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288B1 -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288B1
KR810001288B1 KR7600362A KR760000362A KR810001288B1 KR 810001288 B1 KR810001288 B1 KR 810001288B1 KR 7600362 A KR7600362 A KR 7600362A KR 760000362 A KR760000362 A KR 760000362A KR 810001288 B1 KR810001288 B1 KR 81000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acuum
polarizing plate
crystal display
elem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데 오오쓰
게이지 야지마
아기오 마루야마
하찌야스 마쓰바야시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아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아사구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60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제1도는 액정 표시소자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평광판 혹은 반사판을 소자 본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제3도와 제4도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혹은 반사판을 소자 본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에서 편광판 또는 반사판을 부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소자는 소자본체의 외면에 편광판 또는 반사판을 부착시킨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계효과형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제1도에 표시된 예에서와 같이 소자본체(1)의 상면및 하면에 상편광판(2) 및 하편광판(3)이 각각의 편광축이 서로 대략 직교하는 상태에서, 접착제 혹은 점착제를 사용해서 부착되어 있다.
투과형(鬪過形)의 전계효과형 액정 표시소자의 구조는 이와 같지만, 반사형의 전계효과형 액정 표시소자에서는, 하편광판(3)의 하축에 다시 반사판(4)이 반사면을 소자본체(1)의 방향을 향해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자본체(1)의 세부구조는, 투명한 상부 전극기판(5)과 투명한 하부전극기판(6)이, 각각의 전극기판의 대향면에 숫자, 문자 혹은 기호 등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투명전극(도시생략)을 가지고, 간격 약 8∼10 미크론의 공간을 유지하도록하여서 봉착유리(7),(7a)로서 봉착된다.
상기한 공간내에는 액정(8)이 빈틈없이 충전된 구조를 하고 있다.
또 동적산란형(動的散亂形) 액정 표시소자에 있어서는, 제1도의 상편광판(2) 및 하편광판(3)이 취부되지 않는 구조로되고, 그 반사형의 것에 대해서만 소자본체(1)의 하측에 반사판(4)이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많은 액정 표시소자는, 편광판 혹은 반사판을 소자본체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이러한 편광판 혹은 반사판을 부착시키는 방법은, 제2도에 표시한 예에서와 같이, 소자본체(1)를 위치 결정판(11)에 취부한것과,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한 편광판(2)을 지지한 테이프(12)를, 상부 로울러(13)와 하부로울러(14) 사이에 끼우고 가압하면서 서로 부착시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방법은 일반적으로 대기중에서 실행되고, 시트상으로 된 것끼리를 라이네이트하는 기술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을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시켰을 때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생긴다.
(1) 소자본체(1)는 확대해서 표시하였을 경우 제1도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로울러(13) 및 (14)의 가압력을 높이면 제2도의 (1a)의 곳에서 파손된다.
(2) 상기한 (1)항의 이유로 인하여 로울러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였을 경우, 편광판(2)에 도포된 접착제 또는 점착제와 소자본체(1) 사이에 기포(氣泡)가 발생되어 액정 표시소자의 표시면의 품위를 현저하게 손상시킨다.
(3) 상기한 (2)항에서, 기포의 발생을 극히 적게할 수 있었다고 하드라도, 기온 또는 장치의 온도상승에 수반해서 기포가 팽창하여 표시품위를 손상시킬 정도의 크기로 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면에 박리가 생긴다.
(4) 또 기포를 볼 수 없는 상태로 부착이 실행되었다고 하드라도, 접착제 또는 점착제중에 흡입된 가스가 기온의 상승과 동시에 기포로 되어 상기한(2), (3)과 동일한 결과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이 전혀 생기지 않고 표시품위가 우수한 새로운 편광판 혹은 반사판의 부착방법을 실시한 액정 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중에서 편광판 혹은 반사판을 소자본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은, 상술한 제2도에 표시한 종래의 편광판 혹은 반사판의 부착방법을, 진공실내에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로울러 사이의 가압력이 낮아져도, 편광판 혹은 반사판과 소자본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는 일없이 부착이 되기 때문에, 표시품위가 양호한 액정 표시소자를 얻을 수가 있다. 다만 여기에서 말하는 진공이란, 약 1/10 기압이하의 경우를 말하며, 그 필요로하는 정도는 접착제 혹은 점착제의 상태, 기타에 의해서 달라진다. 또 이 진공의 뜻은 이하에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2는 제3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소자전체(1)를 진공용기(21)내에 설치된 위치결정판(22)에 취부하고, 한편 편광판(2)을 용기(21)내에 설치된 압하(押下) 가압기구(도시생략)를 가진 플랜저(23)를 취부한다. 이와 같이 배설한 후 진공용기(21) 내를 진공펌프(24)에 의하여 진공으로 하고, 잠시 동안 진공을 유지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 소자본체(1)와 편광판(2)을 가열(가열장치는 도시생략)하여서 가스를 방출하고, 그후 플랜저(23)를 압하해서 편광판(2)을 소자본체(1)에 가압 접착시킨다. 이때 플랜저(23)와 편광판(2) 사이에 고무(23a)를 설치하면 쿠션작용에 의하여 소자본체(1)를 파손시키지 않고, 또한 편광판(2)과 소자본체(1)를 양호한 상태로 믹착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제3은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소자본체(1)를 소자 호울더(31)에 취부하고, 미리 접착제를 도포한 편광판(2)을, 소자본체(1)에 접촉되지 않도록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가뇨성 지지시이트(32)에 점착제를 소자본체축을 향해서 취부한 것을 진공용기(33)속에 넣은 후, 뚜껑(34)을 닫는다. 이때 뚜껑(34)과 진공용기(33) 사이에는 고무시이트(35)를 삽입하고, 고무 시이트(35)로서 격리된 공간(34a)과 진공용기(33)의 내부와는 각각 독립된 기밀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후에 밸브(36) 및 밸브(37)를 열고 밸브(38)를 닫은 다음 진공펌프(39)에 의하여 진공용기(33)내와 뚜껑(34)내의 공간(34a)을 동시에 혹은 공간(34a)이 얼마간 빠르게 진공이 되도록 배기한후, 약간의 시간동안 진공을 유지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 소자본체(1) 및 편광판(2)을 가열하여(가열장치는 도시생략) 탈가스를 한다. 그후 밸브(36)를 닫고, 그리고 밸브(38)를 열어서 공간(34a)에 공기를 도입하면, 공간(34a)과 진공용기(33)내의 압력차에 의해서 고무시이트(35)는 하방으로 압하되고, 그것에 의해서 가뇨성 지지시이트(42)에 취부된 편광판(2)이 소자본체(1)의 면에 가압밀착되어서 부착이 완료된다.
실시예 제4는, 제3실시예의 응용이 되지만,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소자본체(1)를 소자호울더(31)에 취부하고, 미리 점착제를 도포한 편광판(2)을 소자본체(1)에 접촉되지 않도록 약간 간격을 두고 가뇨성의 지지시이트(32)에 점착제를 소자본체측을 향해서 취부한 것을, 고무 혹은 폴리에틸렌 등의 기밀성을 가지는 주머니(41)에 넣어서 진공용기(42)의 내부에 놓는다. 그리고 진공펌프(43)에 의하여 배기해서 진공용기(42)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고, 약간 시간이 지난후, 진공용기내의 가동자(44)(가동기구는 도시생략)를 내려서 고정자(45)와의 사이에 주머니(41)의 개구부를 끼워서 주머니의 안팎을 기밀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밸브(46)을 폐쇄하고 밸브(47)를 열어서 외부의 공기를 진공용기 내부로 도입하면, 주머니(41)의 내부의 진공과의 압력차에 의해서 주머니(41)는 압축되고, 그것에 의해서 편광판(2)을 소자본체(1)에 진공중에서 가압 접착시킬수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편광판(2)을 소자본체(3)에 부착시킬 경우를 주로 진술하였으나, 편광판(3)을 소자본체(1)에 부착시킬 경우 혹은 반사판(4)을 편광판(3)에 또는 소자본체(1)에 직접부착시킬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편광판 혹은 반사판에 점착제를 도포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진술하였으나, 소자본체측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도포해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를 간추려서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1) 진공중에서 편광판 혹은 반사판의 부착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소자본체와 편광판 혹은 반사판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게 되는 일이 전혀 없다.
(2) 공기가 들어가는것을 적게하기 위한 큰 가압력을 필요로하지 않고 그것 때문에 소자본체에 파손이 생기게하는 일이 없다.
(3) 진공중에서 접착제 혹은 점착제중에 흡입되어 있는 가스가 제거되기 때문에, 본 제조방법으로 부착된 편광판 혹은 반사판은 보통 생각되는 상용온도(약 80℃ 이하)에서는 소자본체에서 박리되는 일이없고 또 부착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서, 극히 표시품질이 양호한 액정표시소자를 얻을수가 있다.

Claims (1)

  1. 상부전극기판(5)과 하부전극기판(6) 사이에 끼워진 액정(8)을 가지고, 상기한 상부전극기판과 상기한 하부전극기판의 각각의 대향면에 편광판(2)(3) 및 반사판(4) 또는 그 어느한쪽을 부착시킨 액정 표시소자 본체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편광판 (2)(3) 또는 반사판 (4) 및 소자본체(1)를 약 1/10 기압이하의 진공중에서 탈가스한후, 이 편광판 또는 반사판과 소자본체를 이 진공중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 진공과 진공바깥과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편광판(2)(3) 또는 반사판(4)을 소자본체(1)에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KR7600362A 1976-02-13 1976-02-13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KR81000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362A KR810001288B1 (ko) 1976-02-13 1976-02-13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362A KR810001288B1 (ko) 1976-02-13 1976-02-13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288B1 true KR810001288B1 (ko) 1981-10-10

Family

ID=1920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362A KR810001288B1 (ko) 1976-02-13 1976-02-13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28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95230A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26612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103181A1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模组、电视机
JPH10233430A (ja) 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US6361389B1 (en) Substrate coupling method
CN104793399B (zh)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S57188018A (en) Production of display element
KR810001288B1 (ko) 액정 표시소자 제조방법
JP2005135931A (ja) テープ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US200702351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substrate
CN112571892A (zh) 层叠玻璃板以及层叠玻璃板的制造方法
JP3926231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S5917532A (ja) 貼付方法
JPH05286742A (ja) 合せガラスの接着方法
JP2003131211A (ja) シートフィルムの接着方法及びそのシートフィルム接着装置
JP200315674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JP3150023B2 (ja) 液晶セルのギャップ出し装置
JPS6456414A (en)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S57101815A (en) Production of display elemet
JPS61129623A (ja) 液晶表示素子と透明板の接着方法
JP7417246B2 (ja) 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CN113838878A (zh) 一种闪烁屏耦合方法
JPS5917533A (ja) 液晶パネル
US3986035A (en) Vacuum film holder for X-ray films and intensifying foils
JPS5834431A (ja) 電気光学素子の製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