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212B1 -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212B1
KR840002212B1 KR7903276A KR790003276A KR840002212B1 KR 840002212 B1 KR840002212 B1 KR 840002212B1 KR 7903276 A KR7903276 A KR 7903276A KR 790003276 A KR790003276 A KR 790003276A KR 840002212 B1 KR840002212 B1 KR 840002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layer
resin
adhesiv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이찌 도이
후미오 모리
이사오 이찌노세
데쯔오미 오기모도
가쯔히꼬 기다가와
Original Assignee
우찌다 요시오
닛본 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찌다 요시오, 닛본 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우찌다 요시오
Priority to KR790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제1도는 본 발명의 왕관형 용기 뚜껑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용기 뚜껑의 단면 구조를 확대한 단면도.
제3-a, 제3-b 및 제3-c도는 본 발명 용기 뚜껑의 라이너를 박리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a-제4-n도는 본 발명 용기 뚜껑의 라이너의 접착강도 분포의 각종 상태의 분포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도의 상태에서 접착강도 분포를 마스킹(masking)으로 행하는 일 상태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일형 캡의 단면도이고 또한 인쇄층이 라이너에 전사되는 상태의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 용기 뚜껑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박리 가능한 라이너(liner)를 구비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의 압압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라이너(패킹)가 용기 뚜껑 셀(shell) 안에 통상의 취급시에는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접착되어 있으면서도, 용기의 구입자가 라이너를 박리하려고 할 때에는, 별다른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손으로 라이너의 박리를 행할 수 있는 독특한 구성의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 뚜껑 셀과 라이너가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밀착된 용기 뚜껑은, 병에 넣은 제품 등의 현상판매를 할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즉, 왕관, 기타의 용기뚜껑 등의 밀봉재로서는, 금속 시이트에 표면 보호 도료를 도포한 것을 왕관 셀, 캡셀(cap shell) 등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의 내면에 패킹을 접착시킨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병에 넣은 음료 등의 현상 판매에 있어서는, 병에 넣은 제품의 구입자들이 소정매수의 패킹 혹은 당첨된 것이 명백한 내면 인쇄 왕관셀, 내지는 캡셀을 판매점에 가져왔을 경우에, 이와 바꾸어서 상품을 발송하거나, 혹은 직접 주거나 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부(付) 판매용의 왕관 혹은 캡 등의 제조에는, 패킹이 왕관 셀 혹은 캡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한 조건으로 되는데, 이와 동시에 왕관 혹은 캡 등의 제조공정, 수송시 혹은 병에 넣은 제품의 뚜껑을 부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패킹이 왕관 셀 혹은 캡셀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접착되어 있을 것 및 왕관 셀 혹은 캡 등의 부식 경향이 강한 내용의 음료 등에 대하여 충분한 내(耐)부식성을 가지고, 또한 크림핑(crimp, 로울온(roll on) 등의 가공에 견딜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내용음료등이 직접 접촉되는 패킹 표면에 인쇄하는 것은 위생적인 견지에서 보아서 도저히 불가능함과 동시에, 패킹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있는 상태로 왕관 셀 혹은 캡 등의 내면에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서, 왕관셀 혹은 캡의 내면에 적용된 잉크 층이 패킹의 박리시에, 패킹에 부착된 상태로 옮겨가든가, 혹은 셀에 그대로 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이러한 현상부 판매용의 왕관 등으로서는, 용기 뚜껑 셀과 라이너를, 박리 가능한 도료-도료 개면(界面) 혹은 도료-라이너 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한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왕관은 어느 것이나 뚜껑체의 수송내지 뚜껑을 씌우는 조각중의 진동 등에 의한 라이너의 탈락방지나 불충분한 밀봉성을 피한다고 하는 이유에서 어느 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손톱으로 일으켜서 박리시킬 경우에는 상당한 곤란을 수반하는 일이 빈번하고, 또 예리한 기구로 떼어낼 경우, 특히 유아들에 있어서는 상당한 위험이 따르며, 실제로 현상왕관 마개의 라이너를 예리한 기구로 박리하려고 하다가 상처를 입는 등의 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당업계에서는, 통상의 취급시에는 라이너의 탈락이나 밀봉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고, 한편 필요할 때에는 예리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곤란없이 손으로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는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뚜껑 셀과, 수지의 압압 성형에 의하여 성형된 같이너 사이의 우발적인 박리가 방지되고, 또한 필요할 때에는, 같이너의 용기 뚜껑 셀로부터의 박리가 별다른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라이너부(付)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의 라이너 구조와 접착구조의 조합구조를 가지는 박리 가능한 라이너부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이너의 박리가 라이너 중앙 부분에 마련된 비교적 짧은 폭을 탭(tab)의 한쪽 끝 연부에서 시작되어, 손으로 집는데 충분한 크기의 탭의 박리가 행하여 진후, 이 탭을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서 라이너 외주연의 박리가 비접착성 내지는 약(弱)접착성의 계면을 통하여 재차 개시되어, 라이너 전면의 박리가 유효하게 행해질 수 있는 구조의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뚜껑 셀과, 그 셀의 정판부(頂板部)에 부착된 라이너로서 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셀안에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압압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비교적 두께가 얇은 중앙부분과 두께가 두께운 외주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부분에는 완전 절단선 내지는 파단(破斷) 가능한 약화선(弱化線)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고 또한 두께가 두께운 외주 부분에 이어지는 박리용 탭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 뚜껑 셀의 정부(頂部)와 상기 라이너와의 사이에는 박리 가능한 적어도 1개의 계면이 마련되고, 상기 박리성 계면은, 박리 가능한 라이너의 최외주부에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과 이 최외주부의 안쪽에 상기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보다도 강한 접착 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왕관형의 본 발명 용기 뚜껑의 1예를 표시하는 제1 내지 제 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은 전체적으로 (1)로서 표시된 용기 뚜껑 셀(shell)과 전체적으로(2)로서 표시한 라이너(liner)로서 구성된다. 용기뚜껑 셀(1)은 정판부(頂板部)(3)과 그 주위에서 구부러져서 연장하여 있는 스커어트(skirt)부(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커어트부(4)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셀(1)은 공지된 바와 같이 금속 소재로서 되어, 있고 그의 적어도 내면에는, 방부성의 보호도료층(5)가 도포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현상표식을 표시하는 인쇄층(6)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도료층(5) 및 인쇄층(6) 위에는, 압압성형되는 라이너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층(7)이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 라이너(2)는, 셀(1) 안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압압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셀(1)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라이너(2)는 상기 접착제층(7)에 의해 셀(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라이너(2)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중앙부분(8)과, 두께운 외주부분(9)로서 되어 있다. 이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병의 구부(口部)와 같은 용기구부(S)와 결합하는 밀봉용의 환상돌기인 것이 편리하고, 이 구체예에 있어서, 이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는, 용기 구부의 내주연과 결합하는 내주측 돌기(10), 용기 구부의 외주연과 결합하는 외주측 돌기(11), 및 용기구부의 상면과 결합하는 요홈(12)로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라이너 중앙부분(8)에, 완전절단선 내지는 파단 가능한 약화선(弱化線)으로된 구획선(13)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고 또한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에 연결되는 박리용 탭(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완전절단선"이란 탭(14)와 기타의 중앙부분(8)을 구획하는 선이 접착제층(7) 내지는 보호 도료층(5)에 도달하도록 완전히 베어진 선을 의미하며, "약화선"이란, 이 구획선을 따라서 용이하게 파단이 생길 수 있도록 스코어(score) 혹은 절취선 구멍 내지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서 구획선이 약하게 된 선을 의미한다.
박리 탭(14)는, 라이너 중앙부분에 비하여 비교적 짧은 폭으로서 박리가 가능하고 또한 라이너 전체의 박리에 있어서도 손끝으로 접는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정도의 것이면 된다. 이렇게 하여서, 박리 탭(14)를 구획하는 구획선(13)은, V자형, U자형, ㄷ자형, S자형, Z자형 등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 탭(14)의 최초의 박리개시를 유효하게 행하기 위하여 탭(14)의 선단부에, 정판(頂板)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돌출시킨 노브(knob)(1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노브(15)를 손끝 또는 손톱으로, 탭(14)의 박리방향(제1도에서 화살표(16)의 방향)으로 압압하면, 이 노브(15)가 일종의 지레처럼 되어서, 후술하는 접착계면에서의 박리가 용이하게 진행되게 된다. 노브(15)의 형상은 원주형, 반 원주형, 각주형 등 임의의 형상이라고 좋으나, 성형작업성(이형성(離型'性)의 점으로서는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14)가 찢겨지는 일 없이, 그 박리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선(13)의 안쪽에는,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보강 리브(rib)를 마련할 수가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한 노브(15)나 화살표(16) 부분은 보강 리브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또한, 구획선(13)이 약화선일 경우, 탭(14)의 박리에 수반하는 라이너의 파단이 약화선의 부분에만 생기고, 이 약화선의 부분을 벗어난 탭의 부분에서 파단이 생기지 않도록 약화선의 안쪽에는, 여기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보강 리브(17)을 형성할 수가 있고, 또, 이 안쪽 리브(17)과 협력해서 우발적인 파단으로부터 약화선을 보호하고 또한 박리시에 있어서 그 약화선의 부분에서의 파단을 확실하게 하도록, 약화선의 바깥쪽에도, 두께가 두꺼운 보강리브(18)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상기한 신규의 라이너형상을 채용함과 동수에, 셀(1)과 라이너(2)를 박리 가능한 적어도 1개의 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하고, 이 박리성 계면에 있어서, 박리 가능한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융하여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과, 이 최외주부의 안쪽에 상기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보다도 강한 접착지역의 형성되도록 한다.
제 1도 및 제 2도는 표시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이 박리성 계면은, 라이너(2)와 접착제층(7)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이 박리성 계면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 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최외주부에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지역(19) 및 그 내주쪽에, 상기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보다도 강한 접착지역(20)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박리성 계면의 최외주부에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19)를 형성하고, 그 내주쪽에 이것보다도 강한 접착지역(20)을 형성시키는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즉, 먼저 라이너(2)는 셀(1)에 대하여 그 어느 한 부분에서 뚜껑의 수송내지는 뚜껑을 씌우는 조작중은 물론이고, 용기의 밀봉중에 있어서도, 우발적으로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라이너를 셀로부터 박리시킬 경우에는, 이 박리를 개시할 때에 먼저 라이너와 셀과의 사이에 있는 계면에 갈라진 틈이나 찢어진 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박리조작의 용이성이란 점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라이너 중앙부분에 절단선 또는 약화선을 사이에 두고 좁은 폭의 박리용 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먼저 라이너의 중앙부분 내지는 이에 접근된 부분에서, 라이너(2)와 셀(1)을 강접착착시켰을 경우에도, 라이너의 박리가 비교적 좁은 폭의 탭의 한쪽 끝 연부에서 용이하게 개시되고, 손끝으로 집는데에 충분한 크기의 탭의 박리가 먼저 행하여진다. 이어서 이 탭을 잡아당기면, 상기 계면의 최외주연이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너 전체의 외주연에서의 박리개시가 용이하게 행하여지고, 전면적인 박리가 원활하게 행하여 진다. 이 경우, 라이너의 외주연은 두께가 두꺼운 보강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탭을 강하게 잡아당길 경우에도 탭의 파단이 방지되고, 라이너의 외주연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게 행하여진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이 라이너의 박리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3-A도 내지 제3-C도에 있어서, 먼저, 노브(15)를 손끝으로 탭(14)의 박리방향(도면에서 좌방향)으로 밀면, 이 노브(15)가 지레가 되어서, 접착제층과 라이너와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용이하게 생긴다.(제3-A도)
이어서, 제3-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노브(15) 내지는 탭(14)의 선단을 손끝으로 잡고 박리방향 내지는 위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구획선(13)의 파단과 탭(14)의 박리가, 라이너(2)의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여 진다.
최후에,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탭(14)를 손 끝으로잡고 위방향, 또는 탭(14)의 박리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라이너(2)의 외주부와 셀과의 사이에서 먼저 박리가 일어나고, 라이너 전체의 박리가 용이하게 행하여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이너부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중심에서 외주에 이르는 탭의 박리방향과 라이너 전체의 박리방향이 역으로 되어 있고, 라이너의 박리가 별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는, 밀봉용 쿠션으로서의 역할과 박리용 보강 부분으로서의 역할의 2중 역할을 가지는 것도 큰 특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 가능한 계면은, 제1 및 제 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라이너와 접착제층과의 사이에 형성시킬 수가 있고, 혹은 접착제층과 도료층과의 사이나, 2종류의 도료층과의 사이에 형성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한 박리 가능한 계면을 2종류 이상 형성하여,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과 그 보다도 강한 접착 지역과는 다른 계면으로 박리가 생기도록 할 수도 있다.
박리성 계면이 라이너와 접착계층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각 부분에서의 접착강도의 조절은 여러가지의 수단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셀의 내면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한편 이 안쪽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가장 간단하게 비접착 지역과 접착 지역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물론 사용하는 접착제는, 소위 박리성 접착, 즉 전체에서의 박리 강도가 0.02 내지 5kg/cm, 특히 0.05 내지 3kg/cm의 범위에 있는 접착을 형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혹은, 반대로, 셀의 내면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융하는 부분에만, 라이너에 대해서 접착성이 없는 마스킹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사상들을 조합시켜 임의의 접착강도를 가지는 다수의 구역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접착제층을 인쇄 등의 수단으로 망점(網點)형상으로 형성하여서, 강접착 지역에서는 약접착 지역보다도 이 망점이 조밀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접착강도의 조절을 한다. 물론,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이 위에 마스킹층을 망점으로 하여 접착강도의 조절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접착성의 망점의 밀도, 즉 접착성 지역의 전체에 대한 면적비는, 비접착 지역의 0에서 강접착 지역의 100%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예로서, 강접착 지역에서 80%이상, 약 접착 지역에서의 30% 이하, 중접착 지역에서의 30 내지 80%와 같이 원하는 접착 강도에 따라서 적당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층을 망점형상으로 분포시켜서 사용하면, 라이너가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박리에 필요한 힘을 소정치로 제어하기 쉽다는 등 박리 작업성이란 점에서 현저한 잇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께가 두꺼운 라이너 외주부분이, 용기 구부와 결합하는 밀봉용의 환상 돌기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 외주부분 내지는 여기에 근접한 부분에 대융하는 박리성 접착계면에서, 라이너를 강접착시켜 놓는 것이 지속적인 밀봉성이란 점에서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견지에서, 라이너 최외주부의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지역의 내주쪽 윤곽은 환상돌기의 내주연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라이너 최외주부에, 비접착 지역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이 안쪽에 인접하여, 중앙부 보다도 오히려 접착 강도가 높은 구역을 형성하는 것이 지속적인 밀봉성이란 점에서 편리하다.
접착제층을 망점형상으로 분포시키는 형태의 몇가지 예가 제4-A도 내지 제4-N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의 기호는, 접착 강도의 상대적 값을 다음의 기준으로 표시한다.
Figure kpo00001
즉, 본 발명의 접착지역은, 최외주부에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이 있고, 그 안쪽에 이것보다도 강접착된 지역이 존재한다고 하는 요건을 충족시키는 한 임의의 배치를 취할 수가 있다. 제4-A도 내지 제4-N도에 있어서, 최외주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 A 또는 B는, 일반적으로 라이너 최외주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내경보다도 크던가 혹은 이와 대략 같은 내경을 가질 수 있는 칫수로 형성하는 것이, 왕관 등의 지속적인 밀봉성 이란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의 안쪽에 배치된 강접착 지역은, 제4-D도, 제4-E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형으로 하여도 좋고, 혹은 제4-A, 4-B, 4-C, 4-F, 4-G, 4-H, 4-I, 4-J 및 4-K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링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후자의 경우, 제4-A, 4-B, 4-G, 및 4-I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주부 보다도 강접착된 지역의 안쪽에는 박리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시 비접착 지역 내지 약접착 지역을 배치할 수가 있다. 제4-C, 4-J, 4-F 및 4-K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노브(15)에 대응하는 중심부를 비접착 지역 내지는 약 접착지역으로 하여서, 노브(15)를 밀어 쓰러뜨리는 것에 의해 탭의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또 제4-B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심부에 강접착 지역을 형성하여, 셀안에 공급되는 라이너 형성용 수지와의 가(假)접착성을 향상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 강접착 지역의 외주에, 탭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소직경의 비접착 지역을 배치할수도 있다. 제4-L, 4-M 및 4-N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최외주의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의 안쪽에 배치되는 강접착 지역은, 원 또는 링 형상일 필요는 없고, 간격을 두고 점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셀용 금속소재]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 뚜껑 셀을 구성하는 금속소재로서는, 표면에 인산처리, 크롬산 처리 혹은 전해 크롬산처리를 행한 강판, 혹은 표면에 주석, 아연 등을 전해 내지 용융도금한 강판, 혹은 알루미늄판 내지는 알루미늄 박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금속기체(基體)위에는, 방부식 목적으로 미리 표면에, 페놀-에폭시도료, 에폭시-요소도료, 에폭시-멜라민도료, 페놀-에폭시-비닐도료, 에폭시-비닐도료,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도료, 염화비닐-초산비닐 무수마레인산 공중합체도료, 아크릴계도료,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도료, 포화폴리에스테르 도료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서 된 공지의 바닥칠 도료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라이너]
라이너로서는, 압압성형이 가능하고 또한 라이너로서 필요한 쿠션성을 가지는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가장 적당한 예로서, 올레핀계 수지, 특히, 저밀도, 중밀도의 폴리에틸렌, 에틸렌-부텐-1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非共役) 디엔터-폴리머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혹은 올레핀을 구성분으로 하여서 올레핀 이외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소량 함유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내지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올레핀 공중합체 혹은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에틸-초산비닐 공증합체(EV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검화물(EVAL),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본산 변성 폴리에틸렌(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 마레인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 불포화 카르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마레인산, 아크릴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등) 아이오노머,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올레핀 수지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또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혹은 EVA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폴리 이소부틸렌(PIB), 부틸 고무(IIR), 폴리 부타디엔(PB), 천연 고무(NR), 입체 특이성 폴리 이소프렌, 니트릴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 클로로프렌(CR) 등의 엘라스 토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예를 들면 1 내지 60중량 %의 양으로 배합시켜서, 라이너, 즉 패껑 혹은 시일랜트(sealant)에 필요한 탄성적 성질을 개선할 수가 있다.
이들 폴리 올레핀에는, 공지의 처방에 의해, 페놀계, 유기 유황계, 유기 질소계, 유기 인계 등의 산화방지제 내지는 열안정제나, 금속 비누나 다른 지방산 유도체 등의 윤활제나, 탄산칼슘, 화이트 카아본, 티탄 화이트, 탄산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카아본 블랙, 각종 클레이 등의 충전제 혹은 다른 착색료 등의 배합제를 배합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올레핀 수지에는, 또 가교제 혹은 발포제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배합하여서, 가교, 발포 혹은 가교 발포된 올레핀 수지 층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금속 기질(基質) 위에 내열성이나 내구성 혹은 탄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뛰어난 올레핀 수지의 피복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수지 중에 가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좋고, 한편 패껑, 시일랜트 등에 필요한 쿠션성을 가지는 피복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수지중에 발포제를 필요에 의하여 가교제와 함께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가교제 및 발포제로서는, 사용하는 수지의 가공 온도(연화 온도)부근의 온도로 분해되는 가교계, 예를 들면 디쿠밀퍼옥시드, 디-t-부틸 퍼옥시드, 쿠밀하이드로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 헥산-3 등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이나, 사용하는 수지의 가공온도 부근의 온도로 분해되는 발포제, 예를 들면 2,2'-아조비스 이소부틸로니트릴, 아조디카아본 아미드류, 혹은 4,4-옥시 비스벤젠 설포닐 히드라지드 등이 사용된다. 이들 가교제는 수지 당 0.1 내지 5중량 %의 양으로, 또 발포제는 수지 당 0.2 내지 10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라이너로서 사용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의 다른 예로서는, 연질의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들 수가 있다.
[접착제층]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로서는, 상기한 라이너를 용기 뚜껑 셀에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라이너용 수지가 올레핀계 수지의 경우에는, 산화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피막 형성성 베이스 수지 중에 분산시킨 도료를 사용할 수가 있고, 한편 이 라이너용 수지가 염화비닐계 수지일 경우에는, 염화비닐계 수지 내지는 아크릴계 수지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조합한 도료를 사용할 수가 있다.
올레핀계 수지 라이너의 접착용 도료에 있어서는 올레핀계 수지와의 접착에 유용한 산화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라이너와 도료와의 계면에 유효하게 분포시키고, 또한 상기한 박리성 접착결합을 형성시킨다고 하는 목적에는, 산화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로서 카르보닐(
Figure kpo00002
)기를 0.01 내지 200meq/100g 중합체의 농도, 적합하게는 0.1 내지 70meq/100g 중합체의 농도로 함유하고, 또한 더한층 적합하게는 결정화도가 적어도 50%, 적합하게는 70% 이상인 것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변성 올레핀 수지로서는, 공지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내지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공중합, 블록공중합 혹은 말단처리 등의 수단으로 올레핀 수지의 주쇄 또는 측쇄에 도입한 것 중,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마레인산, 프마르산, 크로톤산, 시트라온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본산, 무수마레인산, 무수시트라콘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본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 무수프탈산들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산화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를, 원하는 데에 따라 용융 혹은 용액 상태로 산화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소위 산화 폴리에틸렌 중,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사용된다.
피막 형성성 베이스 수지로서는, 공지의 내부식성의 프라이머층 형성용의 베이스 수지가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사용하는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는 상기 변성 올레핀 수지등 보다도 적어도 0.1만큼 큰 밀도, 적합하기는 1.2 내지 1.3의 범위안의 밀도를 가지고 또한 수산기 및 카르보닐기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관능기를 적어도 1meq/g의 농도, 적합하게는 3meq/g 내지 20meq/g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한 변성 올레핀 수지 등으로 분포 제어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베이스 수지는, 도포막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열경화성 혹은 열가소성의 수지 비히클(vehicle) 중,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요소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키실렌포름 알데히드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 테르 수지, 열경화형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된 열경화성 수지, 혹은 아크릴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말레인산 공중합체, 비닐 부티랄 수지 등의 비닐수지,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석유수지 등의 열가소성수지 중, 상기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A)와 피막 형성성 베이스수지(B)와는,
A : B = 0.2 : 99.8내지 70 : 30
특히, 1 : 99 내지 30 : 70
의 중량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라이너용 수지가 염화 비닐계 수지일 경우에 사용하는 박리성 접착용의 도료로서는, 염화 비닐수지, 염화 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부분검화물 내지는 그 아세탈화물, 염화비닐-초산비닐-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의 염화 비닐계 수지 내지는 아크릴 수지(A)와, 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아미노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B)를
A : B = 30 : 70 내지 98 : 2
특히, 50 : 50 내지 90 : 10
의 중량비로 혼합 내지 예비 축합시킨 것이 사용된다.
이들 접착용 도료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을 많게하는 것에 의하여, 염화 비닐계 수지 라이너와의 접착강도를 약하게 할 수가 있다.
이들 접착제층은, 소위 도료의 형태로 공지의 도장(塗裝)수단, 예를 들면 침지도포, 분무도포, 로울 코우터, 바아 코우터 정전기도장, 전착(電着) 도장 등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고, 혹은 인쇄 가능한 잉크의 형태로, 철판(凸版) 인쇄, 요판인쇄, 스크린인쇄, 평판 내지 옵셋인쇄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를 용해 내지 분산시키는 용매로서는, 아세톤, 메틸 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시클로 헥사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디아세톤 알코홀, n-부타놀, 메틸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홀류, 톨루엔, 키실렌, 데칼린 등의 방향족 탈화수소류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가 있고, 이 도료 내지 잉크중의 수지 고형분 농도는 5 내지 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접착제의 도포량은 수지 고형분으로서, 1 내지 500mg/d㎡, 특히 10 내지 100mg/d㎡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고,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변성 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의 경우에는,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변성 올레핀 수지가 0.01 내지 100mg/d㎡ 특히 0.1 내지 10mg/d㎡으로 되는 양으로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성 계면으로 되는 접착층을 복수의 접착제 층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접착강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층과 올레핀계 수지 라이너와의 계면에서의 접착강도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박리 가능한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접착용 도료를 도포하고, 한편 이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안쪽에,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접착용 도료를 도포하고, 접착제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분포량을 상기한 각 부분에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과 그 안쪽에 이것보다도 강한 접착지역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또 같은 목적으로,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열경화성 수지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비닐도료, 그 보다도 안쪽에 열경화성 수지 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비닐도료를 적용시켜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과, 강접착 지역에서, 접착제 중의 라이너와의 접착에 기여하는 성분, 예를 들면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표면 부분에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강접착 지역에서는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보다도 농밀하게 분포시키도록 하는 것이, 용기뚜껑 제조의 작업성이나 공정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산화 폴리에틸렌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접착층 표면에의 분포제어는, 접착제층과 용기뚜껑 셀과의 사이에, 유성수지와 같은 분포제어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1개의 마스킹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가장 용이하게 행하여 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상태를 표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 금속제 셀(1)의 내면 보호도료층(5) 위에는 인쇄층(6)이 형성되고, 다시 유성수지와 같은 분포제어제를 함유하는 마스킹층(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마스킹층(21) 위에,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층(7)이 도포되고, 이 접착제층(7)을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2)로서 표시된 올레핀게 수지 라이너가 열접착되어 있다.
마스킹층(21)은, 라이너의 외주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9)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하나의 층으로서의 형성되고, 한편 그것보다도 안쪽에서는 망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킹층(21)에 함유되는 유성수지와 같은 분포제어제는, 어떤 미지의 이유에 의하여, 접착도료층 중의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가 층표면 부분에 분포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렇게 하여서, 마스킹층(21)이 전체에 형성된 라이너 외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접착제층(7)의 표면에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변성 올레핀 수지가 거의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라이너(2)와 접착제층(7)과의 사이에는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19)가 형성되고, 한편 이것보다도 안쪽에서는,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가, 망접형상의 마스킹층과는 반대 형상으로 표면에 분포되기 때문에, 라이너(2)와 접착제층(7)과의 사이에 강접착 지역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마스킹 (masking) 층]
본 발명의 이 형태에 있어서, 변성 올레핀 수지에 대한 분포제어제로서는, 프라이머 도료중의 변성 올레핀 수지가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우선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분포제어제는, 일반적으로 변성 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것을 들 수가 있다.
(1) 유성수지 내지는 유변성수지, 아마인유, 동유(桐油), 들기름, 탈수피마자유 등의 건성유 ; 참기름, 콩기름, 평저유, 면실유등의 반건성유 ; 혹은 동백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등의 불건성유를 구성 성분의 적어도 일부로서 함유하고, 혹은 이들 기름으로 변성된 수지, 예를 들면, 유변성 알키드 수지, 유변성 에폭시수지, 유변성 페놀수지, 유변성 아미노수지, 올레오레지너스 도료, 변성 폴리아미드수지, 유변성 아크릴수지, 유변성 비닐수지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
기름의 변성 정도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상기한 건성유, 반건성유 혹은 불건성유를 전체 수지분당 15내지 85중량 %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편리하다.
(2) 지방산 혹은 중합지방산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
예를 들면 중합지방산을 산성분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리놀산, 리놀레인산, 탈수피마자유 지방산으로 변성된 각종 수지.
(3) 폴리 알킬렌 폴리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 폴리프로필렌글리콜 ; 다가 알코홀, 지방족아민, 지방산 아미드 등에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4) 지방산 금속 비누 예를 들면 디메틸 폴리실록산.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칼슘. (6) 부타디엔계도료
(5) 오르가노 실록산류 보일화 변성 폴리부타디엔 글리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분포제어제는, 위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에폭시화 콩기름과 같은 에폭시계 가소제, DOP와 같은 푸탈산에스테르게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게 가소계 등을, 분포제어제로서 마스킹층 중에 함유시키면, 프라이머층 중의 변성 올레핀 수지의 다층분포를 지지시키는 것 외에, 변성 올레핀 수지의 베이스 수지에의 분산성을 변경시키는 것도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포제어제가 피막형성 성능을 가질 경우에는, 그 단독으로 금속기체에 마스킹층으로서 적용될 수 있고, 혹은 다른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와의 조합으로 금속기체에 도포할 수가 있다. 또, 분포제어제가 피막형성 성능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중에 함유시킨 상태로 마스킹층으로서 형성한다.
분포제어제의 도포량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나, 일반적으로 1내지 300mg/d㎡, 특히 2내지 150mg/d㎡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된다. 또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와의 조합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10내지 500mg/d㎡, 특히 20내지 200mg/d㎡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들 마스킹층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도료 또는 잉크의 형태로, 각종 코우터 혹은 인쇄기에 의하여, 금속기체 위에 형성된다.
이들 마스킹층은 예를 들면 망목형, 망점형, 대형(帶形), 링형, 방사형, 동심원형, 원, 정방형, 삼각형등의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 혹은 이들의 조합 형상으로 금속기판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마스킹층은, 도장 내지는 인쇄된 채로의 젖은 상태로, 혹은 건조내지는 소부(燒付)시킨 상태로 다음의 접착용도료의 도포에 사용한다.
제1도, 제 2도 및 제 5도에 도시한 구체예에서는 현상표지 등을 표시하는 인쇄층(6)이 용기뚜껑 셀과 박리성 접착제층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라이너(2)를 박리하였을 때, 이 인쇄층(6)이 용기뚜껑 셀쪽에 남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의 수법에 의해, 박리성 접착제층(7)과 라이너(2)와의 사이에 현상표지 등을 표시하는 인쇄층(6)을 형성하고, 이 인쇄층(6)으로서 접착제층(7)에 큰 친화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여서 라이너를 박리하였을 때, 인쇄층(6)이 용기뚜껑 셀쪽에 남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이 인쇄층(6)으로서 접착제층보다도 라이너(2)에 대하여 큰 친화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여서, 라이너를 박리하였을 때, 인쇄층(6)이 라이너쪽에 남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접착제층(7)과 바닥칠 도료층(5)와의 사이에 박리성 계면을 형성할 경우, 혹은 2종류의 도료층 사이에 박리성 계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이 박리성 계면보다도 위쪽 혹은 아 래쪽에 인쇄층(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라이너를 박리하였을 때, 이 인쇄층이 라이너 쪽에 남도록 하거나, 혹은 용기뚜껑 셀쪽에 남도록 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 개봉 후의 뚜껑을, 용기 구부에 뚜껑을 씌워서 재밀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캡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이 용기뚜껑의 라이너에 있어서는,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이 용기 구부(S)와 결합하는 밀봉용의 환상 돌기와, 이 환상돌기의 안쪽에 완전절단선 내지는 파단이 가능한 약화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둥근 모양의 보강리브로서 구성되고, 라이너의 박리, 둥근 모양의 완전절단선 내지는 약화선 보다도 안쪽 부분에서만 행하여지고, 용기 구부와 결합하는 밀봉용의 환상돌기는 용기뚜껑 셀에 밀착된 상태로 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캡의 일 구체예를 표시하는 제6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연질 염화비닐 수지로서 된 라이너(2)의 외주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용기 구부와 결합하는 밀봉용의 환상 돌기(10),(11) 및 요홈(12)와, 이 환상돌기의 안쪽에 둥근 모양의 약화선(2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둥근 모양의 보강리브(23)으로 되어 있다.
라이너의 밀봉용 환상돌기(10),(11) 및 요홈(12)는 캡셀(1) 내면의 접착제층(예를들면 염화비닐계 수지도료) (7)에 박리 불능하게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다. 박리 가능한 라이너 최외주부(9), 즉 둥근 모양의 보강리브(23)에 대응하는 접착제층(7)의 부분에는, 라이너(2)에 대하여 접착성이 없는, 또는 접착성이 약한 마스킹층(예를 들면 알키드 수지층)(24)가 전체에 칠하여져 있고,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1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19)의 안쪽에는, 접착제층(7) 위에 마스킹층(24)가 망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지역보다도 강접착된 지역(20)이 형성되어 있다. 현상표지를 표시하는 인쇄층(6)은 마스킹층(24) 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인쇄층(6)은 마스킹층(24)에는 접착하지 않고, 라이너(2)에 접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강리브(23)은 밀봉용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 안쪽에 전 둘레에 걸쳐서 환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또 탭의 근부 부근에만 둥근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라이너(2)의 박리는 제3-A 내지 제3-C도에 나타낸 조작으로 행하여지는데, 먼저 노브(15)를 밀어넘으어 뜨림에 의한 탭(14)의 박리 개시에 이어, 탭(14)를 중심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둥근 모양의 약화선(22)의 부분적 파단과,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19)에서의 라이너(2)의 박리개시가 행하여지고, 라이너의 밀봉용 환상돌기(10),(11) 및 요홈(12)만이 캡셀(1)안에 남는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의 또 다른 구체예를 표시하는 제7도에 있어서, 금속제 용기뚜껑 셀(1)의 내면에는, 상기한 바닥칠 도료층(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칠 도료층(5) 위에는, 산화 폴리에틸렌 혹은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중에 분산시킨 제1피막층(25)가 형성된다. 그 제 1피막층(25)은 박리하여야 할 올레핀계 수지 라이너(2)에 대응하는 셀내 표면의 전면에 걸쳐서(단, 라이너(2)를 강접착시켜야 할 부분(20)을 제외하고) 형성된다. 이 제1피막층(25) 위에 라이너의 노브(1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한 유성수지 등의 분포제어제를 함유하는 마스킹층(21)이 배치되고, 다시 현상표지를 표시하는 인쇄층(6)이 형성된다. 이 제1피막층을 도포하고 소부하면, 도료중에 함유되는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변성 올레핀 수지는, 그 표면에 우선적으로 분포한다.
이어서, 그 위에, 산화 폴리에틸렌 혹은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피막형성성 베이스 수지중에 분산시킨 제2피막층, 즉 접착제층(7)을 도포하고 소부한다. 이 위에 올레핀계 수지의 용융물을 압출하고, 압압성형 하여서 라이너(2)를 형성시킨다.
이 접착구조의 라이너부 용기뚜껑에 있어서는, 제1피막층(25) 및 제2피막층(접착제층)(7)의 표면에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가 우선적으로 분포하는 것과 관련하여서, 제 1피막층(25)과 제 2피막층(접착제층)(7)과의 사이에서는 박리성이 약한 접착이 행하여지고, 제2피막층(접착제층)(7)과 올레핀계 수지 라이너(2)와의 사이에서는 상당히 강고한 접착이 행하여진다. 또, 외주쪽의 약 접착지역(19)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제 2피막층(7)과 바닥칠 도료층(5)와의 계면에는,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가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박리성의 강접착 지역(20)이 형성되고 또한, 라이너의 노브(15)에 대응하는 제 2피막층(접착제층)(7) 부분에서는, 마스킹층(21)에 의하여 이 피막층(7)의 표면에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가 분포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올레핀계 수지 라이너(2)와 층(7)과의 사에 사이에는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성 지역이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서, 이 용기뚜껑 라이너의 박리를 할 때에 노브(15)를 옆으로 쓰러뜨리면, 먼저 라이너(2)와 접착제층(7)과의 사이에서 박리가 생기고, 이어서 노브(15)를 외주쪽의 지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접착제층(7)의 파단, 이어서 접착제층(7)과의 제1피막층(5)과의 사이에서 층간박리가 생기고, 탭(14)의 박리가 행하여 진다.
이어서, 탭(14)를 잡고 라이너 전체를 잡아당기면, 박리하여야 할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층(7)과 층(25)와의 계면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19)에서의 층간 박리 및 접착제층(7)과 층(5)와의 계면의 강접착 지역(20)에서의 박리 내지 파단을 통하여, 라이너 전체의 박리가 행하여 진다. 인쇄층(6)은 제2의 피막층(접착제층)(7)과 함께 라이너 쪽으로 옮겨진다.
제7도와 같이 제1피막층(옷칠층)을 일부 결여시킨 형태로 형성하고, 제 2피막층(접착제층)을 연속시킨 형태로 형성하는 대신에, 제8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피막층(옷칠층)을 연속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피막층(접착제층)(7)은 강접착 지역(2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결여되어 있고, 라이너(2)를 구성하는 올레핀 수지가, 표면 부분에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변성 올레핀 수지가 우선적으로 분포된 제1피막층(25)이 직접 결합하여서 강접착 지역을 형성하고, 한편 제1피막층(25)과 제 2피막층(7)과의 계면에는, 제7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 지역(19)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료중의 산화 폴리에틸렌 내지는 산변성 올레핀 수지를 피막층 표면에 우선적으로 분포시키기 위하여는, 공지의 수단,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062,997호 명세서에 기술된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다.
용기뚜껑 셀의 성형은, 미리 금속소재의 표면에, 바닥칠 도료, 인쇄층 및 접착도료층 등을 형성한 시이트를, 프레스성형, 드로우잉 가공, 아이어닝(ironing)가공 등을 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라이너의 성형은, 올레핀계 수지 혹은 염화비닐 수지 등의 용융된 덩어리를, 셀 내면쪽에 공급하고, 스탬퍼(압형) 등에 의하여 냉각하에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용융된 덩어리를 공급하는 대신에, 냉각된 수지를 셀내면 쪽에 공급하고, 고 자리에서 가열 용융시켜도 된다. 또 염화비닐 수지는 소위 플라스티졸의 형태로 셀내면 쪽에 공급되고, 가열된 압형으로 압압하고, 성형과 동시에 겔화시켜도 된다.
본 발명을 다음 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 0.25mm의 표면처리 강판(도오요오 고오한 회사제품 하이톱
Figure kpo00003
)의 한쪽면(왕관의 외면이 되는면)에 베이스 코우팅층(에폭시 아미노계 도료) 인쇄, 오우버코우팅층(에폭시 에스테르계 도료)을 형성시킨 후, 다른쪽면(왕관의 내면이 되는 면)에 방청용 바닥칠 락카로서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70중량부, 분자량 370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25중량부 및 아미노 수지(부틸화 요소 수지) 5중량부와 유기용제로 된 도료를 경화 건조후의 두께가 3μ이 되도록 로울코우팅한 후, 19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이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위에 마스킹층으로서, 아마인유변성 알키드 수지 80중량부, 나프텐산 망간 2중량부, 알루미나 30중량부 및 케로신 10중량부로서 된 마스킹제 조성물을 동심원형으로 구분된 6개의 영역 ; 직경이 25mm에서 20mm까지의 영역(이후, 제1영역이라 한다), 20mm에서 15mm까지의 영역(이후, 제 2영역이라 한다), 15mm에서 10mm까지의 영역(이후, 제3영역이라 한다), 10mm에서 5mm까지의 영역(이후, 제4영역이라한다) 및 5mm에서 2mm까지의 영역(이후, 제5영역이라한다) 및 직경 2mm의 원형 영역(이후, 제6영역이라 한다)의 각각에 두께 2μ이 되도록 망점형으로 도포(인접하는 망점의 중심간 거리가 0.5mm이고, 망점형으로 도포된 영역 전체에 대한 도포면적의 비로서 표시되는 각종 마스킹 농도로 도포) 또는, 전면에 도포하고, 표 1에 표시한 각종 형태의 마스킹층을 형성시켰다.
다음에, 이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및 마스킹층 위에 프라이머층으로서 P-크레졸 1.0몰, 포름 알데히드 1.2몰 및 암모니아 0.2몰을 반응시켜서 제조한 페놀수지 40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셀 가가꾸회사제, 에피코트
Figure kpo00004
1007) 60중량부,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결정화도 74.9%, 변성량 30.5meq/100g) 8중량부 및 유기용제(메틸 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키실렌의 혼합용제)로 되고 전체 고형분이 30중량%인 프라이머 도표를,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6μ이 되도록 로울코우팅한 후, 190℃에서 10분간 가열을 행하였다.
이 도장판을 프라이머층의 면이 왕관의 안쪽으로 되고 또한,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마스킹층의 중심과 왕관의 중심이 동일하게 되도록 왕관성형용 프레스로 성형하고, 내면에 각종 형태의 마스킹층을 가지는 왕관셀(내경 26mm)을 만들었다. 이 왕관 셀의 예비 가열된 상태의 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멜트 인덱스 7, 밀도 0.92)을 직경 5mm 익노즐을 가지는 직경 40mm의 압출기에서 압출시킨 용융물을 노즐 선단부에서 절단칼로 약 250mg 잘라내어, 즉시 냉각된 펀치로 펀칭하여서, 외경이 24mm이고, 또한, 직경 24mm의 곳으로부터 19mm의 곳까지에 밀봉용의 연속된 산형(山形) 환상돌기(높이 1.5mm)를 2개 가지고, 2개의 환상돌기의 사이(골짜기)의 두께가 0.3mm이고, 직경 19mm로부터 안쪽은 0.2mm 두께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고, 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중앙부에서 안쪽 환상돌기에 연결되도록 약화선(폭 0.5mm, 두께 0.01mm)으로 구획된 1개의 탭(두께가 얇은 부분과 중심을 같이 하는 절두 원추형의 노브(저면 직경 3mm, 높이 4mm, 상면 직경 2mm)를 가지고, 이 노브의 저면 외주위에서 접선을 안쪽 환상 돌기의 안쪽 원주위의 6mm의 간격의 양단에 연장시킨 것 같이 형성되어 있다)를 가지고, 다시 이 약화선의 양쪽에는 폭 0.5mm, 높이 1mm의 보강리브를 가지는 형상의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라이닝한 왕관을 만들었다.
[표 1]
Figure kpo00005
(주) 마스킹층의(%)는 마스킹 농도를 표시하며, 0%는 마스킹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또 100%는 전면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은 매우양호, ○는 양호, △는 보통, ×는 불량을 의미한다.
이들 왕관에 대하여, 생산성(편칭 작업시의 이상 유무), 라이너 접착 유지성(실온 방치 1개월 후의 홉퍼링에 의한 라이너 탈락의 유무), 밀봉성(JIS-S-9017의 지속 내압시험) 및 라이너 박리성(유리병에 뚜껑을 씌운 후, 뚜껑을 딴 왕관에서 라이너의 박리 난이도)에 대하여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왕관(시료 6 내지 13)은 어느 것이나 라이너의 최외주부가 약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안쪽이 강접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끝으로 노브를 쓸어뜨려서 탭을 잡고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하여 라이너 전체를 왕관 셀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었으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왕관(시료 1내지 5)은 라이너의 최외주부가 강접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왕관 셀로부터 라이너 전체를 박리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또,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로 약 접착시켰을 경우에는 밀봉성이 불완전하게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얻어진 두께 0.25mm의 표면처리 강판 위에 형성된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위에 제1피막층으로서, 에폭시 수지(에피코트
Figure kpo00006
1007) 70중량부, 페놀 수지(히다찌 가세이 회사제 히다놀
Figure kpo00007
#2080) 20중량부, 산화 폴리 에틸렌(밀도 1.0, 연화점 135℃, 전(全) 산소농도 4.3%) 10중량부 및 유기용제(키실렌, 부틸셀로솔브 동량 혼합용제)로 된 도표 조성물(전체 고형분 30중량 %)을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5μ이 되도록 직경 26mm의 원형 부분에 도포(단, 직경 26mm의 원형 부분의 중심에서 반경 10mm의 원주위에 같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직경 1mm의 3개의 원형부분은 도포하지 않는다)한 후, 20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에, 이 제1피막층 위의 중심부의 직경 6mm의 원형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현상 마아크로서 로진 변성 알키드 수지(비히클), 프탈로시아닌 블루(안료), 염화망간(드라이어) 및 케토신(용제)로서 된 금속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도안을 인쇄하고, 150℃, 10분의 가열을 행한 후 마스킹층으로서, 상기 제1피막층과 중심을 같이 하는 직경 5mm의 원형부분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마스킹제 조성물을 두께 3μ이 되도록 도포하였다. 또한, 이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제1피막층, 현상 마아크 및 마스킹층 위에 제 2피막층으로서, 상기 제1피막층과 동일한 도료 조성물을, 경화전조 후의 두께가 2μ이 되도록 전면에 로울코우팅한 후, 200℃, 10분의 가열을 행하고 양면인쇄 도장판을 만들었다.
이 인쇄 도장판을 현상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제1피막층의 원주부가 왕관내면의 주연부와 일치되도록 왕관 성형용 프레스에 의해 왕관 셀(내경 26mm)로 성형시켰다. 이 왕관 셀의 내면에 이 현상 마아크가 투시되지 않을 정도로 산화 티탄과 카아본 블랙으로 착색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멜트 인덱스 3.5, 밀도 0.92)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압출 편칭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한 결과, 라이너의 중심부에 있는 노브의 하부에는 마스킹층이 있는 것에 의해서, 라이너와 제 2피막층이 약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를 용이하게 벗겨 올릴 수가 있고, 다시, 노브를 잡고 탭을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해서, 마스킹층이 없는 부분에서는 라이너와 제 2피막층 및 제 2피막층과 현상 마아크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한 제1피막층과 제 2피막층 및 현상 마아크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었다. 또, 제1피막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3개의 원형부분에서는 라이너와 제 2피막층 및 제 2피막층과 방청용 바닥칠이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었으나, 접착면적이 작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 2피막층과 라이너의 접착계면을 파괴시킬 수가 있고,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킬 수가 있었다. 박리시킨 라이너의 안쪽에는 현상 마아크가 전이되어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얻어진 두께 0.25mm의 표면처리 강판 위에 형성된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위에 제1피막층으로서, 상기 실시예 2의 제1피막층으로서 사용한 도료조성물을,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5μ이 되도록 전면에 로울코우팅한 후,20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이 제1피막층 위의 링 모양 영역(외경 9mm, 내경 6mm)에 현상 마아크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도안을 인쇄하고, 15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에, 이 제1피막층 위의 상기 링 모양 영역과 중심을 같이하는 직경 5mm의 원형부분에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마스킹 제조성물을 두께 3μ이 되도록 도포하였다. 또한, 이 제1피막층, 현상마아크 및 마스킹층 위에 마스킹층과 중심을 같이하는 직경 26mm의 원형부분(단, 직경 26mm의 원형부분의 중심에서 반경 10mm의 원주위에 같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3개의 직경 1mm의 원형부분을 제외한다)에 제 2피막층으로서, 상기 제1피막층으로서 사용한 도료 조성물을 경화전조 후의 두께가 2μ이 되도록 도포한 후 200℃, 10분의 가열을 행하고 양면 인쇄 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 도장판을 현상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제 2피막층의 원주부가 왕관 내면의 주연부와 일치하도록 왕관 성형용 프레스에 의해 왕관 셀(내경 26mm)로 성형시켰다. 이 왕관 셀의 내면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서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지는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라이너의 중심부에 있는 노브의 하부에는 마스킹층이 있는 것에 의해서, 라이너와 제 2피막층이 약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를 용이하게 벗겨올릴 수가 있고, 다시, 노브를 잡고 탭을 당겨 올리는 것에 의하여 마스킹층이 없는 부분에서는 라이너와 제 2피막층 및 제 2피막층과 현상 마아크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한 제1피막층과 제 2피막층 및 현상 마아크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었다. 또, 제 2피막층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3개의 원형부분에서는 라이너와 제1피막층 및 제1피막층과 방청용 바닥칠이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었으나, 접착면적이 작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1피막층과 라이너의 접착계면을 파괴시킬 수가 있고,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킬 수가 있었다.
박리시킨 라이너의 안쪽에는 현상 마아크가 전이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두께 0.25mm의 표면처리 강판위에 성형된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및 제1피막층 위에 현상 마아크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서 마스킹층 및 제 2피막층을 형성시켰다. 이 제 2피막층 위의 제1피막층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또한 마스킹층에 대응하지 않은 부분에 현상 마아크로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문자를인쇄하고, 170℃, 10분의 가열을 행하고 양면 안쇄 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 도장판을 현상 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고, 원형으로 형성한 제1피막층의 원주가 왕관 내면의 주연부와 일치하도록 왕관 셀(내경 26mm)로 성형시켰다. 이 왕관 셀의 내면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왕관에서 라이너를 용이하게 박리시킬수가 있었다. 또 박리시킨 라이너의 안쪽에는 현상 마아크가 전이되어 있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얻어진 상기 실시예 1의 시료 No.12와 같은 도료층 구성의 도장판의 프라이머층 위에 마스킹층에 대응하는 부분에 현상 마아크로서 상기 실시예 2의 현상 마아크 인쇄용으로서 사용한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문자를 인쇄하고, 170℃, 10분의 아열을 행하여 양면 인쇄 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 도장판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현상 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도록 왕관 셀로 성형시킨 후, 이 왕관 셀의 내면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서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용이하게 라이너를 박리시킬 수 있고, 불투명 라이너에 의하여 숨겨져 있던 왕관 셀 내면의 현상 마아크를 읽을 수가 있었다.
[실시예 6]
두께 0.27mm의 양철판의 한쪽 면에 현상 마아크를 인체하여 건조시킨 뒤에, 마스킹층으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마스킹제 조성물을 사용하여서 상기 실시예 1의 시료 No.12와 동일한 형태의 마스킹층을 형성시켰다. 다음에, 이 현상 마아크 및 마스킹층 위에 프라이더층으로서, 상기 실시예 1의 프라이머층으로서 사용한 프라이머 도료를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6μ이 되도록 로울코우팅한 후, 200℃, 10분의 가열을 행하여 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도장판을 현상 마아크 인쇄면이 안쪽으로 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마스킹층의 중심과 왕관의 중심이 동일하게 되도록 왕관 셀로 성형시킨 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서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왕관에서 라이너를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고, 불투명 라이너에 의하여 숨겨졌든 왕관 셀 내면의 현상 마아크를 볼 수가 있었다.
[실시예 7]
두께 0.3mm의 표면처리 장판 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형성시킨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위에 현상 마아크로서 콩기름 변성 알키드 수지 60중량부, 나프텐산 망간 2중량부, 알루미나 5중량부 및 케로신 12중량부로서 된 베이스 수지 용액에 안료로서, 프탈로시아닌 블루(청색) 패널(Fanal) 칼라(분홍색) 및 벤진옐로우(황색)을 따로따로 25중량부식 배합하여서 제조한 3종류의 인쇄잉크를 사용하여서 프로세스 평판(선수 : 150선/안치의 망판사용)에 의하여 직경 25mm의 원형범위에 잉크가 대략 전면에 존재하도록한 도안을 옵셋 인쇄하고, 15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에, 이 현상 마아크 위에 마스킹층으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마스킹제 조성물을 현상 마아크와 중심을 같이하는 동심 원형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망점형으로, 마스킹 농도가 제1영역은 20%, 제2영역은 10%, 제3, 제4 및 제5영역은 20%, 제6영역은 5%가 되도록 마스킹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 방청용 바닥칠 락카층, 현상 마아크 및 마스킹층 위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프라이머 도료를,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6μ이 되도록 로울 코우팅한 후, 200℃, 10분의 가열을 행하고 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 도장판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서, 현상 마아크가 안쪽으로 되도록 성형된 왕관 셀의 내면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서 불투명한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가진 왕관을 만들었다. 이 왕관에서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손으로 라이너를 박리시킬 수가 있고, 불투명 라이너로서 숨겨져 있든 현상 도안을 볼 수 있었다. 이 왕관은 마스킹제 조성물이 변성 폴리에틸렌에 대한 분포제어제로서 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마스킹층이 존재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프라이머층 표면의 폴리에틸렌 라이너에 대한 접착력을 약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생잉크의 층도 변성 폴리에틸렌에 대한 분포제어제로서 작용하고(마스킹제 조성물보다 분포제어 효과는 적다)있기 때문에, 왕관 셀내 표면에 있어서의 변성 폴리에틸렌의 분포 상태가 세밀하게 조정되어 있다.
이것은 박리시킨 라이너의 안쪽에 하얗게 전이되어 있는 변성 폴리에틸렌을 볼 수 있는 것으로도 확인할수 있었다.
[실시예 8]
미리 한쪽면에 도장(비닐계 도료)을 한 두께 0.25mm의 알루미늄판의 다른 면(도장되어 있지 않은 면)에 금속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직경 30mm의 영역안에 현상의 방법을 설명하는 문자를 인쇄한 위에, 염화비닐 라이너 접착도료층으로서 실시예 1에서 방청용 바닥칠 락카를 사용한 도료를, 경화건조 후의 두께가 5μ이 되도록 전면에 로울 코우팅하고, 19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에, 이 라이너 접착도료층 위의 상기 인쇄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심원형으로 마스층으로서 직경이 30mm에서 23mm까지, 21mm에서 8mm까지 및 6mm에서 2mm까지의 영역에는 전면에 또, 직경이 23mm에서 21mm까지 및 8mm에서 6mm까지의 영역과 직경 2mm의 안쪽에는 망점형(선수 ; 120선/인치, 마스킹농도 ; 80%)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마스킹제 조성물을 두께 3μ이 되도록 도포한 후, 150℃, 10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시, 이 마스킹층 위에, 에멀죤 타입의 염화비닐 수지 50중량부, 에폭시화 콩기름 45중량부, 로진에스테르 15중량부 및 프탈로시아닌 블루 20중량부로서 된 잉크를 사용하여 현상 마아크를 인쇄한 후, 150℃, 5분의 가열을 행하고 2개의 인쇄층을 가지는 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도장판을 인쇄면이 내면으로 되고 인쇄부의 중심과 캡의 정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원통형으로 뚫어낸 다음, 절취선 구멍 형성가공을 하고, 내경이 38mm, 높이가 30mm의 로울-온 타입필퍼 프루우프(pilfer-proof) 캡셀을 만들었다.
이 캡셀의 내면에 라이너재로서 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 푸탈산디옥틸 80중량부 및 카아본 블랙 5중량부로서 된 졸조성물을 가열 압형 성형시켜서, 외경이 35mm이고, 또한, 직경 35mm에서 30mm까지의 곳에 밀봉용의 환상돌기(높이 2mm)를 가지고, 이 환상돌기의 안쪽에 제 1약화선(폭 1mm, 두께 0.005mm)을 사이에 두고 폭 3mm, 높이 1mm의 환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있고, 이 환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안쪽은 두께 0.3mm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고 이 두께가 얇은 부분의 중앙부에서 환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안쪽으로 연결되도록 제 2약화선(폭 1mm, 두께 0.01mm)으로 구획된 1개의 탭(두께가 얇은 부분과 중심을 같이하는 직경 4mm, 높이 5mm의 원주형 노브를 잡고, 이 노브의 원주 위에서 접선을 환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안쪽 원주 위의 7mm의 간격의 양단으로 연장시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를 가지고, 또한, 이 탭은 제 2약화선의 안쪽이 폭 1mm, 높이 2mm의 리브에 의해서 보강되어 있는 형상의 불투명한 염화비닐 라이너를 가진 캡을 작성하였다.
이 캡을 가스가 들어있는 음료(15℃에서 4kg/c㎡의 가스압력을 나타낸다)를 충전시킨 유리병에 로울-온 밀폐시켜 뚜껑을 하였다가 뚜껑을 열었다. 이 연 것에 의하여 제 2약화선의 일부가 절단되고, 이 노브를 쥐고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서 제 2약화선이 전부 절단되고 이어서 탭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하여 제 1 약화선이 절단되고, 밀봉용 환상돌기를 남기고 제 1약화선의 내측만 떨어졌다.
박리시킨 라이너 편의 안쪽에는 현상 마아크가 전이되어 있고, 라이너편을 제거시킨 캡셀의 내면에는 현상 방법이 표시되어 있었다. 또, 캡셀의 내면에는 라이너의 밀봉용 환상돌기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었다.

Claims (1)

  1. 용기 뚜껑셀(1)과, 그 셀내에서의 올레핀계 수지의 압압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비교적 두께가 얇은 중앙부분(8)과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을 구비하고, 그 중앙부분(8)에는 완전 절단선 내지는 파단 가능한 구획선(13)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고 또한 두께가 두꺼운 외주부분(9)에 연결된 박리용 탭(14)이 일체로 설치된 박리 가능한 라이너(2)를 구비한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고 라이너 최외주부에 대응하는 비접착 내지 약접착 지역(19)과 라이너 중앙부에 대응하는 비교적 강한 강접착 지역(20)을 가지는 적어도 1개의 접착제층(7)이 셀(1)과 라이너(2)를 박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층 내의 산화 폴리에틸렌이나 산변성 올레핀 수지의 분포를 제어하는 제어제를 함유하는 마스킹층(21)이 상기 접착제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KR7903276A 1979-09-21 1979-09-21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KR840002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276A KR840002212B1 (ko) 1979-09-21 1979-09-21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276A KR840002212B1 (ko) 1979-09-21 1979-09-21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212B1 true KR840002212B1 (ko) 1984-12-03

Family

ID=1921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276A KR840002212B1 (ko) 1979-09-21 1979-09-21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2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580A (en) Container cover with peelable liner
USRE30573E (en) Crown closure
CA1108973A (en) Peelable bonded struct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EP2008938B1 (en) Can container with screw
US3361281A (en) Closures having removable liners and transferable indicia printed with plastisol ink
FI71752C (fi) Avrivbar bunden skiktstruktur och dess framstaellning.
KR920007804B1 (ko) 스코어 절단 단연이 보호될 수 있는 개봉이 용이한 뚜껑 및 그 제조법
US4372457A (en) Closure cap having prize markings and peelable liner
KR840002212B1 (ko)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US4395446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KR820000195B1 (ko) 왕 관
JPS5926538B2 (ja) 容器蓋
KR830000422B1 (ko)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JPH0555391B2 (ko)
KR20220152388A (ko) 금속제 캡 및 그 제조 방법
KR850000830Y1 (ko)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JPS6222867B2 (ko)
JPH0431252A (ja) 型押成形されたライナーを備えた容器蓋
JPH0339906B2 (ko)
JPS5813419B2 (ja) 懸賞用蓋体
JPS6246421B2 (ko)
JPS5926540B2 (ja) 王冠
JPH03124566A (ja) 金属製イージイオープン蓋
JPH02219756A (ja) 懸賞用樹脂キャ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