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30Y1 -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30Y1
KR850000830Y1 KR2019820005742U KR820005742U KR850000830Y1 KR 850000830 Y1 KR850000830 Y1 KR 850000830Y1 KR 2019820005742 U KR2019820005742 U KR 2019820005742U KR 820005742 U KR820005742 U KR 820005742U KR 850000830 Y1 KR850000830 Y1 KR 850000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iner
layer
coating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462U (ko
Inventor
고오 구니모도
이사오 이찌노세
노보루 스즈끼
후미오 모리
Original Assignee
닛본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우찌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우찌다 요시오 filed Critical 닛본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5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830Y1/ko
Publication of KR830000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제1도는 용기뚜껑을 형성하는데에 사용하는 도장금속판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왕관형의 용기뚜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캡형의 용기뚜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박리성(剝離性) 라이너(liner)가 부착된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너의 박리 용이성과 피막의 내(耐) 더스트(dust)성이 뛰어난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왕관형등의 용기뚜껑의 밀봉재료로서는 금속시이트에 표면보호도료를 도포하여 왕관쉘(shell), 캡쉘등의 형상으로 성형시키고, 이 성형물의 내면에 라이너로 접착시킨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음료 제조업계에서는 판매촉진책의 일환으로 병뚜껑내에 부착된 라이너를 소정매수이상 모아 우송한자나 또는 경품당첨권이 부착된 라이너를 우송한 자에게 상품을 주는 현상판매제도를 자주 실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판매용의 왕관쉘 또는 캡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라이너를 왕관쉘 혹은 캡등으로 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내용음료등이 직접 접촉되는 라이너 표면에 인쇄를 행하는 것은 위생적인 견지에서 보아 도저히 불가능함과 동시에, 라이너 자체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있는 상태로 왕관쉘 혹은 캡등의 내면에 부착되어지는 것을 고려할때, 왕관쉘 혹은 캡의 내면에 도포한 잉크층이 라이너를 박리시킬때에, 라이너에 부착된 상태로 떨어져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용기뚜껑체를 구성하는 금속시이트에 여러 종류의 피막층을 형성하고, 두층간의 계면(界面)에서 박리를 이루게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박리가 용이한 계면을 형성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것은 왕관쉘 내지는 캡에 대한 프레스 내지 압축성형가공, 왕관쉘 내지는 캡의 수송중, 혹은 크림퍼(Crimper)에 의한 캡핑 가공(Capping)이나 로울온(roll on) 가공을 할때에, 피막이 작은 조각으로 파쇄되어 소위 더스트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현저하게 크게 되므로, 위생면 및 상품가치면에서 치명적인 결점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라이너의 박리성과 피막의 내더스트성이 우수한 용기뚜껑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러한 용기뚜껑을 제조함에 있어서, 탄화수소수지 또는 천연수지로 된 층과 에폭시수지를 함유하는 층사이에 박리성 계면을 형성시키고, 또한 이 복합피막을 상기 용기 뚜껑체의 내측 상면 외주 내지 상기 라이너의 외주보다도 안쪽에 형성하므로써, 라이너의 박리성과 피막의 내더스트성이 뛰어난 용기뚜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장(塗裝)금속판으로 형성된 용기뚜껑체와 그 뚜껑체의 내측상면에 부착되는 열가소성수지 라이너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와 뚜껑체가 내측상면의 외주 내지 라이너의 외주보다도 안쪽에 부분적으로 제공한 탄화수소 혹은 천연수지로 된 층과 에폭시수지를 함유하는 층간의 박리성 접착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제1도는 용기뚜껑체를 형성하여야할 도장금속판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석을 도금한 강판 또는 틴 프리스틸(전해 코롬산 처리 강판)과 같은 금속판(1)의 양면에는 그 자체 공지인 보호도료층(2),(2)이 제공된다.
이 도장금속판에 있어서 라이너가 부착될 면에는 라이너의 외주보다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한 형상 및 치수로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로서된 층(3)이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이 층(3)위에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4)이 전면에 걸쳐서 제공되고, 이 에폭시수지층(4) 위에는 상기 층(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상등의 마아크를 표시하는 인쇄잉크층(5)이 제공되고, 그위에 접착성 도료층(6)이 제공된다.
왕관형상의 용기뚜껑을 도시하는 제2도에 있어서, 상기한 도장금속판은 원형상부(7)가 주름진 스커어트부(8)로 프레스가공 성형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한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로서 부분피복된 층(3)을 상부(7)의 외주연 보다도 안쪽으로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은 더스트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게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 뚜껑체의 상부(7)에는 합성수지체의 라이너(9)가 접착성도료층(6)을 사이에 두고 접착되어 있는데, 라이너(9)는 용기(병)의 입부분(도시하지 않음)을 밀봉하는데 바람직한 두께가 두꺼운 부분(10)을 가질 수가 있다.
본 고안의 중요한 특징을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로 된 층(3)과 에폭시수지층(4)으로된 복합수지층이 공지의 다른 복합수지층에 비하여 극히 뛰어난 박리성을 가지는 접착계면을 형성시킨다는 것과, 이 복합수지층을 상부(7)의 외주내지 라이너(9)의 외주보다도 안쪽에 위치되도록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것과 용기뚜껑체의 성형, 수송 및 용기 뚜껑의 밀봉 및 개봉시에 있어서의 더스트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박리용이성 접착계면이란 2개의 수지층이 통상의 취급시에는 박리되지 않는 반면, 박리시키려고 할때는 별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일없이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접착되어 있는 계면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접착계면은 20 내지 600g/cm의 박리강도를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천연수지층(3)과 에폭시수지층(4)으로 된 복합수지층은 이와 같은 요구에 가장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박리성 접착계면을 형성시키는 종래의 복합수지층이 용기뚜껑으로의 가공이나 취급시에 더스트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많다고 하는 것은 이미 상기한 바와 같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한 복합수지층을 제공하는 부분을 상부의 외주내지 라이너의 외주보다도 안쪽에 제공하므로써, 즉 용기뚜껑체의 성형시 거의 가공을 받지않거나, 혹은 가공을 받는다 하더라도 가장 가공정도가 낮은 상부에 제공하므로서 프레스성형 혹은 압축성형가공시 더스트의 발생이 전혀 없고, 또 용기뚜껑체의 수송시에도 이 복합수지층이 위치하는 부분이 뚜껑체의 스커어트부(8)에 의하여 보호되고, 또한 용기뚜껑으로 용기 입부분을 밀봉할때에도 라이너(9)에 의하여 완전히 보호되고, 그 결과 더스트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는 평판, 양각판, 음각판, 스크리인 등에 의한 인쇄에 적당한 점성을 가지고 있어, 인쇄에 의한 부분도장이 용이하게 행하여진다고 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라이너(9)의 박리를 행할 때에는, 라이너(9)의 예를 들면 주변부를 손톱 혹은 기구등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탄화수소수지 등의 부분피복수지층(3)과 에폭시수지층(4) 사이의 박리가 먼저 가압부분에서 진행되고 이어서 그 부분에서 층(4) 및 (6)의 파단이 행하여진다. 이후는 층(3)과 층(4)이 계면에서 박리가 용이하게 진행되고, 라이너(9)는 인쇄잉크층(5)을 가진 상태로 뚜껑체상부(7)에서 용이하게 박리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부분피복수지층(3)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인쇄작업성 등을 고려할때 연화점(환구법(環球法)에 의한 측정시)이 180℃ 이하, 특히 120℃ 이하인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테르펜수지, 로진, 로진에스테르, 로진변성수지등이 좋다.
석유수지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 혹은 고급올레핀계 탄화수소(일반적으로 C5내지 C11)등의 석유계 불포화탄화수소를 주원료로 하고, 이들을 촉매의 존재하에 가열중합하여서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들중 어느 것이나 수지층(3)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쿠마론인덴수지로서는 쿠마론 및 인덴등을 주원료로 하는 타르 유분(溜分)(일반적으로 160℃-180℃에서 끓음)을 열 혹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킨 비교적 저중합도의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도 본 고안의 목적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테르펜수지로서는 테르펜탄화수소의 합성 혹은 천연의 중합체, 특히 테르펜유 혹은 노피넨유분을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수지가 사용된다.
또, 로진고무, 우도로진등의 소위 생로진외에, 로진중의 아비에틴산을 에스테르화하여서 얻어지는 로진에스테르, 예를들면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에스테르고무), 아비에린산디에틸렌글리콜, 2-히드로아비에틴산 디 에틸렌글리콜, 로진의 모노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틀 에스테르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로진은 그 자체 공지의 열경화성수지 등으로 변성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층(4)을 구성하는 에폭시계수지로서는 분자내에 에폭시기를 2개이상 함유하는 고분자화합물이나, 그 초기반응생성물, 혹은 이들과 에폭시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는 저분자 내지는 고분자화합물(경화제성분)을 결합시켜서 된 것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다가페놀의 농축에 의하여 얻어진 에폭시수지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에폭시수지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식중, n은 0 또는 정의 정수로서, 특히 12 이하의 수이고, R은 다가페놀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2가페놀(HO-R-OH)로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놀)프로판〔비스테놀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비스페놀B〕,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비스페놀F〕등의 다환페놀, 특히 비스페놀A가 가장 적합하다.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의 초기농축물을 다가페놀로서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에폭시 당량이 140 내지 4000, 특히 200 내지 2500의 범위에 있는 에폭시수지를 수지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수지성분과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화제로서는 에폭시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는 다관능성 화합물, 예를 들면 다염기성산, 산무수물, 폴리아민, 폴리아마이드 등이 사용된다. 그 적당한 예는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메타페닐렌아민 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디아머산리아미드, 아디핀산히드라지드, 수산,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헥사히드로프탈산무수물, 피로멜리트산2무수물, 시클로펜타디엔메틸말레인산부가물, 도데실숙신산무수물, 디클로로말레인산무수물, 클로렌딕산무수물 등이다.
이들 경화제는 에폭시수지성분 100중량부당 2 내지 150중량부(이하 % 및 부는 특기하지 않는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특히 2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에폭시수지 성분과, 레졸형 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경화성수지를 혼합시켜서 제2의 피복층(4)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양자의 비는 넓은 범위내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5 : 95 내지 95 : 5, 특히 40 : 60 내지 90 : 10의 중량비로 혼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에폭시수지성분과 열경화성수지는 혼합시킨 상태로 하여 피복층(4)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예비농축시킨 상태로 피복층(4)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보호피복층(2)으로서는 가공성 및 내부식성을 고려할때 비닐수지, 특히 (a) 염화비닐과, (b) 초산비닐, 비닐알코올, 비닐아세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프말산, 이타콘산,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염화비닐리딘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단량체의 적어도 1종과의 공중합체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염화비닐(a)과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단량체(b)의 조성은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몰비 a/b가 95/5-60'40, 특히 90/10-70/3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 비닐계수지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분자량 범위에 있으면 된다.
적당한 비닐계 수지로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검화물,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부분검화, 부분아세탈화물, 염화비닐/초산비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딘/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에폭시수지,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비닐부티랄수지 등을 단독 내지는 혼합하여, 혹은 상기한 비닐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라이너(9)로서는 적절한 쿠션성과 밀봉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수지나, 연질염화비닐계수지등이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고, 접착도료층(6)으로서는, 올레핀계수지 라이너의 경우에는 산변성 올레핀수지나,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도료가 사용되고, 염화비닐계수지 라이너의 경우에는 상기한 비닐수지도료나, 아크릴계수지도료가 사용된다.
라이너(9)의 성형은 작업성을 고려하여 용기뚜껑체내에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여서, 압형에 의하여 라이너 형상으로서의 성형과 열첩착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이나, 플라스티졸 등의 유동성 조성물을 뚜껑체내에 공급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유입분포시켜서 원심성형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혹은 외부에서 열가소성수지의 디스크(disc)형 라이너를 형성시키고, 이것을 뚜껑체의 상부에 접착시켜도 된다.
본 고안의 용기뚜껑은 소위 캡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라이너를 두께가 두꺼운 밀봉부와 두께와 얇은 중앙부로서 구성하고, 이 경계에 완전절결선 내지는 파단이 가능한 약화선(弱化線)을 마련하여 라이너 중앙부만이 박리되도록 하하므로써 라이너 박리후에도 캡에 재밀봉성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탄화수소수지등의 부분피복수지층(3)은 라이너의 전면에 대응하도록 마련할 수도 혹은 라이너의 박리개시부분에 마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0.25mm 두께의 알루미늄판의 양면에 바닥칠 도료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UCC 사제의 VMCH)의 메틸셀로솔브, 메틸에틸케톤 등량용매 30중량% 용액을 사용하여 건조시의 피막두께가 6μ가 되도록 로울코우트하고, 190℃로 10분간 가열경화시킨다.
얻어진 양면도장판의 한쪽면에 통상의 금속인쇄잉크를 사용하여, 외경 70mm의 원형상으로 상표인쇄를 행하고, 다시 표면보호도장으로서, 에폭시 에스테르계 도표를 상기 인쇄면위에 5μ의 두께로 도장하여 건조 경화시킨다.
다음에, 도장판의 다른쪽 면에 탄화수소 수지(미쯔이 페트로 케미칼 사제의 하일렛즈 P-1000)의 미네랄스피릿 용해물(고형분농도 75%)을 인쇄기를 사용하여서 상기한 상표인쇄부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도록 하여, 외경 26mm, 막두께 3μ의 원형인쇄를 행하고, 180℃로 10분간 가열건조시킨후 에폭시-아미노수지계도료(셀사의 에피코우트#1009셀/니폰라이크홀드사의 백가민#138=90/10솔벳소 #100, 메틸에틸케톤 등량용매 30중량% 용액)를 탄화수소수지 인쇄면 위에 2μ의 두께로 전체에 로울코우트하고 190℃로 10분간 가열 경화시킨다.
다음에 형성된 에폭시-아미노계수지 피복층위에 하층의 탄화수소 수지층과 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외경 약 26mm의 원형범위내에 통상의 금속인쇄잉크를 사용하여서 현상마아크 인쇄를 행하고 정화시킨다. 최후에 현상인쇄가 행해진 도장면위에 접착제로서 산화폴리에틸렌을 20중량 함유한 에폭시계도료〔에피코우트 #1007/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90/10 혼합물의 산화 폴리에틸렌(밀도 0.98, 연화점 132℃)을 혼합한 키실렌용액〕를 5μ의 두께로 전체에 도포하고, 190℃로 10분간 가열경화를 행하여 양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피복층 구성의 알루미늄 도장판을 완전히 형성하였다. 얻어진 도장판을 현상인쇄가 행하여진면이 내면으로 되도록 하고, 다시 인쇄부의 중심과 상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하여서, 원통형상으로 펀치프레스 가공한후 드릴링 가공하여 내경이 38mm, 높이 17mm의 로울온 필터프루프 캡셀(pilfer proof cap shell)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캡셀의 안쪽에 용융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MI7)을 캡 1개당 약 0.6g씩 유입하고, 냉각시킨 압형펀치에 의하여 펀칭하여서 외경이 39mm이고 박리되는 부분이 25mm인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형태의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지는 캡셀을 형성하였다.
이들 캡의 가공성(캡성형시 및 펀칭작업시의 더스트 발생량), 라이너 접착유지성(호퍼링 테스트 시 라이너 탈락의 유무), 라이너 박리성(유리병에 끼운후, 개전한 캡에서의 라이너의 박리용이도) 등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를 표-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탄화수소수지의 인쇄를 판전체에 행하여 도장판을 형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캡셀을 형성하여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조작중, 탄화수소수지 인쇄공정을 생략한 피복층 구성을 한 알루미늄 도장판을 형성한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캡셀을 형성,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탄화수소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도장판을 형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캡셀을 형성, 동일한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1. 각 공정에서의 캡 100개당 발생한 피복층 파편(더스트)의 양(단위 : mg).
*2. 캡으로부터의 라이너의 발리강도(단위 : g/cm).
*3. 라이너의 박리부분을 박리한 후의 캡의 재밀봉성.
*4. 라이너 강접착에 의하여 박리불가.
*5. 라이너 약접착 때문에 측정전에 박리.
0 : 양호 △ : 보통 × : 불량
[실시예 2]
두께 0.2mm의 표면처리강판(도요코한사제의 하이톱)의 한쪽면(셀의 외면이 되는면)에 베이스 코우팅층(에폭시아미노계 도료), 상표인쇄, 오우버코우틸층(에폭시에스테르계 도료)을 형성시킨 후, 다른쪽면(셀의 내면이 되는면)에 방청용 바닥칠 랙커(racquer)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70중량부, 분자량 370의 비스페놀계 에포시수지 25중량부 및 아미노수지(부틸화요소수지) 5중량부와 유기용제로서 된 도료를 경화건조후의 두께가 3μ 되도록 로울코우팅한 후, 190℃로 10분간의 가열을 행하였다. 이 방청용 바닥칠 랙커층위에 천연수지(로진)의 케로신용액(고형분 농도 40%)을, (1) 바닥칠 랙커층위의 전면에 또는 (2) 내경이 26mm인 원형상으로, 또는 (3) 내경이 28mm인 원형상으로 두께 5μ가 되도록 도포한 후, 180℃로 10분간 가열 건조시킨다.
다음에, 형성된 천연수지층 위에 에폭시 페놀계도료(에피코우트 #1009/레졸형 페놀=90/10 키실렌, 메틸이소부틸케톤 혼합용매 33중량% 용액)를 건조시 두께가 3μ로 되도록 전체에 로울코우팅하고, 190℃로 10분간 가열시켜 피복층을 형성시켰다.
다시, 얻어진 에폭시-페놀계수지층위에 알키드수지계의 통상의 금속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현상마아크를(천연수지층이 하층에 존재하는 부분에만) 인쇄하고, 건조후 접착제로서 상기한 에폭시-페놀계 도료에 산화폴리에틸렌(밀도 1.0, 연화점 135℃)을 20중량% 함유시킨 것을 사용하여 내면 전체에 도포(막두께 6μ)하고, 190℃에서 10분간의 가열을 행하여 양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도장판을 형성하였다.
이 인쇄도장판을, 현상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고, 천연수지를 26mm 및 28mm 직경으로 인쇄한 것은 그 원의 중심이 왕관셀 상부의 원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왕관셀 성형용 프레스토 왕관셀(내경 26mm)을 성형시켰다.
이 왕관셀의 내면에 용융한 저밀도 폴리에틸렌(MI 7밀도 0.92)을 0.25g 유입하고, 냉각된 펀치로 펀칭하여, 외경 26mm의 폴리에틸렌라이너를 가지는 왕관셀을 형성하였다. 이들 왕관셀에 대하여 가공성(프레스 가공시 및 펀칭, 캡핑(capping) 공정시의 호퍼링(hoppering)에 의한 피막 더스트발생 유무), 라이너 유지성(캡핑시의 호퍼링에 의한 라이너 탈락 유무), 라이너 박리성(캡핑후에 셀을 개봉했을때, 안쪽의 라이너의 박리용이성) 등의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2에 기재하였다. 또한 참고예로서, 천연수지층을 가지지 않은 도장계의 왕관셀을 형성하여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표 2]
0 : 양호 △ : 보통 × : 불량

Claims (1)

  1. 도장금속판(1)으로 형성된 용기뚜껑체와 그 뚜껑체의 상부(7)에 제공된 열가소성수지 라이너(9)로서 되고, 라이너(9)와 뚜껑체가 여러 종류의 피복층 사이에 형성된 박리성 접착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있는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박리성 접착계면이 뚜껑체의 상부(7)의 외주보다 안쪽에 제공된 석유수지, 쿠마론인덴수지, 테르펜수지,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수지로 된 층(3)과, 그 수지층과 직접 접촉하는 에폭시수지층(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KR2019820005742U 1982-07-20 1982-07-20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KR850000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742U KR850000830Y1 (ko) 1982-07-20 1982-07-20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742U KR850000830Y1 (ko) 1982-07-20 1982-07-20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208 Division 1980-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62U KR830000462U (ko) 1983-06-17
KR850000830Y1 true KR850000830Y1 (ko) 1985-05-11

Family

ID=1922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742U KR850000830Y1 (ko) 1982-07-20 1982-07-20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8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62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8990Y2 (ja) 剥離性ライナ−付容器蓋
FI73185B (fi) Behaollarfoerslutning.
US4111323A (en) Crown closure
CA1108973A (en) Peelable bonded struct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920007804B1 (ko) 스코어 절단 단연이 보호될 수 있는 개봉이 용이한 뚜껑 및 그 제조법
EP0078625B1 (en) Easily-openable heat seal lid
NO784132L (no) Stillbar sammenbundet struktur.
US4330353A (en) Method to improve wetting of peelable adhesive structures
US4372457A (en) Closure cap having prize markings and peelable liner
US4395446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KR850000830Y1 (ko)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US3637103A (en) Closure having polyethylene liner
MXNL02000040A (es) Tapa metalica con liner desprendible.
EP0809572A1 (en) Protective polymeric film for lamination to metal
KR830000422B1 (ko)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CA1130187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S5827104B2 (ja) 剥離可能な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法
KR830001728B1 (ko) 박리 가능한 접착 구조물
JPS63248658A (ja) 耐腐食性アルミ製容器蓋
JPS6222867B2 (ko)
JPS6246421B2 (ko)
KR20220152388A (ko) 금속제 캡 및 그 제조 방법
KR840002212B1 (ko)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JPH0532263A (ja) 金属樹脂積層体
JPS5974070A (ja) 容器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