15중량부를, 용재(크실렌)85중량부에 분산시킨 플라이머도료를 건조도막량이 5mg/100cm2가 되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이것을 가스 오븐중에서 19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다음에, 이 플라이머 하층상에 표시마크로서 로진-변성수지(부형제), 카아본 블랙(안료), 염화망간(건조제) 및 케토신(용제)로 조성된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문자를 석판 인쇄하고 가스 오븐중 150℃에서 10분간 소부하였다.
이 인쇄층 상에 플라이머 표면층으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55중량부, 분자량 370의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5중량부, 페놀과 O-크레졸 등중량부를 반응시켜 얻은 알칼리 레졸형 페놀 수지 45 중량부 및 상기 플라이머 하층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산화폴리에틸렌 1.0 중량부를 용체(메틸이소부틸케톤과 메틸 셀로솔브의 용량비가 2 : 1의 혼합물) 580중량부에 용해 분산시킨 재료를, 건조도막량이 580mg/100cm2되도록 도포하고, 가스오븐 중 19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이와 같이 처리한 주석판을 플라이머 도포면이 내측이 되도록하여 왕관 셀을 성형하고 왕관 라이닝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왕관 셀의 내측에 용융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지수 = 7, 밀도 = 0.923)을 왕관 1개당 약 0.5g 투입하고, 냉간 성형펀치로 펀칭하여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갖는 왕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왕관의 라이너를 왕관 셀로부터 벗겨날 때, 전기 표시 마크가 선명하게 전사된 라이너가 얻어졌다.
[실시예 2]
전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얻어진 방청용 하도 랙커를 도포한 랙커층 상에 플라이머 하층으로서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축합시켜 얻은 분자량 약 3000인 에폭시수지 60중량부, 페놀 및 O-크레졸의 동중량을 축합시켜 얻은 알칼리레졸형 페놀수지 30중량부와 수평균 분자량 6500, 산도 28.0, 밀도 1.00(g/cc) 및 산소 함량 0.58중량%의 산화 폴리에틸렌을 하기 표1에 나타낸 양으로된 수지조성물을 용체(메틸이소부틸케톤과 메틸에틸케톤의 등용량 혼합조성물)중에 고형분이 30중량%가 되게 용해 분산시킨 도료를 건조 도막량이 50mg/100cm2되도록 도포하고, 가스 오븐중 20℃에서 10분간 소부하였다.
다음에, 이 플라이머 하층과 인쇄층 상에 플라이머 표면층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표시마크를 석판 인쇄하고, 가스 오븐중 150℃로 10분간 소부했다. 더우기 그 위에 플라이머 표면층으로서 전기 플라이머 층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지조성물 및 용제 구성된 산화폴리에틸렌의 양을 하기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도료를, 건조피막량이 50mg/100cm2되도록 도포하고 가스오븐중 20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이와 같이 처리한 주석판을 플라이머 도포면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왕관 셀을 성형하고 전기 실시예 1과 같이하여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갖는 왕관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은 왕관으로부터 라이너를 탈리시킬 때, 하기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1 마크가 선명히 전사된 라이너를 얻었다.
[제 1 표]
Figure kpo00002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조작으로 얻어진 방청용 하도랙커를 도포한 주석판의 방청용 한도랙커 1층상에 플라이머 하층으로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에폭시 수지 60중량부, 전술한 바와 동일한 페놀수지 25중량부 및 하기표 2에 나타낸 분자량, 산도 및 밀도를 갖는 산화폴리에틸렌 15중량부로 된 수지 조성물을 용제(메틸이소부틸 케톤과 메틸에틸케톤과의 동량혼합물) 중에 고형분이 30중량%가 되도록 용해 분산시킨 도료를, 건조 도막량이 50mg/100cm2이 되도록 도포하고, 가스 오븐중 20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다음에, 이 플라이머 하층상에 전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하였던 것과 동일한 금속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표시마크를 인쇄하고, 가스 오븐중 15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이 인쇄층 상에 플라이머 표면층으로서 전기 플라이머 하층과 동일한 수지조성 및 용제조성의 산화 폴리에틸렌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변경한 도료를 건조 도막량이 100mg/cm2되도록 도포하고 가스오븐중 200℃에서 10분간 소부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주석판을 플라이머 도포면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왕관 셀을 성형하고, 전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갖는 왕관 및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초산비닐 함량 30%) 라이너를 갖는 왕관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왕관의 라이너를 왕관 셀로부터 벗길 때,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표시마크가 선명히 전사된 라이너가 얻어졌다.
[제 2 표]
Figure kpo00003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플라이머 하층을 만든 주석판의 플라이머 하층 도포면에 직접, 전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수지조성라이너 표면층을, 전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수지조성 플라이머 표면층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건조 도막량이 100mg/cm2되도록 도포하고 가스 오븐중 200℃에서 10분간 소부한 후 플라이머 표면층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금속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표시 마크를 석판 인쇄하고 가스 오븐중 150℃로 10분간 소부했다. 그 후에, 그 주석판을 인쇄면이 내측에 오도록 왕관 셀을 성형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조작하에 폴리에틸렌라이너를 가지 왕관 본체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왕관의 라이너를 왕관 셀로부터 벗길 때, 표시마크가 선명히 전사된 라이너를 얻었다.

Claims (1)

  1. 내면에 플라이머 층을 갖는 왕관 셀(1)과 이 왕관 셀의 내부에 실시된 폴리올레핀 라이너(4)로 구성되고, 이 플라이머층은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하층(7)과 산화 폴리에틸렌 및 기타 상용성 수지를 함유하는 표면층(8)과의 2층을 가지며 이 하층과 표면층과의 표면층상에 표시마크의 인쇄층(5)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리 가능한 폴리올레핀 라이너를 갖는 왕관.
KR7700429A 1977-02-24 1977-02-24 왕 관 KR82000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429A KR820000195B1 (ko) 1977-02-24 1977-02-24 왕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429A KR820000195B1 (ko) 1977-02-24 1977-02-24 왕 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195B1 true KR820000195B1 (ko) 1982-03-04

Family

ID=1920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429A KR820000195B1 (ko) 1977-02-24 1977-02-24 왕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1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1323A (en) Crown closure
US4253580A (en) Container cover with peelable liner
CA1108973A (en) Peelable bonded struct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FI71752C (fi) Avrivbar bunden skiktstruktur och dess framstaellning.
US4372457A (en) Closure cap having prize markings and peelable liner
GB2028781A (en) Vessel clos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820000195B1 (ko) 왕 관
US4395446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JP2524841B2 (ja) ポリオレフィン接着性塗料およびその用途
JP2711525B2 (ja) 金属製キャップ
KR840002212B1 (ko)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JPS5926538B2 (ja) 容器蓋
JP5013473B2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
JPS5811659A (ja) 内面塗装金属製容器蓋
KR850000830Y1 (ko)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JPH0555391B2 (ko)
JPS6222867B2 (ko)
JPS6246421B2 (ko)
KR820001754B1 (ko) 박리 가능한 접착 구조물
KR20220152388A (ko) 금속제 캡 및 그 제조 방법
JPH02219756A (ja) 懸賞用樹脂キャップ
JPH0339906B2 (ko)
JPS5827104B2 (ja) 剥離可能な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法
JPS63152543A (ja) スコア切断端縁の保護可能な易開口性蓋
JPH0422785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