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7277A -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 Google Patents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7277A
KR20240097277A KR1020220179185A KR20220179185A KR20240097277A KR 20240097277 A KR20240097277 A KR 20240097277A KR 1020220179185 A KR1020220179185 A KR 1020220179185A KR 20220179185 A KR20220179185 A KR 20220179185A KR 20240097277 A KR20240097277 A KR 2024009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switch
pressed
keypad
us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휘원
Original Assignee
이휘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휘원 filed Critical 이휘원
Publication of KR2024009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7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05B49/004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actuating mechanica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72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 위험성이 있는 별도의 숫자 키패드를 배제하고 사용자의 기억 및 감각을 통해 눌리는 누름 스위치의 눌림 패턴을 분석하여 걸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암호 노출 및 암호 복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A SAFETY DOOR LOCK WITHOUT KEYPAD}
본 발명은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출 위험성이 있는 별도의 숫자 키패드를 배제하고 사용자의 기억 및 감각을 통해 눌리는 누름 스위치의 눌림 패턴을 분석하여 걸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암호 노출 및 암호 복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도어의 보안성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어의 양측에 구비된 핸들부재를 도어의 개폐방향과 일치시켜 밀거나 당기면서 보다 편리하게 도어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푸쉬풀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풀 디지털 도어락은 다양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는데, 주로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면서 푸쉬풀 방식으로 동작하는 핸들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대칭으로 결합된 본체와, 도어 내부에 매립 설치되면서 잠금수단인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구비된 모티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실외측에서는 본체부재에 구비된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에 비밀번호나 지문 등이 입력되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 잠금이 해제되고 핸들부재의 동작에 의해 레치볼트 잠금까지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키패드 자체에 사용자의 지문이 남을 수 있어 암호 노출 우려가 있고, 특히 키패드 터치 시 발생되는 소리, 비프음을 타인이 들을 경우 이에 따른 암호 패턴이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키패드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타인이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숫자 패턴을 볼 수 있는 등 다양한 안전상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92903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노출 위험성이 있는 별도의 숫자 키패드를 배제하고 사용자의 기억 및 감각을 통해 눌리는 누름 스위치의 눌림 패턴을 분석하여 걸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암호 노출 및 암호 복제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은 도어에 설치되며,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걸쇠 장치를 포함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내측에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밀착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누름 스위치(120) 및 상기 누름 스위치(120)의 누름 상태를 토대로, 상기 걸쇠 장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손을 통해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파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영역(111)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 영역(111)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 스위치(120)가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검지, 중지 및 약지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가 일렬 배치된 형상을 가지며, 각 누름 스위치가 내측 방향으로 눌린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 3 누름 스위치(121, 122, 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누름 스위치가 기 설정된 횟수에 상응하게 눌리는 경우, 해당 눌린 누름 스위치의 눌린 시간 및 눌린 순서를 토대로 암호 패턴을 형성 및 저장하며, 상기 암호 패턴에 상응하는 누름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걸쇠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암호 패턴에 해당하지 않도록 누름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누름 스위치(120) 조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출 위험성이 있는 별도의 숫자 키패드를 배제하고 사용자의 기억 및 감각을 통해 눌리는 누름 스위치의 눌림 패턴을 분석하여 걸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암호 노출 및 암호 복제가 원천적으로 방지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기억 및 손의 감각에 의해 암호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자체로 열쇠기능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별도의 소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누름 스위치가 내측으로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타인에 의한 암호 패턴 확인이 불가능하여 더욱 안정성이 높아지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인에 의한 암호 패턴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암호 패턴 복제가 불가능하여 더욱 안정성이 높아지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누름 스위치(120)에 의한 다양한 암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을 이용하여 걸쇠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체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은 크게 몸체부(110), 누름 스위치(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일측이 도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을 통해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파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영역(11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 영역(111)의 상측은 사용자 파지가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누름 스위치(120)가 마련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일종의 도어락 몸체에 해당하며, 일측에는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걸쇠 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걸쇠 장치는 제어부(130)의 제어를 토대로 자동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이는 누름 스위치(120)의 눌림 상태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누름 스위치(120)는 몸체부(110)의 삽입 영역(111) 내측면에 마련되며, 그 위치는 몸체부(1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검지, 중지 및 약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누름 스위치(120)는 내측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로 마련된다.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은 각각 사용자의 검지, 중지 및 약지에 대응하는데, 각각의 누름 스위치는 개별적으로 눌려짐으로써 눌림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가 눌려지는 순서는 상관이 없고,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되 총 3회 눌려짐에 따른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특히, 각 누름 스위치가 눌려지는 과정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예를 들어, 1초 이하(단), 1초 이상(장)) 눌려지는 동작에 따른 신호와, 짧게 눌려지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각각 생성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는데, 제어부(130)에서는 이러한 각 누름 스위치의 눌림 시간, 눌림 순서를 토대로 암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누름 스위치(120)에 의한 다양한 암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는 제1 누름 스위치(121)가 첫번째로 눌릴 수도 있고, 제3 누름 스위치(123)가 첫번째로 눌릴 수도 있다. 즉, 제1 누름 스위치(121)->제2 누름 스위치(122)->제3 누름 스위치(123) 순서로 눌릴 수도 있고, 제2 스위치(122)->제1 스위치(121->제3 스위치(123) 순서로 눌릴 수도 있으며, 제3 스위치(123)->제2 스위치(122)->제2 스위치(122)와 같이 제1 스위치(121) 대신 제2 스위치(122)가 2번 눌릴 수도 있다.
특히, 각 누름 스위치는 잠깐 눌릴 때와 좀더 길게 눌릴 때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조합은 24의 8 제곱근의 가지수에 해당하는 패턴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에서는 이를 토대로 총 110,075,214,176 개의 암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에서는 어떠한 누름 스위치를 먼저 누르느냐와 상관 없이, 총 3회 눌리는 누름 스위치, 해당 눌리는 누름 스위치 별 눌림 시간을 토대로 암호 패턴을 형성 및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사람의 기억 및 손의 감각에 의해 암호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타인이 이를 복제 불가능하다는 이점과, 누름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타인에 의한 암호 패턴 확인이 불가능해지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기 등록된 암호 패턴 외에 다른 암호 패턴에 해당하는 눌림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분) 경과 후에 누름 스위치(120)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암호 패턴 등록 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해당 등록되는 암호 패턴을 전송하거나, 또는 암호 패턴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암호 패턴이 제2 누름 스위치(122)(장)->제1 누름 스위치(121)(장)->제3 누름 스위치(123)(단) 일 경우, 제어부(130)는 각 누름 스위치 별 눌림 순서 및 눌림 시간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암호 패턴을 잊은 경우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누름 스위치(120)의 3회 눌림 외에도, 사용자 설정을 통해 인식 횟수를 얼마든지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암호 패턴의 가지수는 무궁무진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이 특정 암호 패턴으로 눌리는 경우, 해당 동작에 따른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몸체부(110) 내 걸쇠 장치가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래 걸쇠 장치 해제를 위한 암호 패턴이 아닌,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특정인(친구 혹은 지인 등) 만을 위한 별도의 암호 패턴이 기 등록된 경우를 가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해당 특정인이 자신이 알고 있는 암호 패턴 대로 누름 스위치(120를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130)에서는 이를 즉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암호 패턴이 등록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몸체부(110)의 걸쇠 장치를 해제함으로써, 해당 특정인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허가해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가 내부에 있지 않고 외부에 있어 문을 직접 열어줄 수 없는 상황이거나, 자신의 암호 패턴을 친구나 지인에게 알려주기 부담스러운 경우, 친구나 지인 만이 알도록 하는 별도의 암호 패턴을 미리 등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직접 잠금을 해제시켜줄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에는 눌림 동작 시 눌림 압력을 미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미도시)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값은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서는 이러한 압력값을 토대로, 누름 스위치(120)를 누르는 사람의 악력을 파악하여, 해당 동작을 시도하는 사람이 여자인지, 남자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에 알릴 수도 있다. 이는, 누름 스위치(120)를 누르는 남자 및 여자에 따른 악력 차이에 기반한 데이터를 근거로 파악될 수 있으며, 어떠한 누름 스위치를 더욱 세게 눌렀는지 어떠한 누름 스위치를 약하게 눌렀는지 여부를 모두 저장함으로써, 추후 무단으로 누름 스위치(120)를 작동시킨 사람을 유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검지, 중지, 약지의 악력 저장값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을 이용하여 걸쇠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체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100)을 이용하여 걸쇠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체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몸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중 특히 검지, 중지 약지의 내측면이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에 위치하게 된다(S301).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검지, 중지, 약지의 순서에 상관없이 총 3회 누름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며 누름 스위치(120)에서는 이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된다(S302).
제어부(130)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토대로 기 등록된 암호 패턴이 맞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되고(S303), 기 등록된 암호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몸체부(110)의 걸쇠 장치를 해제하여 도어가 열리도록 하고(S304-1), 만약 기 등록된 암호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암호 패턴이 일치하지 않는 다는 알림을 출력하게 된다(S304-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110: 몸체부
111: 삽입 영역
120: 누름 스위치
121, 122, 123: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
130: 제어부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며, 내외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걸쇠 장치를 포함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내측에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밀착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누름 스위치(120); 및
    상기 누름 스위치(120)의 누름 상태를 토대로, 상기 걸쇠 장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손을 통해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되, 파지된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영역(111)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 영역(111)의 내측면에 상기 누름 스위치(120)가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검지, 중지 및 약지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누름 스위치(121, 122, 123)가 일렬 배치된 형상을 가지며,
    각 누름 스위치가 내측 방향으로 눌린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 3 누름 스위치(121, 122, 12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누름 스위치가 기 설정된 횟수에 상응하게 눌리는 경우, 해당 눌린 누름 스위치의 눌린 시간 및 눌린 순서를 토대로 암호 패턴을 형성 및 저장하며,
    상기 암호 패턴에 상응하는 누름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상기 걸쇠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암호 패턴에 해당하지 않도록 누름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누름 스위치(120) 조작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KR1020220179185A 2022-12-20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KR2024009727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7277A true KR20240097277A (ko) 2024-06-2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200B1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US9726448B1 (en) Secure smartphone-operated locking device
KR101148892B1 (ko) 보안 강화를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해정방법
KR19980018737A (ko) 원격제어되는 잠금/해제 시스템 (Remote-Control-Operated Locking/Unlocking System)
JP2002089101A (ja) 遠隔制御可能なドアロック装置
KR101899864B1 (ko) 푸쉬풀형 디지털 도어락
JP2005042350A (ja) 錠制御システム、錠制御装置、及び鍵装置
KR20240097277A (ko) 키패드가 없는 안전 도어락
KR20020081168A (ko) 전자식 도어록
JP6990124B2 (ja) 施解錠システム
JP2019094642A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KR101499569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JP4749916B2 (ja) 生体情報利用電気錠システム
JP4932541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錠装置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2021038618A (ja) 電気錠制御装置
JP3927257B2 (ja) 電気錠システム
CN109754502A (zh) 一种ZigBee无线智能门锁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KR200217982Y1 (ko) 키인식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어개폐 장치
KR200330569Y1 (ko) 허수를 갖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20230063076A (ko) 스마트 시큐리티 도어락
JP6968756B2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KR1005746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10223927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