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333B1 -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333B1
KR800001333B1 KR740002161A KR740002161A KR800001333B1 KR 800001333 B1 KR800001333 B1 KR 800001333B1 KR 740002161 A KR740002161 A KR 740002161A KR 740002161 A KR740002161 A KR 740002161A KR 800001333 B1 KR800001333 B1 KR 80000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water
aluminum silicat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 슈부게르 미란
스몰카 하이츠
만푸레드로스테크
Original Assignee
발테르콜벤바하
헨켈코만디트 겟셀샤후트 아우푸 악틴
귄터쉐느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테르콜벤바하, 헨켈코만디트 겟셀샤후트 아우푸 악틴, 귄터쉐느크 filed Critical 발테르콜벤바하
Priority to KR74000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333B1/ko

Link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주지와 같이, 가정 세탁업 및 공장의 조업에서 사용되는 세정 및 청정제는 여러 가지 다량의 축합인산염 특히 트리폴리인산염(이런 종류의 조성물의 양호한 청정화 작용에 관해 현저한 힘이 있다)을 함유한다. 이런 종류의 조성물인 인산염 함량은 여론에 의하면 환경보호의 문제와 결부되어 비판되고 있다.
이때 물을 통해 하천 및 해양에 도달하는 인산염이 하천의 부영양화(富榮養化) 즉 조류(藻類) 성육의 증대 및 산소 소비의 증대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누누히 주장된다. 따라서, 인산염을 세정 및 청정화 공정 내지 여기에 사용되는 조성물로부터 빼내던가 또는 그 비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물에 불용인 셀루로우즈유도체 특히 포스포릴화하는 목면을 세정 공정에서 물의 연화에 사용하는 것은 이미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공개공보1,617,058호에 공지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제안은 공업적으로 유용한 문제의 해결은 되지 않는다. 그것도 낮은 칼슘결합제가 갖는 셀루로즈 유도체를 예를들며 설포에톡시셀루로즈, 카복시메틸셀루로즈 및 셀루로즈의 호박산에스텔은 전혀 달리 물의 경도성분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현저하게 다량의 포스포릴화는 목면을 가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또 분말상 입상의 세정제 및 청정제에 물 및 알카리성 용액에 불용인 양이온교환작용을 갖는 망상화하는 중합생성물 예를들면 디비닐벤졸과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으로 되는 망상화하하는 중합생성물을 첨가하는 것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개공보 제2,055,423호에서 공지다. 이와같이 물에 불용의 미세한 입자의 형상으로 존재하는 양이온 교환체를 세정수에 첨가하면 이들은 세정할 섬유속에서 분산하여 현저하게 불충분한 세정밖에는 안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입상의 중합생성물을 투과성의 작은 자루속에 넣어서 세정수에 첨가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그렇게 함으로서 보다 세정수와 접촉에 따라서 중합생성물의 작용이 크게 한정된다.
본 발명은 고체의 가공재료 특히 섬유를 물의 경도성분을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욕(浴)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서 이들 가공재료를 세정, 또는 청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무수의 활성물질(Anhy drous active substance) 1g당 적어도 CaO 50mg의 칼슘결합능력이 있고 경우에 따라 결합수를 함유하는 일반식 : (Cat2/nO)x, Me2O3,(SiO2)y〔식중 Cat는 칼슘과 교환가능한 원자가가 거의 양이온을 나타내고, x는 0.7-1.5의 수를 나타내고, Me는 붕소 또는 알미늄을 나타내고, y는 0.8-6 특히 1.3-4의 수를 나타낸다〕의 미세하게 세분된 물에 불용의 화합물을 수성 처리욕중에 현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칼슘 결합능력은 As 1g당 CaO 200mg의 수치에 달하고 일반적으로 As 1g당 CaO 100-200mg의 범위내에 있다. 양이온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나트륨이 적합하다. 그러나, 수소, 리티움, 카리움 암모늄 또는 마그네슘 및 수용성 유기염기의 양이온 예를들면 제1, 제2 또는 제3제아민 또는 알킬기에 C-원자수 최고 2개 또는 알키롤기에 C-원자수 최고 3개를 갖인 알키롤 아민에 의해 대응할 수도 있다.
화합물을 간략화하기 위해 이하 규산알미늄이라고 표시한다. 유리하게 규산알미늄나트륨을 사용한다. 이들 제조 및 사용에 관한 모든 기재는 그대로 본 발명에서 특허청구되는 다른 화합물에 해당한다.
앞서 정의한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간단한 방법으로 예를들면 용성규산염을 수용성알민산염과 물의 존재로 반응시킴으로서 합성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출발물질의 수용액을 서로 혼합하던가 또는 고체상태에 있는 성분을 다른 수용액으로서 존재하는 성분과 반응시킬 수가 있다. 물의 존재로 고체 상태에 있는 두 성분을 혼합하더라도 소망의 규산 알미늄화합물이 얻어진다. Al(OH)3, Al2O3또는 SiO3에서도 알카리 금속규산염 용액 또는 아민산염 용액과 반응시킬 수가 있다. 최후로 이 물질은 용액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필요한 높은 용융온도 및 융액을 미세하게 세분된 생성물로 변환하는 필요성에서 경제적으로는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작용을 갖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은 특별한 침전조건을 엄수하여서만이 형성되고, 다른 경우에는 양이온 교환능력을 갖지않던가 또는 불충분하게 밖에 갖지 않은 생성물이 생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제조는 실험의 부에서 기재되어 있다.
침전에 의해 제조되고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미세하게 세분된 상태로 수성현탁으로 변환된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50-200℃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서 무정형에서 조성한 상태 또는 결정상태로 변환할 수가 있으나 이들 두가지 형상에는 칼슘결합능력의 점에서는 상위가 없다. 이런 상위는 건조조건을 따로하면 규산알미늄화합물 속에 함유되는 알미늄의 양에 비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질 규산알미늄화합물이 본 발명의 목적에는 유리하게 사용된다.
AS 1g당 CaO 100-200mg의 범위내에 있는 칼슘결합능력은 특히 다음의 조성 :
0.7-1.1 Na2O, Al2O3, 1.3-3.3 SiO3의 화합물이다.
이러한 총계 식은 두가지 타입의 결정구조(또는 이들 비결정질의 전 생성물)을 포함하고 이들은 총계식에 있어서도 다른다. 즉,
a) 0.7-1.1 Na2O, Al2O3, 1.3-2.4 SiO3
b) 0.7-1.1 Na2O, Al2O3, 2.4-3.3 SiO3이다.
상위하는 결정구조는 X-선희절도에 도시된다.
이때 확인된 d값은 하기에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할 때 설명한다. 수성 현탁액중에 존재하는 무정형 또는 결정질의 규산알미늄화합물은 여과에 의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하고 예를들면, 50-800℃의 온도로 건조할 수가 있다. 건조 조건에 의해 생성물은 다소의 결합수를 함유한다. 무수의 생성물은 800℃에서 얻어진다.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자 할 때는 800℃로 1시간 가열함으로서 가능하다. 이와같이 하여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AS 함량도 결정된다.
이와 같이 높은 건조온도는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하는 규산알미늄화합물에서는 추천되지 않는다. 유리하기는 400℃이하이다. 예를들면 80-200℃의 아주 낮은 온도에서 부착되어 있는 액상의 물을 제거하기까지 건조한 생성물을 본 발명에 의한 목적에(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가용량의 결합수를 함유하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은 건조한 려재(濾制)를 세쇄후 미세한 분말로 생기며 이런 일차입도는 최고 0.1mm이지만 대개는 현저하게 낮다. 먼지와 같은 세도까지 예를들면 0.1μ까지의 것이 있다. 이때 일차입도는 보다 큰 형성테로 응집하는 경우가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많은 제조방법에서는 50-1μ의 범위의 1차입도가 얻어진다.
적어도 80중량 %가 10-0.01μ 유리하기는 8-0.1μ의 입도에서되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규산알미늄화합물은 40μ이상의 1차 입자 또는 2차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결정질의 생성물의 경우에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의 간략화를 위해“미정질(微晶質)”이라고 표시한다.
적은 입도의 형성에는 이미 침전조건이 기여하고 이때 서로 혼합한 알민산 염용액 및 규산염 용액(은동시에 반응용기에 도입할 수가 있다)을 강력한 진단력에 쪼인다. 본 발명에 의해 유리하게 사용하는 결정화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결정화하는 물질을 완만하게 교반함으로서 보다 큰 경우에 따라서는 투과성 결정의 형성을 회피한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건조때 소망치 않는 결정입자의 응집이 일어날 경우가 있으므로 이들 2차입자를 적당한 방법 예를들면, 풍채(風蔡)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추장된다. 조대(粗大)한 상태에서 침전하는 규산 알미늄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소망의 입도로 분쇄한다. 분쇄에는 예를들어“밀”및(또는) 풍채 또는 이들의 조합이 적당하다. 후자는 예를들면 “우르만”(Ullmann)의 “엔자크로 페디 디엘 테히니세헨 체미”(Engyklop
Figure kpo00001
dia der technichen chemie)제1권 632-634페이지(1951)년)〕에 기재되어 있다.
규산 알미늄나트륨에서 다른 양이온의 규산알미늄화합물 예를들면 카리움, 마그네슘, 또는 수용성 유기염기를 간단한 방법으로 염기 교환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규산알미미늄나트륨 대신 이들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전기한 양이온의 방출에 의해 특별한 효과를 얻는 경우 예를들면 동시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상태로 작용을 주고저하는 경우에는 유리하다.
이들 마무리된 즉 사용전의 제조된 규산알미늄화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된다.
양호한 세정 또는 청정화 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양은 한편으로 칼슘의 결합능력 다른 한편으로는 처리 해야할 가공 재료의 양 및 오염도 및 사용하는 물의 경도 및 양에 의존한다. 경수(硬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양을 물의 잔류경도가 5αH(1ℓ당 CaO 50ml상당)이하유리하게는 0.5-21αH (1ℓ당 CaO 5-20ml)가 되도록 하여 계량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량의 세정 또는 청정화효과를 얻는 데는 특히 좋기로는 오염된 기재의 경우에는 탈리한 불순물속에 들어있는 경도성분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기위해 일정한 과잉량의 규산 알미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따라서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사용 농도는 유리하게 1ℓ당 As 0.2-10g, 특히 1ℓ당 As 1-6g의 범위내에서 좋다.
따라서 수중에 경도성분으로서 존재하는 칼슘에 착체(錯體)형성작용 및 (또는) 침전작용을 발휘하는 물질을 처리욕에 첨가함으로서 불순물을 현저하고 신속하게 및 (또는) 침전작용을 발휘하는 물질을 현저하게 및 (또는)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을 판명했다. 칼슘의 착화제(錯化劑)로서 본 발명의 목적에는 낮은 착체형성능력이 있는 따라서 종래 칼슘의 상용 착화제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물질도 적당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수용액으로부터 탄산칼슘의 침전을 완만하게 하는 능력이 있다. 불순물의 제거를 현저하게 촉진 또는 개량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첨가량 예를들면 1ℓ당 0.05-2g의 칼슘의 착화물 또는 침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0.1-1g 1ℓ의 첨가량으로 작업한다. 현저한 양으로 사용할 수동 있으나, 인(燐)함유 착화제 또느 침전제를 사용할때는 폐수의 인부하 가트리인산염을 베이스로 한다. 현재 일반적인 세정제를 사용할 때 보다도 분명히 적은 양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착화제 또는 침전제에는 무기성의 것 예를들면 피로인산염, 트리 인산염, 고급폴리인산염 및 메타인산염이 속한다. 칼슘용의 착화제 또는 침전제로서 사용하는 유기화합물은 폴리카본산, 히드록시카본산, 아미노카본산, 카복시알킬에텔 다음(多陰) 이온성 중합체, 특히 중합체의 카본산 및 포스폰산이며, 이때 이들 화합물은 커다란 수용성의 염의 형태로 사용한다.
폴리카본산의 예는 일반식 :
HOOC-(CH2)n-COOH(식중 n는 0-8이다)의 디카본산 특히 바레인산, 메틸렌마론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다콘산, 분자중에 적어도 개3의 카복실기가 있는 비 환상폴리카본산, 예를들면, 트리카바릴산, 아코닛드산, 에틸렌테트라카본산, 1,1,3,3-프로판테트라카본산, 1,1,3,3,5,5-펜탄-헥사카본산, 헥산핵사카본, 환상디 또는 폴리카본산 예를들어 시크로펜탄-테트라카본산, 시크로헥산-헥사카본산, 테트라하이드로프란-테트라카본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벤졸트리-, 테트라 또는 -펜타카본산 및 메릿드산이다.
하이드록시모노 또는 폴리카본산의 예로는 글리콜산, 젖산, 사과산, 타타린산 메틸타타론산, 글루콘산, 글리세린산, 구연산, 주석산, 살칠산이다.
아미노카본산의 예로는 글리신, 글리실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킨, 글루타민산, 아미노안식향산, 이미노안식향산, 이미노디 또는 트리초산, 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디초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초산 및 N-아지리딜카본산 유도체, 예를들면 초산, 호박산, 트리카바릴산의 중합 및 계속되는 검화에 의해 또는 분자량 500-10,000을 갖는 폴리아민과 클로로초산염 또는 브롬초산염과의 축합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는 고급등족체이다.
카복시알킬에텔의 예로는 2-옥시디 호합산 및 다른 에텔폴리카본산 특히 카복시메틸에텔기를 함유하는 폴리카본이 있으며 이들은 다음의 다가알콜 또는 하이드록시 카본산의 상응하는 유도체가 속하고 이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글리콜산으로 에텔화가 될 수 있는 글리콜, 디 또는 트리글리콜, 글리세린, 디-또는 트리글리세린, 글리세린모노메틸에텔, 2,2-디하이드록시메틸프로파놀, 1,1,1-트리하이드록시메틸에탄, 1,1,1-트리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 엘리트리트, 펜타엘리트리트, 글리콜산, 젖산, 타트론산, 메틸타트론산, 글리세린산, 에리스론산, 사과산, 구연산, 주석산, 트리히드록시구루탈산, 당산, 고액산.
중합체의 카본산으로의 이행형으로서는 당, 전분 및 셀루로즈의 카복시에텔을 들 수 있다.
카본산 중합체속에는 예를들면 아크릴산, 히드록시 아크릴산, 마레인산, 이다콘산, 메사콘산, 아코닛드산, 메틸렌마른산, 시트라콘산등의 중합생성물, 전기한 카본산 상호의 또는 전기한 에틸렌, 프로피렌, 이소부틸렌, 비닐알콜, 비닐메틸에텔, 프랑아크로레인, 초산비닐, 아크릴아미드 아크릴 니트릴, 메타크릴산 클로론산등과의 공중합 생성물 예를들면, 무수마레인산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또는 프랑으로 되는 1 : 1의 공중합생성물이 특히 중요하다.
다른 폴리하이드록시 폴리카본산 또는 폴리알데히드-폴리카본산의 형태의 카본산 중합체는 주로 아크릴산단위와 아크로레인 단위 또는 아크릴 산 단위와 비닐알콜 단위로 구성되는 물질이며 이들은 아크릴산과 아크로레인을 공중합하던가 또는 아크로레인을 중합하고 계속하여 경우에 따라 포름알데히드의 존재하에 카낫체로(cannizzaro)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인함유 유기착화제의 예로는 카본폴리포스폰산, 아미노 및 하이드록시알칸폴리포스폰산 및 포스포노카본산 예를들면, 화합물 메탄디포스폰산 프로판-1,2,3-트리포스폰산, 부탄-1,2,3,4-테트라포스폰산, 폴리비닐포스폰산, 1-아미노-에탄-1,1-디포스폰산, 1-아미노-1-페닐-1,1-디포스폰산 아미노 트리메틸렌트리포스폰산, 메틸아미노 또는 에릴아미노디에틸렌 디포스폰산, 에틸렌-리디아미노노테트라메틸렌테트라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 1,1-디포스폰산, 포스포노초산, 포스포노프로피온산, 1-포스포노에탄-1,2-디카본산, 2-포스포노프로판-2,3-디카본산.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본산. 2-포스포노부탄-2,3,4-트리카본산 및 비닐포스폰산 및 아클릴산으로부터의 공중합생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한 규산알미늄을 사용함으로서 칼슘의 인함유무기 또는 유기착화제 또는 침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물론 처리욕의 인함량을 유기 및 (또는) 무기 결합하는 인을 1ℓ당 최고 0.6g 특히 일반적으로 0.3g을 보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또 전혀 인이 없이 작업하더라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사용하에 작업하는 본 발명 방법은 공업 및 가정의 다수의 분야에서 종종의 청정화의 목적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용도의 예는 공업 또는 영업용 조업에 있어서 나무, 프라스틱, 금속, 도기, 유리등으로되는 기기, 장치, 도관 및 용기의 청정화 가정등에서 가구, 벽, 상 및 도기, 유리, 금속, 나무, 프라스틱으로 되는 물품의 청정화 연마 및 도포된 평면체의 청정화이다. 특히, 중요한 용도는 공장, 세탁업, 가정에서의 모든 종류의 직물의 세정 및 표백이다.
세정할 직물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된것도 좋다. 이들은 예를들면, 목면, 재생셀루로즈, 또는 마(麻) 및 고도로 개질한 목면 또는 합성화학섬유 예를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텔, 폴리아크릴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를 포함한 직물이 속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제는 손질하기 간단할 때는“노아이론”으로 표시되는 합성섬유/목면교직물의 세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재를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현탁시켜 포함하는 청정화 처리욕의 사용하에 청정 및 청정화할 때 청정-또는 청정화효과를 이런 종류의 처리욕의 상용성분에 의해 개량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예를들어 게면활성제계, 면활성제계 또는 계면활성제계가 아닌 포안정제 또는 포억제제, 직물의 유연제, 중성 또는 알카리 반응의 골격물질, 화학작용이 있는 표백제 및 이들을 위한 안정제 및 (또는), 활성화제, 더러움 유지제, 부식 방지제, 살균성 물질, 효소, 증백제, 착색제 및 향료가 포함된다.
전기한 세정욕 및 청정화욕 속에 통상 존재하는 물질의 일종 또는 수종을 사용할 때 유리하게 다음의 농도가 유지된다.
계면활정제 0-2.g/ℓ
골격물질 0-6g/ℓ
활성산소 또는 등량의 활성염소 0-0.4g/ℓ 처리욕의 pH치는 세정 또는 세정화할 기재에 따라 6-13, 유리하게는 8.5-12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좋다. 이미 오랜동안 칼슘을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모든 폐수중에서 생화학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유용산 인산염대용물이 탐구되어 왔다. 때문에 여러 유기화합물이 인산염 대용물로서 제안되어 왔다. 따라서 이런 목적을 위해 물에 불용의 양이온 교환작용이 있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입장은 당업계 전체의 연구 방향으로부터의 완전한 방향 전환이다. 이때 물에 불용의 규산알미늄 화합물이 직물에서 완전히 빨아 떨어지는 것은 특히 놀라운 일이다.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사용은 두 가지 점에서 폐수의 부담 경감의 작용을 한다. 즉, 폐수중에 들어가는 인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든가, 완전히 제거한다. 또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생물학적 분해에 전혀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광물성이며 정화장치 내 또는 천연의 하천중에 서서히 침전하고 따라서 인산염 대용물로서의 이상적인 요구를 만족시킨다. 그러나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다른 이미 제안된 인산염 대용물에 대해 세정 기술적 및 청정화 기술적으로도 이점이 있다. 즉 유색의 불순물을 흡착하고 따라서 화학작용이 있는 표백제를 절약한다.
또, 본 발명은 본원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에 관해서이며, 이런 조성물은 칼슘결합물질을 함유한다. 이런 조성물은 적어도 일종의 청정-, 표백-또는 청정화 작용을 하는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 외에 칼슘 화합물로서 앞서 정의한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런 종류의 조성물 중에는 다른 상용의 대개는 소량으로 존재하는 조제 및 첨가 물질이 존재하더라도 좋다.
이런 종류의 제제인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함량은 5-95% 특히, 15-60%의 범위내가 좋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조성물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특히 2-15%의 함량으로 그 작용을 확인할 수가 있다. 칼슘을 위한 착색제 또는 침전제를 함유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무기인산염 또는 (및) 유기인 화합물의 양은 조성물에 P-총합량 6%, 일반적으로 3%에 상당하는 것보다 커서는 안된다.
전기한 소요의 %는 모두 중량%이며 이들은 무수의 활성물질 (=AS)에 관한다.
청정-, 표백-또는 청정화 작용이 있고 청정제 또는 청정제 중에 포함되는 화합물에는 예를들어 계면활성, 제계면활성제계의 또는 계면활성제계가 아닌 포안정제 또는 포억제제-직물유연제, 중성 또는 알카리성 반응의 골격물질 화학작용이 있는 표백제내지는 이들 안정제 및 (또는) 활성화제가 포함된다. 다른 대부분은 소량으로 존재하는 조제 및 첨가물질은 예를 들어 부식방지제 살균성 물질, 오염유지제, 효소, 증백제, 착색제 및 향료 등이다. 50-100℃범위내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섬유용 세정제의 조성은 다음 배합의 범위내에 있다.
음이온-및 (또는) 비이온-및 (또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5-30%
규산알미늄화합물(AS에 관해) 5-70%
칼슘을 위한 착색제 2-45%
착체형성능력이 없는 세정알카리(=알카리성 골격물질) 0-50%
표백제 및 대개의 섬유용 세정제 중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첨가제 0-50%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에 사용하는데 적당한 물질을 든다.
계면활성제는 분자중에 적어도 한 개의 유기 소수기 및 한 개의 수용성으로 하는 음이온, 양성이온 또는 비이온기가 포함된다. 소수기로서는 대개 C-원자수 8-26, 유리하게는 10-22 특히 12-18개가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 또는 지방족의 C-원자수 6-18, 유리하기는 8-16개가 있는 알킬방향족잔기.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들어 천연 또는 합성, 유리하기는 포화방지산 경우에 따라 수지산 또는 나프텐산으로 되는 비누가 유용하다.
적당히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및 합성 카복실레이트의 타입의 것이 좋다.
설포네이트 타입의 표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벤젠설포네이트 (C9-15-알킬), 알켄- 및 하이드록시알칸설포네이트 및 디설포네이트로 되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말단 또는 중간위치에 2중결합이 있는 모노올레핀에서 가스상무수황산으로 설폰화하고 이어서 이 설폰화생성물을 알카리성 또는 산성가수 분해함으로서 얻어진다.
또, 알칸에서 설포크로드화 또는 설포시드화하고 이어서 가수분해 또는 중화함으로서 또는 올레핀에 중아황산염을 부가함으로서 얻어지는 알칸설포네이트가 좋다. 또 유용한 설포네이트 타입의 표면활성제는 α-설포지방산의 에스텔, 예를들면 야자-, 팜핵-또는 우지지방산의 수소화된 메틸-또는 에틸에스텔로되는 α-설폰산이다.
적당한 설페이트 타입의 계면활성제는 제1알콜(예를들면 야자지방 알콜, 우지지방알콜 또는 오레일알콜)의 황산모노에스텔 및 제2알콜의 황산모노에스텔이다. 또 황산화한,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지방산모노그리셀리드 또는 제1 또는 제2지방알콜 또는 알킬페놀과 에틸렌옥시드 1-4몰과의 반응 생성물이 적당하다.
또 적당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히드록시-또는 아미노-카본산 또는-설폰산의 지방산 에스텔 또는 -아미드, 예를들면 지방산살코시드, -그리콜에이트, -락테이트, -다이리드 또는-이세치네이트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염의 형 및 유기염기 예를들어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타놀라민의 가용염이면 좋다.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알콜, 알킬페놀, 지방산, 지방아민, 지방산아미드 또는 알칸설폰아미드 1몰에 에틸렌옥시드 4-40, 특히 4-20몰의 부가생성물이 사용된다. 야자-또는 우지방 산알콜, 오레일알콜 또는 C-원자수 8-18, 유리하게는 12-18개가 있는 제2알콜 및 알킬기 속에 C-원자수 6-14개가 있는 모노 또는 디알킬페놀으로의 에틸렌옥시드 5-16몰의 부가생성물이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수용성 비이온외에 특히 수용성 비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자중에 에틸렌그리콜에텔기 1-4개가 있는 물에 불용의 또는 충분히 물에 가용되지 않는 폴리그리콜에텔도 중요하다. 또 비이온계면 활성제로서는 각각 에틸렌그리콜에텔기 20-250개 및 프로필렌그리콜에텔기 10-100개를 함유하는 수용성의 에틸렌옥시이드 부가생성물 즉 폴리프로필렌그리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생성물〔“프르로닉스(Pluronics)”등록상표〕, 알킬렌디아민-폴리프로필렌그리콜의 에틸렌옥시드부가생성물〔테트로닉스(Tetronics) 등록상표〕 및 알킬쇄에 C-원자수 1-10개가 있는 알킬폴리프로필렌 그리콜의 에틸렌옥시드 부가생성물이 유용하며 그 중 폴리프로필렌 그리콜쇄가 수소기로서 활동한다.
아미녹시드 또는 설폭시드 타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기포능력은 적당한 계면활성제타입의 조합에 의해 증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는 또 비계면활성제의 유기물질을 첨가함으로서 얻어진다.
포안정제로서는 특히 설포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타입의 계면활성제로는 모관(毛管)작용을 하는 카복시 또는 설프페다인 및 전기한 알키롤아미드 타입의 논이오닉스가 적당하다. 특히, 이런 목적을 위해 지방알콜 또는 고급말단의 디올이 제안된다. 기계로 작업할 때 소망되는 감소된 기포능력은 여러 계면활성제 타입, 예를들면 설페이트 및 (또는) 설포네이트를 논이오닉스 및 (또는) 비누와 조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비누로는 포억제는 포화도 및 비장산 잔기의 C-원자수와 함께 증대한다. 따라서 포화 C20-24-지방산의 비누는 특히 포억제제로서 적당하다.
계면활성제 종류의 포금지제에는 경우에 따라 염소를 함유하는 N-알킬화아미노트리아진이 속하고, 이는 염화시아넬 1몰과 알킬기중에 C-원자수 6-20, 유리하기는 8-18개가 있는 모노 및 (또는) 디알킬아민 2-3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프로폭실화 및 (또는) 프톡실화아미노아리아진, 예를들면 멜라민 1몰에 포르필렌옥시드 5-10몰을 부가하고 또 이런 프로필렌옥시드유도체에 부틸렌옥시드 10-50몰을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생성물이 같은 작용이 있다. 비계면활성제 종류의 억포제로서는 물에 불용의 유기화합물 예를들면 100℃보다 낮은 융점이 있는 파라핀 또는 할로겐 파라핀, 지방족 C18-40-케톤 및 산기 또는 알콜기중에 (경우에 따라 이들 두가지의 각기 중에 C-원자수가 적어도 18개 함유하는 지방족 카본산 에스텔(예 :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지방산지방알콜에스텔)이 똑같이 적당하다. 이들은 특히 설페이트 및 (또는) 설포네이트 타입의 표면 활성제와 비누와의 조합물에 있어서 포의 억제에 사용한다.
단독으로도 음이온, 양성이온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와 조합으로도 사용되고 또 강력한 기포작용이 있는 계면활성제의 기포능력을 끌어내린다. 특히, 약한 기포작용이 있는 논이오닉스는 전기한 보관작용이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텔의 프로필렌옥시드부가 생성물 및 똑같이 전기한 폴리프로피렌글리콜 및 알키렌디아민-폴리프로 피렌글리콜 또는 C1-14-알킬폴리프로피렌글리콜의 에틸렌옥시드부가 생성물이다.
골격물질로서는 약산성, 중성 또는 알카리성 반응의 무기 또는 유기염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약산성, 중성 또는 알카리성 반응의 염은 예를들어 알카리금속의 중탄산염 탄산염, 붕산염, 또는 규산염, 알카리금속황산염 및 모관작용이 없는 C-원자수 1-8개가 있는 유기설폰산, 카본산 및 설포카본산의 수용성염, 설폰초산, 설포안식향산 또는 설포디 카본산의 수용성염이 속한다.
칼슘염의 착화제 또는 침전제로서 예시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골격물질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이를 칼슘착화제 또는 침전제로서의 기능을 부과하는데 필요하기보다도 다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증에 존재하더라도 좋다.
유리하기는 섬유용세정제 또는 가정용 세정제로서 사용하는 물질의 성분 특히 골격물질은 대개 조성물이 중성에서 강알카리성으로 반응하도록 선택한다. 따라서, 조성물의 1%-용액의 PH치는 7-12의 범위내이다. 이때 예를들면, 라이트듀티세정제는 대개 중성에서 약알카리성 반응(pH치 7에서 9.5)으로 되고 한편, 침투제, 예세제(豫洗劑) 및 비등세제는 강알카리(pH치 9.5-12) 유리하기는 10-11.5로 조절한다.
특별한 청정화 목적에는 높은 pH치를 필요로 하나 적당한 Na2O : SiO2비의 알카리금속규산염 또는 가성알카리를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조절된다.
표백제로서 사용하고 수중에서 H2O2를 방출하는 화합물속에는 과붕산나트륨, 4수화물 (NaBO2, H2O2, 3H2O) 및 과붕산나트륨, 1수화물(NaBO2, H2O2)가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또 다른 H2O2를 방출하는 붕산염, 예를들어 과붕산(NaB4O7, 4H2O2)도 유용하다.
이들 화합물은 다른 활성산소담체 특히 퍼옥시히드레이트, 예를들면 퍼옥시탄산염(Na2CO3·1.5H2O2), 퍼옥시피로인산염, 시트레이트퍼히드레이트, 뇨소-H2O2화합물 또는 H2O2를 방출하는 과산염, 예를 들면 카에로드(KHS5) 과안식향산염 또는 퍼옥시프탈산염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대용할 수 있다.
상용의 수용성 및(또는) 물에 불용의 퍼옥시화합물을 위한 안정제를 퍼옥시화합물과 함께 0.25-10중량%의 양으로 가하는 것이 추천된다. 조성물 전 중량의 예로는 1-8, 유리하기는 2-7%이다.
물에 불용의 안정제로는 대개 수용액에서 침전시킴으로서 얻어지는 규산마그네슘(MgO : SiO2=4 : 1-1 : 4, 좋기로는 2 : 1-1 : 2 특히1 : 1)이 적당하다. 그대신 상응하는 조성의 다른 알카리 토류금속규산염, 규산카드미움 또는 석(錫)이 좋다. 석의 함수산화물도 안정제로 적당하다. 물에 불용의 안정제와 함께 존재하고 있는 수용성안정제는 유기착화제이며 그 양은 조성물 전 중량의 0.25-5 좋기로는 0.5-2.5%가 좋다.
세정때 이미 80℃보다 낮은 특히 60-40℃ 범위내의 온도에서 만족한 표백작용을 얻기 위해서는 유리하게 활성화제 함유표백 성분을 제제중에 첨가한다.
수중에서 H2O2를 방출하는 퍼옥시화합물을 위한 안정제로서는 일정한 H2O2와 유기과산을 형성하는 N-아씰-0-아씰-화합물 특히 아세틸-, 프로피오닐 또는 벤조일화합물 및 탄산에스텔 또는 피로탄산에스텔이 유용하다. 그중 유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N-디아씰화 및 N,N′-테트라아씰화아민, 예를들면, N,N,N′,N′-테트라아세틸-메틸렌디아민 또는 -에틸렌디아민, N,N-디아세틸아니린 및 N,N-디아세틸-P-토루이딘 또는 1,3-디아씰화히단트인, 알킬-N-설포닐-카본아미드, 예를 들면 N-메틸-N-메실-아세트아미드, N-메틸-N-메실-벤즈아미드, N-메틸-N-메실-P-니트로벤즈아미드 및 N-메틸-N-메실-P-메톡시벤즈아미드, N-아씰화환상히드라지드, 아씰화트리아졸 또는 아씰화우라졸, 예를 들면, 모노아세틸마레인산히드라지드, 0,N,N-3개치환 히드록실아민 예를들면, 0-벤조일-N,N-석시닐하이드록실아민, 0-아세틸-N,N-석시닐-하이드록실아민, 0-P-메톡시벤조일-N,N-석시닐하이드록실아민, 0-P-니트로벤조일-N,N-석시닐-하이드록실아민 및 0.N,N-트리아세틸-하이드록실아민, N,N′-디아씰-설포릴아미드, 예를 들면, N,N′-디메틸-N,N′-디아세틸-설푸릴아미드 및 N,N′-디에틸-N,N′-디프로피오닐-설푸릴아미드, 트리아씰시아누레이트, 예를들면, 트리아세틸 또는 트리벤조일시아누레이트, 무수카본산, 예를 들면, 무수안식향산, 무수 m-크로르안식향산, 무수프탈산, 무수4-크로르프탈산, 당에스텔, 예를들면 글루코스펜타아세테이트, 1,3-디아씰-4,5-디아씰옥시-이미다조린, 예를 들면, 화합물 1,3-디포르밀-4,5-디아세톡시-이미다조리딘, 1,3-디아세틸-4,5-디아세톡시-이미다죠리딘, 1,3-디아세틸-4,5-디프로피오닐옥시-이미다조리딘, 아씰화글리콜우릴 예를 들면, 테트라프로피오닐글리콜우릴 또는 아세틸-디벤조일-클리콜우릴, 디아씰화 2,5-디케토피페라딘, 예를 들면 1,4-디아세틸-2,5-디케토피페라딘, 1,4-디프로피오닐-2,5-디케토피페라딘, 1,4-디프로피오닐-3,6-디메틸-2,5-디케토피페라딘, 프로피렌 2뇨소 또는 2,2-디메틸-프로피렌 2뇨소(2,4,6,8-테트라아자-비사이크로-(3,3,1)-노난-3,7-디온 또는 벤조일화생성물, P-에톡시카보닐옥시)-안식향산 및 P-(프로폭시카보닐옥시)-벤젠설폰산의 나트륨염.
표백제로서 작용하는 활성염고화합물은 무기 또는 유기의 성질이면 좋다.
무기활성염소화합물에는 알카리금속차아염소산염 특히 이런 혼합염 또는 올토인산염 또는 축합인산염 예를 들면, 피로 및 폴리인산염 또 알카리금속규산염에 대한 부가화합물의 형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세정제 및 세정조제가 모노벨설페이트 및 염화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용액중에서 활성탄소가 형성된다.
유기활성염소화합물로는 특히 염소원자 1개 또는 2개가 질소원자에 결합하고 이때 유리하게는 질소원자의 세 번째의 원자가가 마이너스기, 특히 CO-기 또는 SO2-기에 안내하는 N-크로르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에는 디크로르 및 트리크로르시아눌산 또는 그 염, 염화알킬구아니드 또는 염화알킬비구아니드, 염화히다인톤 및 염화멘라민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중에는 오물매개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좋다. 이렇한 것은 섬유로부터 탈리한 더러운 욕중에서 현탁하여 회색화를 피한다. 여기에는 대개는 유기적 성질의 수용코로이드염, 아교, 제라틴, 전분 또는 셀루로즈의 에텔카본산 또는 에텔설폰산의 염 또는 셀루로즈 또는 전분의 산성황산에스텔의 염이 적당하다.
산성기를 함유하는 수용성의 폴리아미드도 이런 목적에 좋다. 또한 가용성 전분제제 및 전기한 전분 생성물 이외의 것 예를 들면 분해된 전분, 알데히드전분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폴리비닐피로리돈도 유용하다.
사용할 수 있는 효소제제는 대개의 경우 다른 작용을 하는 효소 예를 들면, 프로테아제, 카보하이드라제, 에스테라제, 리바제, 옥시드레닥타제, 카타라제, 베르옥시타제, 우레아제, 이소메라제, 지아제, 트랜드페라제, 데스모라제 또는 누구레아제의 혼합물이다.
세균류 또는 진균류 예를 들면, 바시루스 스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또는 스트랩토마이세스·그리세우스(Streptomyces Ctriseus)에서 얻어지는 효소 특히 프로테아제 또는 아미라제가 중요하며, 이들은 알카리, 베루옥시화합물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이며, 또 70℃까지의 온도에서도 의연하게 작용을 한다.
효소제제는 제조자에 의해 대개는 작용물질의 수용액으로서 또는 분말, 과립 또는 저온분무 생성물로서 시판된다. 이들은 중량제로서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알카리금속 오르조(ortho)-,피로(pyro)- 또는 폴리인산염, 특히 트리폴리인산염을 함유한다. 특히 먼지가 없는 제제가 유익하다. 이는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오일 또는 페스트상노니옥스를 가함으로서 또는 결정수 함유염을 촉해(觸解)하여 그 결정수중에서 과립화학으로서 얻어진다.
특정종류의 오염에 대해 특이성 있는 효소, 예를 들면, 프로테아제 또는 아미라제, 또는 리바제를 가해도 좋다. 좋기로는 여러 작용이 있는 효소로 되는 복합물 특히 프로테아제와 아미라제로 되는 복합물을 사용한다.
세정제는 목면의 형광증백제로 특히 디아미노스틸벤즈설폰산의 유도체 또는 이들 알카리금속염을 함유하고 있어서 좋다. 예를 들면 4,4′-비스(2-아니리노-4-모노포리노-1,3,5-트리아진-6-일-아미노)-스틸벤-2,2′-디설폰산의 염 또는 모노포리노기 대신 디에타놀아민기, 메틸아미노기 또는 2, 메톡시에틸아미노기가 있는 똑같은 구조의 화합물이 적당하다.
폴리아미드섬유의 증백제로서는 1,3-디아릴-2-피라조린형의것 예를 들면, 화합물 1-(P-설파모일페닐)-3-(P-크로르페닐)-2-피라조린 및 설파모일기 대신 예를 들어 메톡시카보닐-, 2-메톡시-에톡시카보닐-, 아세틸아미노- 또는 비닐설포닐기가 있는 같은 구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유리한 폴리아미드용 증백제는 치환아미노크마린 예를 들면 4-메틸-7-디메틸아미노- 또는 4-메틸-7-디틸아미노 크마린이다.
또한 폴리아미드용 증백제로서 화합물 1-(2-벤즈이미다조릴)-2-(1-하이드록시에틸-2-벤즈이미다졸)-에틸렌 및 1-에틸-3-페닐-7-디에틸아미노카보스티릴이 유용하다. 폴리에스텔 및 폴리아미드섬유의 증백제로서는 화합물 2,5-디-(2-벤즈옥사졸)-치오펜, 2-(2-벤즈옥사조릴)-나프토〔2,3-b〕-치오펜 및 1,2-디-(5-메틸-2-벤즈옥사조릴)-에틸렌이 적당하다.
또한 치환된 4,4′-디스티릴-디페닐형의 증백제 예를 들면, 화합물 4,4′-비스(4-크로르-3-설포스티릴)-디페닐이 존재하고 있어서 좋다. 전기한 증백제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가 있다.
분말상에서 립상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특히 실제적으로 중요하다. 이것은 당해 기술로 공지의 모든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분말상 규산알미늄화합물은 간단한 방법으로 세정제의 다른 성분과 혼합할 수가 있고, 이때 유성 또는 페스트상의 생성물 예를 들어 노닉옥스는 분무하여 분말로 한다. 다른 제조 가능성은 분말상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수성페스트로서 존재하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에 가하는데 있다. 이것은 이어서 결정 화공정 또는 뜨거웠을 때 물을 건조시킴으로서 분말로 변화한다. 예를 들면 로울러상 또는 분무탑내에서 가열 건조후 열 및 습기에 민감한 성분 예를 들며 표백성문 및 이런 활성화제, 효소, 살균성 물질 등을 가할 수가 있다.
예 :
이에 관해서는 특허청구를 하고 있지 않으나 먼저 사용해야할 마무리 형성된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다.
15ℓ 용적의 용기 속에서 탈이온화한 물로 희석한 알루민산염 용액에 강렬한 교반하에 규산염 용액을 가했다. 발열반응하에 일차 침전생성물로서의 X-선회절에서 무정형의 규산알루미늄 나트륨이 형성되었다. 10분간의 강력한 교반 후, 침전생성물의 현탁액을 결정기에 옮기고 결정을 내기위해 여기에 뜨거운 온도하에 두었다. 정니(晶泥)에서 가성 알카리 용액을 흡인하고 유출하는 세정수의 pH치가 약 10을 보이기까지 탈이온화수로 세정하고 려재를 건조시켰다. 이러한 일반적인 제조의 기재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특히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수열(數列)에 있어서는 응용기술적인 실험으로서 균일한, 결정화되지 않는 침전생성물의 현탁액 또는 정니를 사용했다. 함수량은 생성물을 1시간 800℃로 가열함으로서 측정했다.
미정질의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제조할때는 “m”를 첨가하여 나타내나 탈이온화로 희석한 알루민산염 용액에 규산염 용액을 가하여 고속회전의 강력교반기10,0001/분; 울트라툴락스(Ultraturrax) : 양케 운트 쿤켈 IKA-베르크(fanke und KunRel IKA-werk)사제, 스타우펜(Staufen)/브라이스가우(Breisgau)(독일연방공화국)로 처리했다. 10분간 강력히 교반한 후 무정형의 침전 생성물의 현탁액을 결정기에 옮기고 여기서 커다란 결정의 형성을 현탁액을 교반함으로서 막았다. 정니에서 가성카리용액을 흡인하고 유출하는 세정수가 pH 약 10을 보이기까지 탈이온화수로 후세정한 뒤 려재를 건조시키고 이어서 볼밀 속에서 분쇄하고 원심분리기〔미크로 프렉스 빈드 시히테르(Mikroplex Windsihter); 알핀(Alpine)사제 : 아우구스브르크(독일연방공화국소재)〕속에서 두 개의 후렉선으로 분리했다. 그중 미세한 부분의 후렉션은 10μ 이상의 것을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입도의 분포는 침강천평에 의해 측정했다.
규산알미늄화합물의 결정화도는 X-선에 의해 무정형 또는 완전히 결정화한 생성물의 상용하는 그림과 비교하여 그때마다 생성물의 X-선회절도의 간섭선의 강도는 측정할 수가 있다.
소요의 모든 %는 중량 %이다.
규산알미늄화합물의 칼슘결합능력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햇다.
CaCl20.594g(-CaO300mg/ℓ-30°dH)를 함유하고 희석한 NaOH로 pH치 10으로 조절한 수용액 1ℓ에 규산알미늄화합물 1g(As에 관한)을 가한다. 이어서 이 현탁액을 15초간 22℃(±2℃)의 온도에서 강력히 교반한다. 규산알미늄화합물을 여취후 여액의 잔류경도 X를 측정한다. 이들 칼슘결합능력을 Aslg당 CaOmg로 다음식 : (30-X)10에 의해 산출한다.
칼슘결합능력을 고온 예를 들면 60℃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22℃에서 보다는 좋은 수치로 된다. 이런 것은 세정제중에 사용하는데 제안된 종래의 대개의 가용 착화제에 대해 규산 알미늄화합물을 구별하고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특별한 기술적 진보성을나타낸다.
규산알미늄화합물 I의 제조 조건.
침전 : 다음의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6%의 알루민염산 염액
2.985kg, 가성소다 0.15kg
물9.420kg
시판의 물유리 및 용이하게 알카리에 가용의 규산에서 새로 제조한 다음의 조성 : 1Na2O,6.SiO2의 25.8%-규산나트륨용액 2.445kg.
정출 : 80℃에서 24시간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 1Al2O3, 2.01SiO2, 4.3H2O(=H2O 21.6%)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150mg
얻어진 생성물을 1시간 400℃에서 후건조하여 조성 : 0.9Na2O, 1Al2O3, 2.04 SiO2, 2.0 H2O(=H2O 11.4%)의 규산알미늄 화합물 Ia를 얻었다. 이것도 똑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적에 적당하다.
규산알미늄화합물 II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5%의 알루민산염용액 2.115kg
가성소다 0.585kg
물 3.615kg
조성 : 1Na2O,6SiO2의 25.8%-규산나트륨용액(I로 기재한 바와같이 제조) 2.685kg
정출 : 80℃에서 24시간
건조 : 100℃ 및 20mmHg에서 24시간
조성 : 0.8Na2O, 1Al2O3, 2.655SiO2, 5.2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당 CaO 120mg
이 생성물도 후건조(400℃에서 1시간)에 의해 조성 : 0.8Na2O, 1Al2O3, 0.2H2O가 되기까지 탈수할 수가 있다 : 이러한 탈수화생성물 IIa는 똑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적에 유용하다.
규산알미늄화합물 I 및 II는 X-선회절도에서 다음의 간섭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특히 규산알미늄화합물이 완전히 결정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 모든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일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타입의 정성에 중요한 d-치는“(+)”로 표시했다. 규산알미늄 화합물 III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66.5의 알민산염용액 2.985kg
가성소다 0.150kg
물 9.420kg
조성 : 1Na2O·6SiO2의 25.8%-규산나트륨용액(I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하여 제조) 2.445kg
정출 : 생략
건조 : 25℃ 및 20mmHg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 1Al2O3·2.04SiO2, 47H2O
결정화도 : X-선 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16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Ⅳ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5%의 알루민산염용액 2.958kg
가성소다 0.150kg
물 9.420kg
조성 : 1Na2O. 6SiO2의 25.8%-규산나트륨용액(I에 기재한 바와같이 제조) 2.445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이어서 400℃에서 1시간
조성 : 0.9Na2O·1Al2O3·2.04SiO2, 0.1H2O
결정화도 : X선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무성형침전물을 충분히 건조시킴으로서 칼슘결합능력을 As 1g당 CaO 20mg까지 저하시켰다 : 생성물은 본 발명에 의한 목적에는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규산알미늄화합물 Ⅴ : 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38% Al2O362%의 고체 알루민산염 4.17kg
조성 : 1Na2O·3.46SiO2의 34.9%-규산나트륨용액 10.83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1.5Na2O·1Al2O3·2SiO2·3H2O
결정화도 : X선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14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Ⅵ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20.0%, Al2O310.2%
H2O 68.8%의 알루민산염용액 8.37kg
가성소다 0.09kg
물 5.34kg
미정질규산[에어로(Aerosill)
Figure kpo00003
] 1.20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1Al2O3·2.04SiO2·6.7H2O
결정화도 : X-선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145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Ⅶ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5%의 알루민산염용액 3.255kg
가성소다 0.060kg
물 9.465kg
조성 : 1Na2O 3.46, SiO2의 34.9%-규산나트륨용액 2.22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O1Na2O·1Al2O3·1H2O(=H2O 6%)
결정화도 : X-선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15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Ⅷ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5%의 알루민산염용액 2.115kg
가성소다 0.585kg
물 9.615kg
조성 : 1Na2O, 6SiO3의 25.8%-규산나트륨용액 2.685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8Na2O·1Al2O3·2.65SiO2·4H2O
결정화도 : X-선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6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Ⅸ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21.4%, Al2O315.4%, H2O 63.2%의 알루민산염용액 3.41kg
물 10.46kg
조성 : 1Na2O 3.46SiO2의 34.9%-규산나트륨용액 1.13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1Na2O·1Al2O3·1SiO2·1.4H2O
결정화도 : X-선 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12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ⅩI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3.8%, Al2O316.7%, H2O 69.5%의 알루민산염용액 2.86kg
물 6.01kg
조성 : 1Na2O, 3.46SiO2의 34.9%-규산나트륨용액 6.13kg
정출 : 생략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1Na2O,1Al2O3, 6SiO2, 3.2H2O
결정화도 : X-선 회절에서 무정형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6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ⅩII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20.0%, Al2O310.2%, H2O 69.8%의 알루민산염용액 2.01kg
가성소다 1.395kg
물 9.405kg
조성 : 1Na2O : 6SiO2의 25.8%-규산나트륨용액(1에서기재한바와 같은 제조) 2.19kg
정출 : 80℃에서 24시간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 1Al2O3, 3SiO2, 3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16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ⅩIII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H2O 66.5%의 알루민산염용액 2.985kg
가성소다 0.150kg
물 9.420kg
조성 : 1Na2O,6SiO2의25.8%-규산나트륨용액(1에서기재한바와 같은 제조) 2.445kg
정출 : 80℃에서 24시간
규산알미늄카리움을 제조화하기 위해 가성소다 용액을 흡인하고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KGI을 함유하는 수용액중에 현탁시켰다. 30분간 80-90℃로 가열후 여취하고 세정했다.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28Na2O, 0.6K2O3, 1Al2O3, 2.04SiO2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력 : As1g당 CaO 170mg
규산알미늄화합물 ⅩIV의 제조조건.
침전 : 조성 : Na2O 11.3%, Al2O318.7%, H2O 70.0%의 알루민산염용액 8.450kg
조성 : 1Na2O 3.46SiO2의 34.9%규산 나트륨용액 6.550kg
정출 : 생략
건조 : 생략
조성 : 1.6Na2O·1Al2O3·2SiO2·X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력 : As 1g당 CaO 120mg
규산붕소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9.7%, B2O319.7% H2O 60.6%의 붕산용액 3.20kg
물 9.55kg
조성 : 1Na2O3.46SiO2의 34.5%-규산나트륨 용액 2.25kg
정출 : 80℃에서 24시간
건조 : 100℃ 및 20mmHg에서 24시간
조성 : 1.5Na2O. 1B2O3, 2SiO21.5H2O
결정화도 : 주로 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20mg
여기에 기재한 규산알미늄 또는 붕소 1-ⅩVII의 일차 입도는 10-45μ의 범위내에 있었다.
규산알미늄화합물 Im의 제조조건 :
침전 : 규산알미늄화합물 I의 경우와 같다.
정출 : 90℃로 6시간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0.1Al2O3·2.04SiO2·4.3H2O(=H2O 21.6%)
결정화조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70mg
규산알미늄화합물 IIm의 제조조건
침전 : 규산알미늄화합물의 경우와 같다.
정출 : 90℃에서 12시간
건조 : 100℃ 및 20mmHg에서 24시간
조성 : 0.8Na2O, 1Al2O32.655SiO2·5.2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45mg
규산알미늄화합물 XIIm의 제조조건 :
침전 : 규산알미늄 XII의 경우와 같다.
정출 : 90℃에서 6시간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1Al2O3·2SiO2·3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75mg
규산알미늄화합물 XIIm의 제조조건
침전 : 규산알미늄화합물 XIII의 경우와 같다.
정출 : 90℃에서 6시간
규산알미늄 카리움을 제조하기 위해 가성소다용액을 흡인하고 잔사를 물로 세정하고 KCI을 함유하는 용액중에서 현탁시켰다. 30분간 80-90℃에서 가열후 여취하고 세정했다.
건조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28Na2O, 0.62K2O, 1Al2O3, 2.04SiO2, 4.3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80mg
규산알미늄화합물 XVm의 제조조건.
침전 : 규산알미늄화합물 XIV의 경우와 같다.
정출 : 80℃에서 24시간
건조 : 여재를 건조하지 않고 세정후 수중에 현탁시켜서 이런 형태로 용융기술적 실험에 사용했다.
조성 : 0.9Na2O·1Al2O3·2SiO2·X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79mg
규산알미늄화합물 XVIIIm의 제조조건.
침전 : 규산알미늄화합물 XIV의 경우와 같다.
정출 : 100℃에서 24시간
조성 : 0.9Na2O, 1Al2O3, 2SiO2, 4.4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72mg
규산알미늄화합물 XIXm의 제조조건 :
침전 : 조성 : Na2O 17.7%, Al2O3·15.8% 66%의 알민산염용액 2.96kg
가성소다 0.51kg
물 8.45kg
조성 : 8.0% 26.9%의 시판 규산나트륨용액 3.00kg
정출 : 90℃에서 12시간
건조 : 100℃에서 12시간
조성 : 0.93Na2O 1Al2O3·2.75SiO2·5.5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조성 : 0.93Na2O 1Al2O32.75SiO2·5.5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25mg
규산알미늄화합물 XXm의 제조방법.
침전 : 조성 : Na2O 36.0%, Al2O359.0% H2O 5.0%의 알민산염용액 0.76kg
가성소다 0.94kg
물 9.49kg
조성 : Na2O 8.0% SiO226.9% H2O 65.1%의 시판 규산나트륨용액 3.94kg
정출 : 90℃에서 12시간
건조 : 100℃에서 12시간
조성 : 0.9Na2O 1Al2O3, 3.1SiO25H2O
결정화도 : 완전결정질
칼슘결합능 : As 1g당 CaO 110mg
침강분석에 의거 측정했다. 전기한 미정질 생성물 1m∼XIIm 및 XVIII∼XXm의 입도분포는 다음의 범위내에 있었다.
>40μ=0% 최대분포입도=3-6μ
>10μ=85-95%
<8μ=50-95%
생성물의 XVm의 입도분포는 다음의 범위내에 있었다.
>40μ=0% 최대분포의 입도=1-3μ
<10μ=100%
>8μ=99%
예의 세정제 또는 세정조제중에 함유되는 염류의 성분(즉 염류의 계면활성제, 다른 유기염 및 무기염)은 다른 명기하지 않는 한 나트륨염으로서 존재한다. 이것은 간략화를 위해 상응하는 산의 이름으로 표시하지만 침전지연제에도 해당한다. 사용한 표시 또는 략어는 다음과 같다.
“ABS”직쇄상 올레핀을 벤젠과 결합하여 얻어진 알킬벤젠 설폰화합으로서 얻어진다. 알킬쇄중에 탄소원자수 10-15, 좋기로는 11-13개가 있는 알킬벤젠설폰산의 염.
“HPK-설포네이트”수소화팜핵지방산 메틸에스텔로부터 SO3로 설폰화함으로서 얻어지는 설포네이트.
“OA+X
Figure kpo00004
O”또는 “TA+Z
Figure kpo00005
O공업용 오레일 알콜(OA) 또는 우지알콜(TA)(요드가=0.5)의 에틸렌옥시드(
Figure kpo00006
O)부가 생성물 이 때 X에 주어지는 수치는 알콜 1몰에 부가된 에틸렌옥시드의 몰량이다.
“NTA”또는“EPTA”니트로트리초산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의 염.
“HEDP”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의 염.
“DMDP”디메틸아미노 메탄-디포스폰산의 염.
“CMC”카복시메틸 셀루로즈의 염.
본 발명에 의해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세정효과는 매(邁), 산화철 카오린 및 피부지방으로 시험용에 오염한 미개질 또는 구입하기 간단하도록(=주름이 늦도록) 개질한 목면제 포편 또는 폴리에스텔과 개질목면의 교직포〔바셀라이폴슝신스티류트 크레펠드(Waschereiforschungsistitutekreteld)로 만들어진 시험용직포〕로 세정 실험학으로서 나타냈다.
실험은 16°dH의 수돗물을 사용하여 일부는 란드로미터(Launderometer)속에서 일부는 시판의 4kg의 드럼세정기계(세정액 25ℓ)속에서 실시했다. 라드로 미터속에서는 각 용기에 각 2.1g의 시험포 2매 및 똑같이 중량 각 2.1g의 같은 물질의 미 오염포 2매를 잠입했다. 드럼 세정 기계에는 각 20×20cm크기, 3.8kg의 같은 종류의 미오염직포의 시험표를 부하했다.
처리욕의 규산알미늄 화합물 농도(세정제 배합의 규산알미늄 화합물 함량도 똑같이)는 조성물의 무수성분에 관한(800℃에서 1시간 탈수함으로서 측정) : 이것은 또 X선으로 무정형의 침전 생성물 현탁액의 사용 또는 정니(晶泥)에도 해당된다.
개개의 시험에서 소요의 세정시간은 가열시간을 함유한다. 기재한 온도에서의 처리시간에 관한다. 다음에는 차거운 수돗물을 사용했다.
란드로메터에서의 포편의 세정은 수돗물에서 각 30초간 이를 4회씩 헹굼으로서 실시했다. 시판의 세정기계에서 실시한 시험에서는 세정공정 및 헹굼공정의 경과는 그때마다 세정하는 섬유재료용으로 미리 배려되도록한 세정 프로그램의 자동화에 의해 결정했다. 섬유의 건조 및 아이롱 처리 후 그 반사율을 광전측광기“에르레포(Elrepho)”〔짜이즈사(Firma Zeiss)제〕로 필터-6(461mm로 최대투과성)의 사용하에 측정했다. 시험에서 사용한 시험직포는 공급상태에서 약 43의 반사율을 갖고 있다.
[예 1]
본 예는 다른 세정작용이 있는 성분을 첨가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세정작용을 나타낸다.
작업조건 : 미개질목면
규산알미늄화합물 10g/1
욕비 1 : 12
90℃에서 30분 란드로미터속에서 세정 각 병행시험에 있어서 다른 첨가물 없이도 트리포리인산염 10g/l의 첨가하에 물을 사용하여 오염의 제거를 조하했다.
이와같이 하여 환인된 물 또는 트리포리 인산염의 값은 다른 값과 똑같이 다음 표에서 확실하기 때문이다.
Figure kpo00007
(+)이들 규산알미늄 화합물은 침전페스트 또는 정니로서 특히 상등하는 수용액을 데칸테이션한 뒤 사용했다.
[예 2]
규산알미늄 화합물함유 세정제(건조한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과붕산염, 침전지연제 및 가열분무에 의해 얻어진다. 전기한 3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제분말과 혼합함으로서 제조)의 칼슘의 착화제 또는 침전제의 첨가에 의해 세정작용의 개량을 나타내기 위해 다음 조성의 세정제를 사용했다.
Figure kpo00008
작업조건 : 개질목면
세정제 9g/ℓ
욕비 : 1 : 12
90℃에서 30분 란드로미터내에서 세정결과는 다음 표에서 이끌수가 있다.
Figure kpo00009
+)이들 두가지 물질형은 아크로레인을 중합하고, 이들 중합생성물을 포름 알데히드의 존재로 카닐즈아로에 의해 처리함으로서 제조했다.
전기한 배합의 세정제로 칼슘을 위한 착화제 또는 세정제 및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완전히 트리폴리인산나트륨으로 대체한 세정제를 사용하여 전기한 세정조건하에 72.5의 반사율을 얻었다.
[예 3]
본 예에서는 세정제중에 함유되는 트리인산염을 규산알미늄 화합물로 단계적으로 대용한 경우의 작용을 나타낸다. 세정제의 조성은 다음 배합의 범위내에 있다.
Figure kpo00010
시험조건 : 개질목면
세정제 9g/ℓ
욕비 : 1 : 12
90℃에서 30분 란드로미터속에서 세정결과 : 참조
Figure kpo00011
[예 4 및 5]
본 예에서는 규산알미늄화합물을 Na5P3O10으로 대용한 세정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두 종류의 세정제의 여러섬유에 대한 세정작용을 나타낸다. 세정제는 다음 조성이 있고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세정제는“e”를 더하고 비교세정제는 “v”를 더해서 나타냈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세정조건 :
천연목면, 개질목면, 목면-폴리에스텔 교직포.
세정제 4v 및 4e : 9g/ℓ
세정제 5v 및 5e : 7.5g/ℓ
욕비 : 1 : 5
비등세정용 세정프로그램을 셋트한 세정기계.
최고온도 : 95℃
세정결과 : 표참조
Figure kpo00014
트리폴리인산염과 똑같은 세정결과를 얻기 위해 욕비의 규산알미늄 화합물 함량을 비교욕의 트리폴리인산염 농도보다도 다소 높여서 선택하는 것이 추천된다.
[예 6]
세탁업에서 사용하는데는 다음의 배합세정제 6a 및 6b가 적당하다.
Figure kpo00015
Na5P3O10은 세정제 6a에서는 인을 함유하지않는 칼슘의 유기착화제에 의해, 세정제 6b에서는 HEDP 또는 다른 칼슘과 착결합하는 포스페이트에 의해 인은 함유하지 않는 칼슘을 위한 착화제에 의해 착결합을 하지않는 칼슘침전제(예를들면 수용성염)에 의해 작용할 수가 있다.
이들 세정제의 사용하에 보통으로 더러워진 가정의 세탁물을 다음 조건을 지키면서 세정했다.
기종 : 90kg용량의 원심세정기계(waschschleudermaschine)에 세탁물 75kg을 걸고,
물 : 5dH로 연화한 수돗물
1. 제1 세정공정 :
건조한 세탁물 1kg당 세정제 20g
욕비 : 1 : 4 60℃에서 9분
2. 제2 세정공정 :
건조한 세탁물 1kg당 세정제 20g
건조한 세탁물 1kg당 활성산소(H2O2로 하여) 0.5g
욕비 : 1 : 4 90℃에서 12분
3. 행금공정 : 연화한 물로 두 번, 미연화수로 두 번
세정결과는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모두 충분했었다.
[예 7]
현저하게 더러워진 작업복의 세탁에 사용한 세정제는 다음의 조성으로 되었다.
Figure kpo00016
[예 8]
증백작용이 있는 세정조제는 다음의 조성으로 되고 그 중 제제 a는 세정욕의 첨가제로서 세탁업에서, b는 차가운 때 유효한, 행금때 물의 첨가제로서 적당하다.
Figure kpo00017
다음 기타의 규산알미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정액의 처방을 듣다.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특히 예중에 기재한 시험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양이온 교환능력을 갖는 규산 알미늄화합물은 물 및 오물속에 존재하는 칼슘을 결합함으로서 세정제의 세정력을 개량하고, 트리폴리인산염의 부분적 또는 완전히 대신할 수가 있다. 예의 처방은 또 트리인산염을 함유하는 한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인을 함유하지 않는 착화제로 대용할 수가 있다. 유용한 착화제는 예 2에서 표의 화합물이다. (수산은 침전제이지 착화제는 아니다).
규산알미늄화합물은 물에 불용이지만 세정한 섬유로부터 양호하게 떨어뜨릴 수 있고 세정기계중에서도, 폐수도관중에서도 침적물을 일으키지 않는다.
예 1-16에 기재한 시험 또는 조성물은 미정질의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사용하에서도 실시 또느 제조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상호 비교할만한 조성물이 같은 조성을 갖는 경우에는 미정질의 규산알미늄 화합물이 양호한 작용을 보였다.
각각의 예에 있어서 다음 미정질의 규산알미늄 화합물로 시험하고 또는 세정제 또는 세정조제의 제조에 사용했다.
Figure kpo00020
〔Na5P3O10은 세정제 6a에서는 인을 함유하지 않는다. 칼슘의 유기착화제에 의해 세정제 6b에서는 HEDP 또는 다른 칼슘과 착결합(錯結合)하는 포스포네이트에 의해 인을 함유하지 않는 칼슘의 착화제에 의해 또는 착결합하지 않는 칼슘침전제(예르들면 수용성염의 형태인 수산, 아디핀산 또는 세바신산)에 의해 대용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21
규산알미늄화합물 XIIm 또는 XVIIm의 사용하에 다음 예의 세정제를 조성했다.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미정질(微晶質)의 규산알미늄 화합물의 양호하게 흔들어 떨어뜨릴 수 있는 것은 특히 베드카바 또는 벼개카바의 가장자리 및 귀퉁이 및 윗도리의 소매와 목으로 나타낸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상태 및 관련사항을 열거한다.
(1) 현탁시킨다.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 발명에 의한 칼슘결합능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에 기재한 방법.
(2) 현탁시킨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에 의한 화합물이 As 1g당 CaO 100-200mg의 칼슘결합능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제기한 제1항 기재의 방법.
(3) 현탁시키는 경우에 의해 결합수를 함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2)항에 의한 화합물이 조성 : 0.7-11(Kat2/°n)·Me2O3·1.3-3.3SiO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2)항 기재의 방법.
(4) 현탁시키는 화합물이 양이온으로소 수소, 나트륨, 리티움, 카리움, 암모늄, 마그네슘, 또는 수용성 유기염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3)항에 기재한 방법.
(5) 현탁시키는 화합물이 결정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4)항의 기재방법.
(6) 현탁시키는 결정질의 화합물이 X선회절도에서 다음의 d치 (Å) : 12.4, 8.6, 7.0, 4.1, 3.68, 3.38, 3.26, 2.96, 2.73, 2.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5)항에 기재한 방법.
(7) 현탁시킨 결정질의 화합물이 X선 회절도에서 다음의 d치 (Å) : 14.4, 8.8, 4.4, 3.8, 2.88, 2.79, 2.66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 제(1)-(5)항 기재의 방법.
(8) 현탁시키는 화합물이 적어도 80중량%는 10-0.01μ 좋기로는 8-0.1μ 크기의 입자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7)항 기재의 방법.
(9) 현탁시키는 화합물이 40μ보다 큰 1차 또는 2차 입자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8)항 기재의 방법.
(10) 처리욕이 칼슘과 착형성하는 및(또는) 칼슘을 침전시키는 능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9)항 기재의 방법.
(11) 칼슘과 착형성하는 및(또는) 칼슘을 침전시키는 물질이 처리욕 중에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10)항 기재의 방법.
(12) 칼슘을 위한 착화제 또는 침전제로 메타 및 폴리인산염타잎 및 다음의 유기 또는 이들 염 : 폴리카본산, 하이드록시카본산, 아미노카본산, 카복시알킬에텔, 다음(多陰)이온, 중합체의 카본산 및 포스폰산 타잎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하 제(1)-(11)항에 기재된 방법.
(13) 칼슘을 위한 착화제 또는 침전제로 0.05-2g/ℓ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10)-(12)항 기재의 방법.
(14) 처리욕이 세정-, 표백- 또는 청정화 작용이 있는 물질을 적어도 다시 1종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13)항 기재의 방법.
(15) 욕이 표면활성제를 2.5g/ℓ까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14)항 기재의 방법.
(16) 욕이 무기 또는 유기의 골격물질을 6g/ℓ까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제(14)-(15)항 기재의 방법.
(17) 욕이 베루옥시호합물을 1ℓ당 활성산소 0.4g까지의 양으로 몇 경우에 의해 베루옥시화합물을 위한 안정제 및(또는)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14)-(16)항 기재의 방법.
(18) 옥이 1ℓ에 대해 활성산소 0.4ℓ와 같은 양으로 활성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14)-(16)항 기재의 방법.
(19) 무기 및(또는)유기인 화합물이 처리욕의 인함유량이 0.6g/ℓ 유리하게는 0.3g/ℓ를 넘지 않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18)항 기재의 방법.
(20)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9)항에 의한 규산염을 5-95 유리하게는 15-6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전기한 제(10)-(12)항에 의한 칼슘을 위한 착화제 또는 침전제가 2-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다른 세정 또는 청정화 작용이 있는 화합물로서 표면 활성제를 2-4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1)항에 기재한 조성물.
(23) 다른 세정-또는 청정화 작용을 하는 화합물로서 골격물질을 5-6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2)항 기재의 조성물.
(24) 표백작용을 하는 화합물로서 활성산소화합물을 10-40중량%의 양 및 경우에 따라 활성산소화합물을 위한 안정제 또는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3)항 기재의 조성물.
(25) 조성이 다음의 처방 :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 및(또는) 양성이온 표면활성제 5-30중량%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9항에 의한 화합물(As에 관해서) 5-70중량%, 칼슘을 위한 착화제 2-45중량%, 착형성능력이 없는 세정알카리 0-50중량%, 표백제 및 기타의 섬유용 세정제 중에 대개는 소량으로 존재하는 첨가물질 0-50중량% 이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4)항 기재의 조성물.
(26) 유기 및(또는) 무기인화합물을 조성무의 P-총함량이 6중량% 및 특히 3중량%를 넘지 않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0)-(25)항 기재의 조성물.
(27)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9)항에 의한 분말상의 화합물을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6)항 기재의 조성물의 제법.
(28) 특허청구의 범위 첫 번째의 발명 및 전기한 제(1)-(9)항에 의한 분말상 화합물을 조성물의 내수성 및 내염성 성분의 수성혼합물을 가해 이를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혼합에 의해 건조시킨 생성물을 열 또는 습기에 불안정한 성분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한 제(20)-(26)항 기재의 조성물의 제법.

Claims (1)

  1. 고체가공재료 특히 섬유를 물의 경도성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수성욕으로 처리함으로서 이들 가공재료를 세정, 표백 또는 청정화하는데 있어서, 무수의 활성물질(=As) 1g당 적어도 CaO50mg의 칼슘결합능력이 있고(경우에 따라서는 결합수를 함유) 일반식 :
    (Cat2/nO)X, Me2O3, (SiO2)y
    〔식 중, Cat는 칼슘과 교환가능한 원자가 n의 양이온을 나타내고, X는 0.7-1.5의 수를 나타내고, Me는 붕소 또는 알미늄을 나타내고, y는 0.8-6의 수를 나타냄〕로 표시되며 물에 불용성인 미세한 분말로된 규산염화합물을 이 수성처리욕 중에 현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가공재료 특히 섬유의 표면을 세정 및 청정화하는 방법.
KR740002161A 1974-04-12 1974-04-12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80000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161A KR800001333B1 (ko) 1974-04-12 1974-04-12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161A KR800001333B1 (ko) 1974-04-12 1974-04-12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333B1 true KR800001333B1 (ko) 1980-10-28

Family

ID=1919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2161A KR800001333B1 (ko) 1974-04-12 1974-04-12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3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652B (fi) Foerfarande foer tvaettning eller blekning av textilier samt medel foer genomfoerande av foerfarandet
DE2412837C3 (de) Mittel zum Waschen bzw. Bleichen von Textilien unter Einsatz kristalliner wasserunlöslicher Silikat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083793A (en) 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uminosilicates and nonionics and method of washing textiles
US4438012A (en) Stable aqueous suspension of water-insoluble, calcium-binding aluminosilicates and nonionic suspending agents
US4605509A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aluminosilicate builders
CA1230206A (en) Softener-containing washing agent
CA103781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olid, pourable washing or cleaning agents with a content of a calcium binding silicate
JPS6052194B2 (ja) 洗剤組成物
US4148603A (en) Method of washing textiles and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silicates and polycarboxylates and/or polyphosphonates
JPH0818817B2 (ja) 層状シリケ−トおよびその製法と用途
DK156173B (da) Fremgangsmaade til vask af tekstiler, middel til udfoerelse af fremgangsmaaden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midlet
US4121903A (en) Method of machine washing of solid soiled materials by contacting the circulating wash liquid with aluminosilicates
CA1052658A (en) Method of washing textiles and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silicates and polycarboxylates and/or polyphosphonates
CA1058046A (en) Washing agent compositions including aluminosilicates and nta and processes of washing
DK156174B (da) Fremgangsmaade og middel til vask og rensning af faste materialer, isaer tekstiler
KR800001333B1 (ko) 섬유의 표면을 청정 및 세정을 위한 조성물
JPS6242960B2 (ko)
EP0070191B2 (en) Detergent additives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2430144A1 (de) Verfahren zum waschen und reinigen der oberflaechen von festen werkstoffen, insbesondere von textilien, sowie mittel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KR960001012B1 (ko) 칼슘 침전물용 스캐빈져로서의 무정질 실리코알루미늄산염의 용도
EP0070192B2 (en) Detergent additives an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2533633A1 (de) Verfahren zum waschen und reinigen der oberflaechen von festen werkstoffen, insbesondere von textilien
CN1080298C (zh) 硬表面用的漂白组合物
SU559656A3 (ru)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KR800001074B1 (ko)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비이온성 물질을 함유하는 세척화합물과 직물류를 세척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