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469U -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469U
KR19990018469U KR2019970031699U KR19970031699U KR19990018469U KR 19990018469 U KR19990018469 U KR 19990018469U KR 2019970031699 U KR2019970031699 U KR 2019970031699U KR 19970031699 U KR19970031699 U KR 19970031699U KR 19990018469 U KR19990018469 U KR 199900184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eat belt
angle
seat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469U/ko
Publication of KR19990018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469U/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버클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승객의 허리 및 흉부를 감싼 상태로 시트벨트를 인출시키는 시트벨트 텅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 탑승객의 체형에 맞게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버클과 시트 측면에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승객의 체형에 따른 시트벨트의 압박위치를 승객이 직접 교정시킬 수 있으므로써,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편의성 및 착용 안정성을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버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버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승객의 편안한 시트벨트 착용 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의 버클 각도 조절장치(buckle angle control unit of seat belt)에 관한 것이다.
시트벨트는, 자동차가 주행중 충돌되는 경우, 탑승자의 순간이동을 억제시켜 상해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허리를 구속시키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시키는 숄더 벨트를 조합시킨 3점식 시트벨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시트벨트는 시트벨트를 권취시키는 시트벨트 록킹 리트랙터와, 시트벨트를 차실내로 가이드하며 인출시키는 시트벨트 어퍼 앵커 플레이트와, 시트 측면에 고정되는 버클과, 시트벨트로 탑승자의 허리 및 흉부를 감싸며 상기 버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는 버클은, 차량 시트의 측면에 하단이 고정되고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는 상단이 시트의 시트쿠션과 시트백 사이로 돌출 되어 항상 일정한 각도만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가 큰 경우, 특히 배가 많이 나온 승객의 경우에는 시트벨트 착용시 시트벨트가 승객의 허리를 구속시키지 못하고, 복부를 압박하게 되어 승객은 불쾌감 및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벨트에 포함되며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는 버클이 차량 전후방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시트벨트가 승객을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의 버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장착된 시트,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시트 측면 12: 힌지핀 13: 회동바 14: 텅 고정체 15: 각도 조절수단 16: 체결 보올트 17: 가이더 부재 18: 지지부재 19: 가이드 홀 20: 앵글 스토퍼 21: 힌지 22: 단턱 23: 리턴 스프링 24: 수납함 25: 커버 26,27: 장홀 28: 인장 스프링 29: 누룸버튼 30: 록킹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탑승객의 허리 및 흉부를 감싼 상태로 인출되는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며 시트 측면에 핀 고정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 탑승객의 체형에 맞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은 탑승객이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각도 조절수단을 조절하여 버클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 각도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이 구비된 시트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은, 차실 내의 시트측면(11)에 하단이 힌지핀(1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회동바(13)와, 상기 회동바(13)의 상단에 구비되며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도록 된 텅 고정체(14)와, 상기 회동바(13)에 일체로 구비되어 회동되는 상기 텅 고정체(14)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각도 조절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수단(15)은, 시트측면(11)에 체결 보올트(16)로서 고정되는 가이더 부재(17)와, 상기 버클의 회동바(13)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더 부재(17)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버클의 각도를 조절하는 지지부재(18)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더 부재(17)는, 완만한 볼록 경사면을 유지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그 내주면에 단턱(22)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턱(22)의 일측 면상에는 " L " 형상으로 절곡된 앵글 스토퍼(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데, 그 이음부분은 힌지(21) 결합되어 있고, 세로방향의 선단에는 리턴 스프링(23)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더 부재의 단턱(22) 측벽에 지지되어 있고, 타측 가로방향의 선단은 누룸시 리턴 스프링(23)을 인장 시키면서 하향으로만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8)는, 상기 버클의 회동바(13)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바(13)는, 내부에 수납함(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함(24)은 커버(25)로서 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25)의 표면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된 상하 한 쌍의 장홀(26)(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8)는, 상측단이 상기 회동바(13)의 수납함(24) 상측에 인장 스프링(28)으로서 연결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하 한 쌍으로 누룸버튼(29)과 록킹돌기(30)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누룸버튼(29)과 록킹돌기(30)는 상기 커버(25)의 장홀(26)(27)을 각각 통과하며, 동시에 이에 밀착되는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가이드 홀(19)을 통과하여 복수개의 상기 앵글 스토퍼(20) 중 하나에 슬라이드 고정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에 포함되는 시트쿠션의 측면에 버클의 하단을 힌지핀(12)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버클에 포함되는 회동바(13)의 수납함(24)에 지지부재(18)를 삽입시킨후 상단을 인장 스프링(28)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회동바(13)의 수납함(24)을 커버(25)로서 밀폐시키되, 상기 지지부재(18)의 누룸버튼(29) 및 록킹돌기(30)가 상기 커버(25)의 장홀(26)(27)을 각기 통과되도록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가이드 부재(17)의 단턱(22) 일면에 가이드 홀(19)을 따라 앵글 스토퍼(20)의 이음부분을 힌지(21)고정시키되, 상기 앵글 스토퍼(20)가 복수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고, 각각의 세로방향 선단을 리턴 스프링(23)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앵글 스토퍼(20)의 절곡된 세로방향이 상기 단턱(22)의 측벽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하단을 시트 측면(11)에 체결 보올트(16)로서 고정시키고, 동시에 복수개의 앵글 스토퍼(20) 중 하나의 앵글 스토퍼(20)에 상기 버클의 회동바(13)에 돌출된 록킹돌기(30)가 슬라이드 삽입 고정되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앵글 스토퍼(20)의 가로부분은, 그 선단이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가이드 홀(19) 폭의 중앙부분까지만 돌출되도록 하여 나머지 폭으로는 상기 지지부재(18)의 누룸돌기(3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탑승객이 버클을 차량 전방으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클의 선단을 차량 전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버클의 회동바(13)에서 돌출된 록킹돌기(30)가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앵글 스토퍼(20) 가로부분을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회동시키면서 이동된다. 이때 탑승객은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서 회동을 멈추고 시트벨트 텅을 버클의 텅 고정체(14)에 결합시키면 되고, 동시에 회동된 상기 앵글 스토퍼(20)는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버클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연속해서, 상기 버클의 각도를 초기상태로 회동시키고자 하면, 먼저 버클의 회동바(13)에 돌출된 누룸버튼(29)을 하향으로 누룬다. 그러면 동시에 상기 록킹돌기(30)가 상기 앵글 스토퍼(20)의 선단에서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가이드 홀(19)을 따라 초기상태로 상기 버클을 회동시키면, 상기 버클은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가이드 홀(19)을 따라 초기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는, 시트벨트에 포함되며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는 버클이 차량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승객의 체형에 따른 시트벨트의 압박위치를 승객이 직접 교정시킬 수 있어 승객의 시트벨트 착용 편의성 및 착용 안정성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탑승객의 허리 및 흉부를 감싼상태로 인출되는 시트벨트 텅을 고정시키며 시트 측면에 핀 고정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 탑승객의 체형에 맞게 전후방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버클과 시트 측면에 각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버클에 포함되는 회동바(13)가 회동되는 각도로 가이드 홀(19), 및 그 내측에 단턱(22)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22)의 상면에 리턴 스프링(23)의 탄지력으로 하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 L " 형상의 앵글 스토퍼(20)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개 힌지(21) 구비하는 가이더 부재와; 상기 버클의 회동바(13)내에 인장 스프링(28)의 인장력으로 슬라이드 승하강 되도록 삽입되며, 상하부에 누룸버튼(29)과 록킹돌기(30)를 각각 돌출시키고, 그 돌출된 선단을 상기 회동바(13)의 외부로 노출시키되, 상기 누룸버튼(29)은 탑승객이 누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록킹돌기(30)는 상기 누룸버튼(29) 누룸시 하향 이동되어 록킹된 상기 가이더 부재(17)의 앵글 스토퍼(20)에서 해제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높이 조절장치.
KR2019970031699U 1997-11-11 1997-11-11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KR199900184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99U KR19990018469U (ko) 1997-11-11 1997-11-11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699U KR19990018469U (ko) 1997-11-11 1997-11-11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469U true KR19990018469U (ko) 1999-06-05

Family

ID=6967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699U KR19990018469U (ko) 1997-11-11 1997-11-11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4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34B1 (ko) * 2008-04-11 2010-06-30 송소영 레저용 의자의 차양장치
KR20200085454A (ko) * 2019-01-07 2020-07-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34B1 (ko) * 2008-04-11 2010-06-30 송소영 레저용 의자의 차양장치
KR20200085454A (ko) * 2019-01-07 2020-07-1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6985Y2 (ko)
US5899534A (en) Child seat for a vehicle and a seat belt system for the child seat
US4099770A (en) Safety device for automobile occupants
US5806148A (en) Tongue assembly
US4040664A (en) Harness anchoring for child safety seat
US5064220A (en) Seat belt device
US3819197A (en) Semirigid shoulder belts
KR20010033138A (ko) 아동 구속 시트 안전 벨트 조립체
JP2000168411A (ja) チャイルド安全シ―ト
JPH049696B2 (ko)
CN110077294B (zh) 儿童安全座椅
US3583764A (en) Safety seat and belt system
US4341422A (en) Restraint device
US4762369A (en) Harness with strap length adjustment device
US5387028A (en) Occupant harness
KR19990018469U (ko) 시트벨트 버클 각도 조절장치
JP2575468Y2 (ja) 子供用シート
JPS5819952Y2 (ja) アンカ−装置
US3371942A (en) Combination seat belt and upper torso restraint
JPH04349041A (ja) 座席
KR200180574Y1 (ko) 시트벨트 버클 조절장치
KR19990018466U (ko) 시트벨트 버클 조절장치
WO2023084615A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0167512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정용 가이더
JPS63391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