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0301A -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70301A KR20240070301A KR1020220152018A KR20220152018A KR20240070301A KR 20240070301 A KR20240070301 A KR 20240070301A KR 1020220152018 A KR1020220152018 A KR 1020220152018A KR 20220152018 A KR20220152018 A KR 20220152018A KR 20240070301 A KR20240070301 A KR 202400703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ing
- scrap car
- scrap
- lifting
-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6010011906 Death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3 scrap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폐차장에서 폐차시키는 작업효율 및 작업라인 구축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은
폐차장에 입고되는 자동차를 폐차시키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적용되고,
안착되는 폐차를 제1,2작업구간에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상면에 롤러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피이딩부;
상기 제1작업구간에 형성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이딩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폐차 일측면을 지지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하부에 상기 피이딩부 안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틸팅프레임 회동시 상기 폐차 바닥면을 지지하여 틸팅시키는 틸팅바를 포함하는 틸팅부;
상기 제2작업구간의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각각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절첩 및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 안착되는 상기 폐차의 바닥면을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부의 리프팅판에 의해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제1,2리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은
폐차장에 입고되는 자동차를 폐차시키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적용되고,
안착되는 폐차를 제1,2작업구간에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상면에 롤러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피이딩부;
상기 제1작업구간에 형성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이딩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폐차 일측면을 지지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하부에 상기 피이딩부 안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틸팅프레임 회동시 상기 폐차 바닥면을 지지하여 틸팅시키는 틸팅바를 포함하는 틸팅부;
상기 제2작업구간의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각각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절첩 및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 안착되는 상기 폐차의 바닥면을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부의 리프팅판에 의해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제1,2리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폐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동차폐차장에서 폐차시키는 작업효율 및 작업라인 구축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나누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사람의 탑승공간인 실내와, 엔진이 설치된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기 위한 트렁크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차의 차체는 스폿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여러장의 강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차량을 장기간 사용한 다음에 폐차시키는 경우에, 종래에는 폐차대상 차량을 폐차장 바닥이나 작업대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한 곳에서 필요한 부품만을 분리해 낸 후에, 나머지 부분을 폐기처분한다.
폐차는 사용수명이 끝난 제품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가가치가 낮고 또한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제품인 관계로 재이용을 위한 사전처리가 필수적이고,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높고, 또한 중고부품의 재이용도 제품주기가 짧아 극히 한정적인 범위내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폐차처리는 중고부품의 회수 및 재판매, 폐차 처리의 2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폐차처리를 위한 인프라는 국내의 경우, 아직 경제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 폐차대수(약 100만대 이상)가 발생되지 않아 폐차처리를 위한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지 않지만, 자동차 관리법으로 중고부품의 재사용을 제한하고 있어 국내 폐차업은 중고 부품의 주요 공급원으로 인식되지 않고 단순히 폐차를 처리하는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고 있어 규모의 채산성을 맞추지 못해 대부분의 업체가 매우 영세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업체가 산소절단기를 이용한 단순절단, 압축만이 행해지고 있고 슈레더(Shredder)를 이용한 재료의 선별이나 재가공을 하지 못하여 저급한 고철만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폐차업체 257개 중 불과 4개 업체에서만 고철가공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의 폐차의 해체와 재활용을 위한 설비로서의 폐차 플랜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직렬식 폐차 플렌트(소위, "U자형 폐차 플랜트" 라고 말함)는 폐차 해체 작업을 분석하여 목표생산량과 가용 가능한 작업시간을 고려한 싸이클 타임을 설정하고, 이 싸이클 타임과 해체시간을 고려한 필요 작업자 수를 결정하며, 싸이클 타임 및 작업자 수를 감안하여 직렬로 배열시킨 폐차 플랜트를 구축하고, 직렬식 폐차 시스템의 각 공정에 투입될 작업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폐차 플랜트를 운용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직렬식 폐차 플렌트는 일정한 면적을 갖춘 지면 위에 여러 설비들이 순차 배열을 이루면서 입고된 폐차의 해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점진적으로 순차 진행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구성 설비 및 과정이 방대하고 복잡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그에 따라 많은 작업자 투입이 요구되며, 작업자 이동거리(동선)가 멀어서 쉽게 피로해지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해체대상부품의 해체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폐차 한 대당 해체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 중 안전사고의 위험요소가 많으며, 해체작업 후 발생하는 부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종래의 회전식 폐차 플렌트는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판에 리프터가 설치되고 리프터를 중심으로 각종의 폐차 설비가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단일 장소에서 모든 폐차 해체 공정이 진행되며 최소한의 인원으로 신속한 해체 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직렬식 폐차 플랜트 및 회전식 폐차 플랜트는 폐차 플랜트를 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제성 및 가용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유연성있는 폐차 플랜트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25037호(2004.3.30)에 차량 회전기능을 구비한 리프터 및 그를 이용한 차량 해체시스템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해체대상차량을 틸팅프레임 및 틸팅바에 의해 전도되지않도록 지지하여 임의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어 재활용 가능한 부품을 신속하게 분리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리프터 구동에 의해 해체대상차량을 승강시키는 리프팅부와, 틸팅프레임 및 틸팅바에 의해 해체대상차량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하나의 작업대에 장착시킴에 따라 공간에 제약을 받지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차장에 입고되는 자동차를 폐차시키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적용되고,
안착되는 폐차를 제1,2작업구간에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상면에 롤러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피이딩부;
상기 제1작업구간에 형성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이딩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폐차 일측면을 지지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하부에 상기 피이딩부 안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틸팅프레임 회동시 상기 폐차 바닥면을 지지하여 틸팅시키는 틸팅바를 포함하는 틸팅부;
상기 제2작업구간의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각각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절첩 및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 안착되는 상기 폐차의 바닥면을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부의 리프팅판에 의해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제1,2리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 위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안착되고, 안착되는 상기 폐차를 슬라이딩이동시키기 위한 앵글형태의 슬라이딩 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리프터는
상기 피이딩부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피이딩부 밑으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하단의 롤러가 상기 피이딩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홈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이 제1고정핀에 의해 상기 리프팅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프팅시 상기 피이딩부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과하는 제1리프팅바;
하단이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 일측이 제2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리프팅바 중간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상부에 연결되는 제2리프팅바;
하단이 제3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2리프팅바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리프팅바;
하단 일측이 제4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3리프팅바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 타측이 제5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리프팅바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하부에 연결되는 제4리프팅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바는 상기 틸팅프레임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바에 의해 상기 폐차의 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틸팅바에 의해 상기 폐차를들어올려 틸팅시킬 경우, 상기 폐차 바닥면에서 상기 틸팅바 간섭없이 연료탱크 및 엔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폐차(해체대상차량을 말함)를 틸팅프레임 및 틸팅바에 의해 전도되지않도록 지지하여 임의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어 재활용 가능한 부품 탈거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프터 구동에 의해 해체대상차량을 승강시키는 리프팅부와, 틸팅프레임 및 틸팅바에 의해 해체차량을 틸팅시키는 틸팅부를 하나의 작업대에 장착시킴에 따라 해체작업공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고, 해체작업라인 주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 이동거리(동선)을 최소화하여 최소 인원 투입으로도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틸팅부의 회동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팅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리프터의 승강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의 요부발췌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프터 구동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리프터에 의해 리프팅시키는초기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리프터에 의해 리프팅시킨 완료동작의 도면대용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틸팅부의 회동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틸팅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리프터의 승강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의 요부발췌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프터 구동부의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리프터에 의해 리프팅시키는초기동작을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폐차시스템에서, 폐차를 리프터에 의해 리프팅시킨 완료동작의 도면대용사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은
폐차장에 입고되는 자동차를 폐차시키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적용되고,
안착되는 폐차(폐차대상차량)(10)를 제1,2작업구간(11,12)에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상면에 복수의 롤러(13)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30)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피이딩부(14);
제1작업구간(11,12)에 형성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16)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롤러(13)에 의해 피이딩부(14)를 따라 이동되어 틸팅용 유압실린더(16) 구동시 틸팅되는 폐차(10) 일측면을 지지하는 틸팅프레임(17)과, 틸팅프레임(17) 하부에 피이딩부(14)의 프레임(30) 안쪽으로 돌출형성되고 틸팅프레임(17) 회동시 폐차(10) 바닥면을 지지하여 틸팅시키는 틸팅바(18)를 포함하는 틸팅부(19);
제2작업구간(12)의 피이딩부(14)의 프레임(30) 사이에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각각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20,21) 구동에 의해 절첩 및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롤러(13)에 안착되는 폐차(10)의 바닥면을 리프트용 유압실린더(20,21) 구동시 상부의 리프팅판(22)에 의해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제1,2리프터(23,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롤러(13) 위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안착되고, 안착되는 폐차(10)를 슬라이딩이동시키기 위한 앵글형태의 슬라이딩 레일(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2리프터(23,24)는
피이딩부(14)와 직각방향으로 피이딩부(14) 밑으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6,27);
하단의 롤러(15)가 피이딩부(1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26,27)의 결합홈(28)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이 제1고정핀(29)에 의해 리프팅판(2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20,21)의 신장구동에 의해 리프팅시 피이딩부(14)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절개부(31)를 통과하는 제1리프팅바(32);
하단이 피이딩부(14)의 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26,27)의 결합홈(2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 일측이 제2고정핀(33)에 의해 제1리프팅바(32) 중간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20,21)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상부에 연결되는 제2리프팅바(34);
하단이 제3고정핀(35)에 의해 제2리프팅바(34)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리프팅바(36);
하단 일측이 제4고정핀(37)에 의해 제3리프팅바(36)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 타측이 제5고정핀(38)에 의해 제1리프팅바(32)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20,21)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하부에 연결되는 제4리프팅바(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틸팅바(18)는 틸팅프레임(17)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틸팅용 유압실린더(16)의 구동시 틸팅되는 틸팅프레임(17)과 틸팅바(18)에 의해 폐차(10)의 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고 틸팅바(18)에 의해 폐차(10)를 들어올려 틸팅시킬 경우, 폐차(10) 바닥면에서 틸팅바(18) 간섭없이 연료탱크(40) 등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폐차장에 입고되는 폐차(해체대상차량)를 해체시킬 경우에 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a)해체대상 부품 체크, b)액상류 회수 준비공정, c)폭발위험 부품 처리공정, d)액상류 회수 공정, e)외장류 회수 공정, f)내장류 회수 공정, g)엔진/변속기 해체 공정, h)차체 압축 등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해체작업 공정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해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폐차장에 입고된 해체대상차량의 폐차(10)를 이송수단(일 예로서,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에 의해 피이딩부(14)의 프레임(30)에 장착된 제2작업구간(12)의 롤러(13)(제1,2리프터(23,24)가 설치되는 제2작업구간(12)에 위치하는 롤러를 말함)에 올려놓는다.
이때, 제2작업구간(12)에 놓여진 폐차(10)는 롤러(13) 위에 안착되어 무동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레일(25) 위에 올려지므로 작업자 1인 또는 2인에 의한 적은 힘으로도 피이딩부(14)의 제1작업구간(11)으로 쉽게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딩부(14)를 이루는 한 쌍의 프레임(30) 사이의 제2작업구간(12)에 리프팅가능하게 설치된 제1,2리프터(23,24)는 접혀진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2리프터(23,24) 상단에 형성된 리프팅판(22)이 슬라이딩레일(15)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레일(25) 위에 안착된 폐차(10)는 제2작업구간(12)에서 제1,2리프터(23,24) 간섭없이 제1작업구간(11)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부(19)를 이루는 틸팅프레임(17)은 프레임(30)에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틸팅프레임(17) 하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외팔보 형태의 틸팅바(18)는 수평을 유지하는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13)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안착된 슬라이딩레일(25) 위에 안착된 폐차(10)가 제1작업구간(11)에 이동될 경우, 틸팅부(19)를 이루는 틸팅용 유압실린더(16)를 수축구동시킴에 따라 틸팅프레임(17)이 이의 하단을 프레임(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전술한 틸팅용 유압실린더(16)의 헤드부는 제1작업구간(11)의 프레임(30)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로드부는 틸팅프레임(17)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용 유압실린더(16)를 수축구동시킴에 따라 틸팅프레임(17) 및 틸팅바(18)가 전술한 힌지핀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용 유압실린더(16)의 구동에 의해 윗쪽(12시방향)으로 회동되는 틸팅바(18)에 의해 폐차(10) 바닥면을 받쳐 지지하게 되고, 틸팅바(18) 회동에 의해 슬라이딩레일(25)로부터 들어올려져 회동되는 폐차(10)의 측면은 틸팅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3)를 따라 제1작업구간(11)에 이동된 슬라이딩레일(25) 위에 안착된 폐차(10)를 틸팅시켜 슬라이딩레일(25)로부터 들어올림에 따라, 작업자는 바닥면이 노출된 상태로 틸팅된 폐차(10)로부터 연료탱크(40) 등을 차체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틸팅용 유압실린더(16)를 신장구동시킴에 따라 틸팅프레임(17)을 힌지핀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직립상태로 세울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틸팅바(18)는 틸팅프레임(17)과 동시에 회동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프레임(17) 및 틸팅바(18)의 회동으로 인해 엔진부 및 연료탱크(40)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킨 폐차(10)는 롤러(13) 위의 슬라이딩레일(25)에 안착되므로 작업자에 의해 폐차(10)를 롤러(13) 위의 슬라이딩레일(25)을 따라 제2작업구간(12)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롤러(13)를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딩레일(25)에 의해 폐차(10)가 제2작업구간(12)으로 이동될 경우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를 신장구동시킴에 따라 제2작업구간(12)의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된 제1,2리프터(23,24)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리프터(23,24) 상단에 형성된 리프팅판(22)에 의해 폐차(10) 바닥면을 받쳐 제2작업구간(12)에 이동된 슬라이딩레일(25)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를 신장구동시킴에 따라, 제1,2리프터(23,24)를 이루는 제1리프팅바(32)의 바닥면에 형성된 롤러(15)가 피이딩부(14)의 프레임(30) 밑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26,27)의 결합홈(28)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된다.
즉, 제1리프팅바(32)의 롤러(15)는 결합홈(28)을 따라 한 쌍의 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한 제2리프팅바(3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리프팅바(32)는 프레임(30)에 형성된 절개부(31)를 각각 통과하게 되므로 제2작업구간(12)의 프레임(30)의 롤러(13) 위에 슬라이딩레일(25)이 이동된 경우에도 간섭없이 링크운동하여 제1,2리프터(23,24)를 리프팅(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리프팅바(32)는 이의 중간측에 제2리프팅바(34) 상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킨 제2고정핀(33)을 중심으로 'A'자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도 9 참조).
즉, 제2리프팅바(34) 상부에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4리프팅바(39) 하부에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의 일부 신장구동에 의해 제1,2리프팅바(32,34)가 제2고정핀(3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의 신장구동으로 인해 제1,2리프팅바(32,34)가 전개될 경우,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의 로드부가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4리프팅바(39)를 상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제2리프팅바(34)에 하단이 제3고정핀(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3리프팅바(36)와, 제1리프팅바(32)의 상부에 제5고정핀(3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리프팅바(36)의 상부에 하단이 제4고정핀(3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4리프팅바(39)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업구간(12)에 이동된 슬라이딩레일(25)위에 올려진 폐차(10)를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의 신장구동에 의해 프레임과 프레임(30)사이에서 전개된 제1,2리프터(23,24)에 의해 임의높이로 리프팅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프팅된 폐차(10)로부터 엔진 등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엔진 등을 분리시킨 폐차(10)를 지게차 또는 폐차장의 천장크레인을 이용하여 리프팅판(22)으로부터 탈거시킨 후 소정의 압축기에 의해 차체를 최종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21)의 신축구동에 의해 제2고정핀(33)을 중심으로 링크운동하는 제1,2리프팅바(32,34)와, 제2리프팅바(3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고정핀(35)을 중심으로 링크운동하는 제3리프팅바(36)와, 제1,3리프팅바(32,36)에 연결되어 제4,5고정핀(37,38)을 중심으로 링크운동하는 제4리프팅바(39)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미 도시)의 유무선 조작으로 제어신호 인가에 의해 통상의 유압탱크와 연결된 유압펌프(미 도시)를 구동시켜 토출되는 작동유를 틸팅용 유압실린더(16) 및 리프팅용 유압실린더(20)에 공급하여 신축구동시킴에 따라 틸팅프레임(17) 및 틸팅바(18)를 회동시키고, 제1,2리프터(23,24)를 구동시켜 리프팅판(22)을 승강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폐차
11; 제1작업구간
12; 제2작업구간
13; 롤러
14; 피이딩부
15; 롤러
16; 틸팅용 유압실린더
17; 틸팅프레임
18; 틸팅바
19; 틸팅부
20,21;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22; 리프팅판
23; 제1리프터
24; 제2리프터
25; 슬라이딩레일
26,27; 가이드레일
28; 결합홈
29; 제1고정핀
30; 프레임
31; 절개부
32; 제1리프팅바
33; 제2고정핀
34; 제2리프팅바
35; 제3고정핀
36; 제3리프팅바
37; 제4고정핀
38; 제5고정핀
39; 제4리프팅바
40; 연료탱크
11; 제1작업구간
12; 제2작업구간
13; 롤러
14; 피이딩부
15; 롤러
16; 틸팅용 유압실린더
17; 틸팅프레임
18; 틸팅바
19; 틸팅부
20,21;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22; 리프팅판
23; 제1리프터
24; 제2리프터
25; 슬라이딩레일
26,27; 가이드레일
28; 결합홈
29; 제1고정핀
30; 프레임
31; 절개부
32; 제1리프팅바
33; 제2고정핀
34; 제2리프팅바
35; 제3고정핀
36; 제3리프팅바
37; 제4고정핀
38; 제5고정핀
39; 제4리프팅바
40; 연료탱크
Claims (4)
- 폐차장에 입고되는 자동차를 폐차시키기 위한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에 적용되고,
안착되는 폐차를 제1,2작업구간에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상면에 롤러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임의간격을 유지하는 피이딩부;
상기 제1작업구간에 형성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피이딩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폐차 일측면을 지지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하부에 상기 피이딩부 안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틸팅프레임 회동시 상기 폐차 바닥면을 지지하여 틸팅시키는 틸팅바를 포함하는 틸팅부;
상기 제2작업구간의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각각의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에 의해 절첩 및 승강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에 안착되는 상기 폐차의 바닥면을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부의 리프팅판에 의해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제1,2리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위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안착되고, 안착되는 상기 폐차를 슬라이딩이동시키기 위한 앵글형태의 슬라이딩 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리프터는
상기 피이딩부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피이딩부 밑으로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하단의 롤러가 상기 피이딩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홈을 따라 이동되고, 상단이 제1고정핀에 의해 상기 리프팅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프팅시 상기 피이딩부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과하는 제1리프팅바;
하단이 상기 피이딩부의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 일측이 제2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리프팅바 중간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의 헤드부가 회동가능하게 상부에 연결되는 제2리프팅바;
하단이 제3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2리프팅바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리프팅바;
하단 일측이 제4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3리프팅바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 타측이 제5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1리프팅바 상부 임의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용 유압실린더의 로드부가 회동가능하게 하부에 연결되는 제4리프팅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바는 상기 틸팅프레임 일측에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시 틸팅되는 상기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바에 의해 상기 폐차의 측면 및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틸팅바에 의해 상기 폐차를들어올려 틸팅시킬 경우, 상기 폐차 바닥면에서 상기 틸팅바 간섭없이 연료탱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018A KR20240070301A (ko) | 2022-11-14 | 2022-11-14 |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018A KR20240070301A (ko) | 2022-11-14 | 2022-11-14 |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0301A true KR20240070301A (ko) | 2024-05-21 |
Family
ID=9132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2018A KR20240070301A (ko) | 2022-11-14 | 2022-11-14 |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70301A (ko) |
-
2022
- 2022-11-14 KR KR1020220152018A patent/KR202400703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3683B2 (en) | Method of disassembling an automobile | |
JP2005280682A (ja) |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 |
JP3443383B2 (ja) | 使用済み自動車のリサイクル設備 | |
US20090232634A1 (en) | Method and a device for lifting and rotating a massive container | |
KR20240070301A (ko) | 복합기능이 구비된 폐차시스템 | |
KR20240000861U (ko) | 폐차의 엔진 해체작업을 위한 폐차시스템의 리프팅장치 | |
CN209852364U (zh) | 用于风机偏航安装过程的螺栓物料车 | |
CN115285259B (zh) |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其拆解工艺 | |
CN114798687B (zh) | 一种铁路报废机车拆解方法 | |
CN202415096U (zh) | 一种料架举升机构 | |
CN109623762A (zh) | 一种船用d型吊码装配车 | |
KR200467068Y1 (ko) | 자동용접장치 | |
CN113954996B (zh) | 一种货运列车自动化拆解方案 | |
JP2002255067A (ja) | 廃車解体ライン | |
JPH1178810A (ja) | 廃自動車分解設備 | |
CN211336251U (zh) | 一种报废汽车拆解生产线 | |
CN210103381U (zh) | 一种卸货升降台 | |
CN112174012A (zh) | 一种随行移动的举升小车 | |
CN112247421A (zh) | Pccp螺旋焊钢筒自动出运、翻转一体机及其应用 | |
KR100656008B1 (ko) | 폐차 해체용 대차 회수 시스템 | |
CN220019756U (zh) | 一种多功能备件返修测试平台 | |
CN220148288U (zh) | 一种拼板焊出料台 | |
KR101596017B1 (ko) | 재활용을 위한 폐차 부품 수거 시스템 | |
CN212832571U (zh) | 一种铆焊设备的检修装置 | |
CN206883990U (zh) | 一种基于滚动杆平动及四立柱式液压升降的模具上料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