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1039A -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1039A
KR20240081039A KR1020220164915A KR20220164915A KR20240081039A KR 20240081039 A KR20240081039 A KR 20240081039A KR 1020220164915 A KR1020220164915 A KR 1020220164915A KR 20220164915 A KR20220164915 A KR 20220164915A KR 20240081039 A KR20240081039 A KR 2024008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est control
work vehicle
main body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filed Critical 장진만
Publication of KR2024008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1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행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서 작업대를 상하 회전시키는 붐대와, 본체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방제용 약제가 저장된 약액탱크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방제시스템으로서, 본체에는 붐대가 연결되어 붐대를 제자리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구비되고, 붐대의 작업대에는 약액탱크와 분무호스로서 연결되어 방제용 약제를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는 분무기가 구비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Pest control system for high place working vehicles}
본 발명은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의 후미에 약액 탱크를 견인한 상태로 이동하는 한편 농지에 따라 낮은 위치는 물론 고소 위치에서 약액을 살포할 수 있는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을 경작함에 있어 과실수의 각종 병충해 예방을 위해 농약을 자동으로 살포하는 방제 차량에 대해서는 다양한 차량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에쎄스 차량이라고 불리우는 방제 차량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전방에는 운전자의 탑승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운전석이 구비되고, 후방에 펌프와 노즐과 송풍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제 차량은 전방의 운전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노즐의 압력을 조절하면, 후방의 펌프에서 조절된 압력에 의해 농약은 적절한 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며, 분사되는 농약은 송풍기의 송풍 압력에 의해 넓게 퍼지면서 광범위한 살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제 차량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95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방제 차량은, 운전자의 탑승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방제차량의 운전석 상측에 구비되며, 투시 가능한 유리창을 양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미세기 창이 구비된 전, 후면과, 상기 전, 후면과 일체로 연계되며, 수직방향으로 투시가능한 유리창이 구비된 제 1측면과, 상기 제 1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인 상기 운전석의 개구부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측면과, 상기 후면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일체로 연계되고,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유리창이 구비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단열재가 마련된 방제차량의 착탈식 캐빈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상기 제 2측면의 상부 수평방향과 양측 수직방향에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며,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하단이 상기 방제차량의 개구부 하단까지 현수되는 투명비닐로 이루어진 방제커텐과; 상기 방제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전, 후면과 제 1측면 하측에 자석과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장착수단을 포함한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방제 차량은, 실제로 방역 및 방제작업을 하다 보면, 차량이 놓인 위치와 후방 지면 경사도에 따라서 방제 차량의 방제부가 작물에 닿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기존의 방제 차량은 이 경우 방제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다 보니, 대형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작물에 약액을 방제하는 방제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상황에 처하면 작업자가 별도의 호스를 약액 탱크에 연결하여 수동 노즐을 통해 방제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실제로 과수원 등의 지면 환경이 불규칙한 경사지임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방식으로는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열대 과일 등 수목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살포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방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9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소작업차의 후미에 약액 탱크를 연결하여 견인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방제시는 농지에 따라 작업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약액을 다양한 높이에서 살포할 수 있도록 한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은, 주행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서 작업대를 상하 회전시키는 붐대와, 본체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방제용 약제가 저장된 약액탱크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방제시스템으로서, 본체에는 붐대가 연결되어 붐대를 제자리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구비되고, 붐대의 작업대에는 약액탱크와 분무호스로서 연결되어 방제용 약제를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는 분무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본체에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은 불가하게 구비되는 제1 붐; 제1 붐 내에 삽입되어 제1 붐과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붐; 제2 붐 내에 삽입되어 제2 붐과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붐; 제1 붐 내에 구비되어 그 일측은 제1 붐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붐에 결합 고정되어 이의 신축시 제1 붐에서 제2 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수단; 실린더수단에 힌지 결합된 시브에 권취되는 한편 그 일단부는 제1 붐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3 붐에 결합 고정되어 실린더수단의 작동시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에서 제3 붐이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붐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제1 붐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에는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감지부가 구비되어, 제1 붐에서 인출되는 제2 붐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가 스위칭 온되면, 고소작업차의 주행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분무기와 약액탱크 사이에는 분무라인이 그 내부에 삽입되어 매립되게 구비되는 케이블 베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텔레스코픽 마스터에는 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케이블 베어에서 인출되는 분무라인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전선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에 따르면, 고소작업차의 후미에 약액 탱크를 연결하여 견인한 상태로 이동하고, 방제시는 농지에 따라 작업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약액을 다양한 높이에서 살포할 수 있으므로 농지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약액을 광범위적으로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구성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측면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 구성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축소 및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베이스 프레임과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제1 붐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블 베어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도 및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의해 고소 위치로 상승되는 작업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가능한 본체(110)와, 본체(110)에서 작업대(400)를 상하로 회전시켜 위치시키는 붐대(300)와, 본체(110)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방제용 약제가 저장된 약액탱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고소작업차(100)는 작업대(400)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과수 농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작업차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로써, 고소작업차(100)는 본체(110)의 후미에 방제용 약제가 저장된 약액탱크(500)를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고, 약액탱크(500) 내에는 약제를 분출시켜 공급할 수 있는 공급펌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약액탱크(500)의 양측에는 고소작업차(100)를 따라 주행 가능한 바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차(100)의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140)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구비되고, 크롤러(140)에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면에는 베이스 프레임(12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후술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를 베이스 프레임(120) 상에서 제자리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같은 회전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게다가, 베이스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후술될 약액탱크(500)로부터 분무기(410)로 공급되는 약제가 이송되는 플렉서블한 호스 등으로 이루어진 분무라인이 내장되어 보호되는 하부 케이블 베어(130)가 구비된다.
하부 케이블 베어(130)는 그 일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후술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1 플레이트(211)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120) 상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하부 케이블 베어(130)가 평면적으로 이동되면서 그 내부의 분무라인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분무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대(40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후술될 붐대(30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붐대(300)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어 위치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작업대(400)는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판재 형상의 발판과,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도록 발판의 일정 높이에서 발판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펜스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400)의 펜스는 봉 형상의 프레임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정 두께를 갖는 판재나 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400)의 후면에는 후술될 붐대(300)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작업대(400)에는 약제를 고압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는 분무기(410)가 구비되는 바, 분무기(410)는 작업대(400)의 일측에 거치된 상태로 비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베이스 프레임(120) 상면에는 작업대(400)와 붐대(300)를 제자리 회전 및 상하 이동시키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구비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는 후술될 붐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이에 구비되는 붐대(300) 및 작업대(400)를 본체(110) 상에서 제자리 회전시키고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신축 가능한 다단 붐으로 구성되되, 이의 다단 붐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붐(210)과, 제2 붐(220), 제3 붐(230)으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즉,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다단 붐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베이스 프레임(120)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1 붐(210)과, 제1 붐(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붐(210)과는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만 이동되어 출입되게 결합되는 제2 붐(220)과, 제2 붐(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붐(220)과는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만 이동되어 출입되게 결합되는 제3 붐(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2,3 붐(210)(220)(23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사각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형상 맞춤되게 결합됨으로써, 상대 회전은 불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만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붐(21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원판의 제1 플레이트(211)가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211)는 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턴테이블과 같은 회전수단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제1 붐(210)은 베이스 프레임(120) 상에서 제자리 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1 붐(210) 내부에는 제1 붐(210)에서 제2 붐(2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수단이 구비되는 바, 실린더수단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실린더본체(250)와, 실린더본체(250)의 하면으로 삽입되어 실린더본체(250)와 상대적으로 출입되게 작동되는 피스톤로드(251)를 포함한다.
특히, 실린더본체(250)의 하면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피스톤로드(251)는 그 하단부가 제1 붐(210)의 제1 플레이트(211)에 결합 고정되게 구비되고, 실린더본체(250)는 이의 상단부가 제2,3 붐(220)(2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3 플레이트(221)(231)를 관통하여 구비되면서 하단부는 제2 붐(220)의 제2 플레이트(221)에 결합 고정되게 구비된다.
또한, 제2,3 플레이트(221)(231)를 관통하여 제3 붐(230)의 내부에 위치된 실린더본체(250)의 상단부에는 힌지축(241)을 매개로 한 시브(2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시브(240)에는 체인(242)이 감김되어 권취되는 한편 체인(242)의 일단부는 제1 붐(210)의 제1 플레이트(211)에 결합 고정되는 제1 고정단(242a)으로 구비되며, 체인(242)의 타단부는 제3 붐(230)의 제3 플레이트(231)에 결합 고정되는 제2 고정단(242b)으로 구비되어, 실린더수단의 작동시 체인(242)이 제1 고정단(242a) 또는 제2 고정단(242b) 측으로 풀림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220)에서 제3 붐(230)이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즉, 실린더수단의 작동시 즉 실린더본체(250)가 피스톤로드(251)에서 상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실린더본체(250)가 결합 고정된 제2 붐(220)이 제1 붐(21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제3 붐(230)에 제2 고정단(242b)으로 결합 고정된 체인(242)이 제1 고정단(242a) 측으로 풀리면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시브(240)에 의해 제3 붐(230)이 제2 붐(22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높이가 최대로 신장된다.
그리고, 실린더수단이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시는 실린더본체(250)가 피스톤로드(251)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붐(220)이 제1 붐(210) 내로 인입됨과 동시에 제3 붐(230)이 제2 붐(220) 내로 인입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높이가 최소로 축소된다.
이때, 실린더본체(250)는 피스톤로드(251)의 상방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바, 이는 실린더본체(250)와 같이 하강되는 제2 붐(220)을 제1 붐(210)의 내측 바닥면까지 하강시킬 수 있고, 실린더본체(250)의 상승시엔 제2 붐(220)을 제1 붐(210)의 내측 상단부까지 상승시킬 수 있게 되므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행정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크기 및 부피를 소형화한 상태에서 작업대(400)의 높이를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서 허용하는 최대의 고소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1 붐(210)에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70)가 구비되고, 제1 붐(2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220)에는 리미트 스위치(270)를 스위칭시키는 감지부(271)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제1 붐(210)에서 제2 붐(220)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2 붐(220)이 일정 높이 즉 1.9m의 높이에 도달될 시 리미트 스위치(270)가 스위칭 온되고, 리미트 스위치(270)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고소작업차(100)의 주행속도가 0.9㎞/h 이하의 속도로 제어되게 설정되므로, 작업대(400) 상의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1 붐(2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붐의 출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260)와, 제3 붐(230)에는 제3 붐(230)에서 상하 회전되는 붐대(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26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감지센서(260)는 제1 붐(21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는 제3 붐(230)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제2 감지센서(261)는 제3 붐(230)에서 상하로 회전되는 붐대(300)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1,2 감지센서(260)(261)는 근접센서로서, 하강된 제3 붐(230)과 붐대(300)가 근접된 상태에서 온(ON)되어 있다가 제3 붐(230) 및 붐대(300)가 이동 및 회전되어 이격되면 오프(OFF)되게 구비되어, 제3 붐(230)의 상방 인출과 붐대(300)의 상향 회전을 감지하게 되고, 이의 감지신호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출력되며, 컨트롤러에서는 이의 감지신호에 따라 고소 작업차량(100)의 주행을 제어하게 된다.
즉, 컨트롤러는 제1 감지센서(260)에 의해 제3 붐(23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인출 즉 상승이 감지되면(제1 감지센서(260)의 감지신호 오프 상태) 본체(110)의 크롤러(140)를 록킹시켜 주행 불가한 상태로 제어하게 되고, 제2 감지센서(261)에 의해 제3 붐(230)에서 작업대(400)의 붐대(3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상향 회전되면(제2 감지센서(261)의 감지신호 오프 상태) 본체(110)의 크롤러(140)가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붐(210)의 일면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20) 상의 하부 케이블 베어(130)에서 인출된 분무라인을 수직 상방으로 방향 전환시켜 작업대(400)의 분무기(410)까지 간섭없이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상부 케이블 베어(280)가 구비된다.
상부 케이블 베어(280)는 제1 붐(210)의 일면에서 상면이 개구된 "∪"자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사인(sign)파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 형태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상부 케이블 베어(280)는 그 일단부 즉 본체(110)의 후미에 위치한 후단부는 제1 붐(210)에 고정되고, 타단부 즉 본체(110)의 선미에 위치한 전단부는 제3 붐(230)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제1 붐(21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는 제3 붐(230)을 따라 상부 케이블 베어(280)가 입체적으로 이동되면서 그 내부의 분무라인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분무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블 베어(280)와 인접한 제1 붐(210)의 일면에는 제1 붐(210)의 높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 브라켓(290)이 구비되고, 가이드 브라켓(290)은 그 양측 단부가 제1 붐(210)에 결합 고정되는 "⊂"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가이드 브라켓(290) 내에는 그 하단부로 하부 케이블 베어(130)에서 인출된 분무라인이 인입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인출되어 다시 상부 케이블 베어(280)의 후단부로 인입되고, 이러한 분무라인과 더불어 본체(110)에서 인출되는 다양한 전선들이 가이드 브라켓(290)과 상부 케이블 베어(280)에 의해 인입되어 내장된 상태로 보호됨으로써 분무라인을 약액탱크(500)로부터 분무기(410)까지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고, 다양한 전선들은 작업대(400) 및 붐대(300)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하부 케이블 베어(130), 가이드 브라켓(290), 상부 케이블 베어(280)에 인입된 상태로 구속되는 분무라인과 각종 전선들은 안전하게 보호될 뿐 아니라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자리 회전 및 상하 이동, 붐대(300)의 상하 회전시에도 꼬임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3 붐의 전면 상단부에는 작업대(400)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붐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붐대(300)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11)으로 구비되고,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11)은 그 전,후단부가 각각 작업대(400)의 후면과 제3 붐(230)의 전면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때, 제3 붐(230)의 전면 상단부에는 "ㄴ"자 형상의 고정브라켓(312)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312)에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11)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11) 사이에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312)과 작업대(400)에 연결되어 작업대(400) 및 붐대(30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작업대(400)와 붐대(300)가 일체로 제자리 회전되고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되며, 이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제3 붐(230)에서 붐대(300)가 상하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대(400)를 제3 붐(230)보다 더 높이 위치시키거나 또는 제3 붐(230)보다 낮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업대(400)의 높이 조절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신속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대(400)의 상하 회전에 의해 작업대(40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고소작업차(100)의 본체(110) 후미에 방제용 약제를 저장한 약액탱크(500)가 연결되어 견인됨으로써 방제를 필요로 하는 곳으로 약액탱크(500)를 간편히 이동시켜 신속한 방제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제 시는 작업대(4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작업대(400)의 분무기(410)를 통한 약제를 다양한 높이에서 광범위적으로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게 된다.
즉,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수단이 작동되어 신장되면, 제1 붐(210)에 결합 고정된 피스톤로드(251)의 상부로 제2 붐(220)에 결합 고정된 실린더본체(250)가 상승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 붐(220)이 실린더본체(250)와 일체로 동시에 상승 이동된다.
이러한 제2 붐(220)의 상승 이동에 의해 체인(242)이 제2 고정단(242b) 측에서 제1 고정단(242a) 측으로 풀림과 더불어 실린더본체(250)의 시브(240)가 상승 이동됨에 따라 체인(242)의 제2 고정단(242b)이 결합 고정된 제3 붐(230)이 제2 붐(220)의 상승 이동과 동시에 상승 이동된다.
결국, 제1 붐(210)에서 실린더수단에 의해 제2 붐(220)이 상승 이동됨과 동시에 체인(242) 및 시브(240)에 의해 제3 붐(230)이 제2 붐(220)에서 상승 이동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전체적으로 신장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신장에 의해 붐대(300) 및 작업대(400)의 높이가 최대한 높아진 고소 위치에서 방제용 약제를 광범위적으로 분무하여 살포하게 되므로 농지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방제 면적을 널리 확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신장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한 작업대(400)의 위치의 높이가 리미트 스위치(270)와 제1,2 감지센서(260)(261)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그 높이에 따라 고소작업차(100)의 주행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대(400)에서 방제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고소작업차 110 : 본체
120 : 베이스 프레임 130 : 하부 케이블 베어
140 : 크롤러 200 : 텔레스코픽 마스터
210,220,230 : 붐 211,221,231 : 플레이트
240 : 시브 241 : 힌지축
242 : 체인 242a,242b : 고정단
250 : 실린더본체 251 : 피스톤로드
260,261 : 감지센서 270 : 리미트 스위치
271 : 감지부 280 : 상부 케이블 베어
290 : 가이드 브라켓 300 : 붐대
310,311 : 프레임 312 : 고정브라켓
320 : 유압실린더 400 : 작업대
410 : 분무기 500 : 약액탱크

Claims (5)

  1. 주행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서 작업대를 상하 회전시키는 붐대와, 본체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방제용 약제가 저장된 약액탱크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방제시스템으로서,
    본체에는 붐대가 연결되어 붐대를 제자리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구비되고,
    붐대의 작업대에는 약액탱크와 분무호스로서 연결되어 방제용 약제를 분무하여 살포할 수 있는 분무기가 구비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본체에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하 이동은 불가하게 구비되는 제1 붐;
    제1 붐 내에 삽입되어 제1 붐과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붐;
    제2 붐 내에 삽입되어 제2 붐과 상대 회전 불가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붐;
    제1 붐 내에 구비되어 그 일측은 제1 붐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붐에 결합 고정되어 이의 신축시 제1 붐에서 제2 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수단;
    실린더수단에 힌지 결합된 시브에 권취되는 한편 그 일단부는 제1 붐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3 붐에 결합 고정되어 실린더수단의 작동시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에서 제3 붐이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붐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고, 제1 붐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제2 붐에는 리미트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감지부가 구비되어,
    제1 붐에서 인출되는 제2 붐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가 스위칭 온되면, 고소작업차의 주행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무기와 약액탱크 사이에는 분무라인이 그 내부에 삽입되어 매립되게 구비되는 케이블 베어가 구비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에는 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한편 케이블 베어에서 인출되는 분무라인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전선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되는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KR1020220164915A 2022-11-30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KR20240081039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1039A true KR20240081039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731B1 (en) Smoke evacuating fire vehicle
CN109071194B (zh) 具有防止操作者受到挤压的控制台的空中升降式工作平台
KR101950650B1 (ko)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940011285A (ko) 선박의 선체 외표면 작업방법 및 장치
JP6778789B1 (ja) 温室用液体散布装置
US4122917A (en) Fire rescue equipment
US3223330A (en) Spray boom leveler apparatus
JPH0749360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機構
KR20100093761A (ko) 무인 자동화 농약살포장치
US6616102B1 (en) Apparatus for deicing aircraft
CN107774466B (zh) 喷杆式喷雾器
KR20240081039A (ko) 직립형 고소작업차 방제시스템
KR101935198B1 (ko)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US5341999A (en) Fire brigade truck
US5762083A (en) Support for garbage chute cleaning apparatus
JP2003009750A (ja) 薬液散布作業車
KR102472699B1 (ko) 다중 회전구조의 고소형 방제장치
JPH09298905A (ja) 茶園における障害物回避方法並びにこれを行う自走式茶園管理装置
KR20130071093A (ko) 하우스 농작물 방제용 액상 살포장치
KR101747117B1 (ko) 캐빈 방제차량의 차체 업다운 장치
KR101918541B1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JP3002730B1 (ja) レ―ル懸垂式防除装置
JP2695667B2 (ja) 消防ヘリコプタ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US3228144A (en) Apparatus for applying finely divided material to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