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5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59B1
KR960010659B1 KR1019920021519A KR920021519A KR960010659B1 KR 960010659 B1 KR960010659 B1 KR 960010659B1 KR 1019920021519 A KR1019920021519 A KR 1019920021519A KR 920021519 A KR920021519 A KR 920021519A KR 960010659 B1 KR960010659 B1 KR 96001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ce
ice making
refrigerato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500A (ko
Inventor
게이치 나카니시
도시미츠 가토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1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의 제어내용을 나타낸 제1플로우챠트.
제2도는 동 제어내용을 나타낸 제2플로우챠트.
제3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제4도는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냉장고의 사시도.
제6도는 제어내용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1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실 2 : 냉장고 본체
3 : 제빙실 4,5 : 냉동실
6 : 야채실 7 : 자동제빙기
8 : 급수탱크 11 : 급수펌프
12 : 제빙접시 14 : 제빙기본체
18 : 온도검지회로 19 : 제어회로장치(온수제어수단, 제빙제어수단)
22 : 서리제거히터 23 : 압축기
24 : 팬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자동제빙기를 갖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 설치된 자동제빙기에 있어서, 냉동실과 같은 냉각되는 제빙용 스페이스에 제빙접시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재빙접시내에 급수탱크(이것은 일반적으로 냉장실내 설치된다)로 부터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이러한 급수상태에서 제빙접시의 온도가 제빙완료 온도에 달했을때에 그 제빙접시를 비틀면서 회전시켜 제빙접시내에 생성된 얼음을 아래의 얼음 저장박스로 낙하시킨다는 이빙(離氷) 작동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있어서의 냉동사이클의 운전은 냉동실온도에 의해 실시되도록 되어있고 냉동실 온도가 소정의 오프 온도 이하로 저하했을때는 냉동사이클의 운전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이 냉장고에서는 자동제빙기에서의 제빙이 완료하기직전의 타이밍에서 냉동사이클의 운전이 정지되는 일이 때때로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이밍에서 냉동사이클의 운전이 정지됐을때에는 제빙접시의 온도가 제빙완료온도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연장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타이밍에서 냉동사이클의 운전에 정지된 상태가 하루동안에 몇회나 발생하면 하루당 제빙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장고내에 설치된 자동제빙기의 하루당 제빙능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냉장고 온도에 의해 냉동사이클의 운전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한 제빙동작을 실시함과 동시에 제빙완료마다 이빙동작을 실시하는 자동제빙기를 내장해서 이루어진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내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냉동사이클을 냉장고내온도와 관계 없이 강제운전시키고 전기자동제빙기에 의한 제빙동작을 반복시키는 제빙제어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냉동사이클의 운전상태에서는 냉장고내가 냉각됨에 따라 제빙접시도 냉각되게되고 자동제빙기는 상기 제빙접시온도가 제빙완료온도까지 저하했을 때 이빙동작을 실시한다.
급수탱크내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제빙제어수단이 냉동사이클을 온도 제어수단에 의한 냉장고내온도의 제어와 관계없이 강제운전시키고 자동제빙기에 의한 제빙동작을 반복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빙접시의 온도저하가 냉동사이클의 운전정지에 의해 저해되지 않게되고 결과적으로 하루당 제빙능력이 향상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내는 제5도에 있어서 좌우여닫이식의 도아(1a)(1b)를 갖춘 냉장실(1)은 냉장고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서랍식의 도아(3a)를 갖춘 제빙실(3)은 냉장고본체(2)의 중단부분에 설치된다.
이밖에 냉장고본체(2)에는 서랍식의 도아(4a)를 갖춘 냉동실(4), 마찬가지로 서랍식의 도아(4a)를 갖춘 냉동실(5)(제3도 참조), 서랍식의 도아(6)를 갖춘 야채실(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3)은 냉동실(4) 및 (5)와 같은 온도에서 냉각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4도에서 냉장고본체(2)내에 설치된 자동제빙기(7)의 개략구성을 나타내고 아래에 이에 대해 설명한다.
즉 냉장실(1)의 최하부에 형성된 탱크수납코너(1c)에는 급수탱크(8)(제5도에도 도시), 이 급수탱크(8)를 얹어놓은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탱크선반(9), 급수탱크(8)에서 일정한 수위로 급수되는 물받이접시(10), 이 물받이접시(10)내의 물을 퍼올리는 급수펌프(11)가 설치되어있고 이 급수 펌프(11)에 의해 퍼올려진 물은 제빙실(3)내에 설치된 제빙접시(12)내에 급수호스(11a)를 통해 공급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탱크선반(9)에는 급수탱크(8)가 셋트(얹어놓임)된 상태로 온하는 탱크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접시(12)로의 급수량의 제어는 급수펌프(11)를 일정시간 구동함으로서 실시하고 있다.
상기 제빙접시(12)는 탄성변형가능한 플라스틱재료를 형성되어 있고 제빙완료했을때에 모터등을 내장한 제빙기 본체(14)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그 회전의 최종단게에서 비틀림이 부여된다는 이빙동작을 실시하도록 되어있고 이 이빙동작에 의해 제빙접시(12)로 낙하한 얼음은 아래의 얼음저장박스(15)내에 쌓인다.
이 얼음저장박스(15)내에는 그 얼음저장량에 따라 회동하는 얼음저장량검지레버(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16)의 회동량이 설정치에 달했을 때 즉 얼음저장박스(15)내에 소정량이상의 얼음이 쌓였을때에는 상기 제빙기본체(14)내의 도시하지않은 한계스위치를 온해서 이빙동작의 개시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제빙접시(12)의 뒷면에는 그 온도 ti를 검지하기 위한 서미스트(1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서비스트(17)의 검지온도 Ti에 의거 제빙완료시기 등의 제어를 후술한 바와같이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3도에는 전기적구성을 기능블록의 조합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이하 이에대해 설명한다.
온도검지회로(18)은 상기 서비스트(17)의 검지온도 Ti에 의한 전압레벨의 온도신호 Si를 출력하고 온도 제어수단 및 제빙제어수단을 겸한 제어회로 장치(19)에 부여한다.
냉각운전용 온도검지회로(20)는 냉동실(4)(5)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 냉장실(1)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온도센서에 의한 검지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회로장치(19)에 부여한다.
급수램프(21)는 일반적으로 냉장실용문(1b)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점등에 따라 급수탱크(8)내가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는 것을 알리거나 급수탱크(8)의 셋트불량등의 이상통지를 실행한다.
서리제거히터(22)는 도시되지 않음 냉각기에 부설된 것으로 그 통전에 따라 냉각기에 생긴 서리를 융해시킨다.
압축기(23)는 냉장고내 냉장운전용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공지의 것으로 이 구동에 수반하는 냉동사이클의 운전에 따라 상기 냉각기에 액상의 냉매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팬장치(24)는 그 구동에 따라 냉각기에 의한 냉기를 냉장고내에 순화시키기 위해 설치된 공지의 구성이다.
댐퍼장치(25)는 그 개폐에 따라 냉각기에서 냉장실(1)내에 공급되는 냉기양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공지구성의 것이다.
적산 타이머(2b)는 냉각기의 서리제거운전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압축기(23)의 구동시간만큼 타이머동작을 실시하고 그 타이머동작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T(예를들면 8시간)에 달했을때에 서리제 거지령신호 Sd를 출력해서 제어회로장치(19)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적산타이머(26)는 제어회로장치(19)에 의해 냉각기의 서리제거운전이 개시되었을때에 초기화 된다.
제어회로장치(19)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으로 상술한 온도검지회로(18), 냉각운전용 온도검지회로(20), 적산타이머(26)로 부터의 각 입력신호외에 탱크스위치(130로 부터의 온신호도 받게 되어있고 이들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한 제어용 프로그램에 의거 급수펌프(11), 제빙기 본체(14), 급수램프(21), 서리제거히터(22), 압축기(23), 팬장치(24), 댐퍼장치(25)의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는 제어회로장치(19)에 의한 제어내용중 본 발명의 요지에 직접 관계된 부분만이 나타나있어 아래에 이에대해 관련된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전원투입상태에서는 급수탱크(8)의 셋트상태를 탱크 스위치(1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 파단하고 급수탱크(8)가 정확하게 셋트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급수램프(21)를 점등시킨 상태를 급수탱크(8)가 바르게 셋트될 때까지 계속 접속한다(스텝 A1, A2)
급수탱크(8)가 바르게 셋트된 상태에서는 일정시간 ra(5~5분 정도)만큼 일정시간만큼 구동해서 제빙접시(12)로 급수한다(루틴 A4).
이허한 급수동작의 종료후에는 온도검지호로(18)로 부터의 온도신호 Si에 의해 나타난 제빙접시(12)의 온도가 -9.5℃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A5).
이때 제빙접시(12)로의 급수가 정상으로 실행될 경우에는 그 온도 Ti가 상승하지만 급수탱크(8)내의 물부족등에 의해 급수가 정상으로 실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빙접시(12)의 온도 Ti는 -9.5℃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다.
이 경우 Ti〈-9.5℃의 상태일때에는 판단스텝 A7을 반복해서 실행하는 루프를 만들어 소정시간 rb(5~6분 정도)만큼 대기하고(스텝 A6) 그 대기기간중에 Ti-9.5℃가 되지않을 경우에는 이것을 제빙접시(12)로의 급수동작에 이상(급수탱크(8)가 비게된상태도 포함한다)이 발생한 것으로 급수램프(21)를 점등시킨다(스텝 A7).
이러한 점등상태에서는 급수탱크(8)가 재셋트될때까지 혹은 제빙접시(12)의 온도가 -9.5℃ 이상으로 상승할때까지 대기한다(스텝 A8,A9).
그리고 급수탱크(8)가 재셋트되고 혹은 Ti-9.5℃가 될 경우에는 급수램프(21)를 소등시키고(스텝 A10혹은 스텝 A11), 이후 전기스텝 A1이후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러한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상태에서 50분이 경과했을때에는 냉각운전용 온도검지회로(20)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나타난 냉동실온도 Tf가 소정의 오프온도 Toff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A14).
이때 Tf〉Toff였을 경우에는 냉각운전용 온도검지회로(20)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냉장고내 온도의 제어를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루틴 A15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 루핀 A15의 실행중에는 온도신호 Si로 나타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제빙완료온도인 -12.5℃ 이하로 내려갔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A16), Ti≤-12.5℃로 됐을 경우에는 제빙기본체(14)에 의해 이빙동작을 실시하며(루틴 A17), 이후에는 초기상태(스텝 A1)로 돌아간다.
한편 Tf≤Toff였을 경우(스텝 A14로 [YES])에는 압축기(23) 및 팬장치(24)의 강제운전 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정지시키고(스텝 A18). 이후 15분이 경과할때까지 혹은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이하로 저하할때까지 대기한다(스텝 A19,A20).
이때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저하할 경우에는 제빙기 본체(14)에 의한 이빙동작 루틴 A21을 실행한후에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저하하지 않고 15분이 경과했을 때(스텝 A19로 [YES])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재개시키고(스텝 A22), 이 상태에서 40분간 경과할 때 까지 혹은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갈때까지 대기한다(스텝 A23,A24).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는 제빙기본체(14)에 의해 이빙동작을 실시하고(루틴 A25), 이후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정지시키고 15분간만 대기해서(스텝 A26,A27) 초기상태(제1도에 나타낸 스텝 A1)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대기상태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가지 않고 40분이 경과했을때(스텝 A23으로 [YES])에는 냉동실온도 Tf가 오프온도 Toff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A28), TfToff였을 경우에는 상술한 냉장고내 온도의 통상제어 루틴 A15(제1도 참조)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Tf≤Toff였을 경우(스텝 A28로 [YES])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정지시키고(스텝 A29), 이후에 15분이 경과할때까지 혹은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저하할때까지 대기한다(스텝 A30,A31).
이때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저하했을 경우에는 제빙기본체(14)에 의한 이빙동작 루틴 A32를 실행한 후에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저하하지 않고 15분이 경과했을때(스텝 A30으로 「YES」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재개시키고(스텝 A33), 이 상태에서 25분간 경과할때까지 혹은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갈때까지 대기한다(스텝 A34,A35).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는 제빙기본체(14)에 의해 이빙동작을 실시하고(루틴 A36). 이후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정지시키고(스텝 A37), 초기상태로 돌아온다.
상기 대기상태에서 제빙접시(12)의 온도 Ti가 -12.5℃ 이하로 내려가지 않고 25분이 경과했을때(스텝 A34로 「YES」)에는 냉장고내 온도의 통상 제어루틴 A15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1도, 제2도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어회로장치(19)는 이빙동작 루틴 A17, A21, A25, A32, A36의 각 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량 검지레버(16)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리미트스위치가 온도어 있을 경우에는 이비동작을 실시하지 않고 예를들면 그후의 급수동작루틴 A4, 판단스텝 A5, 강제운전개시 스텝 A13등을 뛰어넘어 통상제어루틴 A15 이후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있다.
이상의 제어가 실시된 RUF과 급수탱크(8)가 소정위치에 셋트되고 또한, 그 급수탱크(8)로 부터 제빙접시(12)로의 급수가 실시되는 상태(즉 급수탱크(8)내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냉동사이클이 냉장고내 온도제어와 관계없이 강제운전되는 상태가 계속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운전은 정지시간(15분)을 사이에 두고 소정시간(50분, 40분, 25분)씩 반복하면서 실행되지만 그 사이에 제빙접시(12)에서의 제빙이 완료했을때에는 이빙동작 및 상기 강제운전의 정지동작이 실시됨과 동시에 급수탱크(8)로 부터 제빙접시(12)로 급수되어 강제운전이 재개되고 따라서 급수탱크(8)내에 물이 있을 기간에는 자동제빙기(7)에 의한 제빙동작이 반복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빙접시의 온도저하가 냉동사이클의 운전정지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게되고 결과적으로 하루당 제빙능력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강제운동의 개시후에 50분간 경과한 시점에는 냉동실온도 Tf가 소정의 온프온도 Toff에 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강제운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냉장고내온도의 통상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냉장실(1)혹은 야채실(6)에서의 열부하가 증대하고 냉동실온도 Tf가 충분히 내려갈 수 없는 상태에 있을 경우에 있어서 냉동사이클의 운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것에 기인해 이들 냉장실(1) 혹은 야채실(6)의 온도가 부주의하게 상승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실온(냉장고의 설치분위기의 온도)과 관계없이 실시하도록 하지만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을 실온이 높을 경우만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구성으로서도 좋고 이 구성을 채용할 경우에는 실온이 낮은 상태의 계절 즉 얼음의 사용량이 적어져서 제빙능력을 올릴 필요가 없는 계절에는 냉동사이클의 강제운전이 불규칙적으로 실시되는 일이 없어지는 잇점이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실온을 검지하는 실온센스를 설치하고 제어회로장치(19)의 제어용 프로그램에 대해 그 실온센서의 검지출력에 의거한 제6도에 나타낸 제어 스텝 A38을 추가하게 된다.
이 제6도는 상기 제1도에 대응한 것으로 제어회로장치(19)는 스텝 A5의 실행후에 상기 스텝 A38을 실행한다.
이 스텝 A38에서는 실온센서로 부터의 출력에 의해 나타낸 실온이 15℃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15℃ 이상이였을 경우에는 스텝 A12 이후의 제어를 실행하고 15℃ 미만이였을 경우에는 스텝 A15 이후의 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의 설명에 의해 나타낸 바와같이 급수탱크로 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한 제빙동작을 실시함과 동시에 제빙완료마다 이빙동작을 실시하는 자동제빙기를 내장해서 이루어진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내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냉동사이클을 냉장고내 온도제어와는 관계없이 강제운전시키고 상기 자동제빙기에 의한 제빙동작을 반복시키도록 한 것으로 자동제빙기의 하루당 제빙능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냉장고내의 온도에 의거 냉동사이클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급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빙접시에 유도하고 제빙동작 및 제빙완료마다 이빙동작을 실행하는 자동제빙기를 냉장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내에서 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 및 해당검지수단에 의해 물이 있다는 검지결과에 의거 상기 냉동사이클을 냉장고내의 온도와는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운전해서 상기 자동제빙기에 의한 제빙동작 및 이빙동작을 반복시키는 제빙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검지수단은 제빙접시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계에 의해 해당온도가 소정온도이하일때에 상기 급수탱크에 물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20021519A 1991-11-14 1992-11-14 냉장고 KR960010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99147 1991-11-14
JP3299147A JPH05133653A (ja) 1991-11-14 1991-11-14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00A KR930010500A (ko) 1993-06-22
KR960010659B1 true KR960010659B1 (ko) 1996-08-07

Family

ID=1786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19A KR960010659B1 (ko) 1991-11-14 1992-11-1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33653A (ko)
KR (1) KR960010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8357B2 (ja) * 2010-06-09 2014-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33653A (ja) 1993-05-28
KR930010500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9732C (en) Reduced energy refrigerator defrost method and apparatus
CA2108342C (en) Method for sequentially operating refrigeration system with multiple evaporators
EP2520880B1 (en) Cooling box
US7966836B2 (en) Cooling storage cabinet
JP2006226615A (ja) 冷蔵庫
US6330803B1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US4358933A (en) Household refrigerator defrost system
KR970001294B1 (ko) 냉장고
KR960010659B1 (ko) 냉장고
JP3874941B2 (ja) 冷蔵庫
KR19990030144A (ko) 냉장고
KR200153893Y1 (ko) 냉장고
KR1005574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2174483A (ja) 冷却装置
JP2944339B2 (ja) 冷蔵庫
JPH1183255A (ja) 自動製氷装置搭載冷蔵庫
JP2835225B2 (ja) 冷蔵庫
JP4740072B2 (ja) 冷蔵庫
KR100239534B1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JP7465135B2 (ja) 冷却貯蔵庫
JPH05340655A (ja) 冷蔵庫
JPH08214850A (ja) 解凍庫及び解凍庫における解凍運転制御方法
JP3640368B2 (ja) 冷蔵庫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冷蔵庫
JPH07310976A (ja) 冷蔵庫
JP3611961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