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98B1 -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 Google Patents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98B1
KR101935198B1 KR1020180058854A KR20180058854A KR101935198B1 KR 101935198 B1 KR101935198 B1 KR 101935198B1 KR 1020180058854 A KR1020180058854 A KR 1020180058854A KR 20180058854 A KR20180058854 A KR 20180058854A KR 101935198 B1 KR101935198 B1 KR 10193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ire
tunnel
bubbles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자
Original Assignee
김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자 filed Critical 김인자
Priority to KR102018005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터널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유독가스를 임시 포집하는 것으로서, 거품을 형성하여 유도파이프를 통해 터널 내부로 공급하는 거품공급부와; 상기 터널의 천장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분출하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와; 상기 주행도로에 은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1,2출몰형거품분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터널 내 화재의 감지 시 즉각 작동하여, 화염에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을 쏟아 부어 화재를 신속 진압함은 물론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하여 터널내 유독가스의 퍼짐을 억제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주행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에 거품분출부가 다수 은폐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바로 옆에서 화염을 향해 거품을 분출하여 뒤집어 씌울 수 있어 화염 진압이 매우 신속하며 효율적이다.

Description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Emergency fire extinguisher device in tunnel}
본 발명은 터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 대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불을 초기 진압함은 물론 유독가스의 퍼짐 까지 방지할 수 있는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신속하고 원활한 주행을 위해 건설되는 터널은 입구와 출구를 제외하고 밀폐된 공간이므로, 경미한 사고라 하더라도 심각한 인명피해나 대규모 교통체증을 유발하기 쉽다. 특히, 터널 내 차량의 추돌이나 전복에 의한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터널의 내부공간을 빠르게 채우며 정체된 상태로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터널의 길이가 길수록 고온의 열과 유독가스의 배기에 시간이 걸리므로 사고 피해는 더욱 크게 증가한다.
더 큰 문제는, 터널 내 화재 발생시, 차량이 막혀 소방차량이나 방재용 차량이 화재지점에 신속히 도달할 수 없어 사고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널 내에 소화전이나 소화기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재장치들을 설치하고 있으나, 극한의 상황에서 일반 운전자가 소화기를 가지고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화점에 근접하여 진압을 시도하는 것 자체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사람이 화재를 직접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 제어 방식으로 진압하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65596호 (터널의 확연 확산 방지장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27746호 (터널화재 진압용 살수시스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47990호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터널 내 화재의 감지 시 즉각 작동하여, 화염에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을 쏟아 부어 화재를 신속 진압함은 물론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하여 터널내 유독가스의 퍼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화재 발생시 화염의 바로 옆에서 화염을 향해 거품을 분출하여 뒤집어 씌울 수 있어 화염 진압이 신속하며 효율적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도로와 작업자를 위한 통행로를 제공하는 터널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유독가스를 임시 포집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행도로의 하부에 확보된 도로하부공간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혼합탱크, 혼합탱크 내부의 물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계면활성제공급부, 상기 혼합탱크에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거품이 형성되게 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혼합탱크 내부에 형성된 거품을 펌핑하여 유도파이프를 통해 터널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거품공급부와; 상기 터널의 천장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분출디퓨져를 갖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와; 상기 주행도로에 표시되는 중앙선을 따라 은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와; 상기 중앙선 좌우의 차선 중 일부 차선에 은폐되고, 화재발생시 작동하여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2출몰형거품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헤드거품분출부는; 터널의 천장면에 고정되고, 유도파이프를 통해 거품공급부로부터 거품을 전달받는 연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결챔버 내의 거품을 하부로 유도하되 축회전 가능한 스위블커넥터와, 상기 스위블커넥터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출디퓨져를 갖는 회전로드와, 필요시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출몰형거품분출부는; 상기 중앙선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수직피트와, 상기 수직피트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가지고,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승강노즐유니트와, 승강노즐유니트를 승강운동 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출몰형거품분출부는; 상기 차선을 모사하는 차선모사부재와, 차선모사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피트에 상하 회동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회동노즐유니트와, 상기 회동노즐유니트를 상향 회동시켜 차선모사부재와 함께 도로의 상부로 노출시키거나 하향 회동시켜 수평피트에 수납시키는 회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노즐유니트는 차선모사부재와 고정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차선모사부재는, 차선과 동일한 사이즈와 칼라를 갖는 판상부재이며, 상기 수평피트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차선모사부재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터널 내 화재의 감지 시 즉각 작동하여, 화염에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을 쏟아 부어 화재를 신속 진압함은 물론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하여 터널내 유독가스의 퍼짐을 억제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주행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에 거품분출부가 다수 은폐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의 바로 옆에서 화염을 향해 거품을 분출하여 뒤집어 씌울 수 있어 화염 진압이 매우 신속하며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거품분사부의 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제1출몰형거품분출부의 내부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출몰형거품분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5에 도시한 제2출몰형거품분출부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화염을 향해 다량의 거품을 쏟아 부어 화재를 조기 진압하는 기본 목적을 갖는 것이다. 즉,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도로와 작업자를 위한 통행로를 제공하는 터널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유독가스를 임시 포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행도로의 하부에 확보된 도로하부공간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혼합탱크, 혼합탱크 내부의 물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계면활성제공급부, 상기 혼합탱크에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거품이 형성되게 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혼합탱크 내부에 형성된 거품을 펌핑하여 유도파이프를 통해 터널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거품공급부와; 상기 터널의 천장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분출디퓨져를 갖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와; 상기 주행도로에 표시되는 중앙선을 따라 은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와; 상기 중앙선 좌우의 차선 중 일부 차선에 은폐되고, 화재발생시 작동하여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2출몰형거품분출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오버헤드거품분사부의 일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소화(消火)용 거품을 발생하여 공급하는 거품공급부(40), 터널(10)의 천장에 구비되며 공급받은 거품을 하향 분출하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 주행도로(12)의 중앙선에 은폐 설치되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 차선에 은폐 설치되는 제2출몰형거품분출부(60)를 구비한다.
터널(10)은 콘크리트구조체로서 차량이나 사람이 통과하는 통로(11)를 제공하며 그 내부에 조명이나 환기시설을 갖는다. 특히 터널(10)의 하부에는 도로하부공간(20)이 마련된다. 도로하부공간(20)은 터널(10)의 시공시 노면 하부에 따로 형성한 공간으로서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소에 위치한다.
터널(10)의 바닥면은 주행도로(12)와 작업자통행로(13)이다. 주행도로(1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선(16)과 차선(17)이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통행로(13)는 터널내 시설을 정비하기 위한 작업자를 위한 것으로서 안전을 위해 주행도로(1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작업자통행로(13)가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은 물론이다. 특히 작업자통행로(13)에 있어서 도로하부공간(20)의 상부를 지나는 부분은, 덮개(13a)에 의해 커버되며 하부공간출입로(21)를 통해 도로하부공간(20)과 연결된다. 작업자는 덮개(13a)를 개방한 상태로 사다리(15)를 타고 도로하부공간(20)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상기 거품공급부(40)는, 도로하부공간(20)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혼합탱크(41), 계면활성제공급부(43), 가스공급부(42), 펌프(46), 콘트롤러(45)를 포함한다.
혼합탱크(41)는 급수관(47)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밀폐 용기이다. 혼합탱크(41)의 내부에는 항상 물이 절반 정도 수용되어 비상 상황, 즉 터널내의 화재 발생을 대비한다. 계면활성제공급부(43)는 준비된 계면활성제를, 혼합탱크(41) 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계면활성제의 공급량은 콘트롤러(45)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가스공급부(42)는 이산화탄소나 질소가스를 혼합탱크(41)로 분출하여 혼합탱크(41) 내부에서 거품이 형성되도록 한다. 혼합탱크(41) 내부에서 형성되는 거품에 이산화탄소나 질소가스가 포함됨은 물론이다.
혼합탱크내부의 물의 수량과 계면활성제의 잔류량과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의 충전량은 작업자에 의해 수시로 체크된다.
펌프(46)는 혼합탱크(41)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거품을 상기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와 제1,2출몰형거품분출부(50,60)로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콘트롤러(45)는 가스공급부(42)와 계면활성제공급부(43)와 펌프(46)를 제어하여, 혼합탱크(41) 내부에 거품을 형성하고 형성된 거품을 목표지점으로 공급하게 한다. 특히 콘트롤러(45)는 터널(10)의 천장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부(65)와 접속되며 센서부(65)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동작가능하다. 상기 센서부(65)는, 온도센서 또는 유독가스 검출용 센서로서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거품공급부(40)는, 화재 발생 즉시, 센서부(65)로부터 신호를 받아 능동 작동하여 거품을 생산하고, 생산된 거품을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 제1,2출몰형거품분출부(50,60)로 곧바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는, 거품공급부(40)로부터 공급받은 거품(F)을, 마치 폭포와 같이 하부로 분출하는 것이다. 하부라 함은 화염(火焰)이 위치한 지점이다.
이러한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는, 터널(10)의 천장면에 고정되는 연결챔버(32), 연결챔버 하부의 스위블커넥터(33), 스위블커넥터(33)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회전로드(36), 회전로드(36)의 하부에 고정된 다수의 분출디퓨져(37), 회전로드(36)를 회전시키는 모터(35)를 구비한다.
연결챔버(32)는 다양한 방식의 지지프레임(31)을 통해 고정되며, 지상유도파이프(39a)를 통해 전달된 거품을 그 내부에 임시 저장하는 밀폐용기이다. 터널내 연결챔버(32)의 간격은 회전로드(36)의 길이보다 넓다.
스위블커넥터(33)는, 연결챔버(32)의 하부에 고정되어 연결챔버(32) 내부의 거품을 회전로드(36) 측으로 유도하는 통로로서 부분적으로 축회전 가능하다. 즉, 연결챔버의 하측부에는 종동기어(34)가 구비되는데 종동기어(34)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 축회전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스위블커넥터(33)의 상단부는 연결챔버(32)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하고, 스위블커넥터(33)의 중간 이하(종동기어(34)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만 축회전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위블커넥터(33)의 내부에 베어링(미도시)과 시일링(미도시) 등이 적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기능을 갖는 한, 스위블커넥터(33)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모터(35)는 연결챔버(32)의 하부에 고정되며 구동기어(35a)를 갖는다. 구동기어(35a)는 종동기어(34)와 치합한다. 모터(35)를 통해 구동기어(35a)를 회전시킴에 따라 종동기어(34)가 종동하여 스위블커넥터(33)가 축회전하게 됨은 물론이다.
회전로드(36)는 그 길이방향 중앙부가 스위블커넥터(33)에 연통하는 중공튜브형 부재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위블커넥터(33)를 통과해 하부로 내려온 거품은 수평방향으로 퍼지며 회전로드(36)의 내부를 채운다. 또한 분출디퓨져(37)는 하부로 개방된 거품통로로서, 회전로드(36)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회전로드(36)의 내부에 채워진 거품은 각 분출디퓨져(37)를 통해 하부로 쏟아진다.
하부로 분출하는 거품의 내부에는 이산화탄소나 질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거품이 화염을 덮어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불을 신속히 진화한다. 또한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대부분 거품의 내부에 갇혀 주변으로 퍼지지 않는다. 거품이 터지면 그 내부에 갇혀 있던 유독가스가 공기중으로 퍼지지만, 거품이 계속적으로 쏟아지는 이상, 유독가스는 거품의 내부 공간에 다시 포집된다.
상기 회전로드(3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가령 사고지점(Z)에서 발생한 화염을 거품으로 덮어 가두기 위해 필요한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이다.
회전로드(36)의 회전이나 방향조절도 콘트롤러(45)에 의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 분출디퓨져(37)가 거품을 분출하는 동안 회전로드(36)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는, 주행도로(12)에 표시되어 있는 중앙선(16)을 따라 은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거품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거품을 분출하는 목적은 당연히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의 간격은 촘촘할수록 좋으며, 필요에 따라 20미터 내지 30미터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의 내부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는, 중앙선(16)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피트(50a)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노즐유니트(51)와,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피트(50a)는 중앙선(16)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는 수직의 구멍으로서 피트덮개(50b)에 의해 개폐된다. 피트덮개(50b)는 회동축(50c)에 지지되며 상하로 회동 가능한 강철판으로서, 중앙선과 동일한 칼라를 갖는다. 피트덮개(50b)를 닫은 상태에서 피드덮개(50b)는 주행도로(12)의 노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피트덮개(50b)는 수직피트(50a)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마치 맨홀뚜껑과 같이 차량이 그 상부를 통과하더라도 하부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승강노즐유니트(51)는, 수직피트(50a)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본체(51a)와 분사노즐(51b)과 헤드(51c)를 구비한다. 본체(51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의 형태를 취하며 유도튜브(52)를 통해 지중유도파이프(59b)와 연결된다. 본체(51a)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절한 가이드수단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중유도파이프(59b)는, 주행도로(12)의 하부에 배관되며 상기한 펌프(46)에 의해 펌핑된 거품을 유도하는 파이프이다. 또한 유도튜브(52)는 플렉시블한 성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호스로서, 지중유도파이프(59b)와 본체(51a)를 연결한다. 지중유도파이프(59b)를 통과하는 거품이 유도튜브(52)를 통해 본체(51a)로 공급됨은 물론이다.
상기 분사노즐(51b)은 본체(51a)의 상단부에 배치된 거품분출부이다. 본체(51a)의 내부로 유도된 거품이 각 분사노즐(51b)을 통해 사방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분사노즐(51b)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한다.
헤드(51c)는 분사노즐(51b)의 상부에 위치하며 분사노즐(51b)을 보호함과 아울러 승강노즐유니트(51)를 화살표 c방향으로 상승시킬 때 피트덮개(50b)를 상부로 밀어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은, 승강유도모터(53), 받침롤러(54), 인장와이어(55)를 포함한다. 승강유도모터(53)는 콘트롤러(45)에 의해 작동하여 구동풀리(53a)를 회전시킨다. 구동풀리(53a)는 인장와이어(55)의 일단부를 감은 상태로 승강유도모터(53)에 의해 인장와이어(55)를 감거나 푼다.
받침롤러(54)는 구동풀리(53a) 보다 높은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인장와이어(55)를 받쳐 인장와이어(55)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본체(51a)의 하단부에는 와이어홀더(51d)가 고정된다. 와이어홀더(51d)는 인장와이어(55)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다.
결국 상기 승강유도모터(53)를 구동하여 인장와이어(55)를 상부로 인장하면, 승강노즐유니트(51)가 화살표 c방향으로 상승하며 지상으로 노출되고, 인장와이어(55)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승강노즐유니트(5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수직피트(50a) 내부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5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승강유도모터(53)를 작동시켜 승강노즐유니트(51)를 주행도로(12)의 상부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펌프(46)를 구동하여 거품을 공급한다. 펌프(46)에 의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거품은, 지중유도파이프(39b)와 유도튜브(52)와 본체(51a)를 차례로 거쳐 분사노즐(51b)을 통해 화살표 d방향으로 분출하여 화염을 진압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출몰형거품분출부(60)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제2출몰형거품분출부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출몰형거품분출부(60)는, 주행도로(12) 상면에 표시되어 있는 차선(17) 중 일부 차선에 은폐되고, 화재발생시 일으켜져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되며 거품공급부(40)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거품을 분출하는 이유는 당연히 화재를 진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출몰형거품분출부(60)는, 차선(17)을 모사하는 차선모사부재(60b), 회동노즐유니트(61), 회동수단을 구비한다.
차선모사부재(60b)는, 차선(17)과 동일한 형태와 칼라를 갖는 판상부재이다. 차선모사부재(60b)는 평상시에는 주행도로(12)의 표면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며 일반적인 차선의 역할을 한다. 차선모사부재(60b)의 테두리부는 수평피트(60a)의 걸림턱(60c)에 걸려, 가령, 차량이 그 위를 통과하더라도 하부로 내려앉지 않는다. 수평피트(60a)는 상부로 개방된 공간부로서 그 내부에 회동노즐유니트(61)와 회동수단을 수용하는 홈이다.
회동노즐유니트(61)는 차선모사부재(60b)의 저면에 고정되며 수평피트(60a)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유도튜브(63)를 통해 지중유도파이프(39b)와 연결된다. 또한 회동노즐유니트(61)의 일단부에는 다수의 분사노즐(61b)이 위치한다.
분사노즐(61b)은 유도튜브(63)를 통해 공급된 거품을 주변으로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튜브(63)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플렉시블 호스로서, 지중유도파이프(39b)와 회동노즐유니트(61)를 연결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회동노즐유니트(61)를 차선모사부재(60b)와 함께 주행도로(12)의 상부로 노출시키거나 수평피트(60a)에 수납시키는 것으로서, 구동기어(62a)를 갖는 회동유도모터(62)와 고정기어(61c)를 갖는다. 고정기어(61c)는 회동노즐유니트(61)에 일체로 고정된 기어로서 구동기어(62a)와 치합하여 구동기어(62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한 제2출몰형거품분출부(6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동유도모터(62)를 작동시켜 회동노즐유니트(61)를 화살표 k방향으로 일으켜 세움과 동시에 펌프(46)를 구동해 회동노즐유니트(61) 내에 거품을 압입한다. 펌프(46)에 의해 회동노즐유니트(61) 내부로 연속 공급되는 거품은, 분사노즐(61b)을 통해 주변으로 배출되어 주변의 화염을 진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30)와 더불어 제1,2출몰형거품분출부(50,60)를 가짐으로서, 화재 발생시 화염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거품을 분출하여 화재를 매우 신속히 진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터널 11:통로 12:주행도로
13:작업자통행로 13a:덮개 15:사다리
16:중앙선 17:차선 20:도로하부공간
21:하부공간출입로 30:오버헤드거품분출부 31:지지프레임
32:연결챔버 33:스위블커넥터 34:종동기어
35:모터 35a:구동기어 36:회전로드
37:분출디퓨져 39a:지상유도파이프 39b:지중유도파이프
40:거품공급부 41:혼합탱크 42:가스공급부
43:계면활성제공급부 45:콘트롤러 46:펌프
47:급수관 50:제1출몰형거품분출부 50a:수직피트
50b:피트덮개 50c:회동축 51:승강노즐유니트
51a:본체 51b:분사노즐 51c:헤드
51d:와이어홀더 52:유도튜브 53:승강유도모터
53a:구동풀리 54:받침롤러 55:인장와이어
60:제2출몰형거품분출부 60a:수평피트 60b:차선모사부재
60c:걸림턱 61:회동노즐유니트 61b:분사노즐
61c:고정기어 62:회동유도모터 62a:구동기어
63:유도튜브 65:센서부

Claims (5)

  1. 삭제
  2. 차량이 통행하는 주행도로와 작업자를 위한 통행로를 제공하는 터널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유독가스를 임시 포집하는 것으로서,
    상기 주행도로의 하부에 확보된 도로하부공간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혼합탱크, 혼합탱크 내부의 물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계면활성제공급부, 상기 혼합탱크에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거품이 형성되게 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혼합탱크 내부에 형성된 거품을 펌핑하여 유도파이프를 통해 터널 내부로 공급하는 펌프가 구비된 거품공급부와; 상기 터널의 천장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분출디퓨져를 갖는 오버헤드거품분출부와; 상기 주행도로에 표시되는 중앙선을 따라 은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1출몰형거품분출부와; 상기 중앙선 좌우의 차선 중 일부 차선에 은폐되고, 화재발생시 작동하여 주행도로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사방으로 분출하는 제2출몰형거품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거품분출부는; 터널의 천장면에 고정되고, 유도파이프를 통해 거품공급부로부터 거품을 전달받는 연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결챔버 내의 거품을 하부로 유도하되 축회전 가능한 스위블커넥터와, 상기 스위블커넥터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출디퓨져를 갖는 회전로드와, 상기 회전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몰형거품분출부는;
    상기 중앙선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수직피트와,
    상기 수직피트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가지고,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승강노즐유니트와,
    승강노즐유니트를 승강운동 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몰형거품분출부는;
    상기 차선을 모사하는 차선모사부재와,
    차선모사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피트에 상하 회동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거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회동노즐유니트와,
    상기 회동노즐유니트를 상향 회동시켜 차선모사부재와 함께 도로의 상부로 노출시키거나 하향 회동시켜 수평피트에 수납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노즐유니트는 차선모사부재와 고정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차선모사부재는, 차선과 동일한 사이즈와 칼라를 갖는 판상부재이며,
    상기 수평피트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차선모사부재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KR1020180058854A 2018-05-24 2018-05-24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KR10193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54A KR101935198B1 (ko) 2018-05-24 2018-05-24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54A KR101935198B1 (ko) 2018-05-24 2018-05-24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198B1 true KR101935198B1 (ko) 2019-01-03

Family

ID=6502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854A KR101935198B1 (ko) 2018-05-24 2018-05-24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644A (zh) * 2020-04-30 2020-08-07 绍兴市上虞凯达锻造有限公司 一种灯具加工生产用喷涂装置
CN111774209A (zh) * 2020-07-13 2020-10-16 北海职业学院 一种机器人制造用喷涂装置
KR102204121B1 (ko) * 2020-07-31 2021-01-19 시춘근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지중전력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JP2012100819A (ja) * 2010-11-09 2012-05-31 Nohmi Bosai Ltd 泡消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432A (ja) * 2005-01-06 2006-07-20 Kubota Corp 特定空間の防災設備
JP2012100819A (ja) * 2010-11-09 2012-05-31 Nohmi Bosai Ltd 泡消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644A (zh) * 2020-04-30 2020-08-07 绍兴市上虞凯达锻造有限公司 一种灯具加工生产用喷涂装置
CN111495644B (zh) * 2020-04-30 2021-05-25 绍兴市上虞凯达锻造有限公司 一种灯具加工生产用喷涂装置
CN111774209A (zh) * 2020-07-13 2020-10-16 北海职业学院 一种机器人制造用喷涂装置
CN111774209B (zh) * 2020-07-13 2021-05-11 北海职业学院 一种机器人制造用喷涂装置
KR102204121B1 (ko) * 2020-07-31 2021-01-19 시춘근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지중전력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198B1 (ko) 터널내 화재 긴급 대응장치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JP4360536B2 (ja) 防火防煙区画形成設備
KR101037256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KR101437596B1 (ko) 터널용 방재장치
KR20200050081A (ko)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2659B1 (ko)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KR102377220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KR20200068367A (ko)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101796701B1 (ko) 터널용 내진 소화 시스템
CN105920760A (zh) 一种高空灭火设备
RU27430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туннеле
JP3986490B2 (ja) 粉塵飛散防止システム
KR200491486Y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KR101725900B1 (ko) 터널에서의 유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NL2022378B1 (en) Liquid propelled unmanned aerial vehicle
CA2923049A1 (en) Apparatus for fire and/or smoke control
KR102426442B1 (ko)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KR101289864B1 (ko) 에어커튼을 병행한 상하 복층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JP2005536320A (ja) 特にトンネル及び類似構造物用に設計された消火装置及び火災誘導システム
KR102181245B1 (ko) 소방용수 분사 장치
JP3286952B2 (ja) 駐車場の消火設備
KR101540384B1 (ko) 소방장치를 구비한 헬리데크
WO2021175391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