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190A -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190A
KR20240069190A KR1020220150446A KR20220150446A KR20240069190A KR 20240069190 A KR20240069190 A KR 20240069190A KR 1020220150446 A KR1020220150446 A KR 1020220150446A KR 20220150446 A KR20220150446 A KR 20220150446A KR 20240069190 A KR20240069190 A KR 2024006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ember
push block
kick stand
rotation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원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5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9190A/ko
Publication of KR2024006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건거에 구비되는 킥 스탠드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자전거의 잠금 장치도 함께 동작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잠금 장치가 자전거의 후륜에 인접하는 수평 지지바와 킥 스탠드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킥 스탠드에 대한 사용자의 킥 동작에 연동하여 그 잠금 장치도 잠금 동작이나 잠금 해제 동작을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킥 스탠드에 대한 사용자의 원스텝 킥 동작에 따라 잠금 장치가 원스텝으로 잠금 동작하거나 잠금 해제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록 회동 부재가 라운드부, 경사부, 회동복원 탄성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록 회동 부재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잠금과 잠금 해제를 위한 회동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a lock device interlocking a kick stand in bike}
본 발명은 자건거에 구비되는 킥 스탠드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자전거의 잠금 장치도 함께 동작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잠금 장치가 자전거의 후륜에 인접하는 수평 지지바와 킥 스탠드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킥 스탠드에 대한 사용자의 킥 동작에 연동하여 그 잠금 장치도 잠금 동작이나 잠금 해제 동작을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킥 스탠드에 대한 사용자의 원스텝 킥 동작에 따라 잠금 장치가 원스텝으로 잠금 동작하거나 잠금 해제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될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전거는 보통 후륜(30)의 중앙부에 킥 스탠드(2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자전거를 정차하거나 주차할 때에는 킥 스탠드(20)를 세워서 자전거의 중심을 잡게 된다.
이와 같은 자전거는 실내보다는 실외에 보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잠시 정차를 하는 경우에도 실외라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그 자전거의 도난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자전거의 도난 방지를 위해 자전거 이용자들은 보통 주차 및 보관 시 별도의 도난 방지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예컨대, 종래에는 와이어형 잠금장치를 주로 사용했었다. 이는 자전거의 전륜이나 후륜(30) 부분에 와이어를 끼우는 동시에 이 와이어를 고정물에 두르고 와이어에 구비된 자물쇠를 체결함에 따라 자전거가 그 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형 잠금장치는 절단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평상시에는 자전거에 덜렁덜렁 걸어두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불만이 있어 왔다.
무엇보다도, 종래의 와이어형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잠그고 그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14-0104898호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가 개시되었지만, 사용자가 수동작으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을 해야 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1. 특허출원 제10-2014-0104898호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전거에 잠금 동작을 하거나 잠금 해제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해 하는 동작 이외의 동작을 하지 않으면서도 자전거에 대한 잠금 동작을 하거나 잠금 해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 후륜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수평 지지바(10)와 후륜의 중앙부를 회동축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서 세움 동작에서 자전거를 지지하는 킥 스탠드(20)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지 동작을 수행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로서, 사용자의 킥 조작에 따른 킥 스탠드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킥 스탠드에 체결되며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돌출되고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 메인 푸쉬 블록 부재에 근접하는 수평 지지바에 체결되며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방 돌출시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면부에 가압되면서 자신 몸체의 일부 구성이 후륜의 스포크 사이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후륜의 회전 동작을 록킹하는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수평 지지바에 체결되는 속이 빈 형태의 하우징 블록 부재(210); 하우징 블록 부재의 후면에 장착되며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면부에 맞물려 전방으로 진출하였다가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으로 복원되는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측에 장착되며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측 상부에 매달린 상태로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후륜의 스포크가 위치하는 쪽에 대응하는 하우징 블록 부재의 찢어진 틈새로 회전하여 후륜의 스포크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 회동 부재(240);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과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벽 사이에 하나이상 배치된 상태로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수축되었다가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확장 복원되면서 수동 푸쉬블록 부재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직진복원 탄성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록 회동 부재(240)는, 길고 납작한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수동 푸쉬블록 부재와 맞닿는 단면 형태가 순차적으로 둥근 라운드부(241)와 비드듬히 경사진 경사부(242)로 형성되어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이 라운드부와 경사부에 순차적으로 맞물림에 따라 후륜의 스포크 사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록 회동 부재(240)는, 자신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상태로 일단부는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직진복원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후방 이동시 경사부와 라운드부가 순차적으로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에 맞닿으면서 자신 몸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회동복원 탄성부재(24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와 만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단면은 킥 스탠드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여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 만나는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의 단면은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의 마찰이 낮아지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하우징 블록 부재(210)는, 수평 지지바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자신 몸체의 하면이 절개된 상태로 수평 지지바의 걸쳐져 배치되는 상부 블록 부재(211); 상부 블록 부재의 하부 일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록 회동 부재가 회동할 통과하는 틈새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수동 푸쉬블록 부재가 실장되도록 수평 지지바의 하부 일측에 맞물린 상태로 상부 블록 부재와 체결되는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 하부내측 블록 부재와 대향하는 상부 블록 부재의 하부 타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자신의 내측에 수동 푸쉬블록 부재가 실장되도록 수평 지지바의 하부 타측에 맞물린 상태로 상부 블록 부재와 체결되는 하부외측 블록 부재(2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수평 지지바에 후륜 잠금 블록 부재를 구비하고 킥 스탠드에 메인 푸쉬 블록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전거에 대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수평 지지바에 후륜 잠금 블록 부재를 구비하고 킥 스탠드에 메인 푸쉬 블록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자전거의 킥 스탠드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동작만으로 자전거에 대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 후륜 잠금 블록 부재가 만다는 부분의 각 단면이 라운딩 처리됨에 따라 사용자의 킥 스탠드에 대한 킥 동작으로 자전거에 대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이 원스텝으로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록 회동 부재가 라운드부, 경사부, 회동복원 탄성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록 회동 부재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잠금과 잠금 해제를 위한 회동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될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되어 킥 스탠드가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되어 킥 스탠드가 연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 후륜 잠금 블록 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을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 본 도면,
[도 10]은 [도 6]을 [도 7] 및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6]에서 하부외측 블록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1]을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1]을 [도 12] 및 [도 13]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서 상부 블록 부재와 하부내측 블록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6]은 [도 1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5]를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5]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 본 도면,
[도 19]는 [도 15]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 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되어 킥 스탠드가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전거에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가 채택되어 킥 스탠드가 연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는 자전거 후륜(30)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수평 지지바(10)와 후륜(30)의 중앙부를 회동축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서 세움 동작에서 자전거를 지지하는 킥 스탠드(20)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잠금 동작을 수행하거나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잠금 해지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와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킥 조작에 따른 킥 스탠드(2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킥 스탠드(20)에 체결될 수 있다.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는 [도 4]에서와 같이 킥 스탠드(20)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 푸쉬 블록 부재(11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도 5]에서와 같이 킥 스탠드(20)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 푸쉬 블록 부재(110)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에 근접하는 수평 지지바(10)에 체결될 수 있다.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도 5]에서와 같이 킥 스탠드(20)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의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가 전방으로 돌출시 [도 5]에서와 같이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의 전면부에 가압되면서 자신 몸체의 일부 구성인 록 회동 부재(240)가 [도 5]에서와 같이 후륜(30)의 스포크(31) 사이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후륜(30)의 회전 동작을 록킹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의 구성요소와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의 구성요소에 대해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19]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의 구성인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 후륜 잠금 블록 부재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을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을 [도 7] 및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에서 하부외측 블록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을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을 [도 12] 및 [도 13]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에서 상부 블록 부재와 하부내측 블록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를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5]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 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5]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 본 도면이다.
먼저,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그립 부재(110)와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 부재(110)는 후륜(30)의 킥 스탠드(20)에 체결되어 킥 스탠드(20)의 [도 4]와 같은 후방 회동 동작이나 [도 5]와 같은 세움 동작에 연동하여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 결과,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도 그립 부재(1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의 움직임도 그립 부재(11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의 움직임 중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도 5]에서와 같이 움직일 때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도 후륜(30)을 잠그기 위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하우징 블록 부재(210),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 록 회동 부재(240), 직진복원 탄성부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블록 부재(210)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수평 지지바(10)에 체결되는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블록 부재(210)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 부재(211),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 하부외측 블록 부재(2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블록 부재(211)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수평 지지바(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자신 몸체의 하면이 절개된 상태로 수평 지지바(10)의 걸쳐져 배치될 수 있다.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부 블록 부재(211)의 하부 일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도 10]에서와 같이 록 회동 부재(240)가 회동할 통과하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는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내측에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가 실장되도록 수평 지지바(10)의 하부 일측에 맞물린 상태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상부 블록 부재(211)와 예컨대 볼트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하부외측 블록 부재(213)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와 대향하는 상부 블록 부재(211)의 하부 타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자신 몸체의 내측에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가 실장되도록 수평 지지바(10)의 하부 타측에 맞물린 상태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상부 블록 부재(211)와 예컨대 볼트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는 [도 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하우징 블록 부재(210)의 후면에 장착되며 [도 5]와 같은 킥 스탠드(20)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 중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의 전면부에 맞물려 전방으로 진출하였다가 [도 4]와 같은 킥 스탠드(20)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의 위와 같은 동작을 위해서는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의 푸쉬 동작과 함께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 직진복원 탄성부재(250)의 동작이 유기적으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는 [도 12]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하우징 블록 부재(210)의 내측에 장착되며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도,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 직진복원 탄성부재(240)가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동작하여야 한다.
예컨대,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방 움직임에는 전방 푸쉬 블록 부재(120)와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가 함께 전방으로 미는 힘을 가해야 하고,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후방 움직임은 직진복원 탄성부재(250)의 후방 복원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록 회동 부재(240)는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하우징 블록 부재(210)의 내측 상부에 매달린 상태로 [도 5]의 동작에 따른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방 진출시 [도 10]에서와 같이 후륜(30)의 스포크(31)가 위치하는 쪽에 대응하는 하우징 블록 부재(210)의 찢어진 틈새로 회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후륜(30)의 스포크(31)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직진복원 탄성부재(250)는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면과 하우징 블록 부재(210)의 내벽 사이에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다.
직진복원 탄성부재(250)는 [도 5]와 같이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방 진출시 수축되었다가 [도 4]와 같은 킥 스탠드(20)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확장 복원되면서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를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예컨대 용수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록 회동 부재(240)는 [도 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자신 몸체는 길고 납작한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록 회동 부재(240)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와 맞닿는 단면 형태가 순차적으로 둥근 라운드부(241)와 비드듬히 경사진 경사부(242)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와 같은 동작으로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방 진출시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면이 라운드부(241)와 경사부(242)에 순차적으로 맞물림에 따라 후륜(30)의 스포크(31) 사이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록 회동 부재(240)는 [도 19]를 참조하면 자신 몸체의 하면에 회동복원 탄성부재(243)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복원 탄성부재(243)는 [도 10]과 [도 19]를 참조하면 록 회동 부재(240)의 하면에 체결된 상태로 일단부는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0]과 [도 19]를 참조하면 직진복원 탄성부재(250)의 복원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후방 이동시 [도 18]을 참조하면 경사부(242)와 라운드부(241)가 순차적으로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의 전면에 맞닿으면서 회동복원 탄성부재(243)는 자신 몸체를 [도 18]에서와 같이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와 만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도 4]와 [도 5]와 같은 킥 스탠드(20)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때,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와 만나는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와의 마찰이 낮아지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10 : 수평 지지바
20 : 킥 스탠드
30 : 후륜
31 : 스포크(spoke)
100 : 메인 푸쉬 블록 부재
110 : 그립 부재
120 : 전방 푸쉬 블록 부재
200 : 후륜 잠금 블록 부재
210 : 하우징 블록 부재
211 : 상부 블록 부재
212 : 하부내측 블록 부재
213 : 하부외측 블록 부재
220 :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
230 : 수동 푸쉬블록 부재
240 : 록 회동 부재
241 : 라운드부
242 : 경사부
243 : 회동복원 탄성부재
250 : 직진복원 탄성부재

Claims (5)

  1. 자전거 후륜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수평 지지바(10)와 상기 후륜의 중앙부를 회동축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서 세움 동작에서 자전거를 지지하는 킥 스탠드(20)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잠금 동작과 잠금 해지 동작을 수행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로서,
    사용자의 킥 조작에 따른 상기 킥 스탠드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킥 스탠드에 체결되며 상기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메인 푸쉬 블록 부재(100);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에 근접하는 상기 수평 지지바에 체결되며 상기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방 돌출시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면부에 가압되면서 자신 몸체의 일부 구성이 상기 후륜의 스포크 사이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후륜의 회전 동작을 록킹하는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 잠금 블록 부재(200)는,
    상기 수평 지지바에 체결되는 속이 빈 형태의 하우징 블록 부재(210);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킥 스탠드의 세움 회동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전면부에 맞물려 전방으로 진출하였다가 상기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으로 복원되는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동 푸쉬블록 부재(230);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측 상부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상기 후륜의 스포크가 위치하는 쪽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의 찢어진 틈새로 회전하여 상기 후륜의 스포크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 회동 부재(240);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의 내벽 사이에 하나이상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수축되었다가 상기 킥 스탠드의 후방 회동에 연동하여 확장 복원되면서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직진복원 탄성부재(25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 회동 부재(240)는,
    길고 납작한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와 맞닿는 단면 형태가 순차적으로 둥근 라운드부(241)와 비드듬히 경사진 경사부(242)로 형성되어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방 진출시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이 상기 라운드부와 상기 경사부에 순차적으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후륜의 스포크 사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록 회동 부재(240)는,
    자신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상태로 일단부는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직진복원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후방 이동시 상기 경사부와 상기 라운드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의 전면에 맞닿으면서 자신 몸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회동복원 탄성부재(24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와 만나는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의 단면은 상기 킥 스탠드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여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 만나는 상기 푸쉬 가이드블록 부재(220)의 단면은 상기 메인 푸쉬 블록 부재와의 마찰이 낮아지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록 부재(210)는,
    상기 수평 지지바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자신 몸체의 하면이 절개된 상태로 상기 수평 지지바의 걸쳐져 배치되는 상부 블록 부재(211);
    상기 상부 블록 부재의 하부 일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록 회동 부재가 회동할 통과하는 상기 틈새가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가 실장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바의 하부 일측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상부 블록 부재와 체결되는 하부내측 블록 부재(212);
    상기 하부내측 블록 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 블록 부재의 하부 타측부에 배치된 상태로 자신의 내측에 상기 수동 푸쉬블록 부재가 실장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바의 하부 타측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상부 블록 부재와 체결되는 하부외측 블록 부재(21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KR1020220150446A 2022-11-11 2022-11-11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KR20240069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446A KR20240069190A (ko) 2022-11-11 2022-11-11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0446A KR20240069190A (ko) 2022-11-11 2022-11-11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190A true KR20240069190A (ko) 2024-05-20

Family

ID=9128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0446A KR20240069190A (ko) 2022-11-11 2022-11-11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91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898A (ko) 2013-02-21 2014-08-2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조성물, 수지 조성물, 경화막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부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898A (ko) 2013-02-21 2014-08-2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조성물, 수지 조성물, 경화막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전자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85899U (zh) 车辆和用于车辆的枢转接头
US6267401B1 (en) Foldable bicycle
JPH111189A (ja) 盗難防止装置付き自転車
US3814462A (en) Anti-theft bicycle frame
KR20240069190A (ko) 킥 스탠드 연동형 자전거 잠금 장치
JP2019147543A (ja) 自転車およびそのワイヤ制御位置決め構造
KR101601205B1 (ko)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
JP2005239017A (ja) 二輪車の駐輪装置
JP2000225972A (ja) 自転車用スタンドロック連動式錠
JP2005239016A (ja) 二輪車の駐輪装置
TWM540087U (zh) 滑板車折疊結構
JP4248340B2 (ja) 二輪車
JP2014058215A (ja) 自転車ハンドル収納装置
JP3120942U (ja) 自転車の車輪施錠機構付き折たたみハンドル
JP2696294B2 (ja) 自転車における車輪の遠隔施錠装置
CN2316420Y (zh) 自行车暗藏式龙头锁
JP2007106335A (ja) 二輪車
JP3213749B2 (ja) 電動自転車用錠前
CN218141936U (zh) 一种折叠滑板车
JP3285797B2 (ja) 盗難防止装置付き自転車
CN1974303A (zh) 一种内置式自行车防盗装置
JP2925448B2 (ja) 自動2・3輪車のスタンド装置
JPH1159520A (ja) センタ−スタンド
KR20110103024A (ko) 번호키를 이용한 자전거 잠금장치
JPH04493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