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75B1 -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75B1
KR800000275B1 KR7501673A KR750001673A KR800000275B1 KR 800000275 B1 KR800000275 B1 KR 800000275B1 KR 7501673 A KR7501673 A KR 7501673A KR 750001673 A KR750001673 A KR 750001673A KR 800000275 B1 KR800000275 B1 KR 80000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hz
supplied
frequenc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모리오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50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의 일예의 계통도.
제2도는 이에 따른 재생계의 일예의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예의 계통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이에 따른 재생계의 일예의 계통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선명을 하기 위한 스펙트럼도.
제9도는 똑 같은 형태의 파형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변조하여 자기 테이프등에 기록하는 영상신호의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N비가 좋아지고, 또 헤드의 공극과 기록매체와의 간격에 의한 손실인 공간 손실(spacing loss)이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 방법의 일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의 예는, 흑백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로써, 입력단(1)에서의 영상신호를 저역통과 필터(2)에 공급하여 예를들어 fA=3.5MHz까지의 성분을 인출하고, 이 주파수 fA=3.5MHz 까지의 영상신호 YA(제7도A)를 평형변조기(3)에 공급하고 발진기 (4)에서의 예를들어 fB=4MHz의 반송파를 평형변조하여 피변조영상신호 YB(제7도 B)를 얻는다. 이 경우 예를들면, 제9도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변조 영상신호 YB는, 영상신호 YA의 동기신호 SH에 상당하는 부분 MH의 진폭이, 다른 부분의 진폭보다도 크게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신호 YA의 백레벨이나 흑레벨에 상당하는 부분의 진폭보다도 크게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피변조 영상신호 YB를, fB=4MHz로 6dB 낮아지는 특성의 잔류측파대 필터(5)에 공급하고, 이하측대파성분Yc(제7도c)를 인출하고, 이것을 주파수변환기(6)에 공급하여, 발진기(7)에서의 예를들어 fC=5MHz인 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하고, 반송주파수가 fE=fC-fB=1MHz인 상측대파의 신호 YD와 반송주파수가 fE=fC+fB=9MHz인 하측대파의 신호 YE를 얻는다.(제7도d). 이들신호 YD와 YE를 저역 통과필터(8)에 공급하고, 반송주파수가 fD=1MHZ로 낮은 상측대파의 피변조 영상신호 YD를 인출하고 (제7도E), 이것을 앰프(9)를 통하여 자기헤드(10)에 공급하여 예를들어 자기테이프 상에 기록한다.
재생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헤드(11)에서의 재생신호 YD(제7도E)를 재생앰프(12)를 통하여 주파수 변환기(13)에 공급한다. 한편 가변주파수 발진기(14)에서의 0.5MHz의 신호와 발진기(15)에서의 4.5MHz 신호를 주파수변환기(16)에 공급하여, fS=4MHz 인신호와 fC=5MHz인 신호를 얻고, 필터(17)에서 fB=4MHz의 신호를 인출하고, 필터(18)에서 fC=5MHz의 신호를 인출한다.
이 필터(18)에서의 fC=5MHz 신호를 주파수 변환기(13)에 공급하여 재생신호 YD를 주파수 변환하고, 반송 주파수가 fC-fD=fB=4MHz인 하측대파의 신호 YF및 반송주파수가 fC+fD=fG=6MHz인 상측대파신호 YG를 얻는다(제7도F). 이들 신호 YF및 YG를 저역통과 필터(19)에 공급하여, 기록시에 필터(5)로부터 얻어진 신호 YC(제7도C)와 같은 형태의, 반송주파수가 fB=4MHz인 하측대파의 피변조 영상신호YF를 인출한다 (제7도G). 이들을 동기 검파회로(20)에 공급하여 필터(17)에서의 fB=4MHz인 신호로서 동기검파하고, 출력단 (21)에 동기 검파된 영상신호를 얻는다.
이 경우, 필터(19)에서의 피변조 영상신호 YF는, 기록시에 평형변조기(3)에서 얻어지는 피변조 영상신호 YB와 똑같이, 제9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동기신호에 상당하는 부분 MH의 진폭이 다른부분의 진폭보다도 크기 때문에, 또 이피변조 영상신호 YF를 케이트 회로 (22)에 공급하고, 또 이것을 엔벨로프(envelope) 검파회로(23)에 공급하고 그 검파출력을 동기신호 위치 검출회로(24)에 공급하여 동기신호 위치에서 게이트신호를 얻으며, 이것을 게이트 회로(22)에 공급하므로서, 게이트회로(22)에서 주파수가 fB=4MHz인 동기신호에 상당하는 부분 MH를 인출하고 (제9도C), 이것을 위상 비교회로(25)에 공급하여 필터(17)에서의 fB=4MHz인 신호와 위상비교하고, 그 비교오차 전압을 가변주파수 발진기(14)에 공급하여 그 발진주파수를 제어 한다.
따라서, 가변주파수 발진기(14)의 발진주파수가 제어되고 필터(18)에서의 주파수변환용 신호의 주파수가 제어되므로서, 지터(jitter) 보정이 됨과 동시에, 제9도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래의 영상신호 YA가 직선 a로 표시한 백레벨과 흑레벨의 중간 레벨보다도, 백레벨쪽에 있는가 혹 레벨쪽에 있는가에 따라서, 즉 도면과 같은 톱니파형일 경우 구간 TA에 있는가 구간 TB에 있는가에 따라서, 평형변조 신호 YB의 위상이, 즉 필터(19)로부터 얻어진 피변조 영상신호 YF의 위상이 반전되어 있어도, 필터(17)로 부터의 fB=4MHz인 동기 검파용 신호는, 그 동기신호에 상당하는 부분 MH의 위상에 동기한 것이 되기 때문에, 출력단(21)에는, 기록시에 필터(2)에서 얻어지는 신호 YA와 똑같은 영상신호가 얻어진다.
제3도의 예는, 칼라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로서, 입력단(31)에서의 칼라영상신호를 저역통과 필터(32)에 공급하여 예를들어 fB=2.99MHz 까지의 성분의 휘도신호 YA(제8도A)를 인출하고, 이것을 평형변조기(33)에 공급한다. 한편 가변 주파수발진기 (34)에서의 수평 주파수를 fH로 할때 fL=2n+1/2 fH의 관계인 (n는 적당한 정의 정수, 예를들어 fL=75/2 fH=0.59MHz인 신호와, 발진기(35)에서의 fS=3.58MHz인 신호를 주파수 변환기 (36)에 공급하여, fS-fL=fB=2.99MHz인 신호와 fS+fL=fC=4.17MHz인 신호를 얻고, 필터(37)로 부터 fB=2.99MHz인 신호를 인출하고, 필터(38)로부터 fC=4.17MHz인 신호를 인출하여, 이 필터(37)에서의 fB=2.99MHz인 신호를 평형변조기(33)에 공급하여 휘도신호 YA로서 평형변조하여, 이로부터, 피변조 휘도신호 YB(제8도B)를 얻는다. 이 경우도, 예를들면, 제9도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변조 휘도신호 YB, 휘도신호 YA의 동기신호 SH에 상당하는 부분 MH의 진폭이, 다른부분의 진폭보다도 크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피변조 휘도신호 YB를, fB=2.99MHz로 6dB 낮아지는 특성을 가진 잔류 측파대 필터(39)이 공급하여, 그 하측대파 성분 YC(제8도C)를 인출하고, 이것을 합성기(40)에 공급한다. 또한 입력 칼라 영상신호는 대역통과 필터(41)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S=3.58MHz인 반송색신호 CS(제8도C)를 인출하고, 이것을 합성기(40)에 공급하여 피변조 휘도신호 YC와 합성한다.
그리고 그 합성신호 YC+CS를 주파수변환기(42)에 공급하여 필터(38)에서의 fC=4.17MHz인 신호로서 주파수변환하고, 회도신호에 대해서는, 반송주파수가fD=fC-fS=(fS+fL)-(fS-fL)=2fL=1.18MHz인 휘상측대파의 신호 YD와, 반송주파수가 fE=fC+fB=2fS=7.16MHz인 하측대파의 신호 YE를 얻는다. 또한 반송색 신호에 대해서는, 반송주파수가 fL=fC-fS=0.59MHz인 신호 CL과, 반송주파수가 fH=fC+fS=2fE+fL=7.75MHz인 신호 CH를 얻는다(제8도D). 이들 신호 YD,YE,CL및 CH를 저역통과 필터(43)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D=1.18MHz로 낮은 상측파대의 피변조 휘도신호 YD와, 그 저역측에서 주파수변환 된 반송 주파수가 fL=0.59MHz인 반송색신호 CL을 인출하고(제8도E), 이를 기록 앰프(44)를 통하여 자기헤드(45)에 공급하여 예를들어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한다.
이 경우, 입력 칼라 영상신호를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46)에 공급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인출하고, 이것을 위상비교 회로(47)에 공급한다. 또한 가변 주파수 발진기(34)에서의 fL=75/2 fH=0.59MHz인 신호를 분주기(48)에 공급하여 2/75로 분주하여 수평주파수 fH의 신호로 하고, 이것을 위상비교회로(47)에 공급하고, 그 비교오차 전압을 가변주파수발진기(34)에 공급하여 그 발진주파수를 제어한다. 또한 대역통과필터(41)에서의 반송색신호를 버스트 게이트회로(49)에 공급하고, 회로(46)에서의 수평동기신호를 파형정형회로(50)에 공급하여 버스트 게이트신호를 얻고, 이것을 버스트 게이트희로(49)에 공급하여 버스트 신호를 인출하고, 이것에서 발진기(35)를 동기 구동한다.
재생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기헤드(51)에서의 재생신호 YD및 CL(제8도E)를 재생앰프(52)를 통하여 주파수 변환기(53)에 공급한다. 한편 가변주파수 발진기(54)에서의 fL=0.59MHz인 신호와 발진기(55)에서의 fS=3.58MHz인 신호를 주파수 변환기(56)에 공급하여, fS-fL=fB=2.99MHz 인 신호와 fS十fL=fC=4.17MHz인 신호를 얻고, 필터(57)에서 fB=2.99MHz인 신호를 인출하고, 필터(58)에서 fC=4.17MHz인 신호를 인출하고, 이 필터(58)에서의 fC=4.17MHz인 신호를 주파수변환기(53)에 공급하여 재생신호 YD및 CL을 주파수 변환한다. 휘도신호에 대해서는, 반송주파수가 fB=fC-fD=2.99MHz인 하측대파의 신호 YF와, 반송주파수가 fG=fC+fD=5.35MHz인 상측대파의 신호 YG를 얻는다. 또한 반송색 신호에 대해서는, 반송주파수가 fS=fC-fL=3.58MHz인 신호 CL과, 반송주파수가 fI=fC+fL=fS+2fL=4.76MHz 인 신호 CI를 얻는다.(제8도F). 그러고 이들신호 YF, YG, CS및 CI를 저역통과필터에 공급하여, 기록시에 필터(59)에서 얻어진 신호 YC(제8도C)와 같은, 반송주파수가 fB=2.99MHz인 하측대파의 피변조휘도신호 YF를 취출하고(제8도G), 이것을 동기검파회로(60)에 공급하여 필터(57)에서의 fB=2.99MHz인 신호로서 동기 검파하고, 검파된 휘도신호를 합성기(61)에 공급한다. 한편 주파수변환기(53)에서의 신호 YF, YG, CS및 CI를 대역통과 필터(62)에 공급하여, 반송주색수가 fS=3.58MHz인 반송색신호 CS를 인출하고(제8도H), 이것을 합성기(61)애 공급하여 휘도신호와 합성하고, 출력단(63)에서 재생칼라 영상신호를 얻는다.
이 경우, 예를들어 제2도의 재생계와 같이, 회로(22) 내지(25)를 설치하여 가변주파수 발진기(54)의 발진주파수를 제어 한다.
또한 이 경우, 필터(62)에서의 반송색신호 CS를 버스트 게이트회로에 공급하여 회로(24)에서의 동기신호 위치에서의 게이트 신호를 지연시킨 버스트게이트신호에서 버스트신호를 인출하고, 이것을 발진기(55)에서의 fS=3.58MHz인 신호와 위상비교하고, 그 비교오오차 전압을 가변주파수 발진기(54)에 공급하여 그 발진주주파수를 제어하여도 좋다.
제5도는 재생계의 다른예로서, 피변조휘도신호와 반송색 신호를 별개의 신호에 의해 주파수 변환하도록한 경우이다. 즉, 자기헤드(51)에서의 생신호 YD및 CL(제8도E)을 재생앰프(52)를 통하여 고역통과 필터(64)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D=1.18MHz인 피변조휘도신호 YD를 인출하고, 이것을 주파수변환기(65)에 공급한다. 한편 이 필터(64)에서의 신호 YD를 리미터(66)을 통하여 발진기(67)에 공급하여 fD=1.18MHz의신호를 얻고, 이것을주파수변환기(68)에공급하고, 발진기(69)에서의 fS=3.58MHz인 신호를 주파수변환기 (68)에 공급하고, 주파수 변환기 (68)에서 fI=fD+fS=4.76MHz인 신호를 얻고, 이것을 필터(70)를 통하여 인출하여 주파수 변환기(65)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I-fD=fS=3.58MHz로 변환된 피변조휘도 신호를 얻고, 이것을 저역통과 필터(71)를 통하여 동기 검파회로(60)에 공급하여, 발진기(69)에서의 fS=3.58MHz인 신호로서 동기 검파하고, 검파된 휘도신호를 합성기(61)에 공급한다. 또한, 재생신호 YD및 CL은 저역통과 필터(72)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L=0·59MHZ인 반송색신호 CL을 인출하고, 이것을 주파수 변환기(73)에 공급한다. 한편, 발진기(67)에서의 fD=1.18MHz인 신호를 분주기(74)에 공급하여 1/2로 분주하여 fL=0.59MHz인 신호를 얻고, 이것을 주파수변환기(75)에 공급하고, 또한 발진기(69)에서의 fS=3.58MHz인 신호를 주파수변환기(75)에 공급하고, 주파수변환기(75)로 부터 fC=fL+fS=4.17MHz인 신호를 얻고, 이것을 필터(76)을 통하여 인출하여 주파수변환기(73)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C-fL=fS=3.58MHz로 되돌아온 반송색신호 CS를 얻고, 이것을 대역통과 필터(77)를 통하여 합성기(61)에 공급하여 검파된 휘도신호와 합성하고, 출력단(63)에서 재생칼라 영상신호를 얻는다.
상술한 예는, 흑백 영상신호 혹은 칼라영상신호중의 휘도신호를 평형변조한 경우이지만, 평형변조하지 않고 통상의 진폭 변조에서도 좋다.
또한, 위상변조나, 주파수변조에서도 좋다. 이경우도,우선 반송주파수가 높은 하측대파의 신호로 되도록 위치변조 혹은 주파수변조하고, 이것을 주파수 변환하므로서 반송주파수가 낮은 상측대파의 피변조신호를 얻도록 하면 좋다. 또한, 재생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칼라 영상신호의 경우,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면 좋다.
즉, 헤드(51)에서, 예를들어 반송주파수가 fD=1.18MHz인 상측대파의 위상변조된 휘도신호와 반송주파수가 fL=0.59MHz인 반송색신호 CL의 합성신호가 얻어지는 것으로 하면, 이 재생신호는 재생앰프(52)를 통하여 주파수변환기(53)에 공급한다.
한펀, 가변주파수 발진기(54)에서의 fL=0.59MHz인 신호와 발진기(55)에서의 fS=3.58MHz인 신호를 주파수변환기(56)에 공급하여 fS+fL=fC=4.17MHz인 신호를 얻고, 이것을 필터(58)를 통하여 인출하여 주파수변환기 (53)에 공급하여, 반송주파수가 fB=fC-fD=2.99MHz인 위상변조된 휘도신호와 반송주파수가 fS=fC-fL=3.58MHz인 반송색신호 CS를 얻고, 이것을 저역통과 필터(56)에 공급하여 위상 변조된 휘도신호를 인출함과 동시에, 대역통과 필터(62)에 공급하여 반송색신호 CS를 인출한다. 그리고, 위상변조된 휘도신호는 리미터(78)를 통하여 복조기(79)에 공급하고, 복조된 휘도신호를 합성기(61)에 공급하여 필터(62)에서의 반송색신호 CS와 합성하고, 출력단(63)에서 재생칼라 영상신호를 얻는다.
이 경우, 필터(62)에서의 반송색신호 CS를 버스트게이트 회로(80)에 공급하고, 또한 복조기(78)에서의 휘도 신호를 수평동기신호 분리회로(8)에 공급하고, 여기서 수평동기신호를 파형정형회로(82)에 공급하여 버스트 게이트 신호를 얻고, 이것을 버스트 게이트 회로(80)에 공급하여 버스트 신호를 인출하고 이것을 위상 비교회로(83)에 공급하여 발진기(55)에서의 fS=3.58MHz인 신호와 위상비교하고, 이 비교오차전압을 가변주파수 발진기(54)이 공급하여 그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칼라 영상신호의 기록을 하는 경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상태의 피변조 휘도신호의 반송주파수는, 저역측에 변환된 반송색신호의 반송주색수를 상술한 값보다 낮게 할수 있을때에는 그의 3배 혹은 4배 정도로 선택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이 저역변환된 반송색신호의 반송주파수의 정수 배로 선택할 필요는 없고, 피변조 휘도신호의 스펙트럼과 저역변환된 반송색신호의 스펙트럼이 중첩되지 않는 범위의 낮은 주파수로 선택하면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S/N가 좋아지고, 또한 헤드의 공극과 기록매체의 간격에 의한 손실인 공간손실을 작게할 수 있다.
즉, 자기테이프등의 기록, 재생특성은 비교적 낮은, 예를들면 1MHz 전후의 주파수의 것으로서 피이크를 두지단, 본발명 방법에서는, 피변조신호의 반송주파수를 낮게할 수 있으므로 이 피이크 전후에 반송주파수가 오게된다. 따라서 S/N가 좋게된다. 또한 공간손실 신호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크게되므로, 반송주파수를 낮게하므로서 공간손실을 작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방법에 의하면, 차례전의 트랙 일부에 중첩되도록 트랙을 형성하여 신호를 기록하고, 따라서 잔류 유효 트랙사이에 간격이 없고, 재생시 복수의 트랙을 함께 재생하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 충실성이 좋은 재생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같은 기록 재생방법을 취하는 경우, 기록에 있어서 진폭변조나 위상변조를 행하는 동시에, 그반송파의 위상이 각 트랙에서 그 연장방향의 각 위치에 일치하게 하면, 재생시 충실성이 좋은 재생신호를 얻을 수 있지만, 이 방법에서 본 발명 방법을 사용할 때는, 기록시 결합트랙으로서 반송파의 시간 어긋남이 생겨도 그 주파수가 낮으므로 그 위상의 어긋남은 작아지고, 따라서 재생신호의 충실도가 손상을 입는 일이 없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신호를 반송주파수가 낮은 상측 대파의 피변조신호로서 인출하고, 이 피변조 영상신호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도록한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KR7501673A 1975-07-30 1975-07-30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KR80000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673A KR800000275B1 (ko) 1975-07-30 1975-07-30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1673A KR800000275B1 (ko) 1975-07-30 1975-07-30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75B1 true KR800000275B1 (ko) 1980-04-09

Family

ID=192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1673A KR800000275B1 (ko) 1975-07-30 1975-07-30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025B1 (ko) 색신호 기록 및 재생회로
JPS5924589B2 (ja) カラ−像変換方式
GB1433904A (en) Method of recording television video information
US3660596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US3580990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s
JPS5857035B2 (ja) カラ−映像信号の記録装置
US4344082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a frequency-converted chrominance component that is substantially free of cross-talk components
US4156256A (en) Arrangement for the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wide frequency band video signals
JPS5827716B2 (ja) ジキキロクソウチ
KR800000275B1 (ko) 영상신호의 기록방법
US4564868A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improved audio characteristics
JPS6015866A (ja) 少なくとも1つの音声信号が記録されるビデオレコ−ダ
US3798361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KR820000874B1 (ko) 비디오 디스크 시스템용 칼라화면정보 레코드 재생장치
KR820000873B1 (ko) 비디오 디스크 시스템용 칼라화면 정보 기록장치
JPS6091782A (ja) 磁気記録装置
JPS6225029Y2 (ko)
JPH0230232B2 (ko)
JPS5919198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28393B2 (ko)
JPS6019719B2 (ja) 同期情報の伝送方法
JPS6220486A (ja) 信号分離回路
JPS5816388B2 (ja) 映像信号記録方式及び記録再生方式
JPH0290880A (ja) Fm変調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S6016157B2 (ja) Secam方式カラ−テレビジョン信号の記録再生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