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366B1 -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366B1
KR800000366B1 KR740001540A KR740001540A KR800000366B1 KR 800000366 B1 KR800000366 B1 KR 800000366B1 KR 740001540 A KR740001540 A KR 740001540A KR 740001540 A KR740001540 A KR 740001540A KR 800000366 B1 KR800000366 B1 KR 800000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switch
cycle
ma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지 이와모도
이노루 다까노
Original Assignee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도교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가오루,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도교 산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가오루
Priority to KR74000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3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1도는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전기 회로도.
제3도는 캠부분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중 화살표 B의 방향도.
제7도는 작동 시간도.
제8도는 제빙접시의 종동 단부 가까이의 종단측면도.
본 발명은 냉각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송풍기로 순환시켜서 제빙접시 내에 냉기에 의하여 제빙을 행하고 이 제빙접시를 전동기구로 회전시키므로서 이 제빙접시에 비틀림을 주어서 이 제빙접시의 하부에 설치된 저빙고 내로 탈빙되게끔 구성한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제빙접시의 급수시간을 제빙접시가 회전하는 1 싸이클 내에 설정하여 다음의 1 싸이클을 시작할때에 있어서 급수되는 피해를 방지할 것과 저빙량의 만빙(滿氷)를 검출할 때도 다음의 제빙운전 때문에 소정량의 급수가 제빙접시에 개시되어 효율좋은 제빙을 하는 일과 저빙량이 만빙상태로부터 감소되어 제빙운전의 적산동작을 개시했을 때는 과잉급수를 하지 않게 하는 등 효과를 달성함을 목적으로 하는 제어장치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1은 냉장고 본체이고 냉장고 내를 칸막이벽(2)으로 상부는 냉동실(3)을 하부는 냉장실(4)을 형성하고 5는 칸막이벽(2)내의 냉기통로에 수납한 냉각기 6은 냉각기(5)의 후방에 설치한 송풍기로 냉각기(5)로 냉각된 냉기는 송풍기(6)으로 냉기토출구(7) 및 8에서 각각 냉동실(3) 및 냉장실(4)에 순환되며, 9는 냉동실(3) 내의 냉기토출구(7)의 전방에 설치한 자동 제빙기로 냉동실(3)의 내벽에 착탈자재되게 지지하고 있어 후술한 것 같은 전동기구(10)에 의하여 제빙접시(11)을 1회전하는 동안이 비틀림 및 비틀림 회복을 시켜서 탈빙을 하는 구성이다.
12는 냉장실(4)에 설치한 수조로 냉장실벽에 착탈자재케 지지하고 있다.
펌프 13은 수조(12)의 물을 급수관(14)를 통하여 제빙접시(11) 내에 도입하도록 냉장고측벽에 착탈이 가능하며 15는 냉장실(4)의 온도로서 냉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온도식 댐퍼장치이고 16은 냉각기(5)와 같이 냉동계 물질을 구성한 전동압축기이다. 17은 냉동계의 운전을 제어하게끔 냉동실(3)에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조절기이며 18은 전기냉동계의 전동압축기(16), 송풍기(6) 및 냉각기(5)의 제상을 제어하는 제상제어장치를 포함한 냉동제어장치이고 19는 감속기구로서 소경치차(20) 및 대경치차(21)를 통해서 제빙접시(11)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주기 전동기의 싸이클모우터이고 대경치차(21)의 축을 제빙접시(11)과 결합되어 있으며 22, 23 및 24는 대경치차(21)과 일체로 성형된 제1, 제2 및 제3 캠으로서, 대경치차(21)와 동주기 회전하고 25는 타이머 장치로서 유도진동기의 타이머모우터로 소정의 운동시간에 이를 때 스윗치(26)을 일정시간 닫는 작용을 하고 27은 수동으로 임의로 개폐하는 스윗치로 보통 회로를 닫고 있으며 이를 열므로서 제빙동작을 임의로 정지시킨다.
28은 제빙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 이하에서 접점을 닫는 온도조절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제빙접시(11)의 온도 또는 제빙접시(11)에 설치된 장소의 온도 혹은 제빙접시에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장치이고, 29는 제빙접시(11)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틀(30)의 레일에 지지된 저빙고이고, 냉동실(3) 외에 인출이 가능하며 30은 제빙접시(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틀로서, 제빙 접시 11가 1회전할 사이에 제빙접시의 구동단(11A)에 대하여 종동단(11B)의 회전이 느려져서 비틀림이 생기게끔 종동단(11B)을 일정시간을 거치는 돌기둥의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31은 저빙고(29)의 저빙량의 만빙을 검출하기 위한 검빙 레버이며 검빙부분(31A)는 제빙접시(11)로부터 낙하하는 얼음의 통로 외에 통상 위치하여 있으며, 타단의 동작부(31B)는 제 2캠(23)의 캠면에 스프링(32)에 접합되었으며, 중간부(31C)는 후술한 카버 (38)(30)에 축착되었고 33은 제1캠(22)에 제어되는 제1스윗치이며, 타이머스윗치(26)의 페로시간 중에 페로된 모우터(19)의 일회운전시간, 즉 1 싸이클을 타이머스윗치(26)가 개방된 후에도 보존되며, 34는 검빙레버(31)의 동작에 따라서 동작하는 제2스윗치이며 검빙레버(31)가 소정의 상승회동을 하였을 때 타이머모우터(25)의 적산회로가 열리게끔 동작하고 35는 제3캠(24)로 제어되는 제3스윗치이며 전기 1싸이클의 마지막 기간이 제2스윗치(34)가 닫아지는 기간에서는 펌프(13)을 운전하여 급수를 하는 동시에 전기한 싸이클 내에 급수를 정지되게 동작한다.
36은 테스트할때 페로되는 수동스윗치이고 37은 교류전원이며 전동기(19) 치차(20)(21) 캠(22)(23)(24)및 스윗치(33)(34)(35)는 커버(38)에 수납된 전동기(10)를 형성하고, 39는 전원스윗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작을 설명하면 타이머장치(25)는 통전직후에 스윗치(26)을 닫는 상태에서 형성된다. 냉동실(3)의 온도가 소정의 하한온도에 달할 때까지는 온도조절기(17)은 닫고 있고 전동압축기(16) 및 송풍기(6)은 전원스윗치(39)를 닫았을 때 시동하며, 수동스윗치(27)은 통상시에는 닫고 있고, 또 테스트스윗치(36)은 항시 열려 있으며 스윗치(33)(35)는 열리며 스윗치(34)는 저빙고(39)가 비었기 때문에 닫혀있다.
냉각운동의 개시함에 따라 타이머 모우터(25)는 37-39-17-27-28-34-25-37의 접속(폐회로)에 의하여 통전되어서 회전스윗치(26)을 닫으며 따라서 전동기(19)는 37-39-17-27-28-34-26-19-37의 폐회로에 의하여 시동하여 제빙접시(11)을 회전시키며 이 회전과 같이 캠(22)(23)(24)는 회전하고 각 스윗치 33-34-35는 제어된 샘이 되나 이 동작시간은 제7도로 표시하고 있다. 즉, 스윗치(26)가 T1에서 닫고 T4에서열며 검빙레버(31)는 캠(23)에 의하여 제어되는것이나 동작부(31B)가 캠(23)보다 낮은곳(23B)에 있을 때는 저빙고(29A)를 벗어나서 하강위치에 있게 되고 캠(23)의 회전에 의하여 경사(23C)를 오르는 동안에 스윗치(34)가 열리고 작동부(31B)가 높은 곳(23B)에 타오르게 된 상태에서는 스윗치(34)는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검빙레버(31)의 검빙부(31A)은 저빙고(29)의 개구(29A)의 상부측에 높게 회동하는 상태(제6도 점선위치)가 된다.
검빙레버(31)가 다시 하강위치로 회동복귀했을 때는 캠(23)의 경사(23C)를 내려서 낮은 곳(23B)에 도달했을 때에 스윗치(34)는 경사(23C')의 강하중에 닫히는 것으로 즉 스윗치(34)는 T1과 T3와의 사이에서 닫혔고 T3으로 열려서 다시 T5로 닫는다. 또 스윗치(33)은 캠(22)의 높은 곳(22A)에 타올랐을 때 즉 T2로 닫어서 37-39-33-19-37의 폐회로에 의하여 전동기(19)의 통전회로가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스윗치(26)의 T4로 열린 후에도 전동기(19)는 통전상태를 유지하며, 또 스윗치(35)는 캠(24)의 1회전의 마지막 기간에 높은 곳(24A)을 타기 때문에 T6으로 폐로하여 37-39-33-35-13-37의 폐회로로 인하여 펌프(13)이 시동하여 제빙접시(11)에 급수한다.
펌프(13)이 정지하는 것은 스윗치(35)의 작동간이 캠(24)의 낮은 곳(24B)로 낙하했을 때 즉 T7의 시점에서 스윗치(35)가 개방했을 때이다. 스윗치(33)은 그 작동간이 캠(22)의 낮은 곳(22B)로 낙하했을 때 즉 T5의 시점에서 열리고, 상기 전동기(19)의 폐회로를 열기 때문에 T1-T8의 기간에 전동기(19)가 통전되어서, 제빙접시(11)을 1회전시켜서 탈수운전동작을 하게 되며, 검빙레버(31)에 의한 만빙의 검출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탈빙 후, 검빙레버(31)가 상승위치(제6도의 점선)로부터 하강위치(제6도 실선)로 복귀한 관계 가 된다.
위와 같이 하여 T1-T8의 1싸이클의 탈빙운전 싸이클이 끝난 제빙접시(11)에서는 일정량의 물이 급수된 상태로 제빙운전에 들어간다. 제빙운전시간은 냉각운전시간을 적산되게끔 온도조절기(17)로서 전동압축기(16)과 같이 제어되며 즉 온도조절기(17)이 닫어져 있는 시간 중 타이머모우터(25)은 통전되고, 그 타이머모우터(25)의 운전시간이 소정값에 달했을때, 스윗치(26)가 닫혀서, 전술함과 같이 전동기(19)가 시동하여 제빙접시(11)을 회전시켜서 탈빙운동이 시작된다. 즉 T1-T4기간에 스윗치(26)이 닫어져서 T2-T8기간에서 스윗치(33)이 닫기며, T3-T5기간에 검빙레버(31)가 회동하여 스윗치(34)가 열리고 T6-T7기간에 스윗치(35)가 닫혀서 급수하고 탈빙싸이클은 T1-T8기간에서 끝이며 탈빙싸이클이 끝난 후에는 재차 상기와 같이 제빙싸이클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저빙고(29) 내의 얼음이 증가한 최후의 탈싸이클에 의하여 저빙량이 만빙이 되면 검빙레버(31)의 복귀는 저빙고(29)의 얼음에 의하여 저지되므로 스윗치(34)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스윗치(33)이 닫혀진 기간 중 전동기(19)는 회전하고 제빙접시(11)에는 소정의 급수가 끝나며, T8의 시점에서 전동기(19)은 정지된다. 이때 스윗치(34)는 열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타이머모우터(25)는 탈빙싸이클이 끝난 후 곧 제빙 싸이클에 들어갈 수 없다.
타이머모우터(25)에 다시 통전하여 제빙싸이클이 개시되기는 저빙고(29)의 얼음이 감량했기 때문에 검빙레버(31)의 저지가 해제되어 용수철(32)에 의하여 검빙레p버(31)가 하강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이다. 테스트 스윗치(36)은 급수량의 소정치를 정한 경우 제빙장치의 점검을 하는 경우 등, 임의로 전동기(19)로 통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수조(12)를 설치하지 않고, 상수도관으로부터 직접 제빙접시(11)로 급수할 경우에는 펌프(13)의 대신에 상수도관을 개폐하는 전자변을 설치하므로서 같은 작용을 시킬 수 있다.
제빙접시(11)의 비틀림 및 복귀는 제8도의 구성으로, 즉 제빙접시(11)가 180도 회전했을 경우 제빙접시(11)의 종동단부(11B)의 돌부(11C)가 지지틀(30)에 설치된 판스프링(40)에 걸리므로서 종동단부(11B)의 회동이 정지하여 비틀림이 생긴다. 제빙접시(11)의 구동단(11A)의 회전이 전진하여 판스프링(40)에 걸리는 힘이 넘께 되었을 때, 제빙접시(11)은 그 주변에 설치한 선상스프링(41)에 의하여 비틀림에 의한 꼬임이 풀리게 복귀하여 다시 회전해서 수평상태의 통상위치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얼음은 제빙접시(11)가 꼬이기 전에 저빙고(29)로 낙하하는 것이나 제빙접시(11) 내에 남아있던 얼음은 이 꼬임에 의하여 완전히 저빙고(29) 내로 낙하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구성했음으로 제빙접시에 급수는 탈빙 싸이클 내에서 완료하기 때문에 다음의 탈빙싸이클이 개시된 때에 여분의 급수는 되지 않는다. 즉 제빙이 완료되었을 때 제빙접시에 급수가 되지 않음으로 탈빙싸이클 중에 제빙접시 내의 얼음이 녹거나 또는 제빙접시의 정규회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얼음이 제빙접시로부터 벗어나서 저빙고 밖으로 떨어지거나, 혹은 이밖으로 나간 얼음이 제빙접시의 회전이 방해되거나 다시 또 제빙창고 내의 상기한 여분의 급수의 물이 유입되는 등의 결점이 없어진다. 또한 검빙레버의 회동에 따라서 타이모우터의 적산회로가 열리기 때문에, 만빙된 상태를 저빙량이 감해져서 검빙레버가 자동복귀했을 때는 탈빙싸이클이 완료하여 제빙접시에 급수가 끝난 상태이므로, 여분의 급수를 할 필요가 없어 곧 타이머모우터의 적산동작을 할 수가 있고, 또, 각 캠에 의한 스윗치의 동작관계가 전술한 바와 같이 관계이므로 연속 제빙동작 및 만빙으로부터 감량시켰을 때의 재시동관계가 적절히 제어되어서 좋은 제어동작을 얻게 된다.

Claims (1)

  1. 냉각기에서 냉각된 냉기를 송풍기로 순환시켜서 제빙접시 내에 전기한 냉기에 의하여 제빙을 하고 그 제빙접시를 전동기구로 회전시키므로서 그 제빙접시에 비틀림을 주어 제빙접시의 하부에 설치한 제빙고로 탈빙하게끔 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냉각운전시간을 적산하는 제빙에 알맞는 소정온도 이하에서 폐로되는 온도조절기를 직열접속한 타이머장치로 동작하는 타이머스윗치가 일정시간 닫힘으로 시동되어 1싸이클의 동작을 하는 상기 전동기구의 싸이클모우터로 상기 제빙접시와 동주기로 하여 1회전하는 복수의 캠 중 제1캠에서 제어되고 상기 타이머스윗치의 폐로시간 중에 폐로하여 상기 모우터의 1싸이클을 상기 타이머스윗치의 개로 후에도 상기 온도 조절기와 타이머장치와의 직열회로와 싸이클 모우터를 병열로 보유하는 제1스윗치 및 상기 1싸이클의 마지막 기간의 제1스윗치가 열어있는 기간에 상기 제빙접시에 급수펌프를 동작시켜서 급수를 개시함과 동시서 1싸이클 내에서 급수를 정지하게끔 상기 캠 중 제3캠으로 제어되는 제3스윗치로 구성된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KR740001540A 1974-02-18 1974-02-18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KR80000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1540A KR800000366B1 (ko) 1974-02-18 1974-02-18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1540A KR800000366B1 (ko) 1974-02-18 1974-02-18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366B1 true KR800000366B1 (ko) 1980-05-03

Family

ID=1919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1540A KR800000366B1 (ko) 1974-02-18 1974-02-18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36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27547A (ja) 製氷機の運転制御装置
US3803862A (en) Refrigerator including automatic ice maker
US3826102A (en) Refrigerator including automatic ice maker and water reservoir
US3285029A (en) Light control for belt type ice maker
KR800000366B1 (ko) 냉동실 자동 제빙기의 제어장치
US3312080A (en) Household refrigerator including automatic icemaker and control means therefor
US2912836A (en) Ice maker
KR960008175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JPH1183255A (ja) 自動製氷装置搭載冷蔵庫
KR970001294B1 (ko) 냉장고
US2987895A (en) Automatic ice maker
JP2766411B2 (ja) 自動製氷装置
KR100652593B1 (ko) 급속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US2967408A (en) Automatic ice maker
JP2835225B2 (ja) 冷蔵庫
KR970004723B1 (ko) 제빙장치 부착 냉장고
WO2023160681A1 (zh) 制冷电器
KR960010659B1 (ko) 냉장고
JPH09269166A (ja) 製氷機
JPH11304318A (ja) 自動製氷装置
JPH05312447A (ja) 冷蔵庫の自動製氷装置
JPH05164440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2007285641A (ja) 冷凍冷蔵庫
JPH05306860A (ja) 自動製氷装置
JP2809890B2 (ja) 自動製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