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5857A - 강재 - Google Patents
강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5857A KR20240075857A KR1020247013110A KR20247013110A KR20240075857A KR 20240075857 A KR20240075857 A KR 20240075857A KR 1020247013110 A KR1020247013110 A KR 1020247013110A KR 20247013110 A KR20247013110 A KR 20247013110A KR 20240075857 A KR20240075857 A KR 202400758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less
- particles
- steel
- steel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1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669 sele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661 fatigu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1 decarbu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1 sel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4 tellu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39 density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49 energy-dispersive X-ray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FBHFFJDDLITSX-UHFFFAOYSA-N benzyl N-[2-hydroxy-4-(3-oxomorpholin-4-yl)phen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OC1=C(NC(=O)OCC2=CC=CC=C2)C=CC(=C1)N1CCOCC1=O FFBHFFJDDLIT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54 inductively-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6 temp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5 Lute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UGBHKTXTAQXES-UHFFFAOYSA-N Selenium Chemical compound [Se] BUGBHKTXTAQX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ATWJIUSRGPENY-UHFFFAOYSA-N antimony atom Chemical compound [Sb] WATWJIUSRGPE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CXGWMGPZLAOME-UHFFFAOYSA-N bismuth atom Chemical compound [Bi] JCXGWMGPZLAO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3 cold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41 combus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30 cut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6 industri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7 lanthano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02 lantha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ZLIPJUXYLNCLC-UHFFFAOYSA-N lanthanum atom Chemical compound [La] FZLIPJUXYLNC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HSVLFRHMCKCQY-UHFFFAOYSA-N lutetium atom Chemical compound [Lu] OHSVLFRHMCKCQ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XNIZHLAWKMVMX-UHFFFAOYSA-N pic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N+]([O-])=O)C=C([N+]([O-])=O)C=C1[N+]([O-])=O OXNIZHLAWKMV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6 sca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IXSYDAISGFNSX-UHFFFAOYSA-N scandium atom Chemical compound [Sc] SIXSYDAISGFN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SZWPYCFIRKVQL-UHFFFAOYSA-N selanylidenegallium;selenium Chemical compound [Se].[Se]=[Ga].[Se]=[Ga] VSZWPYCFIRKV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ORWMNRCUJJQNO-UHFFFAOYSA-N tellurium atom Chemical compound [Te] PORWMNRCUJJQ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WQVUPCCIRVNHF-UHFFFAOYSA-N yttrium atom Chemical compound [Y] VWQVUPCCIRVN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crankshafts; for camshaf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피삭성이 우수하여,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 및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를 갖는 강재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다음 식 (1)을 충족한다. 강재 중에 있어서,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에 관한 것이다.
기계 구조용 부품은, 자동차 및 건설 차량의 서스펜션 부품 및 차축 등에 이용된다. 기계 구조용 부품에는, 높은 피로 강도가 요구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에서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에 대하여 절삭 가공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에는, 높은 피삭성이 요구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57-19366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879호 공보(특허문헌 2)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9411호 공보(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강재는, Ca를 0.001 내지 0.05%, Pb 및 Bi를 단독 또는 복합하여 0.02 내지 0.15% 함유하고, S를 0.005% 이하로 규제하고, 개재물을 CaS-CaO, Pb, Bi계 개재물로 하고, 또한 Al2O3 개재물을 0.001% 미만으로 억제한다. 이 문헌에서는, 용강 중에 Ca를 다량으로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용존되어 있는 S를 CaS로 변화시킨다. 또한, Ca에 의한 환원 반응에 의해, Al2O3을 없애거나, 또는 극히 적게 한다. 그 때문에, 개재물은 CaS-CaO계의 개재물이 된다. 그 후, 용강 중에 Pb, Bi 중 1종 또는 2종을 소량 첨가하여, Pb 또는 Bi의 단독 개재물을 생성시킨다. 이에 의해, 강재의 피삭성이 향상된다고 특허문헌 1에는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강재는, 질량%로 B: 0.001 내지 0.010%, N: 0.002 내지 0.010% 및 Bi: 0.005 내지 0.10%를 함유한다. 이 냉간 단조용 강에서는, 횡단면 0.5㎜×0.5㎜의 시야 면적당, 직경 0.7㎛ 이상의 BN과, B를 함유하는 Bi 석출물이 총계로 15개 이상 존재한다. 이 강재에서는, BN으로서 N을 고정함으로써, 고용 N양을 저감하여, 가공 경화를 저감한다. 또한, B를 함유하는 Bi 석출물을 생성하여 절삭칩 처리성을 높인다고 특허문헌 2에는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강재는, 질량%로, C: 0.15 내지 0.55%, Si: 0.01 내지 2.0%, Mn: 0.01 내지 2.5%, Cu: 0.01 내지 2.0%, Ni: 0.01 내지 2.0%, Cr: 0.01 내지 2.5%, Mo: 0.01 내지 3.0%, 및 V 및 W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총량: 0.01 내지 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 강재를, 1010℃ 내지 1050℃에서 균열(均熱)하고, 그 후, 200℃/분 이상의 냉각 속도로 500℃ 내지 550℃까지 냉각하고, 그 후 100℃/분 이상의 냉각 속도로 150℃ 이하까지 냉각하고, 그 후 550℃ 내지 700℃의 온도역에서 가열한다. 이들 열처리 및 냉각 처리가 실시된 강재의, 실온에서의 HRC 경도의 최댓값을 부여하는 LMP가 17.66 이상이다. 이 강재에서는, LMX가 17.66 이상이기 때문에, 연화 저항이 높아져, 열피로 강도가 높아진다고 특허문헌 3에서는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강재를 소재로 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소재가 되는 강재를 열간 가공하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조(粗) 형상을 갖는 중간품을 제조한다.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열간 단조이다. 제조된 중간품에 대하여 기계 가공(절삭 가공)을 실시하여, 중간품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절삭 가공 후의 중간품에 대하여 ?칭 템퍼링을 실시한다. 이상의 제조 공정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이 제조된다.
상술한 제조 공정 중의 ?칭에서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일부의 부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중간품(강재)에 대하여 고주파 ?칭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간품(강재) 중 강도를 높이고 싶은 부위에 대하여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하고, 그 후, 급랭(?칭)한다.
그러나 고주파 유도 가열 시에 있어서, 중간품(강재)의 형상에 기인하여 강재가 국소적으로 과잉으로 가열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강재의 표층 및 내부의 일부가 용융하여 갈라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갈라짐을 본 명세서에서는, 「용융 갈라짐」이라고도 칭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고주파 ?칭을 실시하는 경우, 강재에서는 용융 갈라짐의 억제가 요구된다.
또한, 강재의 제조 공정 시, 및 그 강재를 사용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시에는, 열간 가공(예를 들어, 열간 압연, 열간 단조 등)이 실시된다. 따라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에는, 용융 갈라짐의 억제뿐만 아니라,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의 억제도 요구된다. 여기서,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을, 본 명세서에서는, 「열간 가공 갈라짐」이라고도 칭한다. 따라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재에는, 우수한 피삭성이 요구되고, 그 강재를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높은 피로 강도가 얻어질 것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열간 가공 갈라짐의 억제, 및 용융 갈라짐의 억제도 요구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서는, 적어도 열간 가공 갈라짐의 억제 및 용융 갈라짐의 억제에 관하여,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삭성이 우수하여,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어,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는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강재는,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2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2 이하이다.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본 개시의 강재는,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또한, 제1군 내지 제5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다.
[제1군]
Al: 0.060% 이하, 및
Mg: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2군]
Ti: 0.1500% 이하,
Nb: 0.0800% 이하,
W: 0.4000% 이하, 및
Zr: 0.20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3군]
Ca: 0.0100% 이하,
Te: 0.0100% 이하,
B: 0.0050% 이하,
Sn: 0.010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4군]
Co: 0.0100% 이하,
Se: 0.0100% 이하,
Sb: 0.0100% 이하, 및
In: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5군]
V: 0.200% 이하,
Mo: 1.00% 이하,
Cu: 0.20% 이하, 및
Ni: 0.2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본 개시의 강재는, 피삭성이 우수하여,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어,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범위 밖인 강재를 100℃/초의 승온 속도로 1390℃까지 가열하여 15초간 유지하고, 그 후 수랭한 후의 마이크로 조직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100℃/초의 승온 속도로 1390℃까지 가열하여 15초간 유지하고, 그 후 수랭한 후의 마이크로 조직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100℃/초의 승온 속도로 1390℃까지 가열하여 15초간 유지하고, 그 후 수랭한 후의 마이크로 조직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피삭성이 우수하여,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는 강재의 화학 조성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N: 0.0030 내지 0.0250%, Al: 0 내지 0.060%, Mg: 0 내지 0.0100%, Ti: 0 내지 0.1500%, Nb: 0 내지 0.0800%, W: 0 내지 0.4000%, Zr: 0 내지 0.2000%, Ca: 0 내지 0.0100%, Te: 0 내지 0.0100%, B: 0 내지 0.0050%, Sn: 0 내지 0.0100%, 희토류 원소: 0 내지 0.0100%, Co: 0 내지 0.0100%, Se: 0 내지 0.0100%, Sb: 0 내지 0.0100%, In: 0 내지 0.0100%, V: 0 내지 0.200%, Mo: 0 내지 1.00%, Cu: 0 내지 0.20%, 및 Ni: 0 내지 0.2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재라면,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져,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강재를 상술한 화학 조성으로 하는 것만으로는,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져,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다.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상술한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높으면, 강재의 피삭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상술한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낮으면, 그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가 낮아져 버린다. 따라서,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 및 강재의 피삭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인 강재의 경도를 적절한 범위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상술한 범위 내인 강재의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의 함유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상술한 화학 조성 중의 원소 중, C, Si, Mn, Cr 및 V는 특히,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내부 경도를 높이고, 그 결과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한편, S는 내부 경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원소의 함유량을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강재의 피삭성의 향상, 및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가일층의 검토의 결과, 본 발명자들은,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상술한 범위 내인 강재에 있어서, 식 (1)을 충족하면, 강재에 있어서,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지고, 또한,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했을 때에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상술한 범위 내이고, 또한 식 (1)을 충족하는 강재에 있어서,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을 검토하였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고주파 ?칭 시에, 강재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는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 용융 갈라짐이 발생한 부위의 마이크로 조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용융 갈라짐이 발생한 부위에는, 탈탄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탈탄되어 있는 부위에서는,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고주파 ?칭 시의 강재에 발생하는 용융 갈라짐에는, C 함유량이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입계에 편석되는 C에 의해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입계에 C가 편석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상술한 화학 조성에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Bi를 0.0051 내지 0.1500% 함유함으로써, 고주파 ?칭 시의 강재의 용융 갈라짐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Bi를 적량 함유하면, Bi는 강재 중에서 개재물로서 존재한다. 이하, Bi로 이루어지는 개재물을 Bi 입자라고 한다. Bi 입자는, 피닝 효과에 의해, 고주파 ?칭 시의 강재 중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Bi 입자가 미세하면, 피닝 효과가 높아진다. 고주파 ?칭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미세하게 유지되면,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계 면적이 증대된다. 입계 면적이 증대되면, 단위 면적당의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되는 C의 농도가 감소한다. 그 결과, 용융 갈라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Bi를 적량 함유함으로써,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은 억제된다. 그러나 강재에 대하여 열간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 갈라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강재의 제조 공정 중에 실시되는 열간 압연, 또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에 실시되는 열간 단조 등이다. 그래서,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의 원인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음의 새로운 지견을 얻었다.
용융 갈라짐의 억제를 위하여 강재에 Bi를 함유하는 경우, 강재 중에, 원 상당 직경이 1.0㎛ 이하인 미세한 Bi 입자(Bi 개재물)와 함께,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조대 Bi 입자는,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의 기점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너무 높으면, 열간 가공 시에 갈라짐(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Bi를 함유하는 강재에서는,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은 억제되기 쉽지만, 조대 Bi 입자에 기인한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다. 강재 중의 Bi 입자가 미세하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이 억제된다. 한편, 강재 중의 Bi 입자가 조대하면,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상의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강재 중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를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 강재 중의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를 되도록 억제함으로써,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열간 가공 갈라짐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에 대해서, 더 조사 및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상술한 화학 조성의 강재에 있어서, 상술한 식 (1)을 충족하는 것을 전제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또한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열간 가공 갈라짐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냈다.
이상의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는, 다음 구성을 갖는다.
[1]
강재이며,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인,
강재.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2]
강재이며,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또한, 제1군 내지 제5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인,
강재.
[제1군]
Al: 0.060% 이하, 및
Mg: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2군]
Ti: 0.1500% 이하,
Nb: 0.0800% 이하,
W: 0.4000% 이하, 및
Zr: 0.20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3군]
Ca: 0.0100% 이하,
Te: 0.0100% 이하,
B: 0.0050% 이하,
Sn: 0.010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4군]
Co: 0.0100% 이하,
Se: 0.0100% 이하,
Sb: 0.0100% 이하, 및
In: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5군]
V: 0.200% 이하,
Mo: 1.00% 이하,
Cu: 0.20% 이하, 및
Ni: 0.2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3]
[2]에 기재된 강재이며,
상기 제1군을 함유하는,
강재.
[4]
[2] 또는 [3]에 기재된 강재이며,
상기 제2군을 함유하는,
강재.
[5]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재이며,
상기 제3군을 함유하는,
강재.
[6]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재이며,
상기 제4군을 함유하는,
강재.
[7]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재이며,
상기 제5군을 함유하는,
강재.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소에 관한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특징]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다음의 특징 1 내지 특징 4를 충족한다.
(특징 1)
화학 조성이,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N: 0.0030 내지 0.0250%, Al: 0 내지 0.060%, Mg: 0 내지 0.0100%, Ti: 0 내지 0.1500%, Nb: 0 내지 0.0800%, W: 0 내지 0.4000%, Zr: 0 내지 0.2000%, Ca: 0 내지 0.0100%, Te: 0 내지 0.0100%, B: 0 내지 0.0050%, Sn: 0 내지 0.0100%, 희토류 원소: 0 내지 0.0100%, Co: 0 내지 0.0100%, Se: 0 내지 0.0100%, Sb: 0 내지 0.0100%, In: 0 내지 0.0100% 이하, V: 0 내지 0.200%, Mo: 0 내지 1.00%, Cu: 0 내지 0.20%, 및 Ni: 0 내지 0.2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특징 2)
각 원소 함유량이 특징 1의 범위 내인 것을 전제로 하여, 식 (1)을 충족한다.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특징 3)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다.
(특징 4)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다.
이하, 각 특징 1 내지 특징 4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징 1) 화학 조성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다음의 원소를 함유한다.
C: 0.05 내지 0.30%
탄소(C)는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경도를 높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C 함유량이 0.05%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C 함유량이 0.3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입계에 C가 편석된다. 이 경우, 입계에서의 C 농도가 높아진다. C 농도가 높아지면, 융점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5 내지 0.30%이다.
C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이다.
C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2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3%이다.
Si: 0.05 내지 0.45%
실리콘(Si)은 제강 공정에서 강을 탈산한다. Si는 또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경도를 높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Si 함유량이 0.05%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Si는 C와의 친화력이 약하다. 그 때문에, Si 함유량이 0.45%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고주파 유도 가열 시에 있어서, C는 Si가 고용되어 있는 입자 내보다도, 입계에 편석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05 내지 0.45%이다.
S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7%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이다.
S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4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8%이다.
Mn: 0.30 내지 2.00%
망간(Mn)은 제강 공정에서 강을 탈산한다. Mn은 또한, C와의 친화력이 강하다. 그 때문에, 가열 시에 있어서, C는 Mn이 고용되어 있는 입자 내에 머무른다. 그 때문에, C의 입계에의 편석이 억제되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Mn 함유량이 0.30%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Mn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과잉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강재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30 내지 2.00%이다.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3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이다.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이다.
P: 0.030% 이하
인(P)은 불순물이다. P는 입계에 편석된다. 그 때문에, P는 강재의 융점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30% 이하이다.
P 함유량은 되도록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P 함유량의 과잉의 저감은 제조 비용을 높인다. 따라서, 통상의 공업 생산을 고려하면, P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 초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이다.
P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2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6%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이다.
S: 0.010 내지 0.095%
황(S)은 황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S 함유량이 0.010%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S는 강재의 융점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S 함유량이 0.095%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10 내지 0.095%이다.
S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이다.
S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이다.
Cr: 0.01 내지 2.00%
크롬(Cr)은 강재의 ?칭성을 높인다. 그 때문에, 기계 구조용 부품의 내부 경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가 높아진다. Cr은 또한 C와의 친화력이 강하다. 그 때문에, 가열 시에 있어서, C는 Cr이 고용되어 있는 입자 내에 머무른다. 그 때문에, C의 입계에의 편석이 억제되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Cr은 또한, S와 결합하여 Cr 황화물을 형성한다. 이 경우, 조대한 FeS의 형성이 억제된다. 그 결과, 열간 가공 시의 강재의 연성이 향상되어, 열간 가공 갈라짐이 억제된다. Cr 함유량이 0.01%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Cr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과잉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강재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Cr 함유량은 0.01 내지 2.00%이다.
Cr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Cr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이다.
Bi: 0.0051 내지 0.1500%
비스무트(Bi)는 강재 중에 개재물(Bi 입자)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이 억제된다. Bi는 또한,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Bi 함유량이 0.0051%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Bi 함유량이 0.15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조대한 Bi 입자가 생성된다. 조대한 Bi 입자는, 강재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시, 또는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시에 있어서 갈라짐의 기점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i 함유량은 0.0051 내지 0.1500%이다.
B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60%이다.
B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4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0%이다.
N: 0.0030 내지 0.0250%
질소(N)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후의 냉각 과정에서, 질화물 및/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재를 석출 강화한다. 그 결과,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가 높아진다. N 함유량이 0.0030% 미만이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N 함유량이 0.025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030 내지 0.0250%이다.
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3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다.
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2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0%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의 화학 조성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불순물이란, 강재를 공업적으로 제조할 때에, 원료로서의 광석, 스크랩, 또는 제조 환경 등으로부터 혼입되는 것이며, 의도적으로 함유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불순물로서는, 상술한 불순물(P, S) 이외의 모든 원소를 들 수 있다. 불순물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술한 불순물 이외의 다른 불순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O: 0.0050% 이하, Ta 및 Zn: 합계로 0 내지 0.01%, Pb: 0 내지 0.09%.
[임의 원소(Optional Elements)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제1군 내지 제5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제1군]
Al: 0.060% 이하, 및
Mg: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2군]
Ti: 0.1500% 이하,
Nb: 0.0800% 이하,
W: 0.4000% 이하, 및
Zr: 0.20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3군]
Ca: 0.0100% 이하,
Te: 0.0100% 이하,
B: 0.0050% 이하,
Sn: 0.010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4군]
Co: 0.0100% 이하,
Se: 0.0100% 이하,
Sb: 0.0100% 이하, 및
In: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5군]
V: 0.200% 이하,
Mo: 1.00% 이하,
Cu: 0.20% 이하, 및
Ni: 0.2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이하, 각 임의 원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군: Al 및 Mg]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상술한 제1군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임의 원소이고, 모두 강을 탈산한다. 이하, 제1군의 각 원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Al: 0.060% 이하
알루미늄(Al)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Al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Al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Al은 강을 탈산한다. Al이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0.06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Al은 조대한 산화물을 형성한다. 조대한 산화물은,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 내지 0.060%이다. 함유되는 경우, Al 함유량은 0.060% 이하이다.
Al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이다.
Al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5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5%이다.
Mg: 0.0100% 이하
마그네슘(Mg)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Mg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Mg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Mg는 강을 탈산한다. Mg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Mg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Mg는 조대한 산화물을 형성한다. 조대한 산화물은,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Mg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Mg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Mg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다.
Mg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40%이다.
[제2군: Ti, Nb, W 및 Zr]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상술한 제2군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임의 원소이며, 모두 석출물을 형성하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인성을 높인다. 이하, 제2군의 각 원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Ti: 0.1500% 이하
티타늄(Ti)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Ti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Ti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Ti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공정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탄화물 및/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한다. 이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인성이 높아진다. Ti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Ti 함유량이 0.15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포화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 내지 0.1500%이다. 함유되는 경우, Ti 함유량은 0.1500% 이하이다.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다.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4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0%이다.
Nb: 0.0800% 이하
니오븀(Nb)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Nb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Nb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Nb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공정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탄화물 및/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한다. 이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인성이 높아진다. N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Nb 함유량이 0.08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포화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Nb 함유량은 0 내지 0.0800%이다. 함유되는 경우, Nb 함유량은 0.0800% 이하이다.
N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다.
N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7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0%이다.
W: 0.4000% 이하
텅스텐(W)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W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W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W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공정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탄화물 및/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한다. 이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인성이 높아진다. W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W 함유량이 0.40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포화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W 함유량은 0 내지 0.4000%이다. 함유되는 경우, W 함유량은 0.4000% 이하이다.
W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0%이다.
W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3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00%이다.
Zr: 0.2000% 이하
지르코늄(Zr)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Zr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Zr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Zr은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공정의 냉각 과정에 있어서, 탄화물 및/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한다. 이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의 인성이 높아진다. Zr이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Zr 함유량이 0.20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상기 효과가 포화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Zr 함유량은 0 내지 0.2000%이다. 함유되는 경우, Zr 함유량은 0.2000% 이하이다.
Zr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다.
Zr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이다.
[제3군: Ca, Te, B, Sn 및 희토류 원소]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상술한 제3군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임의 원소이며, 모두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이하, 제3군의 각 원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Ca: 0.0100% 이하
칼슘(Ca)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Ca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Ca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Ca는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Ca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Ca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조대 산화물을 형성한다. 이 경우,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Ca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Ca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Ca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이다.
Ca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0%이다.
Te: 0.0100% 이하
텔루륨(Te)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Te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Te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Te는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Te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Te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Te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Te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Te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Te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다.
B: 0.0050% 이하
보론(B)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B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B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B는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B 함유량이 0.005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 함유량은 0 내지 0.0050%이다. 함유되는 경우, B 함유량은 0.0050% 이하이다.
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0%이다.
Sn: 0.0100% 이하
주석(Sn)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Sn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Sn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Sn은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Sn이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Sn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n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Sn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S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S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다.
희토류 원소: 0.0100% 이하
희토류 원소(REM)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REM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REM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REM은 강재의 피삭성을 높인다. REM이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REM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REM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REM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REM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REM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5%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REM이란, 원자 번호 21번의 스칸듐(Sc), 원자 번호 39번의 이트륨 (Y), 및 란타노이드인 원자 번호 57번의 란탄(La) 내지 원자 번호 71번의 루테튬(Lu)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REM 함유량이란, 이들 원소의 합계 함유량이다.
[제4군: Co, Se, Sb 및 In]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상술한 제4군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임의 원소이고, 모두 강재의 탈탄을 억제한다. 이하, 제4군의 각 원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Co: 0.0100% 이하
코발트(Co)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Co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Co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Co는, 열간 가공 시에 강재의 탈탄을 억제한다. Co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Co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o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Co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Co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Co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다.
Se: 0.0100% 이하
셀레늄(Se)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Se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Se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Se는, 열간 가공 시에 강재의 탈탄을 억제한다. Se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Se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e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Se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Se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Se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다.
Sb: 0.0100% 이하
안티몬(Sb)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Sb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Sb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Sb는 열간 가공 시에 강재의 탈탄을 억제한다. S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Sb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b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Sb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S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S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다.
In: 0.0100% 이하
인듐(In)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In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In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In은, 열간 가공 시에 강재의 탈탄을 억제한다. In이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In 함유량이 0.0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In 함유량은 0 내지 0.0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In 함유량은 0.0100% 이하이다.
I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I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0%이다.
[제5군: V, Mo, Cu 및 Ni]
본 실시 형태의 강재 화학 조성은 또한, Fe의 일부 대신에, 상술한 제5군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는 임의 원소이고, 모두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이하, 제5군의 각 원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V: 0.200% 이하
바나듐(V)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V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V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V는 석출물을 형성하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V는 또한, C와 결합하여 오스테나이트 입자 내에 C를 고정한다. 그 때문에, V는, 고주파 ?칭 시에 있어서, 용융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한다. V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V 함유량이 0.2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과잉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강재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V 함유량은 0 내지 0.200%이다. 함유되는 경우, V 함유량은 0.200% 이하이다.
V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이다.
V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8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이다.
Mo: 1.00% 이하
몰리브덴(Mo)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Mo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Mo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Mo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Mo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Mo 함유량이 1.0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강재의 경도가 과잉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Mo 함유량은 0 내지 1.00%이다. 함유되는 경우, Mo 함유량은 1.00% 이하이다.
Mo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Mo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9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이다.
Cu: 0.20% 이하
구리(Cu)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Cu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Cu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Cu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Cu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Cu는, Si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칭 시에 있어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을 촉진한다. 그 때문에, Cu 함유량이 0.2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0 내지 0.20%이다. 함유되는 경우, Cu 함유량은 0.20% 이하이다.
Cu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이다.
Cu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Ni: 0.20% 이하
니켈(Ni)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즉, Ni 함유량은 0%여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즉, Ni 함유량이 0% 초과인 경우, Ni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를 높인다. Ni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가 어느 정도 얻어진다.
그러나 Ni는, Si 및 Cu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칭 시에 있어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을 촉진한다. 그 때문에, Ni 함유량이 0.20%를 초과하면, 다른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고주파 ?칭 시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Ni 함유량은 0 내지 0.20%이다. 함유되는 경우, Ni 함유량은 0.20% 이하이다.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이다.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강재의 화학 조성의 측정 방법]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JIS G0321:2017에 준거한 주지의 성분 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릴을 사용하여, 강재의 표면으로부터 1㎜ 깊이 이상의 내부로부터, 절분을 채취한다. 채취된 절분을 산에 용해시켜 용액을 얻는다. 용액에 대하여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를 실시하여 화학 조성의 원소 분석을 실시한다. C 함유량 및 S 함유량에 대해서는, 주지의 고주파 연소법(연소-적외선 흡수법)에 의해 구한다. N 함유량에 대해서는, 주지의 불활성 가스 융해-열전도도법을 사용하여 구한다. O 함유량에 대해서는, 주지의 불활성 가스 용융-적외선 흡수법을 사용하여 구한다.
또한, 각 원소 함유량은,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된 유효 숫자에 기초하여, 측정된 수치의 끝수를 반올림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된 각 원소 함유량의 최소 자릿수까지의 수치로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C 함유량은 소수 둘째 자리까지의 수치로 규정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측정된 수치의 소수 셋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얻어진 소수 둘째 자리까지의 수치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C 함유량 이외의 다른 원소 함유량도 마찬가지로, 측정된 값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 규정된 최소 자릿수까지의 수치의 끝수를 반올림하여 얻어진 값을, 당해 원소 함유량으로 한다.
또한, 반올림이란, 끝수가 5 미만이면 버리고, 끝수가 5 이상이면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특징 2) 식 (1)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또한, 각 원소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을 전제로 하여, 식 (1)을 충족한다.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즉, 임의 원소인 V가 함유되지 않는 경우, 식 (1)은 다음과 같이 된다.
fn1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또한, 임의 원소인 V가 함유되지 않는 경우, fn1은 다음과 같이 된다.
fn1은, 강재의 경도의 지표이다. C, Si, Mn, Cr 및 V는,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의 내부 경도를 높인다. 한편, S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내부 경도를 저하시킨다.
강재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fn1이 0.25 미만이면 기계 구조용 부품의 내부 경도가 과잉으로 저하된다. 그 결과, 기계 구조용 부품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강재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여도, fn1이 1.00을 초과하면, 강재의 경도가 과잉으로 높아진다. 그 결과, 강재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fn1은 0.25 내지 1.00이다.
fn1의 바람직한 하한은 0.2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이다.
fn1의 바람직한 상한은 0.98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0이다.
[(특징 3) 미세 Bi 입자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특징 1 및 특징 2를 충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이하, 단순히 미세 Bi 입자라고도 함)의 개수 밀도는 80 내지 8000개/㎟이다.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Bi는, 강재 중에 있어서, Bi 단체의 입자 또는 Bi를 함유하는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Bi 단체의 입자 또는 Bi를 함유하는 입자를 총칭하여 Bi 입자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세 Bi 입자란,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Bi 입자를 의미한다. Bi는 중원소이기 때문에, Bi 입자는 반사 전자 상에 있어서, 주위보다도 고휘도로 관찰된다. 미세 Bi 입자는, 다른 입자(석출물 또는 개재물)와 접촉하지 않고 강재 중에 단독으로 존재해도 된다. 또한, 미세 Bi 입자는, 다른 입자에 부착 또는 접촉하여 강재 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유도 가열 시에 있어서, Bi 입자는, 오스테나이트 입계를 피닝한다. Bi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이면, 오스테나이트 입계의 피닝 효과는 높아진다. 고주파 ?칭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미세하게 유지되면,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계 면적이 증대된다. 입계 면적이 증대되면, 입계에 편석되는 C의 농도가 감소한다. 그 결과, 용융 갈라짐의 발생이 억제된다. 강재가 특징 1 및 특징 2를 충족하고, 또한 후술하는 특징 4를 충족하는 경우에도, 미세 Bi 입자가 80개/㎟ 미만이면 상기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강재가 특징 1, 특징 2 및 특징 4를 충족해도,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00개/㎟를 초과하면, 상기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80 내지 8000개/㎟이다.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9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개/㎟이다.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바람직한 상한은 79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개/㎟이다.
[(특징 4) 조대 Bi 입자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Bi 입자인 조대 Bi 입자(이하, 단순히 조대 Bi 입자라고도 함)의 개수 밀도는 10개/㎟ 이하이다.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면 강재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시, 또는 강재를 소재로 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열간 가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다.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열간 압연, 열간 단조 등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대 Bi 입자란,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Bi 입자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이며, 또한 반사 전자 상에 있어서 주위보다도 고휘도로 관찰되면, 그 입자를 조대 Bi 입자라고 판단한다. 조대 Bi 입자는, 다른 입자(석출물 또는 개재물)와 접촉하지 않고 강재 중에 단독으로 존재해도 된다. 또한, 조대 Bi 입자는, 다른 입자에 부착 또는 접촉하여 강재 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조대 Bi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의 화학 조성의 경우, 조대 Bi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의 상한은 50.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재 중의 미세 Bi 입자에 의해,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이 억제된다. 그러나 강재 중의 Bi는, 미세 Bi 입자가 아닌 조대 Bi 입자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조대 Bi 입자는, 강재의 열간 가공 갈라짐의 기점이 될 수 있다.
강재가 특징 1 내지 특징 3을 충족해도, 조대 Bi 입자가 10개/㎟를 초과하면, 강재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10개/㎟ 이하이다.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바람직한 상한은 8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개/㎟이다.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가능한 한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즉,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과잉의 저감은 제조 비용을 인상한다. 따라서, 통상의 공업 생산성을 고려하면,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1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강재 중에는, 상술한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뿐만 아니라, 1.0㎛ 초과 내지 10.0㎛ 미만의 중간 Bi 입자(이하, 단순히 중간 Bi 입자라고도 함)도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중간 Bi 입자는, 열간 가공 갈라짐 및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따라서, 열간 가공 갈라짐의 억제 및 용융 갈라짐의 억제에 있어서, 중간Bi 입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측정 방법]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강재(봉강)의 축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 중, R/2부를 포함하는 시험편을 채취한다. 여기서, R/2부란, 강재의 축방향과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반경 R의 중앙부를 의미한다. 채취한 시험편의 표면 중, 상기 강재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상당하는 표면을 관찰면으로 한다. 관찰면을 경면 연마한다.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사용하여, 1000배의 배율로, 경면 연마 후의 관찰면의 R/2부를 20시야 관찰한다. 각 시야의 면적을 100㎛×120㎛로 한다.
SEM 관찰에 의해 얻어진 각 시야의 반사 전자 상에 기초하여, 주지의 화상 해석의 입자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조대 Bi 입자 및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강재의 모상과 입자의 계면에 기초하여, 강재 중의 입자를 특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입자는, 개재물 또는 석출물이다. 화상 해석을 행하여, 특정된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을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정된 각 입자의 면적을 구한다. 구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원에서의 직경을, 당해 입자의 원 상당 직경(㎛)으로 한다.
Bi는 중원소이기 때문에, 반사 전자 상에 있어서 고휘도로 관찰된다. 그 때문에, 상기 SEM 관찰에 의해 얻어진 반사 전자 상 중에서 관찰되는 입자 중,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입자이며, 또한 주위보다도 고휘도로 관찰되는 입자를, 미세 Bi 입자로 특정한다. 또한, SEM 관찰에 의해 얻어진 반사 전자 상에서 관찰되는 입자 중,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입자이며, 또한 주위보다도 고휘도로 관찰되는 입자를, 조대 Bi 입자로 특정한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의해 특정된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화학 조성을, SEM에 구비된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 장치(EDX: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Bi 입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했을 때의 EDX의 빔 직경은 0.1 내지 1.0㎛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를 특정한다. 각 시야에서 특정된 미세 Bi 입자의 총 개수와, 20시야의 총 면적(0.24㎟)에 기초하여, 미세 Bi 입자의 단위 면적당의 개수(개/㎟)를 구한다. 또한, 각 시야에서 특정된 조대 Bi 입자의 총 개수와, 20 시야의 총 면적(0.24㎟)에 기초하여, 조대 Bi 입자의 단위 면적당의 개수(개/㎟)를 구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특징 1 내지 특징 4를 충족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피삭성이 우수하고, 열간 가공 시의 갈라짐 및 고주파 ?칭 시의 용융 갈라짐을 억제할 수 있고, 기계 구조용 부품으로 한 경우에 우수한 피로 강도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 바람직한 용도]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예를 들어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로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특히,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고주파 ?칭을 실시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단, 고주파 ?칭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로서 적용 가능하다.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후에 설명하는 강재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를 제조하기 위한 일례이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강재는, 이후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 이외의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그러나 이후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강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는, 다음 공정을 포함한다.
(공정 1) 정련 공정
(공정 2) 주조 공정
(공정 3) 열간 가공 공정
또한, 열간 가공 공정은 임의의 공정이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정 1) 정련 공정]
정련 공정에서는, 상술한 특징 1 및 특징 2를 충족하는 화학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제조한다. 정련 공정은, 1차 정련 공정과 2차 정련 공정을 포함한다.
1차 정련 공정에서는,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용선에 대하여 전로에서의 정련을 실시한다. 2차 정련 공정에서는, 용강에 대하여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용강의 화학 조성이, 특징 1 및 특징 2를 충족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2차 정련 공정에서는, 주지의 정련 방법으로 용강을 교반하면서, Bi 이외의 용강의 성분 조정을 실시한다. 그 후, 용강을 교반하면서, 와이어에 의해 용강에 Bi를 첨가하여, Bi의 성분 조정을 행한다.
2차 정련 공정에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한다.
(조건)
용강에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 T를 15분 초과 내지 60분 미만으로 한다.
2차 정련 공정에 있어서,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은, 15분 초과 내지 60분 미만이다.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이 15분 이하인 경우, 용강 중에 Bi가 충분히 확산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강재 중에 조대 Bi 입자가 과잉으로 많이 생성된다.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이 60분 이상인 경우, 미세 Bi 입자끼리가 응집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감소한다.
2차 정련 공정에서,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이 15분 초과이면, 용강 중에 Bi가 충분히 확산된다. 그 때문에, 강재 중에 미세 Bi 입자가 충분히 생성된다. 또한, 2차 정련 공정에서,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이 60분 미만이면 미세 Bi 입자끼리의 응집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개/㎟ 이상이 되고,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로 된다.
용강에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의 바람직한 상한은 50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분이다.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이다.
또한, Bi를 첨가한 후, 2차 정련 공정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용강의 온도는 1510 내지 1560℃이다.
[(공정 2) 주조 공정]
주조 공정에서는, 용강을 사용하여, 주지의 주조 방법에 의해 주편(슬래브 또는 블룸) 또는 강괴(잉곳)를 제조한다. 주조 방법은 예를 들어, 연속 주조법이나 조괴법이다.
[(공정 3) 열간 가공 공정]
열간 가공 공정은, 임의의 공정이다. 즉, 열간 가공 공정은 실시해도 되고,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열간 가공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 열간 가공 공정에서는, 상기 주조 공정에서 제조된 주편 또는 강괴에 대하여 열간 가공을 실시하여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제조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예를 들어, 봉강이다. 열간 가공 공정은 예를 들어, 열간 압연이어도 되고, 열간 단조여도 된다.
열간 가공 공정에 있어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조압연 공정만이어도 되고, 조압연 공정과, 마무리 압연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조압연 공정은 예를 들어, 분괴 압연이다. 마무리 압연 공정은 예를 들어, 연속 압연기를 사용한 마무리 압연이다. 연속 압연기에서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수평 롤을 갖는 수평 스탠드와, 한 쌍의 수직 롤을 갖는 수직 스탠드가 교호로 일렬로 배열된다. 조압연 공정 및 마무리 압연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1000 내지 1300℃이다.
이상의 제조 공정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강재가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제조 방법은 열간 가공 공정을 생략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주조품(주편 또는 잉곳)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열간 가공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되어도 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소재가 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은 예를 들어, 자동차 용도의 부품이다. 기계 구조용 부품은 예를 들어, 서스펜션 부품, 차축, 크랭크 샤프트 등이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소재로서 사용한 기계 구조용 부품은, 예를 들어 다음의 주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열간 가공하여, 기계 구조용 부품의 조 형상의 중간품을 제조한다.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열간 단조이다. 제조된 중간품을 기계 가공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한다. 절삭 후의 중간품에 대하여 고주파 ?칭 및 템퍼링을 실시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기계 구조용 부품이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화학 조성 중의 각 원소 함유량이 본 실시 형태의 범위 내이고, 또한 식 (1)을 충족한다. 또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특징 1 내지 특징 4를 충족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강재에서는,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에서는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진다. 또한, 강재의 제조 공정 중 또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에서의 열간 가공 갈라짐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강재를 소재로 한 기계 구조용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고주파 ?칭을 실시해도, 용융 갈라짐이 억제된다.
실시예
실시예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조건은, 본 실시 형태의 강재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용한 일 조건예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강재는 이 일 조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 1 내지 표 4의 화학 조성을 갖는 강재를 제조하였다. 표 2는 표 1의 계속이고, 표 4는 표 3의 계속이다. 또한, 어느 시험 번호에 있어서도, O(산소) 함유량은 질량%로 0.0050% 이하였다. 또한, Ta 및 Zn의 합계 함유량은, 질량%로 0 내지 0.01%였다. 또한, Pb 함유량은, 질량%로 0 내지 0.09%였다.
구체적으로는, 70톤 전로를 사용하여, 정련 공정(1차 정련 공정, 및 2차 정련 공정)을 실시하였다. 1차 정련 공정에서는,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용선에 대하여 전로에서의 정련을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2차 정련 공정에서는 원소를 첨가하여, 용강의 화학 조성이, 표 1 내지 표 4의 화학 조성을 갖는 용강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주지의 방법으로 2차 정련을 실시하여, 용강을 교반하면서, Bi 이외의 원소의 성분의 조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또한, 용강을 교반하면서, 와이어로 Bi를 첨가하여, 용강 중의 Bi의 성분 조정을 행하였다.
Bi를 용강에 첨가한 후, 2차 정련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 T(분)는 표 5 및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Bi를 용강에 첨가한 후, 2차 정련에서의 교반 종료까지의 용강 온도는 1510 내지 1560℃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표 1 내지 표 4의 화학 조성의 용강을 제조하였다.
용강을 사용하여, 연속 주조법에 의해, 300㎜×400㎜의 횡단면을 갖는 주편(블룸)을 제조하였다. 이 주편을 가열한 후, 주편을 분괴 압연하여, 횡단면이 180㎜×180㎜인 빌릿을 제조하였다. 또한, 분괴 압연 시의 주편의 가열 온도는 1250℃였다.
또한, 빌릿에 대하여 마무리 압연에 상당하는 열간 단조를 실시하여, 직경 80㎜의 강재(봉강)를 제조하였다. 또한, 열간 단조 시의 빌릿의 가열 온도는 1250℃였다. 이상의 제조 공정에 의해, 강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시험]
각 시험 번호의 강재에 대하여 다음의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 화학 조성 분석 시험
(시험 2) 열간 가공 갈라짐 평가 시험
(시험 3)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측정 시험
(시험 4) 용융 갈라짐 평가 시험
(시험 5) 피삭성 평가 시험(드릴 수명 시험)
(시험 6) 피로 강도 평가 시험(회전 굽힘 피로 시험)
이하, 각 평가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 1) 화학 조성 분석 시험]
각 시험 번호의 강재에 대하여 상술한 [강재의 화학 조성의 측정 방법]에 기재된 주지의 성분 분석법에 의해, 화학 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험 번호의 강재의 화학 조성은, 표 1 내지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시험 2) 열간 가공 갈라짐 평가 시험]
제조된 각 시험 번호의 강재의 표면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였다. 눈으로 본 관찰의 결과, 강재의 표면에 있어서, 강재의 길이 방향 1m당 3개소 이상의 명확한 갈라짐이 관찰되는 경우,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였다. 눈으로 본 관찰의 결과, 강재의 표면에 있어서 강재의 길이 방향 1m당 3개소 이상의 명확한 갈라짐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열간 가공 갈라짐이 억제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열간 가공 갈라짐의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열간 가공 갈라짐」란에 나타낸다. 열간 가공 갈라짐이 억제된 경우, 「E」(Excellent)로 표기한다.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한 경우, 「NA」(Not Accepted)로 표기한다.
[(시험 3 내지 시험 6)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측정 시험, 용융 갈라짐 평가 시험, 피삭성 평가 시험 및 피로 강도 평가 시험에 대해서]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의 제조]
각 시험 번호의 강재를 소재로 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 중의 열간 단조를 모의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강재를 가열하고, 강재를 1100℃에서 30분 유지하였다. 그 후, 강재를 대기 중에서 방랭하였다. 이상의 열처리를 실시한 강재를, 이후에서는,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또는, 단순히 모의 중간품)」이라고 한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은, 직경 80㎜의 봉강이었다.
[(시험 3)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측정 시험]
[강재의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각 시험 번호의 강재를 사용하여, 상술한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측정 방법]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각 시험 번호의 강재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를 구하였다. 강재의 축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횡단면) 중 R/2부를 포함하는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각 시험 번호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를 구하였다. 얻어진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강재」란의 「미세 Bi 입자 개수 밀도(개/㎟)」란에 나타낸다. 얻어진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강재」란의 「조대 Bi 입자 개수 밀도(개/㎟)」란에 나타낸다.
[모의 중간품의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
각 시험 번호의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을 사용하여, 상술한 [미세 Bi 입자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측정 방법]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각 시험 번호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를 구하였다. 모의 중간품(봉강)의 축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횡단면) 중 R/2부를 포함하는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각 시험 번호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개/㎟)를 구하였다. 얻어진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모의 중간품」란의 「미세 Bi 입자 개수 밀도(개/㎟)」란에 나타낸다. 얻어진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모의 중간품」란의 「조대 Bi 입자 개수 밀도(개/㎟)」란에 나타낸다.
또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은, 소재인 강재에 대하여 열간 단조를 모의하는 열처리를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열간 단조를 모의하는 1100℃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만으로는,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는, 강재의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 및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시험 4) 용융 갈라짐 평가 시험]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의 축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의 R/2부로부터, 폭 10㎜, 두께 3㎜, 길이 10㎜의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시험편의 길이 방향은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의 축방향(압연 방향)과 평행하였다. 또한, 시험편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중심축은, R/2부와 일치하였다.
후지 덴파 고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열 사이클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하여 고주파 ?칭의 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코일을 사용하여 시험편을 100℃/초의 승온 속도로 1390℃까지 가열하였다. 그리고, 시험편을 1390℃에서 15초간 유지하였다. 그 후, 시험편을 수랭하였다.
수랭 후의 시험편을, 시험편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면을 관찰면으로 하였다. 관찰면을 기계 연마하였다. 기계 연마 후의 관찰면을 피크랄 시약으로 부식시켰다. 부식된 관찰면을 400배의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용융 갈라짐의 유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하였다. 관찰 시야는 2 시야로 하였다. 각 관찰 시야를 250㎛×400㎛로 하였다.
관찰면의 2개의 관찰 시야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입계에서 폭이 5㎛ 이상인 명료하게 부식되어 있는 영역(부식 영역)이 관찰되는 경우, 용융 갈라짐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였다. 입계에서 폭이 5㎛ 이상인 명료하게 부식되어 있는 영역이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야 중의 입계에 있어서의 부식 영역(10)과 같은, 최대의 폭이 5㎛ 이상이 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2개의 관찰 시야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입계에 부식 영역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용융 갈라짐이 억제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용융 갈라짐의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용융 갈라짐」란에 나타낸다. 용융 갈라짐이 억제된 경우, 「E」로 표기한다. 용융 갈라짐이 발생한 경우, 「NA」로 표기한다. 표 6의 「용융 갈라짐」란의 「-」는, 용융 갈라짐 평가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시험 5) 피삭성 평가 시험(드릴 수명 시험)]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으로부터 피삭성 평가 시험용의 시험편을 잘라냈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80㎜의 모의 중간품의 축방향(압연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 중, 외표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21㎜의 깊이 위치를,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였다. 공구로서,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코시제의 형번 SD3.0의 드릴을 사용하였다. 천공 조건으로서, 1회전당의 이송량을 0.25㎜/rev로 하였다. 또한, 1구멍의 천공 깊이를 9㎜로 하였다. 천공 중, 천공 개소에 대하여 윤활제로서 수용성의 절삭유를 계속해서 공급하였다.
상술한 천공 조건에서 드릴 천공을 실시하여, 강재의 피삭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지표로서, 최대 절삭 속도 VL1000(m/분)을 사용하였다. 최대 절삭 속도 VL1000이란, 1000㎜ 길이의 천공이 가능한 드릴의 최고속 절삭 속도를 의미한다.
최대 절삭 속도 VL1000이 35m/분 이상인 경우,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졌다고 판단하였다(표 5 및 표 6 중의 「피삭성」란에 「E」로 표기). 한편, 최대 절삭 속도 VL1000이 35m/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피삭성이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였다(표 5 및 표 6 중의 「피삭성」란에 「NA」로 표기). 또한, 표 6의 「피삭성」란의 「-」는, 피삭성 평가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시험 6) 피로 강도 평가 시험(회전 굽힘 피로 시험)]
다음 시험 방법에 의해, 강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기계 구조용 부품을 상정한 피로 시험편을 사용하여, 피로 강도를 평가하였다.
기계 구조용 부품의 모의 중간품으로부터,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도 3은 각 모의 기계 구조용 부품의 중간품으로서 채취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의 측면도이다. 도 3 중의 「φ」의 수치는, 그 부위에서의 직경(㎜)을 의미한다.
피로 시험편은 환봉 시험편이고, 평행부의 직경이 8㎜, 그립부의 직경이 12㎜였다. 피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은 모의 중간품의 축방향과 평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선반 가공에 의해, 모의 중간품의 표면으로부터 3.5㎜의 깊이까지 절삭하여, 평행부를 제작하였다. 따라서, 평행부의 표면은, 적어도 봉강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의 범위 내에 상당하였다. 피로 시험편은, 강재를 사용한 기계 구조용 부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간 가공 후의 중간품에 대하여 절삭 가공을 실시한 후의 기계 구조용 부품을 상정하였다. 피로 시험편의 평행부에 마무리 연마를 실시하여, 표면 조도를 조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JIS B 0601(2001)에 준거한,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를 3.0㎛ 이내로 하고, 최대 높이(Rmax)를 9.0㎛ 이내로 하였다.
또한, 고주파 ?칭 전의 모의 기계 구조용 부품의 중간품으로부터 채취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을 사용한 시험에 의해, 피로 강도가 충분히 높으면, 고주파 ?칭을 실시한 후의 기계 구조용 부품에 있어서도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는 것은, 당업자에게도 주지의 기술 상식이다. 그래서, 피로 시험편을 사용하여, 실온(23℃), 대기 분위기에서, 회전수 3600rpm의 등진동의 조건에서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을 행하였다. 복수의 시험편에 대하여 가하는 응력을 바꾸어 피로 시험을 실시하고, 107사이클 후에 파단되지 않은 가장 높은 응력을, 피로 강도(MPa)로 하였다.
얻어진 피로 강도가 230MPa 이상이면, 충분한 피로 강도가 얻어졌다고 판단하였다. 피로 강도 평가의 결과를 표 5 및 표 6의 「피로 강도」란에 나타낸다. 피로 강도가 230MPa 이상인 경우,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졌다고 판단하였다(「E」로 표기). 한편, 피로 강도가 230MPa 미만인 경우, 충분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였다(「NA」로 표기). 또한, 표 6의 「피로 강도」란의 「-」는, 피로 강도 평가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시험 결과]
표 1 내지 표 6을 참조하여, 시험 번호 1 내지 46의 강재는, 특징 1 내지 특징 4를 충족하였다. 그 때문에, 열간 가공 갈라짐 및 용융 갈라짐이 충분히 억제되었다. 또한, 최대 절삭 속도 VL1000은 35m/분 이상이며,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졌다. 또한, 피로 강도는 230MPa 이상이며, 우수한 피로 강도가 얻어졌다.
한편, 시험 번호 47에서는, C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48에서는, C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피로 강도가 낮았다.
시험 번호 49에서는, Si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0에서는, Mn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51에서는, Mn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2에서는, P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3에서는, S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4에서는, S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55에서는, Cr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56에서는, Bi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를 초과하였다. 그 때문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7에서는, Bi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또한,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개/㎟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8에서는, N 함유량이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59 및 60에서는, fn1의 값이 너무 높았다. 즉, fn1이 식 (1)을 충족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충분한 피삭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시험 번호 61 및 62에서는, fn1의 값이 너무 낮았다. 즉, fn1이 식 (1)을 충족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충분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지 않았다.
시험 번호 63 내지 65에서는, 정련 공정에 있어서, Bi 첨가 후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 T(분)가 너무 짧았다. 그 때문에,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를 초과하였다. 그 때문에, 열간 가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시험 번호 66 내지 68에서는, 정련 공정에 있어서, Bi 첨가 후 교반 종료까지의 시간 T(분)가 너무 길었다. 그 때문에,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개/㎟ 미만이며, 용융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7)
- 강재이며,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인,
강재.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 강재이며,
질량%로,
C: 0.05 내지 0.30%,
Si: 0.05 내지 0.45%,
Mn: 0.30 내지 2.00%,
P: 0.030% 이하,
S: 0.010 내지 0.095%,
Cr: 0.01 내지 2.00%,
Bi: 0.0051 내지 0.1500%, 및
N: 0.0030 내지 0.0250%를 함유하고,
또한, 제1군 내지 제5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식 (1)을 충족하고,
상기 강재 중에 있어서,
원 상당 직경이 0.1 내지 1.0㎛인 미세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80 내지 8000개/㎟이고,
원 상당 직경이 10.0㎛ 이상인 조대 Bi 입자의 개수 밀도가 10개/㎟ 이하인,
강재.
[제1군]
Al: 0.060% 이하, 및
Mg: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2군]
Ti: 0.1500% 이하,
Nb: 0.0800% 이하,
W: 0.4000% 이하, 및
Zr: 0.20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3군]
Ca: 0.0100% 이하,
Te: 0.0100% 이하,
B: 0.0050% 이하,
Sn: 0.0100% 이하, 및
희토류 원소: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4군]
Co: 0.0100% 이하,
Se: 0.0100% 이하,
Sb: 0.0100% 이하, 및
In: 0.010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제5군]
V: 0.200% 이하,
Mo: 1.00% 이하,
Cu: 0.20% 이하, 및
Ni: 0.2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여기서, 식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이 질량%로 대입된다. 원소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응하는 원소 기호에는 「0」이 대입된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군을 함유하는,
강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군을 함유하는,
강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군을 함유하는,
강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군을 함유하는,
강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군을 함유하는,
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54999 | 2021-09-24 | ||
JP2021154999 | 2021-09-24 | ||
PCT/JP2022/035434 WO2023048248A1 (ja) | 2021-09-24 | 2022-09-22 | 鋼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5857A true KR20240075857A (ko) | 2024-05-29 |
Family
ID=857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13110A KR20240075857A (ko) | 2021-09-24 | 2022-09-22 | 강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WO2023048248A1 (ko) |
KR (1) | KR20240075857A (ko) |
CN (1) | CN117980518A (ko) |
WO (1) | WO2023048248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9366A (en) | 1980-07-09 | 1982-02-01 | Kobe Steel Ltd | Machine structural steel with superior cold forgeability and machinability |
JP2004018879A (ja) | 2002-06-12 | 2004-01-22 | Kobe Steel Ltd | 切屑処理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鋼 |
JP2008169411A (ja) | 2007-01-10 | 2008-07-24 | Daido Steel Co Ltd | 型材用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55188A (en) * | 1979-08-29 | 1981-03-10 | Inland Steel Company | Free machining steel with bismuth and manganese sulfide |
JP3507723B2 (ja) * | 1999-03-12 | 2004-03-15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Bi快削鋼 |
JP7417091B2 (ja) * | 2020-03-27 | 2024-01-18 | 日本製鉄株式会社 | 鋼材 |
-
2022
- 2022-09-22 WO PCT/JP2022/035434 patent/WO202304824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9-22 CN CN202280063814.2A patent/CN117980518A/zh active Pending
- 2022-09-22 KR KR1020247013110A patent/KR20240075857A/ko unknown
- 2022-09-22 JP JP2023549757A patent/JPWO2023048248A1/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9366A (en) | 1980-07-09 | 1982-02-01 | Kobe Steel Ltd | Machine structural steel with superior cold forgeability and machinability |
JP2004018879A (ja) | 2002-06-12 | 2004-01-22 | Kobe Steel Ltd | 切屑処理性に優れた冷間鍛造用鋼 |
JP2008169411A (ja) | 2007-01-10 | 2008-07-24 | Daido Steel Co Ltd | 型材用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48248A1 (ja) | 2023-03-30 |
CN117980518A (zh) | 2024-05-03 |
JPWO2023048248A1 (ko) | 2023-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24503B2 (ja) | 棒鋼・線材 | |
JP7417091B2 (ja) | 鋼材 | |
WO2020145325A1 (ja) | 鋼材 | |
JP6628014B1 (ja) | 浸炭処理が行われる部品用の鋼材 | |
JP6652019B2 (ja) | 高周波焼入用の機械構造用鋼及び高周波焼入鋼部品 | |
JP6614393B2 (ja) | 非調質棒鋼 | |
JP6642237B2 (ja) | 冷間鍛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642236B2 (ja) | 冷間鍛造用鋼 | |
JP6652021B2 (ja) | 熱間鍛造用鋼及び熱間鍛造品 | |
JP6918229B2 (ja) | スチールピストン | |
WO2017068935A1 (ja) | 熱間鍛造用鋼及び熱間鍛造品 | |
JP2018035423A (ja) |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 |
JP6668741B2 (ja) | 熱間圧延棒線材 | |
KR20240075857A (ko) | 강재 | |
JP6930662B2 (ja) | スチールピストン用鋼材 | |
WO2023017829A1 (ja) | 鋼材 | |
US20240352566A1 (en) | Steel material | |
JP2018035420A (ja) |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 |
KR20170121267A (ko) | 열간 압연 봉선재, 부품 및 열간 압연 봉선재의 제조 방법 | |
JP6801717B2 (ja) | 冷間鍛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 |
TWI857829B (zh) | 鋼材 | |
WO2024019013A1 (ja) | 鋼材 | |
JP2024031698A (ja) | 鋼材 | |
JP2018035419A (ja) |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 |
JP6766531B2 (ja) | 冷間鍛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