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0352A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0352A
KR20240100352A KR1020247013521A KR20247013521A KR20240100352A KR 20240100352 A KR20240100352 A KR 20240100352A KR 1020247013521 A KR1020247013521 A KR 1020247013521A KR 20247013521 A KR20247013521 A KR 20247013521A KR 20240100352 A KR20240100352 A KR 2024010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ether
belt
child sea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0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0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60N2/2809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with additional tethe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hild seat and passing above the top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Abstract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탑테더를 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시트부(11)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고, 해당 시트부(11) 및 배면부(12)를 결합하였을 때 양자의 경계 부분에 관통 구멍(13)을 형성한다. 차일드 시트 본체(2)는, 탑테더(5)가 사용되지 않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해당 탑테더(5)를 관통 구멍(13)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탑테더 선두부(5F)를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킨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탑테더 선두부(5F)를 시트부(11)에 수납함과 함께, 테더 벨트(71)의 근원측 부분을 차일드 시트 본체(2)에 대략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차일드 시트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에 유유아를 태우는 경우에, 당해 차량의 시트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차일드 시트는, 유유아의 체격이 비교적 작아, 차량의 시트 벨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해당 차일드 시트를 차량에 고정하고, 해당 차일드 시트에 마련된 시트 벨트(하니스라고도 불림)에 의해 유유아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에 관해서는,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SOFIX로 불리는 규격이 정해져 있다. 이 ISOFIX에서는, 차일드 시트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금속 부재를, 차량의 시트에 내장된 금속 부재에 걸림 결합시킴과 함께, 배면부의 상단 근방 등에 마련된 끈상의 탑테더의 선단을, 차량측의 소정의 금속 부재에 걸림 결합시킨다.
한편, 차일드 시트는, 유유아의 체격이 비교적 큰 경우, 차량의 시트 벨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일드 시트는, 차량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로서, ISOFIX의 걸림 결합 금속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하고, 사용 시에 후방으로 변위하여 돌출시키는 한편, 불사용 시에 전방으로 변위하여 수납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 공개 제2015/151181호(도 3 등)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탑테더의 적절한 수납 방법이 없어, 배면부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해당 탑테더가 현수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번잡한 인상을 주는 것 외에, 차량의 주행 중에 여기저기로 움직여 안전성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탑테더를 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는,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 및 해당 유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배면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배면부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탑테더와, 배면부 및 시트부가 접속되는 부분의 근방에 마련되며, 배면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시트부의 상면인 시트면에 형성되며, 탑테더의 일부분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탑테더를 배면부의 후방측으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해 해당 배면부의 전방측 또한 시트부의 상측에 도달시킬 수 있고, 이 시트부의 시트면에 마련된 수납 오목부에 해당 탑테더를 수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탑테더를 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차일드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3은 시트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배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5는 탑테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선적 사시도이다.
도 6은 차일드 시트 본체의 개략 선적 정면도이다.
도 7은 탑테더를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의 개략 선적 단면도이다.
도 8은 탑테더를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의 개략 선적 배면도이다.
도 9는 탑테더를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의 개략 선적 평면도이다.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함)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차일드 시트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차일드 시트(1)는, 주니어 시트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크게 나누어, 차일드 시트 본체(2), 커버(3), 시트 벨트군(4) 및 탑테더(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3)는, 차일드 시트 본체(2)나 시트 벨트군(4)에 있어서 유유아와 접하는 부분의 표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3)는, 천이나 스펀지재 등의 조합에 의해, 부분마다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각각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있다. 또한, 커버(3)는, 각 부분이 차일드 시트 본체(2)나 시트 벨트군(4)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트 벨트군(4)은, 복수의 벨트나 부품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일부가 차일드 시트 본체(2)에 설치되거나, 또는 내장되어 있다(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이 시트 벨트군(4)은, 유유아를 착좌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
탑테더(5)는, 가늘고 긴 끈상의 벨트나 금속 부재 등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탑테더(5)는, 차일드 시트(1)의 후방 상측 부분과, 차량 내의 소정 개소에 마련된 차량측 금속 부재 사이에서 걸쳐짐으로써, 해당 차일드 시트(1)의 후방 상측 부분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하는 유유아로부터 본 경우의 전방향, 후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을, 각각 「전」, 「후」, 「상」 및 「하」라 칭한다. 또한,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하는 유유아를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방향 및 우방향을, 각각 「좌」 및 「우」라 칭한다. 또한, 이후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커버(3) 및 시트 벨트군(4)을 적절히 생략하였다.
[2. 차일드 시트 본체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차일드 시트 본체(2)는, 크게 나누어, 주로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11)와, 주로 유유아의 등 부분 등을 지지하는 배면부(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시트부(11)와 배면부(12)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일드 시트 본체(2)는, 사용 시에, 시트부(11) 및 배면부(12)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한편, 차일드 시트 본체(2)는, 불사용 시에, 시트부(11)와 배면부(12)가 분리된 후에 적절히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 상태가 되어, 예를 들어 차량의 트렁크 등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2-1. 시트부의 구성]
도 3은 시트부(11)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시트부(11)는, 시트 본체부(21)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각각에 암레스트(22), 시트측 걸림 결합부(23) 및 차량 걸림 결합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단 도 3에서는, 작도의 사정상, 우측의 차량 걸림 결합부(24)를 생략하였다.
시트 본체부(21)(도 3)는, 유유아가 착좌하였을 때 당해 유유아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시트 본체부(21)의 상면인 시트면(21S)은, 유유아의 체형에 맞춘 완만한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면(21S)은, 전방측의 약 1/3의 범위가, 전방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하강하는 경사면이며, 후방측의 약 2/3의 범위가, 후방측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조금씩 하강하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시트면(21S)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약 1/3 정도 진행한 개소에, 가장 높은 시트면 정상부(21ST)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면 정상부(21ST)는, 대략 좌우 방향을 따른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시트면(21S)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중앙 부근에는, 벨트 설치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벨트 설치부(25)에는, 가랑이 벨트(51)(상세하게는 후술함)가 설치된다.
시트면(21S)에 있어서의 벨트 설치부(25)의 전방측에 인접하는 개소에는, 주위보다도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수납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납 오목부(26)는, 유유아가 시트면(21S)에 착좌한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유유아의 가랑이 부분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좌우의 시트면 정상부(21ST)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수납 오목부(26)는, 상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좌우 방향의 길이가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전체 폭의 약 2/5 정도이고, 전후 방향의 길이가 시트부(11)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약 1/3 정도로 되어 있다. 일례로서, 수납 오목부(26)는, 전후 방향의 길이를 약 140[㎜]으로 하고, 좌우 방향의 길이를 약 110[㎜]으로 하고, 시트면 정상부(21ST)의 근방에 있어서의 깊이(상하 방향의 길이)를 약 50[㎜]으로 할 수 있다.
암레스트(22)는, 시트 본체부(21)에 있어서의 좌우 각각의 변에 있어서의 후방 근처에 있어서, 상방향을 향하여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암레스트(22)에 있어서의 전방 상측 부분은, 후상방으로부터 전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완만한 암 곡면을 형성하고 있어, 차일드 시트(1)에 착좌한 유유아의 암부를 올려놓을 수 있다.
시트측 걸림 결합부(23)는, 시트 본체부(21)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각각 약간 이격된 개소에 위치하고 있고, 주로 걸림 결합 공간(31) 및 걸림 결합축(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공간(31)은, 시트 본체부(21)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잘라내어진 형상이며, 해당 시트 본체부(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걸림 결합축(32)은, 중심축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한 원기둥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축(32)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 보강축(도시하지 않음)의 주위를, 수지 재료에 의해 피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트 본체부(21)의 후단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측 걸림 결합부(23)끼리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후방 중앙 돌출부(27)가 마련되어 있다. 이 후방 중앙 돌출부(27)의 상면이며, 시트면(21S)과 연속하는 평면상의 부분을, 후방 중앙 상면(27S)이라 칭한다. 또한 후방 중앙 돌출부(27)의 후방면에는, 시트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28)은, 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길고,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짧은, 슬릿상의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시트부(1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있다.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시트 본체부(21)의 내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변 근방의 후방 하측이며, 암레스트(22)의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에 각각 내장되어 있다.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ISOFIX(ISO 13216-1:1999)라 불리는 규격에 준거한 것이며, 차량의 시트에 마련된 차량측 금속 부재(앵커나 로어 앵커리지라고도 불림)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그 후단 부분에, 차량측 금속 부재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보호자 등의 조작에 의해, 시트 본체부(2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변위함과 함께,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후방향으로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불사용 시에 가장 전방으로 변위됨으로써, 수납할 수도 있다.
[2-2. 배면부의 구성]
도 4는 배면부(12)를 도시한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배면부(12)는, 시트부(11)에 설치되는 배면 기체부(41)와, 해당 배면 기체부(41)의 전방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변위)가 가능한 배면 변위부(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면 기체부(41)는, 전체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약간 짧고, 전후 방향으로 더 짧은 직육면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배면 기체부(41)는, 그 대부분이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주로 전방측이나 내측의 면을 형성하는 부품과, 주로 후방측이나 외측을 형성하는 부품의 조합에 의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 기체부(41)의 좌우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 유유아의 견부나 헤드부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체부(41)의 각 부에는, 다양한 부품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기 구멍이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체부(41)의 상단 근방에는, 탑테더(5)(도 1 및 도 2)를 설치하기 위한 테더 설치부(43)가 마련되어 있다.
배면 기체부(41)의 하단 부분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2개소에, 시트부(11)와 걸림 결합하는 배면측 걸림 결합부[44(44L 및 44R)]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걸림 결합부(44)는, 전체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직육면체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의 형상이 반원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배면측 걸림 결합부(44)에는,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후측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에 걸치는 범위가 도려 내어짐으로써, 걸림 결합 홈(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홈(45)은, 배면측 걸림 결합부(44)의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에 이르는 범위에 걸쳐 관통되어 있고, 그 전단 부근이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사정상, 이하에서는, 좌측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44L)에 있어서의 우측면(즉 좌우 방향에 관한 중앙측의 면)을 좌측 걸림 결합 내측면(44LS)이라 칭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우측의 배면측 걸림 결합부(44R)에 있어서의 좌측면(즉 좌우 방향에 관한 중앙측의 면)을 우측 걸림 결합 내측면(44RS)이라 칭한다. 좌측 걸림 결합 내측면(44LS) 및 우측 걸림 결합 내측면(44RS)의 간격은, 일례로서, 약 80[㎜]으로 할 수 있다.
배면측 걸림 결합부(44L) 및 배면측 걸림 결합부(44R) 사이에는, 배면 기체부(41)에 있어서의 하면의 일부인 중앙 하면(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하면(46)에는, 시트 벨트군(4)의 일부(상세하게는 후술함)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은, 좌측 걸림 결합 내측면(44LS)의 근방으로부터 우측 걸림 결합 내측면(44RS)의 근방에 도달해 있고, 일례로서, 좌우 방향의 길이를 약 80[㎜]으로 할 수 있다.
배면 변위부(42)는, 상측에 유유아의 헤드부를 보호하는 부분이 형성됨과 함께, 하측에 해당 유유아의 어깨나 등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 변위부(42)에는, 시트 벨트군(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벨트 삽입 관통 구멍(48)이나, 해당 시트 벨트군(4)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벨트 수납 구멍(49), 및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 구멍 등도 형성되어 있다.
[3. 시트 벨트군의 구성]
시트 벨트군(4)(도 1)은, 가랑이 벨트(51), 어깨 벨트(52) 및 조임 벨트(53)와 같은 복수의 벨트나, 버클(54) 및 텅(55) 등의 부품과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가랑이 벨트(51), 어깨 벨트(52) 및 조임 벨트(53)의 각 벨트는, 편평한 벨트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는, 소정의 섬유를 소정의 방식으로 직조함으로써, 비교적 긴 폭 및 비교적 짧은 두께를 가짐과 함께 충분한 길이를 갖는 끈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연성을 가짐과 함께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고 있다.
가랑이 벨트(51)는, 그 하단이 시트부(11)에 마련된 벨트 설치부(25)(도 2 및 도 3)에 설치됨과 함께, 그 상단에 버클(54)이 설치되어 있다. 어깨 벨트(52)는, 유유아의 좌우 각각에 있어서, 어깨의 상측 근방과 허리의 외측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어깨 벨트(52)에는, 버클(54)과 걸림 결합하기 위한 텅(55)이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어깨 벨트(52)는, 유유아의 어깨 근방에 위치하는 배면 변위부(42)의 벨트 삽입 관통 구멍(48)(도 4)으로부터 각각 배면 기체부(41)의 내부에 인입된다. 또한, 어깨 벨트(52)는, 배면 기체부(41)의 내부에 있어서, 1개의 조임 벨트(53)와 접속된다. 조임 벨트(53)는, 일례로서, 폭(즉 짧은 변 방향의 길이)을 약 25[㎜]로 할 수 있다.
조임 벨트(53)는, 배면 기체부(41)의 내부를 하방으로 진행하여, 해당 배면 기체부(41)의 중앙 하면(46)에 마련된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도 4)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조임 벨트(53)는, 시트부(11)의 후방 중앙 돌출부(27)에 마련된 시트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28)(도 3)으로부터 해당 시트부(11)의 내부에 들어가, 전방으로 진행하여 해당 시트부(11)의 전단 근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다.
또한, 어깨 벨트(52) 및 조임 벨트(53)는, 배면 기체부(41) 및 시트부(11)의 내부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1)의 전단 근방에는, 조임 벨트(53)를 고정하거나, 또는 고정을 해제하는 벨트 스토퍼(58)(도 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시트 벨트군(4)은, 유유아가 착좌한 상태에 있어서, 각 어깨 벨트(52)가 당해 유유아의 어깨의 상측 내지 전방측을 지나도록 배치되며, 좌우의 텅(55)이 조합된 후에 버클(54)에 삽입되고, 또한 조임 벨트(53)가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에 의해, 시트 벨트군(4)은, 유유아의 어깨로부터 허리에 이르는 범위를 차일드 시트 본체(2)의 배면부(12)에 구속할 수 있어, 당해 유유아를 착좌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4. 탑테더의 구성]
도 5는 탑테더(5)를 도시하는 개략 선적인 사시도이다. 탑테더(5)는, 크게 나누어, 테더 벨트(71), 조절부(72), 접속 벨트(73) 및 테더 금속 부재(7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테더 벨트(71)는, 시트 벨트군(4)의 어깨 벨트(52)(도 1) 등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긴 폭 및 비교적 짧은 두께를 가짐과 함께 충분한 길이를 갖는 끈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연성을 가짐과 함께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고 있다. 이 테더 벨트(71)는, 일단이 배면부(12)의 테더 설치부(43)(도 4)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테더 벨트(71)의 긴 변 방향에 관해, 테더 설치부(43)에 고정된 측을 고정측이라 칭하고, 그 반대 측을 선단측이라 칭한다. 또한, 테더 벨트(71)는, 일례로서, 벨트 폭을 약 40[㎜]으로 할 수 있다.
조절부(72)는, 단면을 삼각형으로 하는 주상체(즉 삼각 기둥)를 횡전시킨 형상의 본체부(81)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81)는, 일례로서, 이 삼각 기둥에 있어서의 중심축(도시하지 않음)을 따른 방향의 길이(이하 이것을 본체부(81)의 폭이라고도 칭함)를 약 65[㎜]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81)는, 삼각형에 있어서, 가장 긴 변의 길이를 약 80[㎜]으로 하고, 이 가장 긴 변을 대변으로 하는 정점까지의 길이(이하 이것을 본체부(81)의 높이라고도 칭함)를 약 28[㎜]로 할 수 있다.
본체부(81)에는, 테더 벨트(71)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테더 벨트 삽입 관통 구멍(82)이나 접속 벨트(73)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접속 벨트 삽입 관통 구멍(83) 등이 마련되어 있다. 테더 벨트 삽입 관통 구멍(82) 및 접속 벨트(73)는, 모두 본체부(81)의 삼각 기둥에 있어서의 중심축(도시하지 않음)를 따른 가늘고 긴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부(72)에는, 테더 벨트(71)에 압박되는 압박 부품(도시하지 않음), 해당 압박 부품을 테더 벨트(71)에 가압하는 가압 부품(도시하지 않음) 등이 본체부(81) 내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보호자 등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84)가 마련되어 있다.
조절부(72)는, 테더 벨트 삽입 관통 구멍(82)에 테더 벨트(71)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가압 부품에 의해 압박 부품을 해당 테더 벨트(71)에 압박한다. 이에 의해 조절부(72)는, 해당 테더 벨트(7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조절부(72)는, 보호자 등에 의해 조작부(84)가 조작되면(구체적으로는 압입되면), 일시적으로 압박 부품을 테더 벨트(71)로부터 분리하여, 해당 테더 벨트(71)에 대한 위치를 고정측 또는 선단측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조절부(72)는, 조작부(84)에 대한 조작이 해제되면, 가압 부품의 작용에 의해 압박 부품을 테더 벨트(71)에 압박하여, 해당 테더 벨트(71)에 대한 현재의 위치를 유지한다.
접속 벨트(73)는, 테더 벨트(71)와 마찬가지의 벨트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연성을 가짐과 함께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갖고 있다. 이 접속 벨트(73)는, 일단이 조절부(72)의 접속 벨트 삽입 관통 구멍(83)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타단이 테더 금속 부재(74)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일례로서, 접속 벨트(73)는, 조절부(72)와 테더 금속 부재(74)의 간격을, 약 40[㎜]으로 할 수 있다.
테더 금속 부재(74)는, 본체부(91)에 스프링부(92)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91)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절삭 및 굴곡시킴으로써, 전체로서 가늘고 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91)는, 긴 변 방향의 한쪽인 근원측이 비교적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근원측에 접속 벨트(73)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91H)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91)에 있어서의 근원측과 반대의 선단측은, 비교적 가늘게 형성됨과 함께, 그 선단 부분이 근원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접히도록 굴곡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91)의 선단측은, 측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영어 대문자의 「J」 또는 이것을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체부(81)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을 선단부(93)라 칭한다.
또한, 테더 금속 부재(74)는, 일례로서, 본체부(91)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길이를, 약 80[㎜]으로 할 수 있고, 짧은 변 방향의 길이를, 약 25[㎜]로 할 수 있다. 또한, 테더 금속 부재(74)는, 선단부(93)를 원호로 간주한 경우에 있어서의 직경을, 약 20[㎜]으로 할 수 있다.
스프링부(92)는, 본체부(91)보다도 충분히 얇고 가늘고 긴 금속판이며, 완만하게 만곡됨과 함께, 탄성을 갖고 있다. 스프링부(92)의 일단은, 본체부(91)의 근원측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선단부(93)의 내측에 맞닿아 있다.
이 테더 금속 부재(74)는, 스프링부(92)를 일시적으로 본체부(91)에 근접시키도록 변형시키면서, 선단부(93)를 소정의 고정 금속 부재 등에 걸면, 스프링부(92)가 복원 작용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 해당 고정 금속 부재에 걸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의 각 부의 길이는, 탑테더(5)에 있어서의 테더 벨트(71)의 벨트 폭(일례로서 약 40[㎜])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길이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이하, 테더 벨트(71)의 벨트 폭을 기준 벨트 폭 WB라 칭한다.
즉, 조절부(72)의 본체부(81)는, 기준 벨트 폭 WB를 기준으로 하여, 삼각 기둥에 있어서의 중심축(도시하지 않음)을 따른 방향의 길이가 약 1.65배이며, 가장 긴 변의 길이가 약 2배이다. 또한, 접속 벨트(73)에 있어서의 조절부(72)와 테더 금속 부재(74)의 간격은, 기준 벨트 폭 WB와 거의 동등하다. 또한, 테더 금속 부재(74)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길이는, 기준 벨트 폭 WB의 약 2배이다.
또한, 상술한 시트부(11)의 수납 오목부(26)(도 2 및 도 3)는, 기준 벨트 폭 WB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가 약 3.5배이며, 좌우 방향의 길이가 약 2.75배이며, 시트면 정상부(21ST)의 근방에 있어서의 깊이(상하 방향의 길이)가 약 1.25배이다.
즉, 수납 오목부(26)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길이가, 조절부(72)의 본체부(81)에 있어서의 가장 긴 변의 길이나, 테더 금속 부재(74)에 있어서의 긴 변 방향의 길이보다도, 충분히 크게(길게) 되어 있다.
[5. 탑테더의 사용 및 수납]
그런데, 차일드 시트(1)(도 1)는, 사용 시에, 차일드 시트 본체(2)(도 2)의 시트부(11)와 배면부(12)가 결합된 사용 상태로 되어, 차량의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이때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1)와 배면부(12)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3)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13)은, 배면부(12)(도 4)의 중앙 하면(46), 좌측 걸림 결합 내측면(44LS), 우측 걸림 결합 내측면(44RS), 및 시트부(11)(도 3)의 후방 중앙 상면(27S)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또한, 관통 구멍(13)에서는,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도 4) 및 시트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28)(도 3) 사이에, 조임 벨트(53)(도 1)의 일부가 걸쳐져 있다.
관통 구멍(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즉 좌측 걸림 결합 내측면(44LS) 및 우측 걸림 결합 내측면(44RS)의 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약 8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조절부(72)의 본체부(81)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크게(길게)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중앙 하면(46) 및 후방 중앙 상면(27S)의 간격은, 일례로서, 약 4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1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조절부(72)의 본체부(81)에 있어서의 높이보다도 크게(길게) 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1)는, 착좌하는 유유아의 체격이 비교적 작아, 차량의 시트 벨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시트 벨트군(4)에 의해 당해 유유아를 구속하게 된다. 이때, 차일드 시트(1)는, 차량에 대해 충분한 강도로 설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 걸림 결합부(24)(도 3 등) 및 탑테더(5)(도 1 등)가 사용된다.
차량 걸림 결합부(24)는,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차량측의 시트에 내장된 차량측 금속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걸림 결합된다. 탑테더(5)는, 차량에 있어서의 시트의 후방에 마련된 차량측 금속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테더 금속 부재(74)의 선단부(93)가 걸림 결합된 후에, 테더 벨트(71)에 대한 조절부(72)의 위치가 조절되어, 해당 테더 벨트(71)에 충분한 장력이 작용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차량에 대하여 적절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하, 이 상태를 고정 사용 상태라 칭한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착좌하는 유유아의 체격이 비교적 커서, 차량의 시트 벨트가 사용되는 경우, 차량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차량 걸림 결합부(24), 시트 벨트군(4) 및 탑테더(5)가 사용되지 않게 된다. 이하, 이 상태를 비고정 사용 상태라 칭한다.
여기서, 도 6은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A1-A2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2)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도이다.
차일드 시트 본체(2)가 비고정 사용 상태인 경우, 탑테더(5)는, 먼저, 조절부(72)가 테더 벨트(71)에 있어서의 비교적 선단측에 근접하도록 조절된다. 계속해서, 탑테더(5)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테더 금속 부재(74), 접속 벨트(73), 조절부(72), 및 해당 테더 벨트(71)의 일부가, 관통 구멍(13)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순차적으로 삽입 관통된다. 이때,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도 4) 및 시트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28)(도 3) 사이에 걸쳐져 있는 조임 벨트(53)의 일부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휘게 함으로써, 조절부(72) 등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도 8).
이에 의해 탑테더(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2)의 후방측에 있어서, 테더 벨트(71)가 테더 설치부(43)로부터 배면부(12)의 배면을 따라서 하강하여, 관통 구멍(13)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또한, 탑테더(5)는,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전방측에 있어서,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3)의 전방으로 인출되고 나서 시트면(21S) 상을 따라서 전방향으로 진행하여, 이윽고 수납 오목부(26)에 도달한다.
또한, 탑테더(5)는, 테더 금속 부재(74), 접속 벨트(73), 조절부(72) 및 해당 테더 벨트(71)의 일부(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탑테더 선두부(5F)라 칭함)가, 시트부(11)(도 2 및 도 3)의 수납 오목부(26)에 수납된다. 이때 테더 벨트(71)는, 잉여 부분이 적절히 통합된 상태에서, 수납 오목부(26)에 수납된다. 또한, 접속 벨트(73)는, 적절히 굴곡됨으로써, 테더 금속 부재(74) 및 조절부(72)를 모두 수납 오목부(26) 내에 수납시킨다.
덧붙여서, 실제의 차일드 시트(1)에서는, 시트부(11)의 시트면(21S) 및 수납 오목부(26), 그리고 탑테더(5) 중 관통 구멍(13)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덮도록, 커버(3)(도 1)가 설치된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가 비고정 사용 상태인 경우, 시트 벨트군(4) 중 어깨 벨트(52)의 일부는, 배면부(12)의 배면 변위부(42)의 벨트 수납 구멍(49)(도 4)에 수납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벨트군(4) 중 가랑이 벨트(51) 및 버클(54)은, 탑테더(5)의 일부분과 함께, 시트부(11)의 수납 오목부(26)에 수납된다. 덧붙여서, 차량 걸림 결합부(24)(도 2 등)는, 전방으로 변위되어, 시트부(11)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6. 효과 등]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시트부(11)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함과 함께, 해당 시트부(11) 및 배면부(12)를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양자의 경계 부분에 관통 구멍(13)을 형성하도록 하였다(도 2).
차일드 시트 본체(2)는, 탑테더(5)가 사용되지 않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해당 탑테더(5)를 관통 구멍(13)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탑테더 선두부(5F)를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킨다(도 7 및 도 9).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탑테더 선두부(5F)를 시트부(11)에 수납함과 함께, 테더 벨트(71)의 근원측 부분을 차일드 시트 본체(2)에 대략 밀착시킨 상태, 즉 정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차일드 시트(1)는, 탑테더(5)가 현수된 상태가 되는 것이나, 차량의 주행에 따라서 당해 탑테더(5)의 조절부(72) 등이 난잡하게 여기저기로 움직여, 차량 내의 다양한 부분이나 탑승자에게 맞닿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특히, 시트부(11)에서는, 시트면(21S)에 있어서, 착좌한 유유아에 있어서의 양발 사이의 하측이 되는 개소, 즉 당해 유유아의 몸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개소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수납 오목부(26)에 탑테더 선두부(5F)가 수납되었다고 해도, 착좌하는 유유아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시트부(11)에서는, 가랑이 벨트(51)가 설치되는 벨트 설치부(25)의 전방측에 인접하는 개소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였다(도 2 및 도 3 등).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유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시트 벨트군(4)의 일부인 가랑이 벨트(51) 등과, 차일드 시트(1)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탑테더(5)의 일부분을, 통합하여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킬 수 있다(도 9).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는, 보호자 등에 대해,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모두 불필요하게 되는 시트 벨트군(4) 및 탑테더(5)의 일부분을, 1개소의 수납 오목부(26)에 통합하여 수납시키면 되어, 직감적으로 작업시킬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차일드 시트(1)에서는, 예를 들어 배면부(12)의 후방면측에 후방부 수납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고, 이 후방부 수납 오목부에 탑테더 선두부(5F)를 수납하는 구성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배면부(12) 내의 시트 벨트군(4) 등과 간섭하지 않고 수납 오목부의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 배면부(12)의 전후 길이(즉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발생해 버린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탑테더 선두부(5F)를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덮개를 마련할 필요도 발생하기 때문에, 구조의 복잡화나 부품 개수의 증가에 의한 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는, 시트부(11)의 시트면(21S)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시트면 정상부(21ST)에 의해 좌우로부터 끼워진 개소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는,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면서, 그 하측에 조임 벨트(53)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시트면(21S)에 대하여 수납 오목부(26)가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이기 때문에, 덮개 등을 형성하지 않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탑테더 선두부(5F) 등을 수납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2)에서는, 결합한 시트부(11) 및 배면부(12)의 경계가 되는 개소에, 관통 구멍(13)을 형성하도록 하였다(도 2 등).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시트부(11) 및 배면부(12)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으로서 관통 구멍(13)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탑테더(5)를 배면부(12)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일드 시트(1)에서는, 배면부(12) 또는 시트부(11)에 탑테더(5)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배면부(12)에서는,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47)(도 4)의 좌우 방향의 길이(일례로서 약 80[㎜])를, 조임 벨트(53)의 폭(일례로서 25[㎜])보다도 충분히 크게(길게)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관통 구멍(13)에 탑테더(5)의 선단측을 삽입 관통시킬 때, 조임 벨트(53)를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게 할 수 있어, 조절부(72) 등을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도 8).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2)의 시트부(11)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고, 해당 시트부(11) 및 배면부(12)를 결합하였을 때 양자의 경계 부분에 관통 구멍(13)을 형성한다. 차일드 시트 본체(2)는, 탑테더(5)가 사용되지 않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해당 탑테더(5)를 관통 구멍(13)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삽입 관통시켜, 탑테더 선두부(5F)를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킨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는,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탑테더 선두부(5F)를 시트부(11)에 수납함과 함께, 테더 벨트(71)의 근원측 부분을 차일드 시트 본체(2)에 대략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7.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11)에 1개소의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고, 해당 수납 오목부(26)에 탑테더 선두부(5F) 및 가랑이 벨트(51) 등을 모두 수납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9).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트부(11)에 2개소의 오목부를 마련하고, 각각에 탑테더 선두부(5F)와 가랑이 벨트(51) 등으로 나누어 수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부(11)에 있어서 벨트 설치부(25)의 전방측에 인접하는 개소에 수납 오목부(26)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2 및 도 3 등).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벨트 설치부(25)의 우측이나 좌측, 혹은 후방측 등, 다양한 개소에 마련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개폐 가능한 덮개를 마련함으로써, 착좌하는 유유아의 불쾌감을 경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더 벨트(71)에 대해 조절부(72) 및 접속 벨트(73)를 통해 테더 금속 부재(74)를 접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5).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절부(72)에 테더 금속 부재(74)를 직접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조절부(72) 및 테더 금속 부재(74)를 수납 오목부(26)에 수납할 수 있도록 각 부의 크기나 형상이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면부(12)의 상단에 마련한 테더 설치부(43)에 테더 벨트(71)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해당 테더 벨트(71)에 대한 조절부(72)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5).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조절부(72)에 상당하는 기능을 배면부(12)의 상단 근방에 내장하여 테더 벨트(71)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해당 테더 벨트(71)의 선단에 테더 금속 부재(74)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테더 금속 부재(74) 및 테더 벨트(71)의 선단 근방을 수납 오목부(26)에 수납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탑테더(5)의 테더 벨트(71)를, 비교적 긴 폭 및 비교적 짧은 두께를 갖는 편평한 벨트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테더 벨트(71)를,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정사각형이나 육각형 등, 편평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끈상의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랑이 벨트(51)에 버클(54)을 설치하고,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해당 가랑이 벨트(51) 및 버클(54)을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어깨 벨트(52) 측에 버클(54)을 설치함과 함께 가랑이 벨트(51) 측에 텅(55)을 마련하고, 비고정 사용 상태에 있어서, 해당 가랑이 벨트(51) 및 텅(55)을 수납 오목부(26)에 수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일드 시트 본체(2)를 시트부(11) 및 배면부(12)에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도 3 및 도 4).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일드 시트 본체(2)를, 시트부(11) 및 배면부(12)가 일체화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시트부(11) 및 배면부(12)의 경계가 되는 개소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탑테더(5)를 삽입 관통시키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임의로 조합한 실시 형태나, 일부를 추출한 실시 형태에도 그 적용 범위가 미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일드 시트 본체로서의 차일드 시트 본체(2)와, 탑테더로서의 탑테더(5)와, 관통 구멍으로서의 관통 구멍(13)과, 수납 오목부로서의 수납 오목부(26)에 의해 차일드 시트로서의 차일드 시트(1)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탑테더와, 관통 구멍과, 수납 오목부에 의해 차일드 시트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탑테더를 갖는 차일드 시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차일드 시트
2: 차일드 시트 본체
3: 커버
4: 시트 벨트군
5: 탑테더
5F: 탑테더 선두부
11: 시트부
12: 배면부
13: 관통 구멍
21: 시트 본체부
21S: 시트면
21ST: 시트면 정상부
25: 벨트 설치부
26: 수납 오목부
43: 테더 설치부
45: 걸림 결합 홈
47: 배면측 벨트 삽입 관통 구멍
51: 가랑이 벨트
54: 버클
71: 테더 벨트
72: 조절부
73: 접속 벨트
74: 테더 금속 부재

Claims (8)

  1. 유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 및 해당 유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배면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배면부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탑테더와,
    상기 배면부 및 상기 시트부가 접속되는 부분의 근방에 마련되며, 상기 배면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시트부의 상면인 시트면에 형성되며, 상기 탑테더의 일부분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유아를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구속하는 시트 벨트의 일부이며,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유유아의 가랑이 부분의 전방측에 설치된 가랑이 벨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탑테더의 일부분과 함께 상기 가랑이 벨트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시트면에 있어서, 상기 유유아로부터 보아 상기 가랑이 벨트가 설치된 부분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벨트는,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탑테더의 일부분, 상기 가랑이 벨트와 함께 상기 버클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테더는, 테더 벨트와, 차량에 마련된 차량측 금속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테더 금속 부재를 갖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테더 금속 부재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테더 금속 부재를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테더는, 상기 테더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배면부에 설치된 부분으로부터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갖고,
    상기 테더 금속 부재는, 상기 조절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테더 금속 부재 및 상기 조절부를 삽입 관통 가능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테더 금속 부재 및 상기 조절부를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오목부는, 상기 시트면에 있어서, 좌우 각각의 가장 높은 시트면 정상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배면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배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247013521A 2021-11-09 차일드 시트 KR2024010035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0352A true KR20240100352A (ko) 2024-07-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169B2 (en) Child safety seat
US6811216B2 (en) Infant car seat
EP2540563A1 (en) Child seat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JP6308665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装置
EP2077202A2 (en) Children'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US20230382276A1 (en) Child safety seat
US7862125B2 (en) Seat belt buckle positioner
KR20240100352A (ko) 차일드 시트
JP7313097B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508322B1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7274802B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240100351A (ko) 차일드 시트
KR20150112822A (ko) 차일드 시트
JP633891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737387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470200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71708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텅 고정장치
JPH0356132Y2 (ko)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9990018469U (ko)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JP62935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419610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着用促進構造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JP2013049334A (ja) シートベルトタ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