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426A -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426A
KR20240057426A KR1020247010731A KR20247010731A KR20240057426A KR 20240057426 A KR20240057426 A KR 20240057426A KR 1020247010731 A KR1020247010731 A KR 1020247010731A KR 20247010731 A KR20247010731 A KR 20247010731A KR 20240057426 A KR20240057426 A KR 2024005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lucuronide
plant extract
extract
gluc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나 보넬
누리아 알미나나 도메네치
사일레쉬 쿠마르 벤카타라만
레베카 치슬롬
Original Assignee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5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모발, 특히 속눈썹 및/또는 눈썹의 모발의 성장 촉진 및/또는 증가 및/또는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 식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Myrothamnus sp.)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모발은 눈썹 및/또는 속눈썹의 모발이다. 식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모발, 특히 속눈썹 및 눈썹의 모발은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속눈썹 및 눈썹은 얼굴에서 눈에 띄는 특징이다. 속눈썹 및 눈썹 모발은 눈을 보호하고 표정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발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자라며 평균 길이가 짧다. 많은 문화권에서 길고 두꺼운 속눈썹은 특히 높이 평가되고 인기가 높다. 속눈썹의 길이 및 두께를 증가시켜 속눈썹의 외향을 향상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또한, 눈썹의 두께를 증가시켜 눈썹의 외향을 향상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모발 손상 및/또는 손실은 인간 대상체에서 흔한 문제이며 개인의 전체적인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속눈썹 및 눈썹의 모발은 손가락/손의 접촉, 예를 들어, 대상체가 피곤할 때 손으로 눈을 비비면 손상되기 쉽다. 스타일링 동안 기계적 또는 화학적 스트레스는 모발을 약화시키고 손상시킬 수 있다. 탈모는 다른 다양한 원인(예를 들어, 유전적 성향, 노화 및/또는 질환)이 있을 수 있다. 모발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탈모를 예방하거나 모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모발은 표피(피부의 가장 바깥층)에서 진피(피부의 가장 깊은 층)까지 이어지는 피부의 모낭에서 자란다. 모발 길이 및 굵기는 주로 모낭 재생 및 모발 섬유 합성이라는 두 가지 생물학적 과정에 좌우된다.
모발 주기는 성인 피부에서 발생하는 줄기세포-매개 과정으로, 모낭의 주기적인 파괴 및 재생을 포함한다. 이는 성장기(아나겐((anagen)) 그 다음 퇴행기(카타겐(catagen)) 및 휴지기(텔로겐(telogen))의 세 가지 정의된 단계로 이루어진다. 아나겐 단계는 모발 주기에서 가장 긴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세포 증식이 시작되고, 모낭이 생성되며, 모발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카타겐 단계에서, 증식이 일시 중지되고 세포 아폽토시스가 증가한다. 모발 성장이 멈추고 모낭이 짧아진다. 마지막으로, 휴지 단계로 설명되는 텔로겐 단계에서는 모발이 파괴된다. [Alonso L and Fuchs E (2006) The hair cycle. J. Cell Sci. 119: 391-393.]
새로운 모발의 성장은 아나겐 단계의 재진입을 필요로 하며, 이는 돌출부로 알려진 모낭 외근초(ORS: follicle outer root sheath)의 특정 부분에 존재하는 다능성 상피 줄기 세포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과정이다. 모낭 모두유 세포(HFDPC: Hair Follicle Derma Papilla Cell)라고 알려진 피부 세포는 돌출부에 존재한다(Beaudoin GM 3rd, Sisk JM, Coulombe PA and Thompson CC. (2005) Hairless triggers reactivation of hair growth by promoting Wnt signaling. Proc Natl Acad Sci USA. 102: 14653-14658]. 성인 모낭에서 HFDPC는 모낭 발달을 유도하여 모발 성장 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Driskell RR, Clavel C, Rendl M and Watt FM. (2011)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at a glance. J. Cell Sci. 124: 1179-1182].
모발 섬유는 대부분 단백질(모발 중량의 65 내지 95%)로 구성되며, 케라틴이 가장 풍부하다. 이 섬유는 피질, 표피 및 수질의 세 가지 일반 층으로 이루어진다. 중앙 수질은 스폰지-유사 외향을 갖는 다각형 세포를 함유한다. 수질 주위에서 피질은 세로 방향으로 각질화된 섬유질 세포 층을 형성하고 케라틴 필라멘트로 채워져 있다. 또한, 피질은 모발 섬유의 색상을 결정하는 멜라노솜을 함유한다. 모발 섬유의 최외곽층인 큐티클은 여러 층의 각질세포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얇고 반투명하여 광이 피질 색소에 침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발 섬유의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모낭에 위치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활동의 결과이다. 이러한 각질형성세포는 모유두(DP: dermal papilla)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증식 활동에 관여하는 다른 세포와 함께 모발 성장을 발달시킨다.
모발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려진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
Minoxidil®(Rogaine), Finasteride®(Propecia) 및 Dutasteride®(Avodart)를 포함한 약물은 승인된 탈모 치료제이다. 그러나 이들의 효능은 주로 호르몬 관련 탈모증(즉, 남성호르몬성 탈모증)에 제한되어 있으며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인체에 적용되는 화장품에 합성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또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속눈썹 또는 눈썹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 제제와 같이 인간 눈에 근접한 영역을 위한 화장품 제제를 개발하는 것은 인간의 안구 및 주변 막이 인간 피부 및 신체의 다른 영역에 비해 특히 민감하기 때문에 특별한 과제를 제시한다. 속눈썹용 화장품은 안구 또는 눈막에 직접 도포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는 도포 동안 실수로 화장품 제제의 일부를 안구 안으로 옮길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화장품 사용 후 몸에서 씻어내거나 이러한 제품의 사용하지 않은 양을 매립지에 폐기함으로써, 화장품에 사용되는 합성 화학 제품의 생산으로 인한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속눈썹용 볼류마이징(volumizing) 마스카라는 속눈썹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제품 중 하나이다. 하지만 속눈썹이 짧은 사람들은 마스카라 단독으로는 볼륨있어 보이는 속눈썹을 연출하기 어려우며 연장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속눈썹 연장은 속눈썹 라인 근처의 눈꺼풀에 연장을 결합하기 위해 강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연 속눈썹이 손상될 수 있다. 눈꺼풀 종창, 속눈썹 손실, 눈꺼풀 피부 자극 또는 눈꺼풀 감염 등 속눈썹 연장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이 보고되어 있다. 속눈썹의 성장을 촉진하여 속눈썹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있다.
미세색소침착(micropigmentation) 및 미세블레이딩(microblading)은 눈썹의 밀도와 윤곽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신 시술이다. 그러나 이것은 통증 및 감염 위험과 같은 모든 문신 시술과 관련된 불편함을 초래한다.
상기에서 확인된 문제에 대한 자연스럽고 지속 가능하며 효과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속눈썹 및 눈썹의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일부 허브 제제가 제안되어 있지만; 그러나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EP2764894B1은 모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블랙베리 식물의 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추출물은 아나겐 단계(즉, 모낭의 활성 성장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기 전에 눈에 보이는 텔로젠 단계(즉, 곤봉 털(club hair)의 탈락)를 유도한다고 한다.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추출제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알코올의 조합을 포함한다. 에탄올과 알코올 추출은 제조, 생산뿐만 아니라 운송 물류 과정에서 고유한 가연성 위험이 있다. 에탄올은 친환경 용매로 간주되며 추출 능력이 우수하지만 화장품 시장의 일부 부문과 일부 소비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다.
US20190224160A1은 적어도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로부터만 유래된 포스콜린을 각질형성세포 성장 자극제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각질형성세포 성장 자극제는 투실라고 파르파라(Tussilago Farfara) 꽃 추출물,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 신초타 석시루브라(Cinchona succirubra) 껍질 추출물, 나스투리툼 오피시날레(Nasturtium officinale), 트로패올룸 마주스(Tropaeolum majus)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WO2017032711에는 비냐 라디에타(Vigna radiata)의 식물 추출물, 녹두 새싹 추출물 및 N-말단으로부터 C-말단 단부로 아미노산 서열 Gly-His-Lys를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미로탐누스 종은 '부활 식물'로 알려진 식물군에 속하는 남아프리카 원산의 가뭄에 강한 관목이다. 이 식물은 해당 지역의 계절적 우기와 건기에 적응하였다. 건기에는 비가 다시 오기를 기다리는 동안 식물이 휴면 상태가 되므로 잎이 마르게 된다. 첫 번째 비가 내리면 식물은 부활하여 생명력을 얻고, 잎에 빠르게 수분을 공급하고 꽃을 피운다. 부활 식물은 기계적 스트레스 및 가뭄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갖고 있으며 미용 및/또는 약제학적 특성을 갖는 활성 물질을 찾는 과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미로탐누스는 남부 아프리카에서 차로 소비되며 에센셜 오일도 추출되어 사용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지역 음식 및 의학 전통에 이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미로탐누스는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US200701341934A1, FR29978536B1 및 KR1305698B1과 같은 여러 특허/특허 출원의 주제이다.
특히 눈에 가까운 민감한 얼굴 영역의 모발, 즉, 속눈썹 및/또는 눈썹의 모발과 관련하여 모발 성장 및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연적, 미용적, 비치료적 치료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치료법은 부정적인 부작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없거나 모발 및 이와 관련된 피부에 미용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확인된 필요성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시키고 상기에서 확인된 문제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것을 지향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촉진;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용도는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일 수 있다. 특히, 모발은 속눈썹 및/또는 눈썹의 모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속눈썹 길이를 증가시키고/거나 눈썹의 두께를 증가(즉, 모발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의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천연"으로 간주되는 미용 치료법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고 일반적으로 이러한 치료법은 보다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에 미로탐누스 추출물의 사용은 특히 유리하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모발 성장을 촉진 및/또는 증가시키는 방법;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의 두께의 증가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이 방법은 미용적, 비치료적 방법일 수 있다. 특히, 모발은 속눈썹 또는 눈썹의 모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눈썹 길이를 증가시키고/거나 눈썹의 두께를 증가(즉, 모발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미용적, 비치료적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아임계수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은,
i) 식물 물질을 적어도 약 120℃ 및 물을 적어도 10분의 기간 동안 액체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압력에서 아임계수와 접촉시켜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 식물 물질을 수성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 의해 얻은/얻을 수 있는 수성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성 식물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성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속, 즉,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의 놀라운 특성의 발견에 기초하는데 이러한 특성은 추출물이 미용적, 비치료적 응용 분야에 사용되게 한다.
정의
본 발명의 맥락에서 "모발"은 대상체의 두피, 피부, 속눈썹, 눈썹, 콧수염 영역 및/또는 턱수염 영역의 모발을 포함한다. 특히, 모발은 눈썹 및/또는 속눈썹의 모발이다. "피부"는 최상위층 또는 각질층에서 최하위층 또는 피하조직까지 모두를 포괄하여 포함하는 층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층은 특히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 멜라닌세포, 비만 세포, 뉴런 및/또는 지방세포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세포로 구성된다. 용어 "피부"는 포유동물의 피부, 예를 들어, 인간의 피부를 포함하고 모발을 포함하는 피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약"은, 예를 들어, 측정 가능한 값(예컨대, 특정 성분 또는 온도의 양 또는 중량)을 하는 경우 명시된 양의 ±20%, ±10%, ±5%, ±1%, ±0.5%, 또는 특별하게는 0.1%의 변동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괄적이거나 제약이 없으며(open-ended),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용어인 "포함하는"은 대안적인 실시형태로서 포함하고자 하며, 어구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및 "~로 이루어진"의 경우, "~로 이루어진"은 명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고,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고려 중인 조성물 또는 방법의 본질적이거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추가의 언급되지 않은 요소 또는 단계의 포함을 허용한다.
추출물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식물 추출물" 및 "추출물"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생성물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고체/액체 추출하여 얻어지는데, 이에 의해서 식물 물질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고체)이 식물 물질로부터 용매(액체)로 추출되고; 이들은 식물 물질로부터 용매에 용해된다 이러한 생성물은 추출 용매 및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고체/액체 추출 공정은 분리 단계, 선택적으로 그 후의 하나 이상의 정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물은 분리 단계 후에 얻은 생성물이거나 정제 단계 후에 얻은 생성물일 수 있다 분리 단계에서, 용매 및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식물 물질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용매 및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리된 조성물이다. 용매 중의 식물화학 화합물의 용해도는 온도 의존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 조성물은 용액일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이 추출에 사용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 식물화학 화합물 중 일부가 침전될 수 있다. 용매가 물인 경우, 추출 용매 및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수성 식물 추출물" 또는 "수성 추출물"이라고도 지칭된다. 용매 및 하나 이상의 식물화학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를 들어, 분별, 농축 또는 건조에 의한) 정제는 예를 들어, 농축물(예를 들어, 점성 형태) 또는 고체(예를 들어 분말)일 수 있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미로탐누스 종엠. 플라벨리폴리아(M. flabellifolia) 및 엠.모스차타(M. moschata)인 2개의 종을 포함하는 작은 건생 관목의 꽃 피는 식물 속이다. 특히, 이 추출물은 엠. 플라벨리폴리아의 추출물일 수 있다. 엠. 플라벨리폴리아는 문헌에서 엠. 플라벨리폴리우스(M. flabellifolius)라고도 지칭된다.
전형적으로, 미로탐누스 종(Myrothamnus sp)으로부터의 식물 물질은 식물의 지상 부분, 특히 줄기 및/또는 잎을 포함한다. 식물 물질은 줄기 및/또는 잎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줄기 및/또는 잎은 식물 물질의 50, 80 또는 90 중량% 초과를 구성한다. 식물 물질은 줄기 및/또는 잎만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이들은 유일한 성분이며 다른 식물 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식물 물질은 건조된 형태이다. 식물 물질은 건조될 수 있어서 이것은 균질화, 조작 및 저장이 더 용이해진다. 건조된 식물 물질이라는 것은 수분 함량이 중량 기준으로 10% 미만의 물, 중량 기준으로 5% 미만의 물, 중량 기준으로 2% 미만의 물 또는 중량 기준으로 1% 미만의 물 함량을 갖는 식물 물질을 의미한다. 수분 함량은 예를 들어, AOAC(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공식 방법 AOAC 934.06-1934(1996)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되지 않은 식물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식물 물질은 추출 전에 분쇄 또는 파쇄된다. 분쇄된 식물 물질은 예를 들어, 100 pm 내지 50 m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는 0.01 또는 0.1 내지 10 mm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평균 입자 크기는 0.2 내지 5 mm의 범위일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체 분석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분쇄/파쇄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 물질의 원하는 입자 크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식물 물질은 예를 들어, 상기에 언급된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 형태의 건조된 식물 물질이다.
식물 물질을 더 건조시키고/시키거나 용매 추출을 위해 더 다공성이되도록 하기 위해서, 식물 물질을 중성 물질과 혼합할 수 있다. 적합한 중성 물질은 그래핀, 실리카 겔, C18-수지, 규조토 및 중성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추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매는 물, 1 내지 4개 탄소 원자의 저급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및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추출물은 물을 유일한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물질 중의 화합물은 식물 물질로부터 물에 용해되어 수성 추출물(본 명세서에서는 수성 식물 추출물이라고도 지칭)을 형성한다. 수성 추출물은 정제되어 예를 들어, 농축물 또는 분말인 추출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추출물은 추출 공정 동안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얻을 수 있다.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기 위해 임의의 통상적인 고체/액체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속슬렛(Soxhlet), 퍼콜레이션(percolation) 및 마세레이션(macer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온도는 해당 용매에 적절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60℃ 초과의 온도에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건조된 식물 물질/용매의 비율(건조된 식물 물질의 중량(g)/용매의 부피(mL))는 1:5 내지 1:50, 또는 1:10 내지 1:30 또는 1:15 내지 1:25 또는 1:5 내지 1:15 범위이다. 특히, 이러한 비율은 1:10 또는 1:20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추출 용매로서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고체/액체 추출함으로써 얻는다. 아임계수는 100℃의 자연 비등점보다 더 높은(즉, 대기압에서의 비등점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압력에 의해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물이다. 아임계수는 374℃의 이의 임계점 온도까지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아임계수는 "가압 저극성수", "가압 고온수" 또는 "압축 고온수"라고도 지칭된다. 압력 하에서 물을 이의 비등점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극성과 같은 이의 주요 특성의 변경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임계수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이는 이 공정에 사용되는 유일한 추출 용매이고, 즉, 추출은 임의의 다른 용매(유기 또는 무기) 없이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아임계수로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여기서 추출은 식물 물질을 적어도 약 120℃의 온도 및 물을 적어도 10분의 기간 동안 액체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 적합한 압력에서 아임계수와 접촉시켜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추출물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i)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적어도 120℃의 온도 및 물을 적어도 10분의 기간 동안 액체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온도 압력에서 아임계수과 접촉시켜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 식물 물질을 수성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전형적으로, 건조된 식물 물질/아임계수의 비율(건조된 식물 물질의 중량(g)/물의 부피(mL))는 1:5 내지 1:50, 또는 1:10 내지 1:30 또는 1:15 내지 1:25 또는 1:5 내지 1:15 범위이다. 특히, 이러한 비율은 1:10 또는 1:20일 수 있다.
특히, 추출은 약 120 내지 약 220℃, 약 130 내지 약 180℃, 약 140 내지 약 160℃ 또는 약 145 내지 약 155℃의 온도에서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아임계수는 약 150℃의 온도일 수 있다.
아임계수가 추출 용매인 경우, 추출은 가압 용기, 전형적으로 스테인리스강 용기에서 수행된다. 추출 동안, 가압성 용기 내의 압력은 아임계수가 액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압력은 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당업자는 필요한 압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압력은 0.5 MPa 내지 20 MPa의 범위일 것이다. 압력은 적어도 약 1 MPa일 수 있다. 압력은 약 5 내지 약 15 MPa 또는 약 8 내지 약 13 MPa일 수 있다. 압력은 10, 11 및 12 MPa일 수 있다.
식물 물질을 아임계수와 접촉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약 10분의 기간 동안 수행된다. 이러한 시간 기간은 물이 식물 위에서 정적이거나 유동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식물 물질이 아임계수와 접촉하는 시간이다. 이 기간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추출 시간으로 지칭된다. 추출 시간은 예를 들어, 사용되는 식물 물질 및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전형적으로, 추출 시간은 10분 내지 약 5시간으로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추출 시간은 적어도 약 15분, 또는 적어도 약 30분, 또는 적어도 약 1시간 또는 적어도 약 2시간, 또는 적어도 약 3시간일 수 있다. 특히, 추출 시간은 약 10분 내지 약 2시간, 보다 특별하게는 20분 내지 90분이다. 추출 시간은 45 내지 75분 또는 내지 약 1시간일 수 있다.
아임계수 추출은 배치 모드('정적 모드'라고도 지칭됨) 또는 동적 모드('유동'이라고도 지칭됨)로 수행될 수 있다. 배치 모드에서, 식물 물질은 배치식으로 아임계수에 노출된다(즉, 접촉된다). 배치 모드에서, 사용되는 아임계수의 부피는 식물 물질의 샘플에 대한 모든 배치에 사용되는 아임계수의 총 부피이다. 배치 모드에서, 추출 시간은 원료가 원료의 샘플에 대한 모든 배치에 걸쳐 아임계수에 노출되는 총 시간이다. 동적 모드에서, 식물 물질은 물의 연속 유동에 노출된다. 동적 모드에서, 사용되는 아임계수의 부피는 식물 물질의 샘플에 사용되는 아임계수의 총 부피이다. 동적 모드에서, 추출 시간은 식물 물질이 식물 물질의 샘플에 대한 아임계수의 유동에 노출되는 총 시간이다. 식물성 추출물의 더 빠르고 더 큰 규모의 생성을 위해서, 유리하게는 추출은 동적 모드에서 수행된다. 추출은 아임계수 추출을 허용하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배치식 추출기 또는 연속 추출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 물질을 아임계수와 접촉시키는 단계 동안, 화합물은 식물 물질로부터 아임계수에 추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 물질의 성분은 아임계수에 용해되어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종래의 용매 추출 방법은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할 것이다. 용매 추출 방법은 식물 추출물로부터 식물 물질(즉, 임의의 용해되지 않은 식물 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단계는 간단한다. 예를 들어, 아임계수 추출의 경우 이것은 단순히 식물 물질을 가압 용기에 유지시키면서 가압 용기로부터 수성 식물 추출물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분리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여과, 침강, 경사분리 또는 원심분리를 포함한다. 여과는 1000 μm 미만, 또는 20 μm 미만, 또는 10 μm 미만, 또는 1 μm 미만, 또는 0.1 μm 미만의 기공 크기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과는, 예를 들어, 기공 크기를 감소시키는 필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여과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과 후 남아있는 잔류물(용해되지 않은 식물 물질)은 더 많은 추출 용매와 재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재접촉 단계는 1회 수행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아임계수 추출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분리는 수성 식물 추출물이 냉각되고 추출물 성분이 침전되기 전에 수행된다.
식물 추출물이 식물 물질로부터 분리된 후, 그것은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정제시키는"는 정제, 부분 정제 및/또는 분별을 의미한다. 식물성 추출물의 정제를 위해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수의 기술이 존재한다.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고체-액체 추출, 액체-액체 추출, 고체-상 추출(SPE), 막 여과, 한외여과, 투석, 전기영동, 용매 농축, 원심분리, 초원심분리, 고압 사용 또는 고압 미사용 액체 또는 기체 상 크로마토그래피(크기 배제, 친화성 등을 포함함), 동결건조, 증발, 다양한 "담체"(PVPP, 탄소, 항체 등 포함)를 사용한 침전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식물 추출물은 식물 추출물의 농축물로부터 농축된다. 대안적으로, 식물 추출물을 식물 추출물의 고체 형태를 형성하도록 건조된다. 식물 추출물은 중량 기준으로 10% 이하의 물, 중량 기준으로 5% 이하의 물, 중량 기준으로 2% 이하의 물, 또는 중량 기준으로 1% 이하의 물을 함유하도록 건조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수분 함량 결정 AOAC (2000)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적합한 농도 및/또는 건조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는 감압 증발, 증발, 감압 증류, 증류, 오븐 건조, 태양 건조, 및 동결건조(즉, 냉동-건조), 분무 건조, 무화 또는 유동층 건조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농축 또는 건조는 담체 또는 다른 부형제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식물 추출물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분말의 형태의, 농축물 또는 고체, 예를 들어, 비정질 고체, 결정질 또는 부분-결정질 고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얻은/얻을 수 있는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특히,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은 물로의 추출을 포함하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 중 임의의 것으로 얻는다/얻을 수 있다. 특히,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은 아임계수로의 추출을 포함하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 중 임의의 것으로 얻는다/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추출 방법의 상세사항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식물 추출물의 정의에 적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식물에 의해서 생산된 화학 화합물인 식물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폴리페놀, 아미노산, 유기산 및 당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및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및 트레할로스;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아르부틴;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및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및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및 시링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및 퀘르시트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퀘르시트린, 및 이소퀘르시트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및 트립타민.
식물 추출물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및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및 트레할로스;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아르부틴;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및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및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및 시링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및 퀘르시트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퀘르시트린, 및 이소퀘르시트린;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캠페롤-3-O-글루코사이드, 퀘르세틴-3-O-갈락토사이드, 시링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및 트립타민.
식물 추출물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
식물 추출물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
식물 추출물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
식물 추출물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얻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아르부틴,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
조성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물을 사용한 추출에 의해서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은 수성 형태, 즉, 수성 식물 추출물일 수 있다. 식물 물질로부터의 추출된 성분은 수성 식물 추출물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거나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수성 식물성 추출물은 추출된 성분을 용액 중에 유지하기 위해서 수 혼화성 유기 용매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수성 식물성 추출물을 수 혼화성 유기 용매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조성물은 수성 식물성 추출물 및 수 혼화성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 혼화성 용매의 필요한 농도를 얻기 위해 이 조성물에 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정의된 식물 추출물을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조성물은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과 함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액은 "스톡 용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수 혼화성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용매이며 폴리올일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은 2개의 알코올 작용기(-OH 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예컨대,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 또는 트라이올, 글리세린인 글리콜을 포함하였다.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은 각각의 이성질체 형태의 C2-C10 또는 C2-C8 알칸다이올을 포함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되는 경우, 알칸 다이올은 예를 들어, 할로, 하이드록실, 에스테르, 니트로, 시아노, 할로알킬, 설포닐 및 카르보닐 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수 혼화성 유기 용매는 1,2-프로판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카프릴릴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폴리올은 글리세롤(본 명세서에서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린으로도 지칭됨)이다.
식물 추출물 및 폴리올 및 선택적인(추가적인)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또는 50% 내지 90%, 또는 50 내지 80%, 또는 55 내지 80%인 폴리올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나머지는 식물 추출물 및 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5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글리세린이다. 식물 추출물 및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또는 50% 내지 90%, 또는 50 내지 80%, 또는 55 내지 80%인 폴리올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나머지는 식물 추출물 및 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50 중량% 이하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글리세린이다.
추출물 또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상체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아주반트와 함께, 추출물 또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께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문헌[Harry's Cosmeticology", Seventh edition, (1982), Wilkinson J.B., Moore R.J., ed. Longman House, Essex, GB]).
미용 조성물은 투여되어야 하는 식물 추출물의 미용적 유효량을 함유할뿐만 아니라 이의 투여량은 연령, 환자의 상태, 상태의 특성 또는 중증도, 처치 및/또는 케어되는 장애 또는 질환, 투여 경로 및 빈도, 및 사용되는 화합물의 특유의 특성을 포함하는 수많은 인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용어 "미용적 유효량"은 목적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유독하지 않지만 충분한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스톡 용액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미용적으로 효과적인 농도로; 예를 들어, 0.000000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 0.000001%(중량 기준) 내지 15%(중량 기준), 0.00001%((중량기준) 내지 10%(중량 기준); 또는 0.0001%(중량 기준) 내지 5%(중량 기준); 또는 0.1 내지 4%(중량 기준); 또는 1 내지 3%(중량 기준)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추출물 또는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미용 조성물에 2%(중량 기준)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형태를 제형화하는 데 필요한 미용적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국소 적용을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모발을 갖는 피부, 특히 인간 두피와 같은 포유동물 각질 조직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이다. 특히, 국소 조성물은 모발 케어 조성물, 예컨대,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모발 토닉, 스타일링 젤, 무스, 샴푸, 모발 스프레이, 포마드, 세팅 로션, 컬러링 및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겔, 로션, 팅크, 스프레이, 무스, 세정 조성물 또는 폼의 형태일 수 있는 토닉,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및 스타일링 젤이고, 이것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로션, 팅크, 무스 또는 스프레이로서 1일 1회; 또는 컨디셔너 또는 트리트먼트로서 주 1회 또는 2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합한 조성물은 로션, 샴푸, 세럼 또는 속눈썹 마스카라이다. 바람직하게는, 미용 조성물은 세럼 또는 속눈썹 마스카라이다. "세럼"이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투명한 젤 기반 또는 액체인 조성물을 지칭한다. 세럼은 유체 텍스처를 갖고 표준 케어 제품보다 활성 성분이 더 농축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는 화장품을 지칭하며, 예를 들어, 속눈썹을 진하게 하고/하거나, 두껍게 하고/하거나, 길어지게 하고/하거나 뚜렷하게 할 수 있다.
미용 조성물은 마스카라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마스카라의 기본 제형 요소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현재 알려진 마스카라와 유사하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i)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물 추출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물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ii)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아주반트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아주반트는 적어도 하나의 왁스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i)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물 추출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식물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왁스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은 에멀젼이고 액상(예를 들어, 물) 및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개질제, 예컨대, 증점제 및/또는 막 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왁스"는 실온(약 25℃) 및 대기압(760 mmHg, 즉 105Pa)에서 고체인 친유성 지방 화합물을 의미하도록 의도되며, 이는 가역적 고체/액체 상태 변화를 겪고, 30℃ 초과,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약 55℃ 초과, 최대 약 120℃, 또는 심지어 약 200℃만큼 높은 융점을 갖는다. 왁스라는 용어는 동물 기원의 왁스, 식물 기원의 왁스, 광물 기원의 왁스 및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동물 기원의 왁스의 예는 밀랍 및 라놀린 왁스를 포함한다. 식물 기원의 왁스의 예는 쌀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우리카리 왁스, 코르크 섬유 왁스, 사탕수수 왁스, 일본 왁스, 옻나무 왁스 및 면 왁스, 해바라기 왁스를 포함한다. 광물 기원의 왁스의 예는 파라핀, 미정질 왁스,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및 세레신을 포함한다. 합성 기원의 왁스의 예는 폴리올레핀 왁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합성으로 얻은 왁스, 왁스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에스테르, 실리콘 및 플루오로 왁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왁스에는 오리자 사티바 브란 세라(oryza Sativa Bran Cera), 코페르니카 세르피페라(Copernica Cerfifera) 왁스 및 쉘락 왁스를 포함한다. 왁스라는 용어는 동물 또는 식물 기원의 고융점 수소화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는 수소화 호호바 왁스 및 C8-C32 선형 또는 비선형 지방 사슬로 구성된 지방의 촉매 수소화에 의해 얻어진 수소화 오일, 수소화 해바라기유, 수소화 피마자유, 수소화 코프라유, 수소화 라놀린 및 수소화 팜유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 중 왁스의 총량은 마스카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wt% 또는 1 내지 10 wt% 또는 2 내지 8 wt% 또는 4 내지 7 wt%이다.
안료는 광물 및/또는 유기물일 수 있고,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광물 안료 중에서, 금속 산화물, 특히 이산화티타늄, 선택적으로 표면 처리된, 지르코늄, 아연 또는 세륨 산화물, 및 또한 산화철, 특히 흑색 산화철, 산화티타늄 또는 산화크롬,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 블루, 크롬 수화물 및 페릭 블루가 언급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유기 안료 중에는 카본 블랙, D&C 유형의 안료 및 코치닐 카르민 또는 바륨, 스트론튬, 칼슘 또는 알루미늄 기반의 레이크가 있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 중 안료의 총량은 마스카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wt% 또는 5 내지 15 wt% 또는 8 내지 12 wt%이다.
마스카라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화제는 지방 화합물을 수상에 유화시키기에 적합한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화제는 지방산, 글리세롤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암포아세테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화제는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2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스-2, 스테아레스-20, 이소세테스-20, 및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및 이나트륨 코코암포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유화제는 Glucate SS, Arlatone MAP 160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 중 유화제의 총량은 마스카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8 wt%, 또는 0.05 내지 8 wt%, 또는 0.05 내지 5 wt%, 0.05 내지 0.5 wt% 또는 0.1 내지 0.20 wt%이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레올로지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올로지 개질제는 점도-증가 중합체 천연 및 유도체화 검, 수지 증점제, 겔화제 또는 현탁제(supending agent)를 포함한다.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은 합성 또는 천연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레올로지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는 지방 알코올, 예컨대 C10-C32 알코올, 예를 들어 C12-C22 알코올, 천연 오일, 및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중합체, 예컨대 카보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천연 오일은 광유(주로 소량의 사이클로알칸을 갖는 C15-C40 선형 및 분지형 지방족 알칸), 천연 유래 에스테르, 천연 알칸 또는 식물 오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합성 레올로지 개질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종류의 아크릴계 레올로지 개질제는 단독의 또는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조합된 아크릴산의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카복실 작용성 알칼리-팽윤성 및 알칼리-가용성 점증제(AST)이다. 상기 중합체는 용매/침전 및 에멀션 중합 기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 종류의 예시적인 합성 레올로지 개질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단독중합체 및 아크릴산, 치환된 아크릴산, 및 아크릴산 및 치환된 아크릴산의 염 및 C1-C30 알킬 에스테르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된 아크릴산은 분자의 알파 및/또는 베타 탄소 원자에 위치한 치환기를 함유하고, 여기서 일 양태에서 치환기는 C1-4 알킬, -CN 및 -COOH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골격으로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에틸렌성 불포화를 함유하는 2개 이상의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교결합된다. 일 양태에서, 가교결합제는 분자당 적어도 2개의 알케닐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다가 알코올의 폴리알케닐 폴리에테르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예시적인 가교결합제는 수크로스의 알릴 에테르 및 펜타에리쓰리톨의 알릴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5,087,445호; 제4,509,949호; 및 제2,798,05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AST 레올로지 개질제 또는 점증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중합된 가교결합된 단독중합체이고, 일반적으로 카보머의 INCI 명칭 하에 칭해진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카보머는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Carbopol® 중합체 934, 940, 941, 956, 980 및 996을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레올로지 개질제는 아크릴산, 치환된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염 및 치환된 아크릴산의 염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제1 단량체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하나 이상의 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제2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가교결합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단량체는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된 미국 특허 제5,288,81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입체 안정화제의 존재 하에 중합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일부는 INCI 명명법 하에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로 지정되고,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로부터 상표명 Carbopol® 1342 및 1382, Carbopol® Ultrez 20 및 21, Carbopol® ETD 2020 및 Pemulen® TR-1 및 TR-2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다른 양태에서, 레올로지 개질제는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된 미국 특허 제7,205,2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교결합된 선형 폴리(비닐 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합성 레올로지 개질제의 다른 종류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칼리-팽윤성 및 알칼리-가용성 에멀션(HASE) 중합체라 흔히 칭해진 소수성으로 개질된 AST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HASE 중합체는 pH 민감 또는 친수성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소수성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C1-C30 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회합성 단량체" 및 선택적인 가교결합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자유 라디칼 부가 중합체이다. 회합성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중합성 말단기, 소수성 말단기에 의해 말단화된 비이온성 친수성 중간부(midsection)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친수성 중간부는 폴리옥시알킬렌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분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말단 소수성 말단기는 전형적으로 C8-C40 지방족 모이어티이다. 예시적인 지방족 모이어티는 선형 및 분지형 알킬 치환기, 선형 및 분지형 알케닐 치환기, 탄소환식 치환기, 아릴 치환기, 아랄킬 치환기, 아릴알킬 치환기 및 알킬아릴 치환기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회합성 단량체는 폴리에톡실화 및/또는 폴리프로폭실화 지방족 알코올(통상적으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C8-C40 지방족 모이어티를 함유)과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불포화 환식 무수물 단량체(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어, α,α-다이메틸-m-이소프로페닐 벤질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알릴 알코올)의 축합(예를 들어,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톡실화 및/또는 폴리프로폭실화 지방족 알코올은 C8-C40 지방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모노알코올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이다. C8-C40 지방족 모이어티를 함유하는 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예는 카프릴 알코올, 이소-옥틸 알코올(2-에틸 헥산올), 펠라르곤산 알코올(1-노나놀), 데실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C16-C18 모노알코올의 혼합물),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엘라이딜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리그노세릴 알코올, 세릴 알코올, 몬타닐 알코올, 멜리실, 라세릴 알코올, 게딜 알코올 및 C2-C20 알킬 치환된 페놀(예를 들어, 노닐 페놀) 등이다.
예시적인 HASE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3,657,175호; 제4,384,096호; 제4,464,524호; 제4,801,671호; 및 제5,292,843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HASE 중합체의 광범위한 검토는 문헌[Gregory D. Shay, Chapter 25, "Alkali-Swellable and Alkali-Soluble Thickener Technology A Review, Polymers in Aqueous Media - Performance Through Association, Advances in Chemistry Series 223, J. Edward Glass (ed.), ACS, pp. 457--494, Division Polymeric Materials, Washington, D.C. (1989)]에서 발견되고, 이의 관련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HASE 중합체는 Rohm & Haas로부터의 상표명, Aculyn® 22(INCI 명칭: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culyn® 44(INCI 명칭: PEG-150/데실 알코올/SMDI 공중합체), Aculyn 46®(INCI 명칭: PEG-150/스테아릴 알코올/SMDI 공중합체) 및 Aculyn® 88(INCI 명칭: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교차중합체) 및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로부터의 Novethix™ L-10(INCI 명칭: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하에 판매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산 팽윤성 회합성 중합체(acid swellable associative polymer)가 레올로지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특징 및 회합성 특징을 갖는다. 이 중합체는 산 민감 아미노 치환된 친수성 단량체(예를 들어, 다이알킬아미노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아미드), 회합성 단량체(상기 정의됨), 저급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산의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비닐 및/또는 알릴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비닐 및/또는 알릴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비닐 및/또는 알릴 에테르, (메트)아크릴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다른 자유 라디칼로 중합 가능한 공단량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중합된 자유 라디칼 부가 중합체이다. 이 중합체는 선택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다. 산 민감에 의해 아미노 치환기가 전형적으로 0.5 내지 6.5의 범위의 낮은 pH 값에서 양이온성이 된다는 것이 의도된다. 예시적인 산 팽윤성 회합성 중합체는 Akzo Nobel에서 상표명 Structure® Plus (INCI 명칭: 아크릴레이트/아미노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PEG-20 이타코네이트) 하에, 그리고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에서 Carbopol® 아쿠아 CC (INCI 명칭: 폴리아크릴레이트-1 가교중합체)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일 양태에서, 산 팽윤성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의 하나 이상의 C1-C5 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C1-C4 다이알킬아미노 C1-C6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PEG/PPG-30/5 알릴 에테르, PEG 20-25 C10-C30 알킬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와 가교된 하이드록시 C2-C6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다른 유용한 산 팽윤성 회합성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7,378,479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 상표명, Glucamate® DOE-120, Glucamate™ LT, Glucamate™ VLT 및 Glucamate™ SSE-20 하에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예를 들어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에이트, PEG-120 메틸 글루코스 트리올레에이트 및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소수성으로 개질된 알콕실화 메틸 글루코사이드는 또한 레올로지 개질제로서 적합하다.
나무 및 관목 삼출물로부터 얻은 다당류, 예컨대, 아라비아 검, 가하티 검, 트래거캔스 검뿐만 아니라 펙틴; 해초 추출물, 예컨대, 알기네이트 및 카라기난(예를 들어, 람다, 카파, 아이오타 및 이들의 염); 조류 추출물, 예컨대, 한천; 미생물 다당류, 예컨대, 잔탄, 젤란, 웰란;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에틸헥실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부틸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갈락토만난, 예컨대, 호로파 검, 카시아 검, 로커스트 콩 검, 타라 검 및 구아 검;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쌀 전분, 밀 전분, 감자 전분 및 수수 전분이 또한 본 명세서의 조성물에서 적합한 레올로지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로서 사용되는 특히 적합한 레올로지 개질제는 디우탄 검이다.
레올로지 개질제(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0.1 중량%, 또는 적어도 1 중량%, 예컨대 20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의 총 농도로 활성제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막 형성제인 레올로지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막 형성제는 마스카라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의 용매(예를 들어,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되고, 마스카라 조성물이 모발에 도포된 후 적어도 하나의 용매가 모발 상에서 증발, 흡수 및/또는 소멸되고 막 형성제는 모발에 막을 남긴다. 막 형성제를 사용하면 마스카라의 마모가 개선되고 마스카라에 이동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막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눈 주위에 사용하기에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유용한 막 형성제의 예는 천연 왁스, 중합체, 예컨대,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중합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다이메티콘 검 및 수지의 공중합체, 예컨대, 쉘락, 폴리테르펜 및 다양한 실리콘 수지, 예를 들어,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막 형성제는 PVP,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적합한 막 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Avalure™ UR 450 중합체와 같은 폴리우레탄이다. 막 형성제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0 wt%, 또는 약 0.5 내지 약 20.0 wt%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용 조성물은 다른 활성 성분, 예컨대,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펩타이드, 지방산, 항산화제, 항염증제, 다크닝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미용 조성물은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예방을 위한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적합한 비제한적인 예는 Hallstar에서 판매되는 Growth Oloactif®[INCI: 헬리안투스 아누스(Helianthus Annuus)(해바라기) 종자유 (및) 폴리글리세릴-3 다이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카르타무스 틴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해바라기) 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꽃 추출물]. Sederma에서 판매되는 Widelash™[INCI: 글리세린, 물 (아쿠아), 판테놀, 비오티노일 트라이펩타이드-1]; Symrise에서 판매되는 Sym펩타이드® Xlash[INCI: 글리세린 (및) 아쿠아 (및) 미리스토일 펜타펩타이드-17], SymLash® 1631[INCI: 펜틸렌 글리콜 (및) 이소크리시스 갈바나(Isochrysis Galbana) 추출물]; Lipotrue에서 판매되는 Anargy™[INCI: 물 (및) 부틸렌 글리콜 (및) 올리고펩타이드-2 (및)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 헥사펩타이드-40 sh-폴리펩타이드-9 (및)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 헥사펩타이드-40 sh-폴리펩타이드-86]; Lucas Meyer에서 판매되는 Capixyl™[INCI: 부틸렌 글리콜 (및) 아쿠아 (및) 덱스트란 (및)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3 (및) 트리폴리움 프라텐세(클로버) 꽃 추출물]; Nanovetores에서 판매되는 Nano lashes[INCI: 아쿠아, 심몬시아 키넨시스(Simmondsia Chinensis) 종자 추출물, 폴리소르베이트 20,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소듐 벤조에이트, 포타슘 소르베이트]; Spec-chem에서 판매되는 Specped SC-MH16[INCI: 아쿠아,글리세린,미리스토일헥사펩타이드-16, 카프릴릴 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미리스토일 펜타펩타이드-17[INCI: 미리스토일 펜타펩타이드-17], SpecPed® BT1[INCI: 비오티노일 트라이펩타이드-1], SpecPed® LashLD[INCI: 비오티노일 트라이펩타이드-1, 글리세린, 물, 카프릴릴 글리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 판테놀, 트레할로스], SpecPed® MP17P[INCI: 미리스토일 펜타펩타이드-17]; Sederma에서 판매되는 Procapil™[INCI: 부틸렌 글리콜 (및) 아쿠아 (및) PPG-26-부테트-26 (및)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및) 아피게닌 (및) 올레아놀산 (및) 비오티노일 트라이펩타이드-1]; Mibelle에서 판매되는 AnaGain™[INCI: 피숨 사티붐(완두콩) 새싹 추출물 (및) 이소말트 (및) 아쿠아], PhytoCellTec™ Malus Domestica Hair[INCI: 말루스 도메스티카(Malus Domestica) 열매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잔탄 검 (및) 글리세린 (및) 레시틴 (및) 페녹시에탄올 (및) 아쿠아/물], Santenergy™[INCI: 비오플라보노이드 (및) 펜틸렌 글리콜 (및) 알코올 (및) 아쿠아], RootBioTec™ HW[INCI: 오시뭄 바실리쿰(Ocimum Basilicum) 털 뿌리 배양 추출물 (및) 알코올 (및) 아쿠아/물], RootBioTec™ HO[INCI: 오시뭄 바실리쿰 털 뿌리 배양 추출물 (및) 헬리안투스 아누스(해바라기) 종자유 (및)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코코넛) 오일]; Vytrus Biotech에서 판매되는 CAPILIA LONGA PPF[INCI: 쿠르쿠마 롱가(Curcuma Longa) (강황) 캘러스 배양 컨디셔닝된 배지 (및) 물]; Solabia에서 판매되는 Cressatine®[INCI: 글리세린 (및) 아쿠아 (및) 나스투르티움 오피시날레(Nasturtium Officinale) 추출물 (및) 트로패올럼 마주스(Tropaeolum Majus) 추출물]; Peptron에서 판매되는 Alotide™[INCI: 구리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석시닐 트라이펩타이드-34]; Ichimaru Pharcos에서 판매되는 BURGEON-UP[INCI: 아쿠아 (및) 알코올 (및) 나스투르티움 오피시날레 잎/줄기 추출물]; Exysmol에서 판매되는 Capalgin®[INCI: 콘드러스 크리스퍼스(Chondrus Crispus) 추출물]; BASF에서 판매되는 Dermosaccharides® GY[INCI: 아쿠아 (및) 글리세린 (및) 글리코겐 (및) 페녹시에탄올 (및) 메틸파라벤], Trichogen™ VEG LS 9922[INCI: 물 (및)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및) 아르기닌 (및) 아세틸 티로신 (및) 아크티움 마주스(Arctium Majus) 뿌리 추출물 (및)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및) 폴리쿼터늄-11 (및) PEG-12 다이메티콘 (및) 칼슘 판토테네이트 (및)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니아신아미드 (및) 오르니틴 HCl (및) 시트룰린 (및) 글루코사민 HCl (및) 비오틴]; CLR에서 판매되는 Follicusan™ DP[INCI: 아쿠아 (및) 변성 알코올 (및) 판테닐 에틸 에테르 (및) 이노시톨 (및) 유단백 (및) 락토스 (및) 아세틸 시스테인 (및) 아세틸 메티오닌 (및) 시트르산나트륨 (및) 시트르산]; Greentech에서 판매되는 Hairline®[INCI: 프로판다이올 (및) 물 (아쿠아) (및) 린데라 스트리크니폴리아(Lindera Strychnifolia) 뿌리 추출물]; Provital에서 판매되는 Kerascalp™[INCI: 프로판다이올 (및) 글리세린 (및) 필란투스 엠블리카(Phyllanthus Emblica) 열매 추출물], Baicapil™[INCI: 프로판다이올 (및) 물 (및) 아르기닌 (및) 락트산 (및) 글리신 소자(Glycine Soja)(대두) 배아 추출물 (및) 트라이티쿰 불가래(Triticum Vulgare)(밀) 배아 추출물 (및) 스쿠텔라리아 바이칼렌시스(Scutellaria Baicalensis) 뿌리 추출물 (및) 소듐 벤조에이트 (및) 글루코노락톤 (및) 칼슘 글루코네이트]; Seppic에서 판매되는 BIOENERGIZER™ P BG PF[INCI: 아쿠아/물, 부틸렌 글리콜, 판테놀, 프로필렌 글리콜, 펠베티아 카날리큘라타(Pelvetia Canaliculata) 추출물,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 추출물]; Ashland에서 판매되는 Protectagen™[INCI: 아쿠아 (및) 글리세린 (및) 가수분해된 쌀 단백질]; Givaudan에서 판매되는 Redensyl®[INCI: 글리세린 (및) 아쿠아 (및) 소듐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라릭스 유로파에아 우드(Larix Europaea Wood) 추출물 (및) 글리신 (및) 염화아연 (및)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잎 추출물]; B&G에서 판매되는 GANOTHER®[INCI: 글리세린 (및) 물 (및) 가노더마 루시덤(Ganoderma Lucidum)(버섯) 균사체 발효 여과물]; Silab에서 판매되는 Hairgenyl®[INCI: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추출물], Anageline®[INCI: 가수분해된 루핀 단백질]; Shanghai GREAF Biotech에서 판매되는 Hairdian AP[INCI: 프로판다이올 (및) 투자 오리엔탈리스(Thuja Orientalis) 추출물 (및) 징기버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생강) 뿌리 추출물 (및) 트리폴리움 프라텐세(클로버) 잎 추출물 (및) 아르테미시아 아르기(Artemisia Argyi) 잎 추출물]이다.
미용 조성물은 또한 Minoxidil®(Rogaine), Finasteride®(Propecia) 및 Dutasteride®(Avodar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 분야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의 놀라운 특성의 발견에 기초한다. 특히 이러한 특성은 식물 추출물이 미용적, 비치료적 응용 분야에 사용되게 한다. 미용적, 비치료적 응용 분야는 심미적 외관을 개선 또는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특히 본 발명은 모발의 심미적 외관을 개선 또는 유지하고, 특히 속눈썹 및/또는 눈썹의 모발의 심미적 외관을 개선 또는 유지하기 위해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미로탐누스 속 식물의 식물 추출물이 모낭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촉진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이 내피세포에서 새로운 혈관 생성을 자극하고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모발 성장 및 강도를 촉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은 모낭 내 콜라겐 XVII 및 α6β4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모발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하거나 탈모를 예방하고/하거나; 모발의 굵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모발 성장 촉진"이라는 용어는 모발 성장을 자극하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인체의 특정 영역에서 성장하는 모발의 밀도(즉, 피부 cm2당 모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이는 모발 섬유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 즉, 동일한 시간 동안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모발의 길이와 비교할 때 그 기간 동안 주어진 영역의 모발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또한 지칭한다.
모발의 밀도는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이 사용되기 전의 밀도와 비교할 때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100%, 적어도 200% 또는 그 초과만큼 증가할 수 있다.
길이가 평균 길인 경우 모발의 길이는 동일한 시간 동안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이 사용되지 않은 평균 길이와 비교할 때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100%, 적어도 200% 또는 그 초과만큼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속눈썹 및 눈썹의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속눈썹 모발의 길이 연장을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속눈썹 모발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눈썹 모발의 길이 연장을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눈썹 모발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탈모는 정상적인 일일 탈모일 수도 있고, 노화로 인한 탈모일 수도 있다. 탈모는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발의 스타일링, 특히 속눈썹 또는 눈썹 모발의 경우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한 마찰로 인해 유발된다. 특히, 본 발명은 속눈썹 및 눈썹의 탈모를 예방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예방" 또는 "예방하는"은 모발 손실을 예방, 지연 또는 방해하는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예방"이라는 용어는 "감소"라는 용어와 상호 교환 가능할 수 있고, 즉, 이는 손실된 모발의 양을 감소시키는 식물 추출물의 능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모발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로 인해 모발은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해 더 탄력적이게 된다.
본 발명은 모발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모발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굵기"라는 용어는 모발 가닥의 평균 직경 또는 단면적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모발의 굵기는 미로탐누스 추출물을 사용하기 전의 두께와 비교할 때 미로탐누스 추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0%, 또는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40%, 적어도 50%, 적어도 100%, 적어도 200% 증가한다.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은 모낭 모유두 세포 및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모낭의 혈류를 증가시키며, 모낭에서 XVII 콜라겐과 α6β4 인테그린의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모낭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각질형성 세포 및/또는 모발 형성을 위한 연관된 케라틴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모낭에서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낭에서 XVII 콜라겐 및 α6β4 인테그린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하거나; 탈모를 예방하고/하거나; 모발 굵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로탐누스 종의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체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미용적이고 비치료적이다.
전술한 용도 및 방법에서, 식물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도포에 의해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국소 도포"는 식물 추출물(또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모발을 갖는 피부와 같은 포유동물 각질 조직과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피부는 모발을 갖는 피부, 예컨대, 두피, 얼굴 피부, 예컨대, 콧수염 또는 턱수염, 눈썹, 속눈썹이 있는 피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속눈썹 라인 및/또는 눈썹, 바람직하게는 속눈썹 라인에 도포된다.
본 발명의 상기에서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적용 또는 투여의 빈도는 각 대상체의 필요에 따라 크게 변동될 수 있으며, 한 달에 1회 내지 하루에 10회, 바람직하게는 일주일에 1회 내지 1일 4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주일에 3회 내지 1일 2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1회의 적용이 권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증가 및/또는 탈모를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를 위한 다른 방법의 조합으로 확장된다.
상기에 기재된 용도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모발의 심미적 외관의 개선 또는 유지는 건강한 대상체뿐만 아니라 피부, 모발, 손발톱 및/또는 점막의 질환 및/또는 장애를 나타내는 대상체 둘 다에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탈모증을 앓지 않는 대상체 또는 퇴행성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전신 탈모증, 발모벽, 텔로겐 탈모증 또는 흉터성 탈모증을 앓는 대상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도는 탈모증을 앓지 않는 대상체 또는 퇴행성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전신 탈모증, 발모벽, 텔로겐 탈모증 또는 흉터성 탈모증을 앓는 대상체에게 제한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탈모증(퇴행성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전신 탈모증, 발모벽, 텔로겐 탈모증, 흉터성 탈모증 포함)과 같은 탈모 또는 모발 가늘어짐과 관련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탈모증(퇴행성 탈모증,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전신 탈모증, 발모벽, 텔로겐 탈모증, 흉터성 탈모증 포함)과 같은 탈모 또는 모발 가늘어짐과 관련된 병태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1
종래의 수성 추출에 의해 얻은 추출물
대략 1.27 내지 0.22 mm 조각으로 잘게 잘린 잎을 갖는 건조된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 줄기에 대해 통상적인 추출을 수행하였다. 식물 물질을 1:10(건조된 식물 물질:물, w/v)의 비율로 물로 추출하였다. 4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물로 추출을 수행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하고, 10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은 식물 추출물이고, 그 다음 이것을 100% 글리세린으로 1:5(추출물:글리세린, w/w)로 희석하고, 생성된 조성물을 혼합하여 스톡 용액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아임계수 추출에 의해서 얻은 추출물
대략 1.27 내지 0.25 mm의 거친 분말로 분쇄된 잎을 갖는 건조된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 줄기에 대해 아임계수 추출(SWE)을 수행하였다. 이 분말을 1:20 비율(분말:물, w/v)의 아임계수로 추출하였다. 아임계수를 1시간 동안 10 내지 11 MPa 범위의 압력 하에서 150℃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실온(25℃)까지 냉각시키고, 10 μm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은 식물 추출물이며, 그 다음 이것을 글리세린과 1:5 비율(추출물:글리세린, w/w)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혼합하여 스톡 용액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추출물의 조성 분석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을 식물화학물질의 차이에 대해 평가하였다. 개별 식물화학물질의 식별과 함께 총 폴리페놀 함량(TPC)을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간략하면, 2 mL의 추출물을 5 mL의 증류수와 혼합하고, 이어서 1 mL의 Folin-Ciocalteu 시약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3분 동안 잘 혼합하였다. 3분 후, 5 mL의 10%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실온에서 30분 후에,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60 및 8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갈산을 표준으로서 사용하여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식물화학물질을 식별하기 위해서 탠덤 질량 분석기 LC/MS-MS를 사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였다. 10 마이크로리터(10 μL)의 추출물을 2 mL LC-MS 바이알에서 100 μL의 10 mM HCL 및 890 μL의 초순수 물과 혼합하고, 샘플을 100회 희석하였다. 주입 부피는 2 μL였다. 이 분석에 사용된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용매 A) 및 초순수 물 중의 0.1% 포름산(용매 B)을 포함하였다. 유량은 40℃ 컬럼 온도에서 0.2 mL/분이었다.
실시예 1의 수성 식물 추출물의 Folin-Ciocalteu 방법에 의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652 mg GAE/L인 반면,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63mg GAE/L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에서 식별된 모든 화합물을 표 1에 열거한다. ND 지정은 샘플에서 검출되지 않은 화합물을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4
모낭 모두유 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증식 검정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얻은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 스톡 용액('시험 생성물')을 성장 보충물이 보충된 유두 세포 성장 배지에 0.5, 1, 2, 2.5 및 5%(v/v)로 용해시키고 0.2 μm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였다.
성인 인간 두피로부터의 모낭 모유두 세포(HFDPC)를 5% CO2 가습 공기에서 37℃의 유두 세포 성장 배지에서 5일 동안 3x104개 세포/mL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그 후, 이들을 분할한 후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HFDPC를 배양 배지에서 96-웰 셀 캐리어 블랙 플레이트(PerkinElmer)에 45000개 세포/mL의 밀도로 배양물에 시딩하였다. 5% CO2 가습 공기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험 생성물 및 비히클 대조군의 희석액과 함께 새로운 배양 배지를 첨가하였다. 배지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소 태아 혈청(FBS)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 동시 염색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별하는 LIVE/DEAD® Viability/Cytoxicity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 제품)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정량화하였다.
시험 생성물을 각각의 실험에서 4회의 반복을 포함하는 3회의 독립적인 실험으로 검정하였다.
표 2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음성 대조군의 세포 총량(ALL)을 정규화한 생존 및 사멸 HFDPC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표 2는 또한 하기 수학식에 따른 증식량을 나타낸다:
[표 2]
결과는 엠. 플라벨리폴리아 추출물이 음성 대조군(미처리 세포)에 비해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고 죽은 세포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결과적으로 추출물은 HFDPC에 증식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각질형성 세포에 대한 시험관내 증식 검정
각질형성세포는 모발 섬유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케라틴을 발현하고 모발의 새로운 형성에 기여한다.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 스톡 용액을 Mix C39016-CaCl2 용액이 보충된 각질형성세포 성장 배지에 0.5, 1, 2, 2.5 및 5%(v/v)로 용해시키고 0.2 μm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HEK)를 7일 동안 5% CO2 가습 공기에서 37℃의 각질형성세포 성장 배지에서 4500개 세포/cm2의 밀도로 성장시켰다. 이 시간 후, 이들을 분할한 후 처리를 위해 시딩하였다.
HEK를 배양 배지에서 96-웰 셀 캐리어 블랙 플레이트(PerkinElmer)에 배양 배지 1mL당 70000개 세포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5% CO2 가습 공기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험 생성물의 희석액과 함께 새로운 배양 배지를 첨가하였다. 배지 단독으로 처리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표피 성장 인자(EGF)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 PrestoBlue® Cell Viability Reagent를 사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정량화하였다.
HEK 정량은 Thermo Fisher Scientific의 세포 투과성 레자주린-기반 용액인 PrestoBlue®를 사용하여 형광으로 정량화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을 각각의 실험에서 4회 반복을 포함하는 3회의 독립적인 실험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표 3은 음성 대조군에 대해 표준화된 HEK 세포의 세포 성장 값을 나타낸다.
[표 3]
결과는 엠. 플라벨리폴리아 추출물이 각질형성 세포 증식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6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HUVEC)의 새로운 혈관 형성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
모낭은 모발이 있는 피부의 혈류로부터 영양분을 얻는다. 모낭의 최적 관개는 영양을 증가시키고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자극하며 모발 성장 및 힘을 향상시킨다. 모낭에 새로운 혈관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은 속눈썹 성장 및 강도의 미용 치료를 위한 우수한 후보이다. 새로운 혈관 형성에 대한 시험관내 평가는 내피 세포가 3차원 관형 구조를 형성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HUVEC의 형태학적 변화 및 이동을 유도하여 관형 구조를 형성하는 차등력을 생성하는 세포외 기질 성분의 특정 연결을 매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피 세포가 3차원 관형 구조를 형성하는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새로운 혈관 관을 생성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96웰 플레이트를 차가운 세포외 기질 용액(Angiogenesis Assay 키트, PromoKine)으로 미리 코팅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다. 인큐베이션 후, HUVEC 세포를 미리 코팅된 웰에 15,000개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즉시, 세포를 배지에 용해된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으로 처리하여 0.5%(v/v)의 최종 웰 농도를 달성하였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를 최종 웰 농도 5 ng/ml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배지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를 기본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세포를 5% CO2 가습 공기에서 37℃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Staining Dye(Angiogenic Assay 키트, PromoKine)로 염색하였다. 간략하면, 세포를 세척한 다음 염색 염료 용액을 첨가하였다. 37℃, 5% CO2 가습 공기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Operetta® 공초점 현미경(PerkinElmer, Inc)을 사용하여 형광 영상을 캡쳐하고 ImageJ 소프트웨어로 새로운 관 형성을 평가하였다.
새로운 혈관 관 형성을 획득된 각각의 영상에서 상이한 매개변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ImageJ는 접합부, 분절 및 분기와 같은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를 검출하였다. 접합부는 관 분기점과 정합하는 노드이고, 분절은 2개의 접합부로 구분되는 관이며, 분기는 하나의 접합부로만 구분되는 요소에 상응한다. 이후 소프트웨어는 더욱 복잡한 구조를 정량화하였다:
- 분절 길이: 검출된 각각의 분절의 픽셀의 수.
- 마스터 분절 수: 분기 연결 없이 접합부로 구분된 분절의 수.
- 마스터 접합부 수: 적어도 3개의 마스터 분절을 연결하는 접합부의 수.
메시 수: 분절 또는 마스터 분절로 구분된 요소의 수.
새로운 혈관 형성의 증가를 고려하려면 측정된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이 증가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결과는 기본 조건에 의해 표준화된 백분율로 표현된 다양한 측정 매개변수이다.
[표 4]
HUVEC 세포의 기본 조건을 고려한 상이한 측정된 매개변수 백분율의 평균값.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시험된 농도에서 HUVEC 세포의 기본 조건에 대해 관형 구조 형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이것은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의해 달성된 증가가 양성 대조군 증가와 유사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7
두피 이식편에서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4 면역염색의 생체외 연구
모발 고정력은 헤미데스모솜이 주요 결합 단위인 기저막 구역에 대한 상이한 세포의 접착에 좌우된다. 헤미데스모솜은 XVII형 콜라겐, α6β4 인테그린 및 CD151의 두 소단위로 형성된 세포-기질 접합부이다. XVII형 콜라겐 및 α6β4 인테그린은 둘 다는 기저막 구역과 직접 상호작용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콜라겐 XVII 단백질 분해는 모낭 노화와 관련이 있다. 콜라겐 XVII 단백질 분해를 특징으로 하는 소형화 과정에 의해 모낭이 노화 동안 피부에서 소형화되고 종종 사라져서 모발이 가늘어지고 빠지게 된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Matsumura H, et al. "Hair follicle aging is driven by transepidermal elimination of stem cells via COL17A1 proteolysis" Science. 2016 Feb 5;351(6273):aad4395]. XVII형 콜라겐 및 α6β4 인테그린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은 속눈썹 및 눈썹 노화, 강도 및 손실의 미용 치료에 적합한 후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피 외식편의 모낭의 상이한 영역에서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4(β4)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모발 고정을 개선시키는 본 발명의 추출물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두피 외식편을 준비하고 가습 5% CO2 분위기에서 37℃의 BEM 배지(BIO-EC)에 8일 동안 유지시켰다. 실시예 2의 스톡 용액의 2%(w/w) 희석액을 제0일, 제4일 및 제6일에 외식편에 국소 도포하였다. 배지 단독으로 처리된 두피 외식편을 기본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제8일에, 외식편을 수집하고 두 부분으로 절단하였다. 절반은 완충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고, 절반은 -80℃에서 동결하였다.
완충된 포르말린에서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후, 외식편을 탈수시키고 파라핀으로 함침시켰다. 그런 다음 외식편을 매립하고 마이크로톰(Leica)을 사용하여 5 μm 두께의 절편을 만들었다. 절편을 조직학적 유리 슬라이드에 장착하였다. 콜라겐 XVII 면역염색을 Vectastain Kit 벡터 증폭기 시스템 아비딘/비오틴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단클론성 항콜라겐 XVII 항체(Abcam)로 수행하였고, 산화되면 보라색 염색을 제공하는 퍼옥시다제의 기질인 VIP(Vector Laboratories, Ref. SK-4600)에 의해서 가시화하였다. 면역염색을 현미경 관찰로 평가하고 영상 분석으로 반정량화하였다.
냉동된 외식편을 저온 유지 장치(Leica)를 사용하여 7 μm 두께의 섹션으로 절단하였다. 그런 다음 절편을 실란 처리된 유리 슬라이드에 장착하였다. 인테그린 베타 4 면역염색을 단클론성 항-인테그린 베타 4 항체(Chemicon)를 사용하여 냉동 피부 절편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고 AlexaFluor488(Life Technologies)에 의해 가시화하였다. 핵을 프로피듐 아이오다이드로 대조염색하였다. 면역염색을 수동으로 수행하였고 영상 분석을 통해 반정량화하였다.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 4에 대한 현미경 관찰을 카메라(Olympus)로 영상화하고 CellSens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모낭의 상이한 영역을 다음과 같은 관심 영역을 정의하여 연구하였다: 진피-표피 접합부, 누두(Infundibulum), 상부 뿌리 덮개, 돌출부, 하부 뿌리 덮개 및 구근. 이러한 영역 각각에서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 4를 정량화하였다.
본 명세서의 결과는 기본 대조군에 대한 모낭 영역의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 4의 증가 백분율이다.
[표 5]
기본 대조군에 대한 모낭의 다양한 영역에서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 4의 증가 백분율 (* p<0.05, ** p<0.01, *** p<0.001, **** p<0.0001)
본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모낭을 따라 콜라겐 XVII 및 인테그린 베타 4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모발 고정력을 자극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8
속눈썹용 마스카라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마스카라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 A의 성분을 85℃로 가열하면서 교반 하에서 혼합한 후, 상 B 성분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 D 성분을 첨가하였다.
상 E의 성분을 90℃에서 가열하면서 혼합하였다. 상 A 내지 D의 혼합물에 상 E를 천천히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마지막으로 F 상을 첨가하였다.
[표 6]
실시예 9
속눈썹용 세럼
상 A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였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상 B의 성분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상 C의 성분으로 중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성분 D를 첨가하였다.
[표 7]
실시예 10
백인 여성 지원자에서 장기간 도포 후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의 속눈썹 길이 증가의 평가를 위한 생체내 연구.
본 연구는 56일 동안 수행되었다. 지원자의 패널은 25세 내지 50세의 백인 여성 지원자 3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모든 개인은 한쪽 속눈썹에 실시예 9의 활성 세럼 및 실시예 8의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다른 한쪽에 위약 세럼 및 마스카라(동일한 제형을 갖지만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이 없음)를 도포하여 반-안면 설계로 활성 생성물 및 위약 생성물을 도포하였다. 56일 동안 아침 및 저녁에 속눈썹 뿌리 부분에 세럼을 도포하고, 마스카라는 아침에만 도포하였다. 처리 기간 동안 모든 지원자는 아침에 도포한 세럼 및 마스카라를 제거하기 위해 밤에만 Beiesdorf의 클렌저 제품인 Eucerin® DermatoCLEAN을 사용하였고 그 다음 밤에는 세럼을 도포하였다. 대상체는 그들 자신의 기준이 되었고, 56일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점에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활성 제형으로 얻은 결과를 위약 제형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속눈썹 길이를 측정하여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생성물 사용 전 및 56일 후에 소프트웨어 CameraScan(Orion Concept)을 사용하여 얼굴 20°에서 측면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사진은 눈꺼풀의 속눈썹이 흰 반점 위에 놓이도록 눈을 감고 촬영하였다. 획득은 평행 편광에서 촬영되었으며 영상은 Image J(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영상화된 속눈썹을 5개의 섹션으로 나누고 각각의 섹션의 가장 긴 속눈썹을 선택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
생성물 도포 56일 후 평균 속눈썹 길이 증가. 초기 시간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 초기 시간에 대해서 페어링되지 않은 스튜던트 t 검정을 사용하여 계산 p<0.05.
결과는 본 발명의 세럼 및 마스카라를 적용한 지 56일 후에 초기 시간에 비해 속눈썹 평균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입증한다. 또한, 속눈썹 길이의 증가는 위약 제형보다 활성 제형에서 더 높다.
실시예 12
백인 여성 지원자에서 장기간 도포 후 미로탐누스 추출물의 눈썹 밀도 개선의 평가를 위한 생체내 연구.
본 연구는 56일 동안 수행되었다. 지원자의 패널은 25세 내지 50세의 백인 여성 지원자 28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모든 개인은 실시예 9의 활성 세럼 및 위약 세럼(미로탐누스 종을 제외하고 동일한 성분을 가짐)을 반-안면 설계로 적용하였다 56일의 연구 동안 하루에 2회(아침 및 밤) 눈썹에 세럼을 도포하였다. 또한, 치료 기간 동안 모든 지원자는 아침에 도포한 세럼을 제거하기 위해 밤에만 Beiesdorf의 클렌저 제품인 Eucerin® DermatoCLEAN을 사용하였고 그 다음 밤에 세럼을 도포하였다. 대상체들은 그들 자신의 기준이 되었고, 56일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점에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활성 세럼으로 얻은 결과를 위약 세럼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조성물의 효능을 눈썹 밀도 측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생성물 사용 전 및 56일 후에 소프트웨어 CameraScan(Orion Concept)을 사용하여 얼굴 35°에서 측면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얻은 영상을 Image J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눈썹 영역을 선택하여 이진 그림으로 변환하였다. 흰색 픽셀을 계수하여 다음 결과를 나타낸다:
[표 9]
생성물 도포 56일 후 평균 눈썹 밀도 증가. 초기 시간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ls 초기 시간에 대해서 페어링되지 않은 스튜던트 t 검정을 사용하여 계산 p<0.1.
결과는 본 발명의 세럼 적용 56일 후, 초기 시점에 비교하여 눈썹 밀도의 증가가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13
백인 여성 지원자에서 장기간 도포 후 속눈썹 곡률 각도의 평가를 위한 생체내 연구.
본 연구는 56일 동안 수행되었다. 25세 내지 50세의 백인 여성 지원자 31명으로 구성된 지원자의 패널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의 모든 개인은 한쪽의 속눈썹에 활성 세럼 및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다른 한쪽에 위약 세럼 및 마스카라를 도포하여 반-안면 설계로 활성 생성물 및 위약 생성물을 도포하였다. 56일 동안 아침에 1회, 밤에 1회 속눈썹 뿌리에 세럼을 도포하고; 마스카라는 아침에만 도포하였다. 처리 기간 동안 모든 지원자는 아침에 도포한 세럼 및 마스카라를 제거하기 위해 밤에만 클렌저 제품(Beiesdorf의 Eucerin® DermatoCLEAN)을 사용하였고 그 다음 밤에는 세럼을 도포하였다. 활성 마스카라 및 세럼은 각각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 기재되어 있다. 위약 마스카라 및 세럼은 미로탐누스 종 추출물을 제외하고 활성 마스카라 및 세럼과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였다. 대상체들은 그들 자신의 기준이 되었고, 56일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점에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속눈썹 곡률 각도의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 x일 동안 생성물을 사용한 후 모든 지원자의 매개변수 평균
: 기준선에서 모든 지원자의 매개변수 평균
속눈썹 곡률의 감소는 유익한 효과로 간주된다.
생성물 사용 전(초기 시간) 및 56일 후에 소프트웨어 CameraScan(Orion Concept)을 사용하여 얼굴 90°에서 측면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획득은 평행 편광에서 촬영되었으며 영상은 Image J(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상의 가장 위쪽에 있는 속눈썹을 선택하고, 속눈썹의 중간 지점에서 곡률 각도를 측정하였다.
[표 10]
생성물 도포 56일 후 평균 속눈썹의 곡률 각도 변화. 초기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 *** 시간에 대해서 페어링되지 않은 스튜던트 t 검정을 사용하여 계산 p<0.001.
결과는 본 발명의 세럼 및 마스카라 도포 56일 후 초기 시간에 비해 속눈썹의 평균 곡률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입증한다.
실시예 14
속눈썹 및 눈썹 탈모의 평가를 위한 생체내 연구
본 연구는 28일 동안 수행되었다. 25세 내지 50세의 31명의 백인 여성 지원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연구의 모든 개인은 반-안면 설계로 활성 생성물과 위약 생성물을 도포하였다. 속눈썹의 경우 한쪽 속눈썹에는 활성 세럼 및 마스카라를 도포하고, 다른 한쪽에는 위약 세럼 및 마스카라를 도포한다. 28일 동안 아침에 1회, 밤에 1회 속눈썹 뿌리에 세럼을 도포하고, 마스카라는 아침에만 1회 도포하였다. 눈썹을 활성 및 위약 반쪽 설계와 동일한 패턴을 사용하여 세럼으로 처리하였다. 28일 동안 아침 및 저녁에 눈썹에 세럼을 도포하였다. 처리 기간 동안 모든 지원자는 아침에 도포한 세럼 및 마스카라를 제거하기 위해 밤에만 클렌저 제품을 사용하였고 그 다음 밤에는 세럼을 도포하였다. 활성 세럼 및 마스카라는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 기재되어 있다. 활성 제형으로 얻은 결과를 위약 제형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조성물의 효능을 속눈썹 및 눈썹에서 손실된 총 모발 수로 평가하였다.
속눈썹 및 눈썹 손실을 매일 계수하고, 활성 생성물 및 위약 생성물에 대해 손실된 모발 수를 계수하기 위해 각각의 눈썹 및 속눈썹을 별도로 클렌징하였다. 표 11의 결과는 모든 지원자들의 각각의 조건 및 위치에 따른 손실된 모발 수의 총합에 해당한다.
[표 11]
이 결과는 본 발명의 세럼 및 마스카라 도포 28일 후에 위약과 비교하여 활성 처리제를 도포한 경우 손실된 속눈썹 및 눈썹 모발의 수가 감소함을 입증한다.

Claims (72)

  1.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Myrothamnus sp.)의 식물 추출물의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
  2. 속눈썹 모발의 길이 연장을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
  3. 눈썹 모발 밀도의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
  4. 모발 고정력(anchorage) 증가를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의 미용적, 비치료적 용도.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은 속눈썹 또는 눈썹의 모발인, 미용적, 비치료적.
  6. 미로탐누스 종의 적어도 하나의 식물 추출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또는 탈모 예방 및/또는 모발 굵기 증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은 속눈썹 또는 눈썹 모발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속눈썹 모발의 길이 연장 방법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눈썹 모발의 밀도 증가 방법인,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발 고정력 증가 방법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종의 지상 부분으로부터 얻어지는, 용도 또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Myrothamnus flabellifolia) 종의 식물 추출물인, 용도 또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5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고체/액체 추출로 얻어지는, 용도 또는 방법.
  14. 제13항의 용도 또는 제13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용도 또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리아닌 및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및 트레할로스;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아르부틴을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18. 제17항의 용도 또는 제17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용도 또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국소 도포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모발을 갖는 피부를 접촉시킴으로써 투여되는, 용도 또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속눈썹 라인 및/또는 눈썹, 바람직하게는 속눈썹 라인에 대한 도포에 의해서 투여되는, 용도 또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모낭 모유두 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각질형성 세포 및/또는 모발 형성을 위한 연관된 케라틴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모낭에서 혈류를 증가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모낭에서 XVII 콜라겐 및 α6β4 인테그린의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모발 성장이 촉진되고/되거나 모발 굵기가 증가되고/되거나 탈모가 예방되는, 용도 또는 방법.
  2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인, 용도 또는 방법.
  23. 제22항의 용도 또는 제22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수 혼화성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존재하는, 용도 또는 방법.
  24. 제23항의 용도 또는 제23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유기 수 혼화성 용매는 폴리올, 예를 들어,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 또는 글리세린인, 용도 또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의 용도 또는 제23항 또는 제24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수성 추출물 및 상기 유기 혼화성 용매는 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1:10의 비율로 존재하는, 용도 또는 방법.
  26.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성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로 존재하는, 용도 또는 방법.
  27. 제26항의 용도 또는 제26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미용 조성물은 로션, 샴푸, 세럼 또는 마스카라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또는 방법.
  28. 제27항의 용도 또는 제27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눈썹 또는 속눈썹용 세럼, 또는 속눈썹용 마스카라 조성물의 형태인, 용도 또는 방법.
  29. 제28항의 용도 또는 제28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농도는 약 0.5 내지 약 5% (w/w)인, 용도 또는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도 또는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성분은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펩타이드, 지방산, 항산화제, 항염증제, 다크닝제(darkening agent)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또는 방법.
  31.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물질을 아임계수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은,
    i) 상기 미로탐누스 종으로부터의 식물 물질을 적어도 120℃, 또는 약 120 내지 220℃의 온도 및 물을 적어도 10분의 기간 동안 액체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온도 압력에서 아임계수과 접촉시켜 수성 식물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 상기 식물 물질을 상기 수성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물질은 상기 식물의 줄기 및/또는 잎을 포함하는,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물질은 추출 이전에 건조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식물 물질의 중량 대 물의 부피의 비율은 1:10 내지 1:40 g/mL인, 방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는 약 140℃ 내지 약 160℃인, 방법.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식물 추출물을 수 혼화성 유기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수 혼화성 유기 용매는 폴리올이고, 예를 들어,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 또는 글리세린인, 방법.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식물 추출물: 수 혼화성 유기 용매의 농도는 1:1 내지 1:10의 중량비인, 방법.
  39.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수성 식물 추출물.
  40. 제39항에 있어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성 식물 추출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성 식물 추출물.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의 각각의 하나의 농도는 적어도 0.05 ppm인, 수성 식물 추출물.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성 식물 추출물 및 수 혼화성 유기 용매 및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수 혼화성 유기 용매는 폴리올이고, 예를 들어,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 또는 글리세린인, 조성물.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46.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성 식물 추출물, 또는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성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47. 제46항에 있어서, 약 0.01 내지 20 wt.% 또는 약 0.1 내지 5 wt.%, 또는 약 0.5 내지 4 wt.% 또는 약 1 내지 3 wt.% 양의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성분은 계면활성제, 모발 컨디셔닝제, 진정제(emollient), 유화제, 습윤제, 레올로지 개질제, 비타민, 모발 성장 촉진제, 비듬 방지제(anti-dandruff agent), 보습제, 모발 고정제, 모발 염색제, 산화제, 염모제, 모발 착색제(hair bleaching agent),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조성물.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 조성물은 크림, 다중 에멀젼, 용액, 액정, 무수 조성물, 수성 분산액, 오일, 밀크제, 방향성 연고(balsam), 폼(foam), 로션, 겔, 크림 겔, 하이드로알코올계 용액, 하이드로글리콜계 용액, 하이드로겔, 도찰제(liniment), 비누, 샴푸, 컨디셔너, 세럼, 다당류 필름, 연고, 무스, 포마드, 분말, 바(bar), 펜슬,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인, 미용 조성물.
  50. 미로탐누스 종의 식물 추출물, 적어도 하나의 왁스;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1. 제50항에 있어서, 액상 및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올로지 개질제는 증점제 및/또는 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왁스는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겨 왁스,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 왁스 및 쉘락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스카라 조성물.
  55.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는 금속 산화물인, 마스카라 조성물.
  56. 제5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 글리세롤 및/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암포아세테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7. 제53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중합된 가교된 단독중합체 및 미생물 다당류, 특히 디우탄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8. 제53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중합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다이메티콘검 및 폴리우레탄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9. 제50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종의 지상 부분으로부터 얻은, 마스카라 조성물.
  60. 제50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로탐누스 플라벨리폴리아 종의 식물 추출물인, 마스카라 조성물.
  61. 제50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고체/액체 추출로 얻은, 마스카라 조성물.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아임계수를 사용하여 얻은, 마스카라 조성물.
  63. 제5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리아닌 및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및 트레할로스;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아르부틴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4. 제5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및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및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및 나린제닌;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및 피세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및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또는 미??리아닌, 캠페롤-3-O-글루쿠로나이드, 트레할로스, 루테올린-7-O-글루쿠로나이드,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5. 제5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이소람네틴-3-O-글루코사이드, 나린제닌, 피세이드, 코니페르알데하이드 및 나린제닌-7-O-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7. 제50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수성 식물 추출물인, 마스카라 조성물.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식물 추출물인, 마스카라 조성물.
  69. 제50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수 혼화성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존재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수 혼화성 용매는 폴리올, 예를 들어, C2-C10 지방족 하이드로카르빌 다이올 또는 글리세린인, 마스카라 조성물.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식물 추출물 및 상기 유기 혼화성 용매는 중량 기준으로 1:1 내지 1:10의 비율로 존재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72.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존재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20247010731A 2021-09-03 2022-08-23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KR20240057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382795.9 2021-09-03
EP21382795 2021-09-03
PCT/IB2022/057886 WO2023031730A1 (en) 2021-09-03 2022-08-23 Use of an extract of myrothamnus sp for promoting hair grow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426A true KR20240057426A (ko) 2024-05-02

Family

ID=7792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731A KR20240057426A (ko) 2021-09-03 2022-08-23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57426A (ko)
CN (1) CN117881408A (ko)
AU (1) AU2022338299A1 (ko)
WO (1) WO20230317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8053A (en) 1952-09-03 1957-07-02 Goodrich Co B F Carboxylic polymers
US3657175A (en) 1969-06-26 1972-04-18 Standard Brands Chem Ind Inc Carboxylic acid latices providing unique thickening and dispersing agents
US4202363A (en) 1978-10-10 1980-05-13 American Ecosystems, Inc. Umbrella type collapsible shelter
US4384096A (en) 1979-08-27 1983-05-17 The Dow Chemical Company Liquid emulsion polymers useful as pH responsive thickeners for aqueous systems
US4509949A (en) 1983-06-13 1985-04-09 The B. F. Goodrich Company Water thickening agents consisting of copolymers of crosslinked acrylic acids and esters
US4464524A (en) 1983-07-26 1984-08-07 The Sherwin-Williams Company Polymeric thickeners and coatings containing same
US4586214A (en) 1983-12-08 1986-05-06 Shop Vac Corporation Compact vacuum cleaner
US4801671A (en) 1987-06-25 1989-01-31 Desoto, Inc. Production of alkali-soluble, carboxyl-functional aqueous emulsion thickeners
US5087445A (en) 1989-09-08 1992-02-11 Richardson-Vicks, Inc. Photoprotection compositions having reduced dermal irritation
US5292843A (en) 1992-05-29 1994-03-0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olymers containing macromonomers
US5288814A (en) 1992-08-26 1994-02-22 The B. F. Goodrich Company Easy to disperse polycarboxylic acid thickeners
US7378479B2 (en) 2002-09-13 2008-05-27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Multi-purpose polymers, methods and compositions
US7205271B2 (en) 2004-10-14 2007-04-17 Isp Investments Inc. Rheology modifier/hair styling resin
KR101305698B1 (ko) 2011-03-29 2013-09-0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부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R2978536B1 (fr) 2011-07-25 2013-08-23 Valeo Systemes Thermiques Bouteille reservoir de fluide refrigerant et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e telle bouteille
FR2997853B1 (fr) * 2012-11-09 2016-11-04 Oreal Utilisation d'extrait de myrothamnus flabellifolia et de rhamnose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US8962041B2 (en) 2013-02-12 2015-02-2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hair quality using blackberry extract
US20170049689A1 (en) 2015-08-21 2017-02-23 Gratia Mundi Gmbh Active combination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hair growth
US11045444B2 (en) 2016-06-30 2021-06-29 Plume Cosmetic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eyelash and eyebrow growth exclusively containing naturally sourced ingredients
WO2019032555A1 (en) * 2017-08-07 2019-02-14 Mary Kay Inc. TOPICAL SKI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ERITREA OR SKIN INFLAMMATION
CN111936118A (zh) * 2018-01-29 2020-11-13 玫琳凯有限公司 局部用组合物
CN110664727A (zh) * 2019-10-11 2020-01-10 陈荣友 一种祛寒养发精华液的配方
CN111228168A (zh) * 2020-01-15 2020-06-05 拉芳家化股份有限公司 一种含修复发丝的水光滋养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1730A1 (en) 2023-03-09
AU2022338299A1 (en) 2024-03-14
CN117881408A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45384B2 (en) Extract of Anigozanthos flavidus for cosmetic use
WO2021017846A1 (zh) 增强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KR101894229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KR101885501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JP2020529420A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CN108883055B (zh) 非洲楝提取物的美容用途
KR20210084454A (ko) 균류 이노노투스 오블리쿠우스 추출물의 신규한 미용 및 피부과 용도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KR102588031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 추출물의 용도
US6193975B1 (en) Use of potentilla erecta extract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KR20210105880A (ko) 시스투스 몬스펠리엔시스 추출물의 신규한 미용 및 피부과 용도
RU2197945C2 (ru) ПРИМЕНЕН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ЭКСТРАКТА РАСТЕНИЯ ИЗ РОДА Chrysanthemum ДЛЯ СТИМУЛЯЦИИ ПИГМЕНТАЦИИ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JP7174736B2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CN113171318A (zh) 一种具有保湿美白舒缓修复的冻干粉制剂及制备方法
KR20110041998A (ko) 화장품 활성 제제로서 난초과 반다 코에룰렐라
TW201420127A (zh) 白花蝴蝶蘭分生組織的萃取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KR20090130066A (ko)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베르노니아 아펜디쿨라타 추출물의 용도
KR102450862B1 (ko) 천궁, 작약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9437A (ko)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KR20240057426A (ko)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미로탐누스 종의 추출물의 용도
KR102382002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4206310A (zh) 柳兰提取物的新型化妆品用途
WO2021111096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extraits de kigélia et de capucine
JP2024513121A (ja) 皮膚の処置及び/又はケアのために有用なトウネズミモチ抽出物
KR20220017106A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미백활성이 개선된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