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157Y1 - 관용계수(管用繼手) - Google Patents

관용계수(管用繼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157Y1
KR810000157Y1 KR7907667U KR790007667U KR810000157Y1 KR 810000157 Y1 KR810000157 Y1 KR 810000157Y1 KR 7907667 U KR7907667 U KR 7907667U KR 790007667 U KR790007667 U KR 790007667U KR 810000157 Y1 KR810000157 Y1 KR 810000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tal
heat insulation
coefficient
me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7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무라가미
오사무 오오니시
야스오 미소하다
요시구니 쓰다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우
구보다뎃고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우, 구보다뎃고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우
Priority to KR7907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radially expanding the inner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용계수(管用繼手)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계수의 일부 종단측면도
제2a도 및 (b)도는 본 고안 계수의 확경전(擴徑前) 및 확경후(擴徑後)의 상태를 표시한 일부 종단측면도.
제2c도는 본 고안 계수를 삽착한 금속관 단부의 접속을 표시한 종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래의 단열관 접속부를 표시한 종단면도.
본 고안은 관용 계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관의 접속에 유용한 것이다.
난냉방(暖冷房)용 배관으로서 두께가 얇은 금속파이프(예를들면, 스테인레스파이프)에 단열층(예를들면, 경질 발포염화비닐층)을 피복(被覆)한 단열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단열관의 접속부로서는, 제3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서로 접속되는 단열관 단부(단열관은 T로 표시함)의 단열층 I을 제거하여 금속파이프 M를 돌출시키고, 이들 돌출금속파이프 M´, M˝를 맞대어 용접하는(부호 J로 표시함) 것, 혹은 제3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쪽의 돌출금속파이프 M´의 내경을 확경(擴徑)하고, 이것에 다른쪽의 돌출금속파이프 M˝를 삽입한 다음 용접하는(부호 J´로 표시함)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접속부는 어느 것이나, 단열관 단부에 있어서 단열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 작업이 매우 귀찮다는 난점이 있다.
즉, 단열관에 있어서, 그 금속파이프내에 유통되는 열매(熱媒), 예를들면 온수, 증기 등의 가열매체 혹은 플래온가스 등의 냉각매체 때문에, 가열 혹은 냉각되나, 금속파이프와 단열층과의 열팽창계수가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금속파이프와 단열층과의 계면(界面)에 큰 응력이 작용하는 것은 피할수 없으며, 이 때문에 단열관의 절단단부에 있어서 금속파이프가 신축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금속파이프와 단열층과의 사이는 접착제 등에 의해 극히 강고(强固)히 고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열관단부에서의 상기 단열층을 벗기는 것은 매우 귀찮은 작업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접속부에서는 돌출된 금속파이프와 단열관 자체와의 꾸부림 강성(剛性)이 어느 정도 상이하기 때문에, 단열층 단면에 위치하는 금속파이프 개소(箇所)(제3a,b도에 있어서의 P´)에 꾸부림 응력이 집중하기 쉽다는 난점도 있다.
본 고안은 단열과 단부의 금속파이프의 돌출을 시키지 않고, 그 금속파이프를 극히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관용 계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선단부의 외주상에 돌기를 형성한 금속단관의 상기 돌기로부터 사이가 떨어져 있는 개소가, 금속단관 외주상을 따라서 홈모양으로 함몰(陷沒)되어, 더우기 이 함몰홈에는 고무제링이 감착되어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관 단부내에 삽입후, 확경(擴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관용 계수의 일부 종단측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금속단관이며, 중간부가 그 외주를 따라서 광폭구형(廣幅溝形)으로 프레스성형에 의해 함몰(陷沒)(2)되어 있다.
이 금속단관(1)은 후단부의 단(段)이 붙은 개소(11)에서 선단(12)까지의 부분이 후술의 피접속금속파이프내에 삽입되고, 단이 붙은 개소(11)에서 상기 함몰구(2)까지의 부분(1a)은, 함몰구(2)측에 이를수록 약간 소직경의 테이퍼관상(管狀)으로, 함몰구(2)에서 선단(12)까지의 부분(1b)은 테이퍼관부 단부의 외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의 원통관상으로, 각각 성형되어 있다.
(8)은 금속단관 후단을 굴절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4)는 금속단관 선단을 좁혀 성형하므로서 성형된 안쪽방향의 돌출링부이다.
(5)는 안쪽방향 돌출링부(4)의 외주상에 납땜하는 것에 의해 고착된 링상돌기로서,이 돌기(5)의 외경은, 원통관부(1b)의 외경보다는 약간 크게 되어 있다.
(51)은 링상돌기(5)의 외주상에 각설(刻設)된 요철치(凹凸齒)이다. (6)은 함몰구(2)에 장착된 단면이 편평한 고무제링이며, 그 두께는 홈(2)의 깊이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상기의 계수에 의해 단열관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먼저 제2a도에 표시함과 같이 계수 J를 그 단이 붙은 개소(11)가 단열관 절단단부(단열관은 T로 표시함)의 금속파이프단부(금속파이프는 M로 표시하고, I는 단열층이다)에 당접(當接)할때까지 금속파이프 M내에 삽입한다.
계수 J의 테이퍼관부(1a)의 후단부는 금속파이프 M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있으므로, 계수 J는 테이퍼관(1a)의 후단부에 있어서 금속파이프 M에 안정하게 감합지지 된다.
이어서, 적용되는 확경구(擴徑具)를 계수 J내에 삽입하여, 제2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수 J의 함몰구(2)보다도 전방의 부분, 즉 원통부(1b)와 안쪽방향 돌출 링부(4)의 내경을 확경하여, 링상돌기(5)를 금속관 M내면에 몰려들어가게함과 동시에 원통부(1b) 외면을 금속관 M내면에 압접시킨다.
이 원통부(1b)의 확경과 동시에, 고무제링(6)도 금속관 M내면에 압접된다.
물론, 함몰구(2)의 내주면을 포함하여 확경할 수도 있고, 이 확경은 제2b도에서의 확경과 동시에, 혹은 제2b도에서의 확경후의 어느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여, 한쪽의 단열관 단부내에 계수를 장착한 후는, 동일하게 계수를 장착한 다른쪽의 단열관에, 제2c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수 J의 플랜지부(3)에 있어서, 예를들면 미리 삽입된 캡너트(7)와 괘지구(8) 및 패킹(9)에 의해 접속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계수는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단열관의 절단 단부에 삽입된 후에, 확경에 의해 링상돌기가 단열관의 금속파이프 내면에 몰려 들어가게 되어서, 단열관 단부내에 강하게 고착되는 것이다.
확경시에는 고무제링도 압축되고 그 결과, 고무제링 근처의 금속파이프도 제2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팽출되지만, 링상돌기와 고무제링과는 충분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고무제링에 의한 금속파이프의 팽출이 링상돌기의 근처에까지 미친다고 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링상돌기에 연결된 금속파이프의 팽출단면(段面)의 급준성(急竣性)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계수는 금속파이프 내면에 강하게 고착된다.
또 계수가 외력을 받아서 휘어지는 일이 있어도, 고무제링이 편평한 면형상으로 되어, 금속파이프 내면에 충분한 폭으로 접촉되어 잇으므로, 수밀성(水密性)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계수는 단열관 단부내에 기계적으로 강하게, 더우기 충분히 수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므로 단열관 절단후 금속파이프의 돌출은 불필요하고, 단열층의 귀찮은 박리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기타 본 고안의 관용계수는, 금속관 단관에, 함몰구, 직경방향 링상돌부 및 플랜지를 프레스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며, 제조도 예를들면 주형품(鑄造品) 등에 비교하여 한층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금속단관(1)의 외주위에 돌기(5)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5)에서 사이가 떨어진 곳이, 금속단관(1) 외주를 따라서 홈모양으로 함몰(陷沒)되고 더우기 이 함몰구(2)에는 고무제링(6)이 감착되어서 이루어지며 관의 단부내에 삽입후 확경(擴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용계수.
KR7907667U 1979-12-20 1979-12-20 관용계수(管用繼手) KR810000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7667U KR810000157Y1 (ko) 1979-12-20 1979-12-20 관용계수(管用繼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7667U KR810000157Y1 (ko) 1979-12-20 1979-12-20 관용계수(管用繼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4015 Division 1974-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157Y1 true KR810000157Y1 (ko) 1981-02-24

Family

ID=1921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7667U KR810000157Y1 (ko) 1979-12-20 1979-12-20 관용계수(管用繼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1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3097A (en) Method of joining tubes having a corrugated wall of plastic material
KR960029652A (ko) 구동선 슬립 조인트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
JPS6215301B2 (ko)
KR930009045B1 (ko) 라이닝된 흄관 제조방법
KR900002887A (ko) 파이프 단부와 그 상대부재의 납땜방법
KR810000157Y1 (ko) 관용계수(管用繼手)
JP2001141155A (ja) 管継手
US4507922A (en) Thermostatic assembly
US5601776A (en) Method and a mould for forming an expansion, such as a socket, in a pipe, and a plastic pipe
JPH09296881A (ja) 電気絶縁uボルトの電気絶縁管被着方法、並びに、電気絶縁uボルト
JPS569026A (en) Connecting method of pipe
JP3762467B2 (ja) 細径金属管と可撓ホースとの接続構造
JP2608489B2 (ja) 樹脂管取出用継手
JPS605516Y2 (ja) 締付リング
JPH09254271A (ja) 大口径管継手の製造方法
JPH11132383A (ja) 外環状溝付き管の成形方法
JPH0340430Y2 (ko)
JPS6356327A (ja) フイン付管の製法
JPH0446274A (ja) 密封装置の製造方法
JPS63127091A (ja) タンクとパイプの接合方法
JPS62241848A (ja) ガラスパイプに金属リングを固着する方法
JPS6029620B2 (ja) 熱可塑性樹脂管の受口内周面にストツパ−リング係合用溝を形成する方法
JPS63127090A (ja) タンクとパイプの接合方法
JPH1052863A (ja) 金属管のライニング方法
JPH09257164A (ja) 管体の接続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