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42B1 -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42B1
KR102426442B1 KR1020220000948A KR20220000948A KR102426442B1 KR 102426442 B1 KR102426442 B1 KR 102426442B1 KR 1020220000948 A KR1020220000948 A KR 1020220000948A KR 20220000948 A KR20220000948 A KR 20220000948A KR 102426442 B1 KR102426442 B1 KR 10242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ar
frame
fir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Priority to KR102022000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대피출구를 갖고 대피출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는, 측면이 "ㄷ"자형상으로 터널(50) 내 벽면(51)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수직기립되어 앵커공(11a)을 통해서 앵커볼트(11b)로 벽면(51)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고, 수직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서 수평연장되고 선단부에 축공(12a,13a)을 갖는 상하단수평고정바(12,13)가 각각 형성되는 수직고정대(10);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좌측단 상하단면이 상기 수직고정대(10)의 상하단수평고정바(12,1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단면에는 상단수평고정바(12) 상단면에 수직기립되어 고정설치된 정역모터(22)의 사각모터축(22a)이 삽입되어 축결합되는 사각축공(21a)을 갖고 하단면은 축볼트(2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내측에 관리자 단말기(23b)와 통신연결되어 정역모터(22)를 정역회동시키는 전원및신호출력부(23a)를 갖는 제어부인 회로박스(23)가 삽입고정되는 축회동바(21)가 형성되고, 축회동바(21) 상하단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되 내측저면 좌우측에 하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상단지지편(24a,24b)을 각각 갖는 상하단지지바(24,25)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지지바(24,25) 선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내측상면 좌우측에 상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하단지지편(25a,25b)을 각각 갖는 수직지지바(26)가 형성되는 모터회동작동틀(20); "X"자형상으로 수직기립된 엘이디바로, "X"자형상으로 좌측상단부가 좌측상단지지편(24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상단고정공(31a)을 갖고 좌측하단부가 좌측하단지지편(25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하단고정공(31b)을 갖으며 우측상단부가 우측상단지지편(24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상단고정공(31c)을 갖고 우측하단부가 우측하단지지편(25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하단고정공(31d)을 갖으며 중심부에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원및신호출력부(23a)와 연결되는 전원및신호입력부(31e)를 갖는 조명프레임(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프레임(31) 좌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우측방향을 지시하는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프레임(31) 우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좌측방향을 지시하는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를 갖아 상기 회로박스(23)의 신호를 받아 좌측이나 우측방향을 선택적으로 조명지시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 및 투명재질의 판체로,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를 보호하는 전후방측아크릴커버(40,40a)를 구비하는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널 내 설치된 다수개 cctv와 연기및화재감지센서를 통해서 관리자단말기에서 터널 내 화재발생지점이 특정되면,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터널 내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된 시선유도장치의 모터회동작동틀과 이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와 우측상하부엘이디바를 통해서 화재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후방측에서 "X"로 조명표시하여 각각 차량이나 사람의 진입차단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리고, 이 화재발생지점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거나, 우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여 터널 내 차량이나 사람을 대피출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긴급하게 탈출 및 피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Eye-catching device for tunnels that can respond to fire emergencies}
본 발명은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 설치된 다수개 cctv와 연기및화재감지센서를 통해서 관리자단말기에서 터널 내 화재발생지점이 특정되면,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터널 내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된 시선유도장치의 모터회동작동틀과 이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와 우측상하부엘이디바를 통해서 화재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후방측에서 "X"로 조명표시하여 각각 차량이나 사람의 진입차단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리고, 이 화재발생지점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거나, 우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여 터널 내 차량이나 사람을 대피출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긴급하게 탈출 및 피신시킬 수 있는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산을 뚫어서 도로 또는 철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산을 뚫은 후 그 내벽면에 방수 매트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원 형상의 터널을 형성하고, 그 내부의 바닥면은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노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터널의 내부에는 터널 천정의 벽면에는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터널의 측면 벽면에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화재 사고에 대비하여 다수개의 소정의 거리에 따라 소화장치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건설 기술의 발달로 도로나 철로, 지하철로, 해저통로 등을 위한 터널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터널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일 해저 터널,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해저 터널 등이 계획 중이며, 건설 중인 춘천과 양양간 고속도로 중 인제 터널 등은 터널 길이만으로도 수 km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소화장치는 터널 내부의 측면에 소정의 거리 마다 설치되는 소화전으로 구성되는데, 소화전은 내부에 분말 소화기와 소방 호스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 장치의 경우 대부분 분말 소화기나 소방 호스에 의존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 운전자나 사용자가 직접 소화전에서 소화기와 소방호스를 꺼내어 터널 내부의 차량 화재를 진압하여 위급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분무를 이용한 소방설비는 현행 규정상 터널의 길이가 3km 이상인 경우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1km 미만의 터널에서는 소화기만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터널 내부에서 차량 사고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터널 내부에서의 경미한 사고도 터널의 구조상 엄청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터널 내벽의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재난 방재 장치에 있어서, 터널의 내벽에 다수개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운전자가 신속히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 버튼; 터널의 상측면 내벽에 일정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에 대하여 다수개 설치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물을 분사하는 살수 헤드; 상기 터널 공간의 외부에 구비되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살수 헤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소방 급수전; 터널 내부의 공기를 터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부; 터널 내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 발생부; 운전자에 의한 상기 비상 버튼의 신호가 있는 경우, 신호가 인가된 상기 비상 버튼의 좌우측 일정 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살수 헤드에 대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환기부와 경보 발생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터널 내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주위에서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되는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가 특허등록 제10-1037256호(2011.05.26.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 터널에는 주로 화재 발생시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들만 설치되기 때문에 터널 전체를 차단하는 큰 불이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터널 내부에 위치하는 운전자들이 터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어렵고, 터널 내부를 채우는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쉽게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발생 초기에 운전자가 미연에 대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노즐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탱크;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통로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여부 및 대피 방향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에 투영하는 반사부; 상기 영상출력부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서랍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 상기 서랍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을 상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이 개폐될 때에 상기 영상출력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서랍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서랍의 상단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 한 쌍이 상기 스크린의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서랍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 한 쌍의 상기 봉부재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서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이 권취되는 드럼부재; 및 상기 서랍의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상기 스크린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등록특허 제10-2006771호(2019.08.02.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배피출구에 홀로그램 영상이 허공에 구현되게 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에게 화재발생 여부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였으나, 화재로 인한 먼지나 연기의 발생이 심할 경우에는 이를 인식하기 어려워 실질적으로 대피출구를 찾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37256호(2011.05.26.공고)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6771호(2019.08.02.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내 설치된 다수개 cctv와 연기및화재감지센서를 통해서 관리자단말기에서 터널 내 화재발생지점이 특정되면,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터널 내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된 시선유도장치의 모터회동작동틀과 이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와 우측상하부엘이디바를 통해서 화재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후방측에서 "X"로 조명표시하여 각각 차량이나 사람의 진입차단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리고, 이 화재발생지점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거나, 우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여 터널 내 차량이나 사람을 대피출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긴급하게 탈출 및 피신시킬 수 있는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대피출구를 갖고 대피출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에 있어서,
상기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는,
측면이 "ㄷ"자형상으로 터널(50) 내 벽면(51)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수직기립되어 앵커공(11a)을 통해서 앵커볼트(11b)로 벽면(51)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고, 수직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서 수평연장되고 선단부에 축공(12a,13a)을 갖는 상하단수평고정바(12,13)가 각각 형성되는 수직고정대(10);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좌측단 상하단면이 상기 수직고정대(10)의 상하단수평고정바(12,1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단면에는 상단수평고정바(12) 상단면에 수직기립되어 고정설치된 정역모터(22)의 사각모터축(22a)이 삽입되어 축결합되는 사각축공(21a)을 갖고 하단면은 축볼트(2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내측에 관리자 단말기(23b)와 통신연결되어 정역모터(22)를 정역회동시키는 전원및신호출력부(23a)를 갖는 제어부인 회로박스(23)가 삽입고정되는 축회동바(21)가 형성되고, 축회동바(21) 상하단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되 내측저면 좌우측에 하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상단지지편(24a,24b)을 각각 갖는 상하단지지바(24,25)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지지바(24,25) 선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내측상면 좌우측에 상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하단지지편(25a,25b)을 각각 갖는 수직지지바(26)가 형성되는 모터회동작동틀(20);
"X"자형상으로 수직기립된 엘이디바로, "X"자형상으로 좌측상단부가 좌측상단지지편(24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상단고정공(31a)을 갖고 좌측하단부가 좌측하단지지편(25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하단고정공(31b)을 갖으며 우측상단부가 우측상단지지편(24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상단고정공(31c)을 갖고 우측하단부가 우측하단지지편(25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하단고정공(31d)을 갖으며 중심부에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원및신호출력부(23a)와 연결되는 전원및신호입력부(31e)를 갖는 조명프레임(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프레임(31) 좌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우측방향을 지시하는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프레임(31) 우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좌측방향을 지시하는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를 갖아 상기 회로박스(23)의 신호를 받아 좌측이나 우측방향을 선택적으로 조명지시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 및
투명재질의 판체로,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를 보호하는 전후방측아크릴커버(40,40a)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 내 설치된 다수개 cctv와 연기및화재감지센서를 통해서 관리자단말기에서 터널 내 화재발생지점이 특정되면,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서 터널 내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된 시선유도장치의 모터회동작동틀과 이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와 우측상하부엘이디바를 통해서 화재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후방측에서 "X"로 조명표시하여 각각 차량이나 사람의 진입차단 사실을 시각적으로 알리고, 이 화재발생지점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X형엘이디선택조명바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거나, 우측상하부엘이디바로 "<" 방향표시 안내하여 터널 내 차량이나 사람을 대피출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긴급하게 탈출 및 피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의 화재시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의 화재시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사용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는, 하나 이상의 대피출구를 갖는 터널(50) 내부에서 대피출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로, 수직고정대(10)와, 모터회동작동틀(20)과,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와, 전후방측아크릴커버(40,40a)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고정대(10)는, 측면이 "ㄷ"자형상으로 터널(50) 내 벽면(51)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으로, 수직기립되어 앵커공(11a)을 통해서 앵커볼트(11b)로 벽면(51)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고, 수직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서 수평연장되고 선단부에 축공(12a,13a)을 갖는 상하단수평고정바(12,1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은, 직사각형상의 링체로, 좌측단 상하단면이 상기 수직고정대(10)의 상하단수평고정바(12,1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단면에는 상단수평고정바(12) 상단면에 수직기립되어 고정설치된 정역모터(22)의 사각모터축(22a)이 삽입되어 축결합되는 사각축공(21a)을 갖고 하단면은 축볼트(2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내측에 관리자 단말기(23b)와 통신연결되어 정역모터(22)를 정역회동시키는 전원및신호출력부(23a)를 갖는 제어부인 회로박스(23)가 삽입고정되는 축회동바(21)가 형성되고, 축회동바(21) 상하단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되 내측저면 좌우측에 하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상단지지편(24a,24b)을 각각 갖는 상하단지지바(24,25)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지지바(24,25) 선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내측상면 좌우측에 상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하단지지편(25a,25b)을 각각 갖는 수직지지바(26)가 형성된다.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는, "X"자형상으로 수직기립된 엘이디바로, "X"자형상으로 좌측상단부가 좌측상단지지편(24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상단고정공(31a)을 갖고 좌측하단부가 좌측하단지지편(25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하단고정공(31b)을 갖으며 우측상단부가 우측상단지지편(24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상단고정공(31c)을 갖고 우측하단부가 우측하단지지편(25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하단고정공(31d)을 갖으며 중심부에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원및신호출력부(23a)와 연결되는 전원및신호입력부(31e)를 갖는 조명프레임(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프레임(31) 좌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우측방향을 지시하는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프레임(31) 우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좌측방향을 지시하는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를 갖아 상기 회로박스(23)의 신호를 받아 좌측이나 우측방향을 선택적으로 조명지시한다.
상기 전후방측아크릴커버(40,40a)는, 투명재질의 판체로,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터널(50) 내 설치된 다수개 cctv(도시않음)와 연기및화재감지센서(도시않음)를 통해서 관리자단말기(23b)에서 터널(50) 내 화재발생지점이 특정되면, 이를 인지한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23b)를 통해서 터널(50) 내 벽면(51)에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된 시선유도장치(1)의 모터회동작동틀(20)과 이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와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를 통해서 화재발생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전후방측에서 "X"로 조명표시하여 각각 차량이나 사람의 진입차단사실을 알리고, 이 화재발생지점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의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로 ">" 방향표시 안내하거나,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로 "<" 방향표시 안내하여 터널(50) 내 차량이나 사람을 대피출구 방향으로 유도하여 긴급하게 탈출 및 피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시선유도장치
10 : 수직고정대
20 : 모터회동작동틀
22 : 정역모터
23a : 전원및신호출력부
23b : 관리자단말기
30 : X자형엘이디선택조명바
31 : 조명프레임
32 : 좌측상하부엘이디바
33 : 우측상하부엘이디바
40,40a : 전후방측아크릴커버
50 : 터널

Claims (1)

  1. 하나 이상의 대피출구가 형성되고, 측면이 "ㄷ"자형상으로 터널(50) 내 벽면(51)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고정설치되는 프레임인 수직고정대(10)가 형성되며, 직사각형상의 링체인 모터회동작동틀(20)이 형성되고, "X"자형상으로 수직기립된 엘이디바인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가 형성되며, 투명재질의 판체로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후방측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를 보호하는 전후방측아크릴커버(40,40a)를 구비하여 대피출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1)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대(10)는, 수직기립되어 앵커공(11a)을 통해서 앵커볼트(11b)로 벽면(51)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고, 수직프레임몸체(11) 상하단에서 수평연장되고 선단부에 축공(12a,13a)을 갖는 상하단수평고정바(12,13)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은, 좌측단 상하단면이 상기 수직고정대(10)의 상하단수평고정바(12,13)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상단면에는 상단수평고정바(12) 상단면에 수직기립되어 고정설치된 정역모터(22)의 사각모터축(22a)이 삽입되어 축결합되는 사각축공(21a)을 갖고 하단면은 축볼트(21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내측에 관리자 단말기(23b)와 통신연결되어 정역모터(22)를 정역회동시키는 전원및신호출력부(23a)를 갖는 제어부인 회로박스(23)가 삽입고정되는 축회동바(21)가 형성되고, 축회동바(21) 상하단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되 내측저면 좌우측에 하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상단지지편(24a,24b)을 각각 갖는 상하단지지바(24,25)가 각각 형성되며, 상하단지지바(24,25) 선단이 수직으로 연결되되 내측상면 좌우측에 상부로 수직연장되는 좌우측하단지지편(25a,25b)을 각각 갖는 수직지지바(26)가 형성되고;
    상기 X형엘이디선택조명바(30)는, "X"자형상으로 좌측상단부가 좌측상단지지편(24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상단고정공(31a)을 갖고 좌측하단부가 좌측하단지지편(25a)에 볼트고정되는 좌측하단고정공(31b)을 갖으며 우측상단부가 우측상단지지편(24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상단고정공(31c)을 갖고 우측하단부가 우측하단지지편(25b)에 볼트고정되는 우측하단고정공(31d)을 갖으며 중심부에 상기 모터회동작동틀(20)의 전원및신호출력부(23a)와 연결되는 전원및신호입력부(31e)를 갖는 조명프레임(31)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프레임(31) 좌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우측방향을 지시하는 좌측상하부엘이디바(32)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프레임(31) 우측상하부에 조명되게 장착되되 정면이 "<"형상으로 좌측방향을 지시하는 우측상하부엘이디바(33)를 갖아 상기 회로박스(23)의 신호를 받아 좌측이나 우측방향을 선택적으로 조명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KR1020220000948A 2022-01-04 2022-01-04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Active KR10242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48A KR102426442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48A KR102426442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442B1 true KR102426442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48A Active KR102426442B1 (ko) 2022-01-04 2022-01-04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4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966B1 (ko) * 2023-05-04 2023-12-28 주식회사 조이테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코너겸용 소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671001B1 (ko) 2024-04-01 2024-05-30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 방지용 열 화상 카메라 센서를 활용한 cctv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709264B1 (ko) 2024-04-01 2024-09-24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 내 화재 감지에 따른 비상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717716B1 (ko) 2024-04-01 2024-10-15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소화전 함체
KR102728154B1 (ko) 2024-04-01 2024-11-0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 발생시 자동 화재 감지 및 경보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728157B1 (ko) 2024-04-01 2024-11-0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 소화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728163B1 (ko) 2024-04-01 2024-11-11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감지를 통한 화재 진압 및 제연 장치
KR102743530B1 (ko) * 2023-12-28 2024-12-17 주식회사 탑이엔씨 도로 터널의 소화전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56B1 (ko) 2009-05-14 2011-05-26 임철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JP2015001919A (ja) * 2013-06-18 2015-01-05 株式会社八洲セメント工業所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771B1 (ko) 2018-12-27 2019-08-02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56B1 (ko) 2009-05-14 2011-05-26 임철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JP2015001919A (ja) * 2013-06-18 2015-01-05 株式会社八洲セメント工業所 誘導機能付き道路視認装置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771B1 (ko) 2018-12-27 2019-08-02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966B1 (ko) * 2023-05-04 2023-12-28 주식회사 조이테크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코너겸용 소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743530B1 (ko) * 2023-12-28 2024-12-17 주식회사 탑이엔씨 도로 터널의 소화전 표시장치
KR102671001B1 (ko) 2024-04-01 2024-05-30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 방지용 열 화상 카메라 센서를 활용한 cctv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709264B1 (ko) 2024-04-01 2024-09-24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 내 화재 감지에 따른 비상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717716B1 (ko) 2024-04-01 2024-10-15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설치 편의성을 개선한 소화전 함체
KR102728154B1 (ko) 2024-04-01 2024-11-0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 발생시 자동 화재 감지 및 경보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728157B1 (ko) 2024-04-01 2024-11-0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 소화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728163B1 (ko) 2024-04-01 2024-11-11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 터널의 화재감지를 통한 화재 진압 및 제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442B1 (ko) 화재 위급상황 대응이 가능한 도로 터널용 시선유도장치
KR102438654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도로 터널 화재 진압용 차폐기구
KR101037256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JP6510320B2 (ja) トンネル内非常用設備
KR102006770B1 (ko) 도로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20190024856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20190023580A (ko)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KR102169077B1 (ko)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터널 진입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화재 원격 자동화 소화 시스템
JP4105582B2 (ja) 地下空間構造物の坑口防災設備
JP3914466B2 (ja) 乗物用防災設備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JP5091006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2023107965A (ja) 消火器箱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ES2266897T3 (es) Instalacion de extincion del fuego y sistema de guia para tunel y estructuras similares.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718955B1 (ko) 비상 소화함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393463B1 (ko) 화재 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JP2022110155A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及びその設置方法
KR102349304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20200103432A (ko) 다기능 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