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988A - 동축 케이블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988A
KR20240072988A KR1020247001822A KR20247001822A KR20240072988A KR 20240072988 A KR20240072988 A KR 20240072988A KR 1020247001822 A KR1020247001822 A KR 1020247001822A KR 20247001822 A KR20247001822 A KR 20247001822A KR 20240072988 A KR20240072988 A KR 2024007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resin tape
thickness
sid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야스 나카야마
히로토 이마무라
사토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토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토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토쿠
Publication of KR2024007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01B11/183Co-axial cables with at least one helicoidally wound tape-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01B11/1821Co-axial cables with at least one wire-wound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7Sheaths comprising extruded non-metallic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외부 도체의 실드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중심 도체(11)와,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12)와,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13, 14)와, 외부 도체(13, 14) 상을 덮는 외피체(15)를 갖추고, 외부 도체(13, 14)는, 절연체(12)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와인딩된, 금속층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며, 외부 도체의 실드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은 노이즈 등에 대하여 우수한 실드성을 가지는 점에서,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기기 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은, 우수한 실드성과 더불어, 세경화(細徑化)와 양호한 굴곡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실드성, 유연성, 세경화 구성, 내굴곡성, 및 경제성을 만족시키고, 또한 단말 가공성을 개선하는 동축 케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 절연체, 횡방향 와인딩 실드 구조를 가지는 외부 도체, 및 외피가 동축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동축 케이블은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의 소형화가 진행되는 전자 기기 내에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은, 기기 내 안테나에서 누설 전류가 증폭되기 때문에, 실드 효과를 보다 높인 동축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07-188782호 공보
본 발명자는 실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동축 케이블을 검토하고 있는 과정에서, 외부 도체로서, (1) 세선 횡방향 와인딩 실드와, 예를 들면 두께 6μm의 구리층을 편면에 설치한 PET 테이프를 그 순서로 설치한 이중 구조의 것, (2) 세선 횡방향 와인딩 실드와, 예를 들면 두께 6μm의 구리층을 편면에 설치한 PET 테이프와, 예를 들면 두께 6μm의 구리층을 편면에 설치한 PET 테이프를 그 순서로 설치한 삼중 구조의 것, (3) 세선 횡방향 와인딩 실드와, 예를 들면 두께 15μm의 구리박 테이프를 그 순서로 설치한 이중 구조의 것을 제작하고 검토했다.
그러나, 상기 (1)의 외부 도체를 갖춘 동축 케이블은, 구리층의 두께가 얇아 실드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다. 또 상기 (2)의 외부 도체를 갖춘 동축 케이블은, 외부 도체로서 두께 6μm의 구리층을 편면에 설치한 PET 테이프를 2장 겹쳐 와인딩하기 때문에, PET 테이프가 내측과 외측의 각각의 구리층을 절연하게 되어, 합계 12μm의 구리층을 실드성 향상을 위해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외측에 위치하는 구리층이라도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있어, 가공성이 번잡했다. 상기 (3)의 외부 도체를 갖춘 동축 케이블은, 구리박 테이프가 단단하여 와인딩하기 어려우며 끊어지기 쉽다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며, 외부 도체의 실드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와, 이 중심 도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이 외부 도체 상을 덮는 외피체를 갖추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된 횡방향 와인딩 실드와, 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 상에 와인딩된, 금속층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포함하므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이 도통한다. 그 때문에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한 경우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없어,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금속층을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편면마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구리박 테이프와 같은 단선이나 와인딩의 어려움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은, 실드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어스 접속 가공이나 테이프 와인딩성 등의 가공성이 좋은 동축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어,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용이나 반도체 장치용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양면에 설치된 상기 금속층 각각의 두께가 6μm 이상 12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 각각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므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와인딩되어 도통한 양면의 금속층은,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금속층을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편면마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구리박 테이프와 같은 단선이나 와인딩의 어려움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두께가 8μm 이상 24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므로, 동축 케이블의 세경화의 요구에 대해서도 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와 상기 수지 테이프 사이에,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횡방향 와인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금속층 각각의 두께를 플렉서블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로 하고, 금속층의 총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실드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외피체는, 상기 외부 도체 상에 와인딩된 수지 테이프와, 이 수지 테이프를 덮는 압출 시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수지 테이프의 일방의 면에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착층이 내측이 되도록 와인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수지 테이프가 가지는 접착층에 의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동축 케이블의 배선시에 응력이 가해져도 횡방향 와인딩 실드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며, 외부 도체의 실드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금속층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포함하고 그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이 도통한다. 그 때문에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한 경우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없어,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금속층을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편면마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구리박 테이프와 같은 단선이나 와인딩의 어려움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도 2(A)는 절연체가 중실 구조인 예이며, (B)는 절연체가 중공 구조인 예이다.
도 3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도면에 기재한 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형태의 기재나 도면의 기재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축 케이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와,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12)와,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13, 14)와, 외부 도체(13, 14) 상을 덮는 외피체(15)를 갖추는 동축 케이블이다. 그리고, 그 특징으로서, 외부 도체(13, 14)는, 절연체(12)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와인딩된, 금속층(14a, 14b)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10)은, 금속층(14a, 14b)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포함하므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14a, 14b)이 도통한다. 그 때문에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한 경우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없어,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금속층(14a, 14b)을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편면마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구리박 테이프와 같은 단선이나 와인딩의 어려움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축 케이블(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와,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설치된 절연체(12)와, 그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된 외부 도체(13, 14)와, 그 외부 도체(13, 14)를 덮는 외피체(15)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
중심 도체(11)는, 동축 케이블(10)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1개의 소선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소선을 서로 꼬아 구성된다. 소선은 양호 도전성 금속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리선, 구리 합금선, 알루미늄선, 알루미늄 합금선, 구리알루미늄 복합선 등의 양호 도전성의 금속 도체, 또는 그들의 표면에 도금층이 마련된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고주파용의 관점에서는, 구리선, 구리 합금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금층으로서는 땜납 도금층, 주석 도금층, 금 도금층, 은 도금층, 니켈 도금층 등이 바람직하다. 소선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인 선재여도 되고, 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중심 도체(11)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형(타원형을 포함한다.)이어도 되고 직사각형 등이어도 되는데,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 도체(11)의 외경은, 전기 저항(교류 저항, 도체 저항)이 작아지도록,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축 케이블(10)의 최종 외경을 세경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0.09~1mm정도의 범위 내를 들 수 있다. 중심 도체(11)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절연 피막(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피막의 종류와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납땜시에 양호하게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피막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절연체>
절연체(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저유전율의 절연층이다. 절연체(12)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PFA(ε2.1), ETFE(ε2.5), FEP(ε2.1) 등, 유전율이 2.0~2.5인 저유전율의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PFA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체(12)의 재료에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절연체(12)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0.15~1.5mm정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12)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실 구조, 중공 구조, 발포 구조의 어느 것이나 압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절연체(12)는 도 2(A)에 나타내는 중실 구조여도 되고, 도 2(B)에 나타내는 중공 구조여도 되며, 도시하지 않는 발포 구조여도 된다. 또한 중공 구조는 구조체 내부에 공극부(12')를 가지고, 예를 들면 그 공극부(12')를 내측 환형상부(12a), 외측 환형상부(12b) 및 연결부(12c)로 둘러싸는 단면 형태 등으로 할 수 있다. 중공 구조나 발포 구조로 한 경우, 절연체(12)의 재료 밀도가 작아져, 절연체(12)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고 하는 부가적 효과가 있다.
<외부 도체>
외부 도체(13, 1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체(13, 14)는, 절연체(12)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와인딩된, 금속층(14a, 14b)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는 도체 단면적이 커져, 삽입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를 가지므로, 편조 실드에 비해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금속층(14a, 14b)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포함하므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14a, 14b)이 도통하고,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세선과 금속층이 직접 접촉하고 있다.)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에 응력이 가해져 세선간에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라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는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와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된 삼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여도 된다. 삼중 구조의 외부 도체(13, 14, 14')는 상기한 이중 구조의 외부 도체와 마찬가지로, 도체 단면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삽입 손실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편면에 가지는 금속층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측이 되도록 와인딩되므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가지는 금속층과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가지는 금속층이 포개어져 도통하고,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횡방향 와인딩 실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체(12) 상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형성된다. 횡방향으로 와인딩한 금속 세선은 도 1에 나타내는 단층이어도 도시하지 않는 적층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층이 바람직하다. 금속 세선의 횡방향 와인딩은 세선이 교차하여 꼬임을 형성하는 편조 구조에 비해, 동일 정도의 효과(시일 효과 등)를 발생시키는 범위에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10)의 세경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금속 세선은 동축 케이블(10)을 구성하는 횡방향 와인딩 실드(13)로서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양호 도전성의 금속 세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석 도금 구리선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금속 세선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세선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체(12)의 외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0.04~0.1mm정도의 범위 내인 것을 들 수 있다. 금속 세선의 개수도 절연체(12)의 외경이나 예정하는 동축 케이블(10)의 외경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된다.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할 때의 횡방향 와인딩 피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0.5~11m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횡방향 와인딩(나선 와인딩)하여 설치된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기재(14c)와, 수지 기재(14c)의 양쪽의 면의 최표면에 설치된 금속층(14a, 14b)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나 「최표면」이라고 한 것은, 수지 기재와 금속층 사이나, 수지 기재의 타방의 면에, 임의로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금속층은 부호 14a의 측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측이어도 되고, 부호 14b의 측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측이어도 된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14a, 14b)이 도통한다. 그 때문에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한 경우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에도 어스를 더욱 취하는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 금속층(14a, 14b)을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편면마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구리박 테이프와 같은 단선이나 와인딩의 어려움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설치함으로써, 실드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어스 접속 가공이나 테이프 와인딩성 등의 가공성이 좋은 동축 케이블(10)을 실현할 수 있다.
수지 기재(14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기재(14c)의 두께는 입수하기 쉬운 예를 들면 2~16μm정도의 범위 내의 것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다.
금속층(14a, 14b)은 구리층, 알루미늄층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금속층(14a, 14b)은 수지 기재(14c) 상에 증착이나 도금에 의해 성막된 것, 또는 필요에 따라 설치된 접착층(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접착성 수지 등)을 통하여 첩합된 금속박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14a, 14b)이 도통하는 점에서, 금속층(14a, 14b)의 두께는 실드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는 6μm 이상, 12μ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두께 범위 내이면, 양면에 동일한 두께의 금속층(14a, 14b)을 설치해도 되고, 상이한 두께의 금속층(14a, 14b)을 설치해도 된다.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가 6μm 미만에서는, 합계 두께가 12μm 미만으로 작고, 금속량도 불충분하므로, 실드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가 12μm를 넘어 합계 두께가 24μm를 넘으면, 각 금속층의 강성이 높아져 와인딩하기 어려워진다. 와인딩 용이성의 관점을 더욱 가미하면,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는 6μm 이상, 10μ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강성이 증가하여 와인딩 용이성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 와인딩 용이성은 와인딩하는 대상이 되는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외경에 의존한다.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가 최대 12μm로 합계 두께가 최대 24μm인 경우, 횡방향 와인딩 실드(13)를 와인딩한 후의 외경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0.7mm정도 내지 2.1mm정도 이하이면, 와인딩 용이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와인딩할 수 있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전체 두께는 수지 기재(14c)와 금속층(14a, 14b)의 합계 두께인데, 동축 케이블(10)의 세경화에 기여할 수 있는 두께로서는 14~26μm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1/4랩 내지 1/2랩의 범위로 포개어 와인딩되어 있다. 이 범위 내의 랩으로 함으로써,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금속층(14a, 14b)과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의 직접 접촉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적인 실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랩으로 횡방향 와인딩함으로써,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끼리에 틈을 발생시키지 않고 금속 세선 상에 금속층을 직접 배치할 수 있다. 랩이 1/4 미만에서는, 겹침이 작으므로, 횡방향 와인딩시에 겹침이 어긋날 우려가 있고, 랩이 1/2을 넘으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겹침 두께가 두꺼워져 세경화의 점에서 불리하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와인딩 피치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폭과 랩으로 임의로 설정되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폭이 예를 들면 3~6mm정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와인딩 피치는 예를 들면 1.5~10mm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은, 상기한 금속 세선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과 동일한 와인딩 방향이어도, 역방향의 와인딩 방향이어도 되는데, 역방향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에 금속층(14a, 14b)이 설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에서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라도,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세선과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이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추가로 횡방향 와인딩(나선 와인딩)하여 설치해도 된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수지 기재와, 그 수지 기재의 한쪽의 면의 최표면에 설치된 금속층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적어도」나 「최표면」이라고 한 것은, 수지 기재와 금속층 사이나, 수지 기재의 타방의 면에, 임의로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편면에 설치된 금속층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측으로 하여 횡방향 와인딩된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수지 기재와 금속층은, 상기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수지 기재와 금속층과 마찬가지의 재료 및 두께 범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금속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부 도체 전체의 금속량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관점에서, 3μm 이상, 12μ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μm 이상, 6μ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총 두께는 수지 기재의 두께에 따라서 상이하기도 하지만, 5μm 이상, 18μ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포함하는 삼중 구조의 외부 도체는 금속량의 총량을 보다 늘려 실드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금속량을 늘리기 위해서 상기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를 예를 들면 12μm를 넘는 두께로 하면, 각 금속층의 강성이 높아져 플렉서블성이 저하되고, 와인딩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를 플렉서블성이 저하되지 않는 이미 서술한 범위(6~12μm)로 하여, 금속층의 총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실드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설치함으로써, 와인딩 용이성을 유지할 뿐만아니라 각각의 테이프가 가지는 금속층의 총합계 두께를 늘려 실드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총합계 두께는 각각의 금속층의 하한값의 합계로부터 1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와인딩 방법은, 상기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와 마찬가지의 랩 범위에서 포개어 와인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이룬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과 동일한 와인딩 방향이어도, 역방향의 와인딩 방향이어도 되는데, 역방향이 바람직하다.
<외피체>
외피체(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13, 14)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세하게는 외부 도체 상(도 1에서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이며, 도 4에서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이다)에 설치되어 있다. 외피체(15)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이나 도 4에 나타내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와인딩된 수지 테이프(15a)와, 수지 테이프(15a)를 덮는 압출 시스(15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테이프(15a)와 압출 시스(15b)는 절연성이 있으면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테이프(15a)로서는 편면에 접착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들 수 있고,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이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나선 와인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압출 시스(15b)로서는 수지를 압출하여 설치된 절연 시스를 들 수 있다.
(수지 테이프)
수지 테이프(15a)는 도 1에 나타내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이나 도 4에 나타내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횡방향 와인딩(나선 와인딩)하여 설치된다. 수지 테이프(15a)는 접착층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접착층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15a)는,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일방의 면의 최표면에 설치된 접착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지 테이프(15a)는 접착층의 측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측으로 하여 횡방향 와인딩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지 테이프(15a)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접착 고정되므로, 배선시에 응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 실드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표면」이라고 한 것은, 수지 기재와 접착층의 사이나, 수지 기재의 타방의 면에, 임의로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타방의 면에는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위에 형성되는 압출 시스(15b)와는 접착되어 있지 않아, 예를 들면 배선시에 응력이 가해진 경우, 수지 테이프(15a)와 압출 시스(15b)의 계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굴곡이 유연하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수지 테이프(15a)는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와 마찬가지로, 1/4랩 내지 1/2랩의 범위에서 포개어 와인딩되어 있다. 이 범위 내의 랩으로 함으로써, 수지 테이프(15a)를 구성하는 접착층이 수지 테이프(15a) 자신을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에 접착하여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고정할 수 있다. 랩이 1/4 미만에서는, 겹침이 작으므로, 횡방향 와인딩시에 겹침이 어긋날 우려가 있고, 랩이 1/2을 넘으면, 수지 테이프(15a)의 겹침 두께가 두꺼워져 세경화의 점에서 불리하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수지 테이프(15a)의 와인딩 피치는 수지 테이프(15a)의 폭과 랩으로 임의로 설정되게 되는데, 수지 테이프(15a)의 폭이 예를 들면 3~6mm정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와인딩 피치는 예를 들면 1.5~10mm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테이프(15a)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은 상기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횡방향 와인딩 방향과 동일한 와인딩 방향이어도, 역방향의 와인딩 방향이어도 되는데, 역방향이 바람직하다.
수지 테이프(15a)를 구성하는 수지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불소화 수지 공중합체(퍼플루오로알콕시불소 수지:PF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지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2~6μm정도의 범위 내의 것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다.
수지 테이프(15a)를 임의로 구성하는 접착층은, 수지 기재의 편면에 설치되며, 그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3μm정도로 할 수 있다.
이 수지 테이프(15a)에 대해서는,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를 T2로 하고,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두께를 T1이라고 한 경우, T2/T1이 1/6(=0.167) 이상 4/5(=0.8)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T2/T1이 1/4(=0.25) 이상 3/5(=0.6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에 의해 발생한 단차를 작게(약7μm 이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단차에 존재하는 공기에 기인한 외관 요철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 동일한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존재하는 공기는 그 후에 압출 시스(15b)를 압출 성형할 때의 열로 팽창하여 요철이 발생하여, 외관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가능한 한 공기가 남지 않도록 진공 펌프로 흡인하면서 압출 성형하고 있지만, 충분히 해결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외관 요철은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을 변화시키게 되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 동일한 단말 가공 조건에서 행하면 가공 수율이 악화되는 점에서, 단말 가공 조건을 그 때마다 변경해야 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T2/T1을 상기 범위 내로 하여 얻은 동축 케이블(10)은, 외관 요철이 억제되어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 동일한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또 편조 실드뿐인 경우에 비해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횡방향 와인딩 실드에서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라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좁은 스페이스 내에서의 기기 내 배선을 실현할 수 있는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제5 세대 통신 규격(5G)에 대응한 기기 내 안테나 배선용이나 반도체 장치용으로서 바람직하다.
T2/T1이 바람직하게는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5a)에서도 단차가 생겨버리므로, 충분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T2/T1이 바람직하게는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5a)가 지나치게 얇아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단차의 정도가 그대로 남아버려, 충분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단차의 크기는, 전체의 외경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예를 들면 10μm 이상의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외관의 요철이 눈에 띄게 되므로, 10μm 미만의 단차가 한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T2)는 바람직하게는 「T2/T1=1/6~4/5」, 보다 바람직하게는 「T2/T1=1/4~3/5」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또한 구체적으로는 4μm 이상 10μm 미만, 상세하게는 4μm 이상 9μm 이하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시스)
압출 시스(15b)는 수지 테이프(15a) 상에 압출 성형에 의해 설치된다. 압출 시스(15b)의 구성 수지로서는 외피체용의 수지 압출에 적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FA, ETFE, FEP 등의 불소계 수지여도 되고, 염화비닐 수지여도 되며,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여도 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에서는 불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시스(15b)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5a)와의 사이에 가능한 한 공기가 남지 않도록, 진공 펌프로 흡인하면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출 시스(15b)와 상기 수지 테이프(15a)로 구성된 외피체(15)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면 0.1~1.0mm정도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얻어진 동축 케이블(10)의 최종 외경은 0.6~3.5mm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중심 도체(11)로서 외경 0.203mm의 은 도금 연동선을 사용했다. 이어서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두께 0.210mm의 PFA 수지(듀폰사제, 유전율 2.1)를 도 2(A)의 중실 구조가 되도록 압출 형성하여 외경을 0.623mm로 했다. 이어서 외부 도체로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설치했다. 횡방향 와인딩 실드(13)는 절연체(12) 상에 단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외경 0.050mm의 은 도금 연동선을 38개 사용하여 6.5mm의 피치로 왼쪽으로 와인딩하여 형성했다. 형성 후의 외경은 0.723mm였다. 이어서 그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와인딩했다.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두께 2.5μm의 PET 기재의 양쪽의 면에 두께 6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14.5μm이며 폭 3mm인 것을 사용했다. 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1/3랩(1mm의 폭만큼 겹친다)으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와인딩 방향과 역방향으로 와인딩했다.
이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두께 1μm의 접착층이 편면에 설치된 합계 두께 4μm이며 폭 3mm의 수지 테이프(15a)를, 접착층측이 내측(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측)이 되도록 하여 와인딩했다. 그 와인딩 형태는 1/3랩(1mm의 폭만큼 겹친다)으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와인딩 방향과 역방향으로 와인딩했다. 와인딩 공정시에 가열하여, 접착층과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접착시켰다. 그 후, 압출 시스(15b)로서 PFA 수지(듀폰사제)층을 진공 펌프로 흡인하면서 두께 50μm로 압출하여 형성하고, 외경 0.879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이 동축 케이블(10)에 있어서,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T2)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두께(T1)는 T2/T1=4/14.5=0.276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서, 두께 2.5μm의 PET 기재의 양쪽의 면에 두께 10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22.5μm이며 폭 3mm인 것을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903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이 동축 케이블(10)에 있어서,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T2)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두께(T1)는 T2/T1=4/22,5=0.178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테이프(15a)로서, 두께 1μm의 접착층이 편면에 설치된 합계 두께 8μm이며 폭 3mm의 수지 테이프(15a)를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891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이 동축 케이블(10)에 있어서, 수지 테이프(15a)의 두께(T2)와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두께(T1)는 T2/T1=8/14.5=0.552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로서, 두께 2.5μm의 PET 기재의 일방의 면에 두께 6μm의 구리박이 설치되고, 타방의 면에 두께 10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18.5μm이며 폭 3mm인 것을 사용했다. 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두께 6μm의 금속층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측이 되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랩으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의 와인딩 방향과 역방향으로 와인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903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와 수지 테이프(15a) 사이에,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했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는 두께 4μm의 PET 기재의 일방의 면에 두께 12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16μm이며 폭 3mm인 것을 사용했다. 이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금속층이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측이 되도록 하여,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 1/3랩(1mm의 폭만큼 겹친다)으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와인딩 방향과 역방향으로 와인딩했다.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상에는, 수지 테이프(15a)를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와인딩 방향과 역방향으로 와인딩했다. 수지 테이프(15a)는 두께 1μm의 접착층이 편면에 설치된 합계 두께 9μm이며 폭 3mm인 것을 사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930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참고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대신에, 두께 2.5μm의 PET 기재의 일방의 면에 두께 8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10.5μm이며 폭 3mm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사용하고, 구리박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측이 되도록 하여 와인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867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참고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대신에, 두께 2.5μm의 PET 기재의 일방의 면에 두께 10.5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합계 두께 13μm이며 폭 3mm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사용하고, 구리박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측이 되도록 하여 와인딩했다. 그 후, 상기와 동일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이미 와인딩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 상에 금속층의 방향도 동일하게 하고, 와인딩 방향을 역으로 하여 와인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874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참고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대신에, 두께 15μm이며 폭 3mm의 구리박 테이프를 사용하고, 횡방향 와인딩 실드(13) 상에 와인딩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외경 0.904mm의 동축 케이블(10)을 제작했다.
[평가]
실드성은 MIL-C-85485A에 준거한 측정법으로 측정한 실드 효과 측정에 의해 평가했다. 그 측정법에서의 실드성의 양부의 판단으로서는, 평가 결과가 70dB 이상인 경우는 「양호한 실드성」으로 하고, 평가 결과가 70dB 미만인 경우는 「불충분한 실드성」으로 했다. 실시예 1~5의 동축 케이블은 각각 72.4, 77.2, 73.8, 76.5, 75.4이며, 양호한 실드성을 나타냈다. 한편, 참고예 1~3의 동축 케이블은 각각 62.2, 60.5, 68.5이며, 불충분한 실드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5의 평가 결과가 양호한 이유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 또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와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와인딩됨으로써, 양면의 금속층(14a, 14b)이 도통하여,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합계 두께 12~24μm의 범위)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시예 5는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14a, 14b) 각각의 두께를 플렉서블성이 저하되지 않는 두께 범위(6~12μm)로 한 다음, 두께 12μm의 구리박이 설치된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를 더욱 와인딩하고 있으므로, 테이프 와인딩에 필요한 플렉서블성을 해치지 않고 금속층의 총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실드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참고예 1의 평가 결과가 불충분한 이유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와인딩되어 있지만, 편면 두께는 8μm에 지나지 않아,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예 2의 평가 결과가 불충분한 이유는,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이중으로 와인딩되어 있지만, 각각의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구성하는 금속층은 도통하지 않으므로, 편면 두께는 10.5μm에 지나지 않아, 실드성을 높이기에 충분한 금속량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참고예 3은 두께 15μm의 구리박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드성은 양호하지만, 그 두께가 12μm를 넘어 테이프 와인딩성이 좋지 않고, 깨짐이나 단선이 발생하기 쉬웠다.
가공성은 외부 도체로부터 어스를 취하는 가공의 용이성으로 평가했다. 실시예 1~5의 동축 케이블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에, 양면의 금속층(14a, 14b)끼리가 도통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14)가 횡방향 와인딩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와 금속층(14a, 14b)이 도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한 참고예 2의 경우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없고, 어스는 1개소에서 취하면 되므로, 가공이 용이했다. 한편, 참고예 2의 동축 케이블은, 편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를 포개어 와인딩되어 있으므로, 외측에 위치하는 금속층의 어스를 더욱 취할 필요가 있어, 가공이 어려웠다. 또한 참고예 1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에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를 횡방향 와인딩한 것이며, 참고예 3은 횡방향 와인딩 실드(13)에 구리박 테이프를 횡방향 와인딩한 것이며, 어느 것이나 어스는 1개소에서 취하면 되므로, 가공은 용이했다.
단차와 외관에 대해서는 육안 평가했다. 단차는 실시예 1~5에 대해, 어느 것이나 10μm 미만이었다. 압출 시스(16)를 설치한 후의 최종적인 동축 케이블의 외관은, 실시예 1~5는 작은 외관 변동은 있었지만, 단말 가공도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단차를 작게 함으로써 공기층이 작아져, 외관이 개선되어 길이 방향의 굴곡(외경 변동)을 작게 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0…동축 케이블
11…중심 도체
12…절연체
12a…내측 환형상부
12b…외측 환형상부
12c…연결부
12'…공극부
13…횡방향 와인딩 실드
14…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
14'…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
14a, 14b…금속층
14c…수지 기재
15…외피체
15a…수지 테이프
15b…압출 시스

Claims (6)

  1. 중심 도체와, 이 중심 도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이 외부 도체 상을 덮는 외피체를 갖추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횡방향 와인딩하여 설치된 횡방향 와인딩 실드와, 이 횡방향 와인딩 실드 상에 와인딩된, 금속층이 양면에 배치된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양면에 설치된 상기 금속층 각각의 두께가 6μm 이상 12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의 두께가 8μm 이상 24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양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와 상기 수지 테이프 사이에, 금속층 편면 배치형 수지 테이프가 횡방향 와인딩되어 설치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체는, 상기 외부 도체 상에 와인딩된 수지 테이프와, 이 수지 테이프를 덮는 압출 시스로 구성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테이프의 일방의 면에 접착층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착층이 내측이 되도록 와인딩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
KR1020247001822A 2021-10-06 2021-10-29 동축 케이블 KR20240072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4404 2021-10-06
JPJP-P-2021-164404 2021-10-06
PCT/JP2021/039939 WO2023058250A1 (ja) 2021-10-06 2021-10-29 同軸ケーブ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988A true KR20240072988A (ko) 2024-05-24

Family

ID=8580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822A KR20240072988A (ko) 2021-10-06 2021-10-29 동축 케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23058250A1 (ko)
KR (1) KR20240072988A (ko)
WO (1) WO202305825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82A (ja) 2006-01-13 2007-07-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同軸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015U (ja) * 1993-06-07 1994-12-22 沖電線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及び同軸入り複合ケーブル
JPH0720814U (ja) * 1993-09-30 1995-04-18 ウエカツ工業株式会社 くつひも
JP2001126552A (ja) * 1999-10-26 2001-05-11 Hitachi Cable Ltd 極細同軸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
JP2015185323A (ja) * 2014-03-24 2015-10-22 日立金属株式会社 プローブ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
JP7122829B2 (ja) * 2018-01-26 2022-08-22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20024911A (ja) * 2018-08-03 2020-02-13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多芯通信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82A (ja) 2006-01-13 2007-07-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同軸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58250A1 (ko) 2023-04-13
WO2023058250A1 (ja)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837778A (en) A coaxial cable
WO2021200247A1 (ja) 同軸ケーブル
JP3677157B2 (ja) 電気信号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6937208B2 (ja) 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
JP7340384B2 (ja) 屈曲性に優れる細径同軸ケーブル
KR20240072988A (ko) 동축 케이블
WO2021215044A1 (ja) 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
JP7471051B2 (ja) 片面シールド層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JP7474590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690635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WO2020004132A1 (ja) 同軸ケーブル
KR20240056068A (ko)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US8138420B2 (en) Semi-bonded shielding in a coaxial cable
KR20210123976A (ko) 동축 케이블
WO2022130801A1 (ja) 多芯平行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25327A (ja) 端末加工性のよい同軸ケーブル
JP7353039B2 (ja) 曲げ位相安定性に優れる同軸ケーブル
JP7476767B2 (ja) 複合ケーブル
JP7412162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2003031046A (ja) 蒸着テープ縦添え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6746641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2022170784A (ja) 2芯平行型同軸ケーブル
JP2003031045A (ja) 蒸着テープ縦添え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
JP6937209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21028898A (ja) 屈曲性に優れる細径同軸ケ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