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068A -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068A
KR20240056068A KR1020220136238A KR20220136238A KR20240056068A KR 20240056068 A KR20240056068 A KR 20240056068A KR 1020220136238 A KR1020220136238 A KR 1020220136238A KR 20220136238 A KR20220136238 A KR 20220136238A KR 20240056068 A KR20240056068 A KR 2024005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ape
metal
coaxial cable
insulato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재
김혜리
조광문
심현지
문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큐진
Priority to KR102022013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6068A/ko
Publication of KR2024005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중심 도체와, 이 중심 도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이 외부도체 위를 덮는 외피체를 갖추고 있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가로로 감아 설치된 가로 감기 실드와, 이 가로 감기 실드 위에 금속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겹쳐 감은 금속 수지 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체는,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 위에 감긴 수지 테이프와, 이 수지 테이프를 덮는 압출 시스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2라고 하고,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1이라고 했을 경우에, T2/T1이 1/4 이상 4/5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Coaxial cable for high frequency}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에 관한 발명이다.
동축 케이블은, 노이즈 등에 대하여 우수한 실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동축 케이블에는,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절연체가 변형하고, 임피던스가 변동하여 반사 감쇠가 생기고, 전송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기기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이용하는 동축 케이블은, 세경화(細徑化)가 요청되고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굴곡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실드 특성, 유연성, 세경화 구성, 내굴곡성, 및 경제성을 만족하고, 또한 단말 가공성을 개선하는 동축 케이블이 제안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 절연체, 가로 감기 실드 구조를 가지는 외부 도체, 및 외피가 동축으로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외피가 PFA인 경우에는, 절연체는 불소화된 PFA에 의해 형성되고, 외피가 FEP 또는 FTFE인 경우에는, 절연체는 불소화된 FEP, PFA, 및 불소화된 PFA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절연체와 외부 도체의 사이에, 금속이 증착 또는 도금된 테이프층을 설치하거나, 외부 도체의 가로 감기선의 가로 감기 각도를 70˚~ 85˚로 하거나, 중심 도체는, 복수선 또는 단선의 도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동축 케이블은, 가는 선을 가로 감기한 가로 감기 실드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를 설치하고 있어, 종래와 같은 가는 선을 편조(編組)로 한 편조 실드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에 비해서 세경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가로 감기 실드는, 배선시 등의 때에, 가로 감기된 가는 선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쉬어, 실드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로 감기 실드 위에 금속 수지 테이프를 소정의 랩으로 겹쳐 감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금속 수지 테이프를 겹쳐 감았을 경우, 금속 수지 테이프의 두께로 인해 생긴 단차에 공기가 존재하는데, 그 공기는, 그 후에 압출 시스를 압출 성형할 때의 열로 팽창하여 요철이 생겨, 외관을 악화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공기가 남지 않도록 진공 펌프로 흡인하면서 압출 성형하고 있지만, 충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러한 외관 요철은, 동축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을 변화시키게 되어, 단말을 커넥 터에 접속할 때에 같은 단말 가공 조건으로 시행하면 가공 수율이 악화되었기 때문에, 단말 가공 조건을 매번 변경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개 2007-18878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5세대 통신규격(5G)에 대응한 기기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되며, 외관이 좋고,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은 중심 도체와, 이 중심 도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이 외부도체 위를 덮는 외피체를 갖추고 있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가로로 감아 설치된 가로 감기 실드와, 이 가로 감기 실드 위에 금속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겹쳐 감은 금속 수지 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체는,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 위에 감긴 수지 테이프와, 이 수지 테이프를 덮는 압출 시스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2라고 하고,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1이라고 했을 경우에, T2/T1이 1/4 이상 4/5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5세대 통신규격(5G)에 대응한 기기내 안테나 배선이나 반도체 장치에 이용되며, 외관이 좋고, 가공성이 우수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외관 요철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같은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편조 실드에 비해서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만약 가로 감기 실드에서 틈이 발생한 경우에도 실드 효과의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일례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 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와,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12)와,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13, 14)와, 외부 도체(13, 14) 위를 덮는 외피체(15, 16)를 갖추고 있는 동축 케이블이다. 그리고, 그 특징으로서, 외부 도체(13, 14)는, 절연체(12)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가로로 감아 설치된 가로 감기 실드(13)와, 가로 감기 실드(13) 위에 금속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겹쳐 감은 금속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되고, 외피체(15, 16)는, 금속 수지 테이프(14) 위에 감긴 수지 테이프(15)와, 수지 테이프(15)를 덮는 압출 시스(16)로 구성되고, 수지 테이프(15)의 두께를 T2라고 하고,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두께를 T1이라고 했을 경우에, T2/T1이 1/4(=0.25) 이상 4/5(=0.8)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동축 케이블(10)은, (1) 수지 테이프(15)의 두께(T2)와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두께(T1)가「T2/T1 = 1/4~4/5」의 관계이므로, 금속 수지 테이프(14)만의 경우에 비해서 단차를 작게(약 1/4~4/5) 할 수 있고, 그 단차에 존재하는 공기에 기인한 외관 요철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같은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2) 또한, 외부 도체가 가로 감기 실드(13)를 가지므로, 편조 실드에 비해서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다. (3) 또한, 가로 감기 실드(13) 위에 금속 수지 테이프(1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가로 감기 실드(13)에 틈이 발생한 경우에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10)은, 좁은 공간 내에서의 기기내 배선을 실현할 수 있는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제5세대 통신규격(5G)에 대응한 기기내 안테나 배선용이나 반도체 장치용으로 바람직하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축 케이블(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와,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설치된 절연체(12)와, 그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된 외부 도체(13, 14)와, 그 외부 도체(13, 14)을 덮는 외피체(15, 16)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11)는, 동축 케이블(10)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1개의 소선으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소선을 서로 꼬아 구성된다. 소선은, 양도전성금속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리선, 구리 합금선, 알루미늄선, 알루미늄합금선, 구리 알루미늄 복합선 등의 양도전성의 금속 도체, 또는 이들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고주파용의 관점에서는, 구리선, 구리합금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금층으로서는, 땜납 도금층, 주석 도금층, 금 도금층, 은 도금층, 니켈 도금층 등이 바람직하다. 소선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인 선재이어도 되고, 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중심 도체(11)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형(타원형을 포함한다.) 이어도 되고 직사각형 등이어도 되지만,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 도체(11)의 외경은, 전기 저항(교류 저항, 도체 저항)이작아지도록,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축 케이블(10)의 최종 외경을 세경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0.09~1mm 정도의 범위 내를 들 수 있다. 중심 도체(11)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절연 피막(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피막의 종류와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납땜시에 양호하게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피막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절연체(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도체(11)의 외주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저유전율의 절연층이다. 절연체(12)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PFA(ε2.1), ETFE(ε2.5), FEP(ε2.1) 등, 유전율이 2.0~2.5의 저유전율의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PFA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절연체(12)의 재료에 착색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절연체(12)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0.15~1.5mm 정도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12)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실 구조, 중공 구조, 발포 구조 모두 압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절연체(12)는, 중실 구조이어도 되고, 중공 구조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발포 구조이어도 된다. 또, 중공 구조는, 구조체 내부에 공극부를 가지고, 예를 들면 그 공극부를, 내부 환형상부, 외부 환형상부및 연결부로 둘러싸는 단면 형태 등이라고 할 수 있다.중공 구조나 발포 구조로 했을 경우, 절연체(12)의 재료 밀도가 작아져, 절연체(12)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가 있다.
외부 도체(13, 14)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체(13, 14)는, 절연체(12)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가로로 감아 설치된 가로 감기 실드(13)와, 가로 감기 실드(13) 위에 금속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겹쳐 감은 금속 수지 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외부 도체는, 도체 단면적이 커지고, 삽입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체가 가로 감기 실드(13)를 가지므로, 편조 실드에 비해서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로 감기 실드(13) 위에 금속 수지 테이프 (14)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형태(세선과 금속층이 직접 접촉하고 있다.)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감기 실드(13)에 응력이 가해져서 세선 사이에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에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가로 감기 실드(13)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체(12) 위에 금속 세선을 가로 감기하여 형성된다. 가로 감기한 금속 세선은, 도 1에 나타내는 단층이라도 도시하지 않은 적층이라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층이 바람직하다. 금속 세선의 가로 감기는, 세선이 교차하여 꼬인 눈을 형성하는 편조 구조에 비하여, 동일 정도의 효과(시일 효과 등)를 생기게 하는 범위에서, 가로 감기 실드(13)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10)의 세경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금속 세선은, 동축 케이블(10)을 구성하는 가로 감기 실드(13)로서 절연체(12)의 외주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양도전성의 금속 세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석 도금 구리선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금속세선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세선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절연체(12)의 외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0.04~0.1mm 정도의 범위 내의 것을 들 수 있다. 금속 세선의 개수도, 절연체(12)의 외경이나 예정하는 동축 케이블(10)의 외경 등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다. 금속 세선을 가로 감기 할 때의 가로 감기 피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5~1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수지 테이프(14)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로 감기 실드(13) 위에 가로 감기(나선 감기)하여 설치된다. 금속 수지 테이프(14)는, 수지 기재(基材)와, 수지 기재의 한쪽 면의 최표면에 설치된 금속 층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이 금속 수지 테이프(14)는, 금속층 측을 가로 감기 실드(13) 측으로 하여 가로로 감아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로 감기 실드(13)에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에도, 가로 감기 실드(13)의 세선과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이 직접 접촉해 있으므로,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적어도」나「최표면」이라고 한 것은, 수지 기재와 금속층의 사이나, 수지 기재의 다른쪽 면에, 임의로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금속 수지 테이프(14)는, 1/4랩 내지 1/2랩의 범위에서 겹쳐 감겨 있다. 이 범위 내의 랩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금속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금속층과 가로 감기 실드(13)의 접촉을 확보할 수 있고, 안정적인 실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랩이 1/4 미만에서는, 겹침이 작으므로, 가로 감기시에 겹침이 어긋날 우려가 있고, 랩이 1/2을 초과하면,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겹침 두께가 두터워져서 세경화의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 금 속 수지 테이프(14)의 감기 피치는,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폭과 랩으로 임의로 설정되게 되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폭이 예를 들면 3~6mm 정도의 범위 내일 경우에는, 감기 피치는 예를 들면 1.5~10mm의 범위 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가로 감기 방향은, 상기한 금속 세선의 가로 감기 방향과 같은 감기 방향이어도 되고, 반대 방향의 감기 방향이어도 되지만, 반대 방향이 바람직하다.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가로 감기는, 금속층이 가로 감기 실드(13)의 금속 세선에 직접 접촉하도록, 금속층측이 금속 세선을 마주하도록 대향한 상태로 감겨 있다. 그 결과, 금속 세선과 금속 수지 테이프의 금속층을 직접 접촉시켜서 전기적 도통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고, 안정적인 실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랩 아래에서 가로 감기함으로써,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금속층끼리 틈이 생기지 않아 금속 세선 위에 금속층을 직접 접촉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금속 수지 테이프(14)는, 수지 테이프(15)가 가지는 접착층에 의해 금속 수지 테이프(14) 자체의 가로 감기 상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축 케이블(10)의 배선시의 응력으로 금속 세선이 다소어긋나게 움직였다고 하여도, 그 위에 설치된 금속 수지 테이프(14)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실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금속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수지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지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2~16㎛ 정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금속 수지 테이프(14)를 구성하는 금속층은, 구리층, 알루미늄층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금속층은, 수지 기재 위에 증착이나 도금에 의해 성막된 것, 또는 필요에 따라 설치된 접착층(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열가소성 접착성 수지 등)을 통하여 접합된 금속박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금속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형성 수단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증착이나 도금으로 성막한 것은 2~8㎛ 정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두께는, 8~18㎛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동축 케이블(10)의 세경화에 기여할 수 있다.
외피체(15, 16)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피 도체(13, 14)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세하게는, 금속 수지 테이프(14) 위에 설치되어 있다. 외피체(15, 16)는, 금속 수지 테이프(14) 위에 감긴 수지 테이프(15)와, 수지 테이프(15)를 덮는 압출 시스(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수지 테이프(15)와 압출 시스(16)는, 절연성이 있으면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테이프(15)는, 한 면에 접착층을 가지는 수지 테이프이며, 금속 수지 테이프(14) 위에 나선 감기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출 시스(16)는, 수지를 압출하여 설치된 절연 시스이다.
수지 테이프(15)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수지 테이프(14) 위에 가로 감기(나선 감기)하여 설치된다. 수지 테이프(15)는, 수지 기재와, 수지 기재의 한쪽 면의 최표면에 설치된 접착층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지 테이프(15)는, 접착층 측을 금속 수지 테이프(14) 측으로 하여 가로 감기하여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지 테이프(15)와 금속 수지 테이프(14)가 접착 고정되므로, 배선시에 응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금속 수지 테이프(14)이 어긋날 일이 없다. 그 결과, 금속 수지 테이프(14)와 가로 감기 실드(13)로 작용하는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적어도」나「최표면」이라고 한 것은, 수지 기재와 접착층의 사이나, 수지 기재의 다른쪽 면에, 임의로 다른 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다른쪽 면에는 접착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그 위에 형성되는 압출 시스(16)와는 접착되어 있지 않아서, 예를 들면 배선시에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 수지 테이프(15)와 압출 시스(16)의 계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굴곡이 유연해지는 이점도 있다.
수지 테이프(15)는,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14)와 마찬가지로, 1/4랩 내지 1/2랩의 범위에서 겹쳐 감겨 있다. 이 범위 내의 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지 테이프(15)를 구성하는 접착층이 수지 테이프(15) 자신을 고정할 수있음과 아울러 금속 수지 테이프(14)에 접착하여 금속 수지 테이프(14)를 고정할 수 있다. 랩이 1/4 미만에서는, 겹침이 작으므로, 가로 감기시에 겹침이 어긋날 우려가 있고, 랩이 1/2을 초과하면, 수지 테이프(15)의 겹침 두께가 두꺼워져서 세경화 측면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또, 수지 테이프(15)의 감기 피치는, 수지 테이프(15)의 폭과 랩으로 임의로 설정되는데, 수지 테이프(15)의 폭이 예를 들면 3~6mm 정도의 범위 내일 경우에는, 감기 피치는 예를 들면 1.5~10mm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테이프(15)의 가로 감기 방향은, 상기한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가로 감기 방향과 같은 감기 방향이어도 되고, 반대 방향의 감기 방향이어도 되지만, 반대 방향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에서는, 수지 테이프(15)의 두께를 T2라고 하고,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두께를 T1이라고 했을 경우, T2/T1이 1/4(=0.25) 이상 4/5(=0.8) 이하의 범위 내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속 수지 테이프(14)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단차를 작게(약 7㎛ 이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단차에 존재하는 공기에 기인한 외관 요철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같은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T2/T1이 1/2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5)에서도 단차가 생기므로,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T2/T1이 1/4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4)가 지나치게 얇아서 금속 수지 테이프(14)의 단차의 정도가 그대로 남아,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단차의 크기는, 전체의 외경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10㎛ 이상의 단차가 생길 경우에는, 외관의 요철이 눈에 띄게 되므로, 10㎛ 미만의 단차가 한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테이프(15)의 두께(T2)는,「T2/T1 = 1/4~4/5」(0.25~0.8)의 관계를 충족하고, 또한 구체적으로는 4㎛ 이상 10㎛ 미만, 상세하게는 4㎛ 이상 9㎛ 이하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테이프(15)를 구성하는 수지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에틸렌-4플루오르 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4플루오르화에틸렌-6플루오르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불소화수지공중합체(퍼플루오로알콕시 불소수지:PF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수지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2~6㎛ 정도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수지 테이프(15)를 구성하는 접착층은, 수지 기재의 한 면에 마련되고, 그 재질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3㎛ 정도로 할 수 있다.
압출 시스(16)는, 수지 테이프(15) 위에 압출 성형에 의해 설치된다. 압출 시스(16)의 구성 수지로는, 외피체용 수지 압출에 적용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FA, ETFE, FEP 등의 불소계 수지이어도 되고, 염화비닐 수지이어도 되고,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이어도 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에서는,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시스(16)를 설치할 경우에는, 수지 테이프(15)와의 사이에 가능한 한 공기가 남지 않도록, 진공 펌프로 흡인하면서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출 시스(16)와 상기 수지 테이프(15)로 구성된 외피체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면 0.1~1.0mm 정도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획득한 동축 케이블(10)의 최종 외경은, 0.6~3.5mm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10)은, 외관 요철이 억제되어 길이 방향에서의 외경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단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에 같은 조건으로 단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편조 실드에 비해서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로 감기 실드에서 틈이 가령 발생한 경우에도 실드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좁은 공간 내에서의 기기내 배선을 실현할 수 있는 세경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제5세대 통신규격(5G)에 대응한 기기내 안테나 배선용이나 반도체 장치용으로 바람직하다.
10 동축 케이블
11 중심 도체
12 절연체
13 가로 감기 실드
14 금속 수지 테이프
15 수지 테이프
16 압출 시스

Claims (5)

  1. 중심 도체와, 이 중심 도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부 도체와, 이 외부도체 위를 덮는 외피체를 갖추고 있는 동축 케이블로서, 상기 외부 도체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에 금속 세선을 가로로 감아 설치된 가로 감기 실드와, 이 가로 감기 실드 위에 금속층측을 내측으로 하여 겹쳐 감은 금속 수지 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체는,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 위에 감긴 수지 테이프와, 이 수지 테이프를 덮는 압출 시스로 구성되고, 상기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2라고 하고,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의 두께를 T1이라고 했을 경우에, T2/T1이 1/4 이상 4/5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의 두께가, 8㎛ 이상 18㎛ 이하이고, 상기 수지 테이프의 두께가 4㎛ 이상 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테이프의 한쪽 면에 접착층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접착층이 내측이 되도록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지 테이프 및 상기 수지 테이프가, 1/4랩 내지 1/2랩의 범위에서 겹쳐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테이프의 한쪽 면에 접착층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접착층이 내측이 되도록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KR1020220136238A 2022-10-21 2022-10-21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KR20240056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38A KR20240056068A (ko) 2022-10-21 2022-10-21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238A KR20240056068A (ko) 2022-10-21 2022-10-21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068A true KR20240056068A (ko) 2024-04-30

Family

ID=9088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238A KR20240056068A (ko) 2022-10-21 2022-10-21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60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82A (ja) 2006-01-13 2007-07-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同軸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782A (ja) 2006-01-13 2007-07-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同軸ケーブ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3883B2 (en)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cable
US20030024728A1 (en) Double-laterally-wound two-core parallel extrafine coaxial cable
US10763012B2 (en) Shielded cable
US20210217542A1 (en) Electrical cabl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US11437692B2 (en) Coaxial cable and cable assembly
JP2008171778A (ja) 同軸ケーブル
US7361831B2 (en) Coaxial cable and multi-coaxial cable
JP2020021701A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7340384B2 (ja) 屈曲性に優れる細径同軸ケーブル
KR20240056068A (ko) 고주파용 동축케이블.
US20230163493A1 (en) Coaxial flat cable
WO2021200247A1 (ja) 同軸ケーブル
WO2023058250A1 (ja) 同軸ケーブル
JP2003187649A (ja) セミフレキシブル同軸線
KR20210123976A (ko) 동축 케이블
WO2020004132A1 (ja) 同軸ケーブル
JP5910519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
JP7474590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KR20240072988A (ko) 동축 케이블
JP6746641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WO2022130801A1 (ja) 多芯平行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3039B2 (ja) 曲げ位相安定性に優れる同軸ケーブル
JP2022170784A (ja) 2芯平行型同軸ケーブル
JP7412162B2 (ja) 多芯通信ケーブル
JP2003031046A (ja) 蒸着テープ縦添え2心平行極細同軸ケ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