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437A -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437A
KR20210019437A KR1020207035440A KR20207035440A KR20210019437A KR 20210019437 A KR20210019437 A KR 20210019437A KR 1020207035440 A KR1020207035440 A KR 1020207035440A KR 20207035440 A KR20207035440 A KR 20207035440A KR 20210019437 A KR20210019437 A KR 2021001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sebum
bixa orella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꼴라 베르뗄미
루이 다누
필리쁘 모제
사뱅 팽
니꼴라 펠띠에
Original Assignee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1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4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5Containing agglomerated particu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8Preparations for oily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unaesthetic)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및/또는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피부, 유리하게는 두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병리학적 과다지루(hyperseborrhoea) 및 지루성 습진(seborrhoeic eczema)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피지 과다생성과 연관된 병리학적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본 발명은, 특히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특히 피부학적 조성물에서,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인(unaesthetic),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지는 피부의 피지샘에 의해 생성되며, 지질, 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30% 내지 50%), 유리 지방산(15% 내지 30%), 왁스 에스테르(26% 내지 30%) 및 스쿠알렌(12% 내지 20%)의 복합 혼합물로 구성된다.
피지샘은 피부에 위치하여, 모낭과 함께 털피지샘 단위(pilosebaceous unit)를 형성한다. 이들 피지샘은 두피 및 얼굴에 더 많이 존재하여, 1 cm²당 400 내지 900개 이하의 샘에 달한다. 피지샘의 주된 기능은 성숙한 피지세포로부터의 피지 분비이다. 이러한 분비는 온분비(holocrine) 유형이며, 즉, 모낭관(follicular duct)에서 피지를 배출하는 경우, 피지세포는 사멸한다. 주변(peripheral) 피지세포는 증식한 다음, 샘의 중심부에서 성숙한 피지세포로 분화하고, 이러한 성숙한 피지세포는 고밀도의 세포질 지질 액적을 특징으로 한다. 피지샘에서의 완전한 피지세포 재생은 대략 4주 지속된다.
피지 생성은 양호한 피부 상태 및 기능에 필수적이다. 피지는 특히, 산성화에 의해 피부를 건조로부터 그리고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고, 피부의 탄력(suppleness)을 보존하고자 한다. 항균 및 페로몬 수송 역할은 피지에 기인하며, 또한 항산화 역할은 특히 비타민 E 생성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너무 낮은 피지 생성 수준은 건조하고 더 취약한 피부의 발생, 및 탈모를 초래할 수 있는 모낭 기능의 상실을 초래한다.
피지 분비가 피부 보호 기능으로 유용하긴 하지만, 피지 분비가 과도한 경우, 예를 들어 종종 피부의 번들거리는, 두터운, 기름진 것으로 기재되는 외양, 모공 확장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 각화항진(hyperkeratinization)과 같은 결함을 피부에 부여하며, 이들은 모두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것으로 종종 인식되는 징후이다. 이들 징후는 "지성 피부"로 지칭되는 피부를 특징으로 한다.
분비되는 피지의 양 및 질은 피부 유형, 예를 들어 백인, 아시아인 및 아프리카인에 따라 다양하지만; 지성 피부 현상은 세계적으로 80%의 개체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 다민족적인 미용 문제를 이룬다.
게다가, 이러한 지루(seborrhoea)는 신생아의 지루성 습진, 및/또는 과다분비와 같은 실제적인 병리학적 질환(흔히 "유아지방관(cradle cap)"이라고 함)에 대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지성 피부의 주된 기원이 피지세포 과다활동이긴 하지만, 피지샘에 의한 과도한 피지 분비 및 배출과 더불어, 다수의 내인성 인자(연령, 호르몬, 스트레스 등) 및/또는 외인성 인자(온도, 습도, 공격적 작용제, 예컨대 오염원 등)가 분비되는 피지의 질 및/또는 양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사춘기 동안 생성되는 안드로겐 호르몬 및 잉여의 성장 인자는 지성 피부의 발달에 관여하는 주된 인자이다. 더욱이, 잉여의 성장 인자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유형 1(IGF1)이 한편으로는, 피지 과잉생성을 초래하는 피지세포 과다증식과 연관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따라서 각화항진 및 두터워진 피부를 초래하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과다증식 및 분화와 연관이 있다.
미용적 및 피부학적 분야에서 피지 분비를 직접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활성제가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아젤라산, 사르코신 및/또는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 추출물과 같은 이들 "피지-조절" 작용제는 피지샘에 의한 피지 생성을 직접 감소시킨다. 다른 작용제는 또한, 피지 분비에서 이들의 간접 작용, 특히 피지 흡수에 의한 각질 제거(exfoliating), 세포 재생-자극, 아스트린젠트 및/또는 매트화(matifying) 작용제에 사용된다.
그러나, 반동 효과 또는 임의의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피부 광채의 임의의 상실 없이, 가시적이면서도 장기간 지속적으로 피지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피부 보습을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활성제에 대한 지속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 예컨대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 기름진 외양, 피부의 모공 가시성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각화항진, 특히 피부의 두터운 외양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활성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활성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되는 신규한 피지 분비-억제제에 의해 이들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실상 특히 놀랍게도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모든 이들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사실상, 특히 IGF-1의 활성을 억제하고/하거나 IGF-1 활성의 억제제인 IGBP3 단백질(IGF1 결합 단백질 3)의 합성을 자극함으로써, 두피를 포함한 피부의 피지세포에 의한 피지, 특히 총 지질 및/또는 중성 지질의 분비를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지세포 증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반동 효과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가시적이면서 또한 장기간-지속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또한, 보습 및 피부 광채를 보존하는 이점을 가진다.
IGF1 활성을 직접 억제하고/하거나 IGBP3 단백질(IGF1 결합 단백질 3)의 합성을 자극함으로써,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 예컨대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리거나 기름진 외양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각질형성세포 증식 및 분화를 제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의 각화항진을 감소시키므로 피부의 두터운 외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 의한 유형 IV 콜라겐의 합성 및/또는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피부의 모공을 수축시키고/시키거나 확장된 모공의 수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피부 모공 확장 및/또는 피부 모공 가시성을 예방하고/하거나 블랙헤드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피부결(skin grain)이 정돈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지세포의 분비 활성을 완전히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감소시켜, 피부 및/또는 모발의 항상성에 필수적인 최소 수준의 피지 분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를 건조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이의 완전한 작용 및 이들 부가적인 활성에 의해, 그리고 화장품 시장에서 소정의 제품의 단점이 없어, 피지 분비 및 이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억제하는 우수한 작용제이다. 그러므로, 상기 추출물은 중성, 지성, 극지성 및/또는 혼합형 피부 및/또는 중성 및/또는 지성 모발의 치료 및/또는 미용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마찬가지로, 그러므로, 이는 백인, 아시아인 및/또는 아프리카인 피부 및/또는 백인, 아시아인 및/또는 아프리카인 모발의 치료 및/또는 미용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빅사 오렐라나는 빅사케아에(Bixaceae) 과(family)에 속하는 빅사(Bixa) 속(genus)에 속하는 관목이다. 이는 흔히 "로우코우(roucou)" 또는 립스틱 나무(lipstick tree)로 알려져 있다. 이 관목의 추출물은 미용 적용에서 미백 효과에 대해 이미 기재되었다(JP08012563). 종자의 기름진 추출물은 또한, 광보호제(photoprotective agent)(FR2555447) 및 보습제(FR2798591)로서 기재되었다.
그렇지만, 이 추출물의 알려진 특성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피지 분비 및/또는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인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제한하는 데 있어서 이의 효과를 내포하지 않았다.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피지세포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장기간 장기-지속되는 효과로 작용하는 이점을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다량의 피지 생성과 연관된 피부 결함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모공 가시성을 감소시키며, 특히 모공 크기를 감소시키고 피부결을 더욱 균일하고 매끄럽게 만듦으로써 피부결을 정돈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이들 특성 중 일부는 특히, 이하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더 상세하게 실증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제는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특히 피부 모공 가시성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리거나 기름진 외양 및/또는 피부의 두터운 외양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피지 과다생성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병리학적 질환, 특히 병리학적 과다지루(hyperseborrhoea), 신생아의 지루성 습진 및/또는 과다분비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 특히 피부학적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피지 조절제로부터 선택되는, 바람직하게는 사르코신, 아연 살리실레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아젤라산,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 추출물 및/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제, 및/또는 각질 제거, 보습 또는 각질 용해 작용제로부터 선택되는 부가적인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제, 피브로넥틴 합성을 자극하고,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2)를 보호하고, 섬유아세포 성장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항균제, 피지 흡수제, 면포용해제(comedolytic agent), 국소 항생제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과 조합하여 포함하는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특히 피부학적 조성물의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특히 피부 모공 가시성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나 기름진 외양 및/또는 피부의 두터운 외양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이러한 미용 조성물의 용도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피부 모공 가시성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리거나 기름진 외양 및/또는 피부의 두터운 외양을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을 피부, 유리하게는 두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특히 매일,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및/또는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바람직하게는 미용 조성물 형태의,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제는 피지 분비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이다.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라는 표현은, 두피를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 유리하게는 피지의 총 지질 및/또는 중성 지질, 특히 스쿠알렌의 양의 증가를 저하시키거나 예방하고/하거나 두피를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세포 증식을 저하시키거나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한다.
피지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피지의 양은, 배양물 중 피지세포에서 생성된 세포성 지질의 양을 문헌[Greenspan P et al. (Nile red: a selective fluorescent stain for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J Cell Biol. 100(3):965-73, (198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나일 레드 염색으로 검정함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분비되는 피지의 양은 또한, 종래의 방법에 따라 샘플, 예컨대 Sebutape™ 패치 상에서 피지 분비 샘플의 임상 및 기기 분석에 의해 및/또는 해당 피부 영역에 피지측정기, 바람직하게는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사에 의해 판매되는 Sebumeter™ 장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SM815 모델의 적용에 의해 생체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실시예 2에서 실증된 바와 같이, 추출물의 부재 하에서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분비되는 피지의 양을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피부에서 피지세포 증식은 Daxhelet 등(Spectrofluorometry of dyes with DNAs of different base composition and conformation; Analytical Biochemistry Volume 179, Issue 2, June 1989, Pages 401-403 Analytical Biochemistry 179:401-403 (1989))에 의해 기재되고 실시예 2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DNA를 회흐스트(Hoechst) 시약으로 염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존재 하에 피지세포를 카운팅하여 평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2에서 실증된 바와 같이, 추출물의 부재 하에서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지세포 증식을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라는 표현은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리거나 기름진 외양, 피부 모공 가시성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피부의 두터운 외양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는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나 기름진 외양, 블랙헤드 형성 및 피부의 두터운 외양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피부 모공 가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라는 표현은 피부의 모공을 수축시키는 것, 즉, 피부 표면에서 모공 개구부의 직경, 및/또는 모공의 밀도 및/또는 면적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피부 모공 확장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 표면에서 모공의 개구부 및/또는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피부 모공 가시성은 특히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 후 예정된 영역 상에서 피부과 의사에 의한 "채점"으로 지칭되는 평가에 의해 생체 내에서 실증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용 전후로 촬영된 지원자의 얼굴의 고해상도 사진으로부터 교차-편광 구성(cross-polarized configuration)에서 특정 매개변수를 추출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객관적인 기기 분석법에 의해 실증될 수 있다.
피부 모공의 밀도는 또한, 곡률로 지칭되는 매개변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미징, 특히 프린지 투영 기법(fringe projection technique)에 의해 생체 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 오렐라나(B. orellana)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비. 오렐라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a)에 기재된 조건 하에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용 조성물 형태로 제형화된 크림을 28일간 적용한 후, 피부 모공 가시성을 적어도 10%만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만큼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피부의 두터운 외양"은 피부의 각화항진을 의미하고자 한다. 피부의 각화항진의 저하는 특히 실시예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배양물 내 정상적인 인간 각질형성세포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존재 하에 IGF1-BP3 단백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존재 하에 합성된 IGF1-BP3 단백질의 양을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만큼 증가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극지성 피부"는 평가될 피부 영역에 직접 적용된 피지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index)가 1 cm2 당 피지 150 마이크로그램 이상인 피부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중성 피부"는 평가될 피부 영역에 직접 적용된 피지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엄격하게는 1 cm2 당 피지 120 마이크로그램 미만, 바람직하게는 1 cm2 당 피지 100 마이크로그램 이상인 피부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지성 또는 지루성 피부"는 평가될 피부 영역에 직접 적용된 피지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1 cm2 당 피지 120 내지 149 마이크로그램 범위인 피부를 의미하고자 한다.
표현 "혼합형 피부"는 고려 중인 얼굴 영역, 특히 T 존의 지성 피부 및 얼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중건성 피부의 함수로서 몇몇 프로파일(지성, 극지성, 및/또는 중성 프로파일)을 가진 피부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중성 모발"은 평가될 두피 영역에 직접 적용된 피지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1 cm2 당 피지 100 마이크로그램 이하인 두피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현 "지성 모발"은 평가될 두피 영역에 직접 적용된 피지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엄격하게는 1 cm2 당 피지 100 마이크로그램 초과인 두피를 의미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표현 "피지측정기 장치"는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사에 의해 판매되는 Sebumeter™ 장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SM815 모델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표현 "미용적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모발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비-치료적, 비-약제학적 용도, 특히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 및/또는 "건강한" 것으로 지칭되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영역에 대해, 특히 "건강한" 피부의 영역 및/또는 "건강한" 두피의 영역에 대해 의도되는 용도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일부, 및/또는 "건강한" 것으로 지칭되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영역"은 피부과 의사에 의해 비-병리학적으로 지칭되는, 즉, 피부의 임의의 감염, 염증, 흉터, 질병 또는 병, 예컨대 모낭염, 칸디다증, 건선, 어린선(ichthyosis), 멜라닌생성과 관련된 병리학적 질환, 예컨대 백반, 습진, 여드름, 광선 각화증(actinic keratosis), 암종, 흑색종, 종기(boil) 또는 피부염, 특히 지루성 피부염, 탈모 또는 상처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일부, 및/또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영역을 의미하고자 한다. 특히, 표현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일부" 및/또는 ""건강한" 것으로 지칭되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영역"은 의사, 특히 피부과 의사에 의해 "중성"으로 지칭되는, 즉, "정상적인" 세포, 즉, 비-병리학적,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암성 세포로 구성된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일부, 및/또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의 영역을 의미하고자 한다.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중성" 피부, "정상적인" 세포, "정상적인" 각질형성세포, "정상적인" 피지세포는 질병에 걸리지 않은 피부 또는 세포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이다. 이러한 추출물은 전체 식물 또는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부터, 특히 뿌리, 줄기, 껍질, 꽃, 종자, 배아 및/또는 잎,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빅사 오렐라나 종자 추출물이다.
추출물은 침연(maceration), 고온 달임(hot decoction)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추출 방법에 의해, 혼합기를 사용한 초음파 밀링(milling)을 포함한 밀링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추출물은 아임계(subcritical) 또는 초임계(supercritical) 조건(이산화탄소) 하에 수(water) 중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은 침연에 의해 수행된다.
추출은 물질(matter)과 추출 용매의 총 중량에 비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 유리하게는 1 중량% 내지 20 중량%, 매우 유리하게는 5 중량% 내지 1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0 중량% 내지 15 중량%, 더욱 더 유리하게는 대략 10 중량%의 양으로 건조한 또는 신선한 물질, 유리하게는 건조한 물질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출은 4℃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추출은 6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범위의 온도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80℃의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다.
하나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추출은 4℃ 내지 20℃ 범위의 온도에서, 더욱 유리하게는 주위 온도에서, 즉, 대략 20℃에서 수행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추출은 아임계 조건 하에, 100℃ 내지 300℃, 유리하게는 120℃ 내지 250℃ 범위의 온도에서, 더욱 유리하게는 120℃에서 수 중에서 수행될 것이다. 추출은 단일의 주어진 온도 또는 연이어 증가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서, 추출은 120℃의 단일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추출은 100℃ 내지 200℃, 예컨대 120℃, 140℃ 다음 160℃, 또는 110℃, 130℃ 다음 150℃, 또는 120℃, 145℃ 다음 170℃의 3개의 증가하는 온도 구배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아임계 조건" 하에서의 추출이라는 용어는 100℃ 초과의 온도 및 221 bar 미만의 압력 조건 하에서 물의 존재 하에, 물이 액체 상태로 남아 있지만 주위 온도에서의 물의 점도 및 표면 장력보다 낮은 점도 및 표면 장력을 가져서 이의 유전율을 증가시키게 하는 추출을 의미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추출 압력은, 유리하게는 압력 추출 고압멸균기에서, 150 bar 내지 250 bar, 바람직하게는 200 bar 내지 221 bar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출은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의 기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5시간의 기간 동안, 더욱 유리하게는 1시간 내지 2시간의 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매우 유리하게는, 추출은 1시간의 기간 동안 수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99/1 내지 1/99 (w/w)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양성자성 극성 용매, 유리하게는 물, 알코올, 글리콜, 폴리올, 물/알코올, 물/글리콜 또는 물/폴리올 혼합물(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및/또는 부틸렌 글리콜 및/또는 다른 글리콜, 예컨대 자일리톨 및/또는 프로판디올 등과 혼합된 물)에서, 유리하게는 단독 용매로서 물에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표현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은, 수용액의 총 중량에 비해, 60 중량% 초과, 유리하게는 적어도 70 중량%, 특히 적어도 8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90 중량%, 특히 적어도 95 중량%의 물을 함유하며, 더욱 더 유리하게는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고 특히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만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임의의 추출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추출은 헵탄과 함께 C6-C16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될 것이다. 이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추출될 빅사 오렐라나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종자(식물/용매 비 = 1/10)를,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중에서도 디옥틸 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헥실 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추출 용매에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첨가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추출은 코코넛수(coconut water)를 포함하는 용매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빅사 오렐라나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종자(식물/용매 비 = 1/10)를 추출 용매(물/코코넛수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첨가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pH는 용매의 증발을 피하기 위해 폐쇄된 환경에서 80℃에서 1시간 동안 3 또는 4로 조정되었다. 이어서, 추출물은 냉각되고, 원심분리되고, 0.45 μm에서 여과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초임계 조건(CO2) 하에 공용매의 존재 하에서의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용매는 에탄올일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BASF에 의해 Plantacare® 1200UP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또는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Plantacare® 810 UP),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Plantacare® 810 UP)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0.5 중량% 내지 5 중량%, 유리하게는 0.5 내지 1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유리하게는 상기 농도는 1 중량%일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 단계 후 수득되는 추출물은 0.45 μm의 컷-오프 역치에서 여과될 것이다. 부가적인 탈색 및/또는 탈취 단계가 임의의 추출 단계에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법에 따라 추출물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추출물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탈색될 수 있다.
더욱이, 이어서 추출 후 수득된 추출물은 용매의 증발에 의해 농축되거나 예를 들어 동결건조 또는 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분무-건조 지지체의 존재 하에 분무-건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이어서, 추출물은 분말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종자의, 수득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수득되는 분말의 총 중량에 비해, 2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60 중량% 농도의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분무-건조될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수용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기재된 구현예 중 하나에 따라 수득된다:
-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80℃의 온도에서 1시간의 기간 동안, 용매로서 물 내에서, 용매와 물질의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의 침연에 의해 수득된다. 조(crude) 추출물을 실시예 1a)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하고, 디캔팅(decant)한 다음, 여과하고, 이어서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6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 분무-건조시켰다.
-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20℃의 온도에서 2시간의 기간 동안, 용매로서 물 내에서, 용매와 물질의 총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의 침연에 의해 수득된다. 조 추출물을 실시예 1b)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한 다음, 여과하였다.
-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20℃의 온도에서 2시간의 기간 동안, 용매로서 물 내에서, 2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의 침연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추출물은 실시예 1c)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되고, 디캔팅되고, 여과된다.
- 제4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80℃의 온도에서 1시간의 기간 동안, 에탄올:물 혼합물(80:20; v/v) 내에서, 용매와 물질의 총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의 침연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추출물은 실시예 1d)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되고, 디캔팅되고, 여과된 다음,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8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분무-건조된다.
-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서, 추출물은 80℃의 온도에서 1시간의 기간 동안, 용매로서 물 내에서, 용매와 물질의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잎의 양의 침연에 의해 수득된다. 조 추출물을 실시예 1e)에 기재된 조건 하에서,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한 다음, 여과하고, 이어서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6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 분무-건조시켰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적용을 위해 의도된 활성 성분의 형태로 단독으로 및/또는 미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국소 적용"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활성 성분 및/또는 조성물의 형태로 두피 및/또는 모발을 포함한 피부 표면에, 특히 직접 적용 또는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활성 성분 및/또는 미용 조성물은 특히, 중성, 지성, 극지성 및/또는 혼합형으로 지칭되는 피부 및/또는 중성 및/또는 지성으로 지칭되는 모발, 특히 지성, 극지성 및/또는 혼합형 피부 및/또는 지성 모발의 미용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활성 성분의 형태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용매, 특히 극성 용매, 예컨대 물, 알코올, 폴리올, 글리콜, 예컨대 펜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틸렌 글리콜 및/또는 헥실렌 글리콜 및/또는 카프릴릴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수성-글리콜성 또는 수성-알코올성 혼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을 함유하는 용매 내에서 가용성이고/이거나 희석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서, 유리하게는 수용액의 총 중량에 비해, 적어도 10 중량%의 글리세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더욱 유리하게는 17.5 중량%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용액 내에서 가용성이고/이거나 용해된다.
대안적으로, 수득된 추출물은 카프릴릴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용액, 특히 수용액의 총 중량에 비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희석되고/되거나 가용성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국소적으로 허용 가능한 화합물 및/또는 용매, 즉, 인간 두피를 포함한 피부와 접촉 시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지 않고, 무독성이고, 불안정하지 않은 화합물 및/또는 용매 또는 이들의 등가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미용 조성물"은 비-치료적 조성물, 즉, 피부과 의사에 의해 "중성"으로 지칭되는, 즉, 비-병리학적인 두피를 포함한 피부의 예방 및/또는 관리를 위한 의도되는 조성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용어 "중성" 피부 또는 두피는 본원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건강한 피부 또는 두피를 의미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1Х10-4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Х10-4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Х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미용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두피를 포함한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생약 형태,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형태, 또는 심지어 가압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이들 미용 조성물은, 특히 포트 또는 튜브 내에서의 특히 수성 또는 유성 용액, 크림 또는 수성 젤 또는 유성 젤의 형태, 특히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 또는 계량 병(measuring bottle) 또는 에어로졸 또는 스프레이, 바이얼 내에서의 특히 샤워 젤, 샴푸, 컨디셔너, 밀크, 오일, 에멀션, 하이드로겔, 마이크로에멀션 또는 나노에멀션, 특히 수-중-유 또는 유-중-수 또는 다중 또는 실리콘계 에멀션, 세럼, 로션, 예를 들어 막대 형태, 특히 스틱 형태의 액체 또는 고체 비누, 페이스트, 연고, 폼, 마스크, 래커, 패치, 바람직하게는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인 무수 생성물, 또는 분말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미용 조성물은 또한, 메이크업 제품 또는 메이크업-제거 제품일 수 있다. 특히, 미용 조성물은 세럼, 로션, 크림, 샴푸, 컨디셔너, 오일, 밀크, 연고, 페이스트, 폼, 에멀션, 하이드로겔, 샤워 젤, 마스크, 래커, 스프레이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미용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림, 세럼 또는 로션이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은 지루 샘, 특히 두피를 포함한 피부를 고려하여, 중성 및 마일드(mild)로 지칭되는 조성물의 제형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바람직하게는 피부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용매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담체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다른 관심 화합물과 조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들 조성물에 대해, 부형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연화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컨디셔닝제, 매트화 작용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텍스쳐링제, 광택제, 피막제, 가용화제, 안료, 염료, 향료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들 부형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셀룰로스 중합체 및 유도체, 라놀린 유도체, 인지질,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다제, 수크로스계 안정화제,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천연 및 합성 왁스, 식물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 불검화물(unsaponifiable matter), 피토스테롤, 식물 에스테르, 실리콘 및 이의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호호바 오일(jojoba oil) 및 이의 유도체, 지용성/수용성 에스테르, 베타인, 아민 옥사이드, 식물 추출물, 사카로스(saccharose) 에스테르, 티타늄 디옥사이드, 글리신 및 파라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스(steareth)-2, 스테아레스-21, 글리콜-15 스테아릴 에테르, 세테아릴 알코올,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부틸렌 글리콜, 천연 토코페롤, 글리세린, 디하이드록시세틸 소듐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세틸 에테르,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노나노인(triisononanoin), 옥틸 코코에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라우레스(laureth)-7, 카르보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비사볼롤(bisabolol), 디메티콘,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마그네슘 설페이트, EDTA, 사이클로메티콘, 잔탄 검, 시트르산,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미네랄 왁스 및 오일,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펠라고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PEG 8, 밀랍, 수소화된 야자핵 오일로부터의 글리세라이드, 수소화된 야자유로부터의 글리세라이드, 라놀린 오일, 참기름, 세틸 락테이트, 라놀린 알코올, 피마자유, 티타늄 디옥사이드, 락토스, 사카로스,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장성 식염수 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많은 미용적 활성 성분이 피부의 건강 및/또는 신체적 외양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당업자는, 최상의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미용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합물들은 서로 조합되는 경우 상승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조합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망라된다. CTFA 화장품 성분 핸드북, 제2판(1992)은 화장품 및 약제학적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며, 특히 국소 용도에 적합한 여러 가지 미용적 및 약제학적 성분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클래스의 성분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하기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연마재(abrasive), 흡수제, 심미적 목적의 화합물, 예컨대 향료, 안료, 염료, 에센셜 오일, 아스트린젠트 등(예를 들어: 정향유, 멘톨, 캄포, 유칼립투스 오일, 유게놀, 멘틸 락테이트, 위치 하젤(witch hazel) 증류물), 항여드름제, 항응집제(anti-flocculant agent), 소포제, 항미생물제(예를 들어: 요오도프로필 부틸 카르바메이트), 항산화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팽윤제, 킬레이트제, 첨가제, 살생물제, 변성제, 증점제 및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등가물, 필름-형성 물질, 중합체, 유백제(opacifier), pH 조절제, 환원제, 탈색(depigmenting) 또는 미백 작용제(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코지산(kojic acid),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사민), 컨디셔닝제(예를 들어: 습윤제).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선택적으로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바람직하게는 피부학적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된 것들에서 단독 활성제로서, 특히 단독 피지-조절 활성제로서, 또는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 또 다른 미용적 및/또는 피부학적 피지-조절제,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MAT-XS™ Clinical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바와 같은 사르코신, 본 출원인에 의해 MAT-XS™ Bright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바와 같은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 추출물, 아연 글루코네이트, 아연 살리실레이트, 아젤라산, 및/또는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유리하게는 아연 글루코네이트와의 조합물,
및/또는
2) 각질 제거 및/또는 각질 용해 작용제, 피지-흡수제, 미생물총(microbiota)에 작용하는 작용제, 면포용해제 및/또는 보습제로부터 선택되는, 부가적인 특성을 갖는 작용제.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각질 제거 및/또는 각질 용해 작용제: 선택적으로 아카시아 단백질과 조합된 알파-하이드록시산(AHA), 특히 살리실산, 선택적으로 아몬드 단백질과 조합된 말산, 글리콜산; 락트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 피지-흡수제: 탈크(talc) 및/또는 흡수제 중합체;
- 미생물총, 특히 피부 미생물총에 작용하는 작용제:
- 특허 출원 FR2863893에 기재된 항균제, 특히 페우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추출물, 예컨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BetapurTM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추출물, 및/또는 국소 항생제, 특히 에리트로마이신 및/또는 클린다마이신 포스페이트,
- 미생물상(microbial flora)의 균형을 맞추는 작용제, 예컨대 특히 세린, 트레할로스 및 우레아와 조합되고 특허 출원 WO2014027163A2에 기재된, 본 출원인에 의해 PatcH20™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풀룰란, 소듐 알기네이트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혼합물, 및/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Relipidium™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피부 및/또는 점막 공생 미생물상을 증가시키기 위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추출물;
- 면포용해제: 레티노산 또는 이의 유도체, 예컨대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 아다팔렌(adapalene) 및/또는 13-cis-레티노산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 보습제: 보습을 촉진하는 하나 이상의 작용제, 예컨대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Cassia angustifolia) 종자로부터 추출되고 본 출원인에 의해 Hyalurosmooth™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다당류,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PatcH2O™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풀룰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소듐 알기네이트를 함유하는 조합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작용제,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Melhydran™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천연 보습 인자 화합물(천연 보습 인자) 또는 천연 꿀 추출물, 및/또는 출원인에 의해 Litchiderm™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글루코실 글리세라이드 과의 화합물, 특히 헥소실 글리세라이드, 리치 키넨시스(Litchi chinensis) 과피(pericarp) 추출물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은 사르코신 및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 추출물, 아연 글루코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또 다른 피지-조절제, 카시아 안구스티폴리아 종자 추출물, 헥소실 글리세라이드, 풀룰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소듐 알기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보습제를 함유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또한, 페우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추출물, 풀룰란, 소듐 알기네이트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혼합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박테리아상(bacterial flora)에 작용하는 작용제를 함유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은 특히,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조성물의 종래의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 피브로넥틴 합성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특히 옥수수 추출물, 예컨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Deliner™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추출물;
- 세포외 기질의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GF2)를 분해 및/또는 이의 변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용제, 특히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번호 FR0654316 하에 출원된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히비스커스 아벨모스쿠스(Hibiscus abelmoschus) 추출물 및/또는 섬유아세포 성장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판매되는 Phytokine™라는 명칭으로 알려지고 또한 특허 출원 EP1119344 B1(Laboratoires Expanscience)에 기재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발효 대두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이들 2가지 추출물의 조합;
- 라미닌 합성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특히 생물공학-변형 맥아 추출물, 예컨대 특히 출원인에 의해 Basaline™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추출물;
- 히알루로난 신타제 2(HAS2)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특허 출원 FR2 893 252 A1에 기재된 식물 추출물, 특히 양강근(Galanga)(알피니아 갈랑가(Alpinia galanga))의 수성 추출물;
- 라이실 옥시다제 유사(LOXL; lysyl oxidase like) 합성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특허 출원 FR2855968에 기재된 것들, 특히 딜(dill) 추출물;
- 하나 이상의 오염방지제(anti-pollution agent),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Arganyl™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아르가니아 스피노사(Argania spinosa) 잎 추출물 또는 명칭 Purisoft™ 하에 판매되는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종자 추출물, 또는 Eperuline™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에페루아 팔카타(Eperua falcata) 뿌리 추출물;
- 세포내 ATP 합성을 자극시키기 위한 작용제, 특히 조류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의 추출물;
- 전반적인 항노화 작용을 갖는 작용제, 특히 색소 침착 방지제(anti-pigment spot agent), 특히 니아신아미드 또는 비타민 B3;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는 특히, 이 추출물이 임의의 유형의 피부 및/또는 모발, 특히 백인 또는 아프리카인 또는 아시아인 피부 및/또는 백인, 아프리카인 또는 아시아인 모발, 특히 백인 또는 아시아인 피부 및/또는 백인 또는 아시아인 모발, 더욱 구체적으로 아시아인 피부 및/또는 아시아인 모발에서 완전하고, 효율적이고 장기간-지속되는 피지-조절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점에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형태로, 피지 분비가 불편하고/하거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한 신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용되고, 이 영역 또는 이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이마, 뺨, 코, 관자놀이, T 존(이마, 코 및 턱)을 포함하는 얼굴 피부, 외이도 및/또는 턱, 두피, 목, 등, 어깨, 팔뚝, 가슴, 손 및/또는 상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신체 표면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편하고/하거나 불쾌한 효과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 관리 방법이고, 이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신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바람직하게는 이마, 뺨, 코, 관자놀이, T 존(이마, 코 및 턱)을 포함하는 얼굴 피부, 외이도 및/또는 턱, 두피, 목, 등, 어깨, 팔뚝, 가슴, 손 및/또는 상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표면에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형태로, 적어도 1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20일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일 동안 정기적인 국소 적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일 1회, 유리하게는 1일 2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미용 조성물은 헹구지 않고 마사지에 의해 피부에 적용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미용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미용적 치료를 요망하는 개체의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용적 치료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피지 분비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감소시키는 것이 요망되는 피부 영역을 갖는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b)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을, 이러한 피부 영역에서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즉,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x10-4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추출물 함량으로 이러한 피부 영역에 국소 적용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피지 과다생성과 연관된 병리학적 질환, 특히 병리학적 과다지루, 신생아의 지루성 습진 및/또는 과다분비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피지 분비가 과도하고, 유도되고/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병리학적 질환과 연관되는 신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특히 병리학적 과다지루를 나타내는 신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용되고, 이 영역 또는 이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이마, 뺨, 코, 관자놀이, T 존(이마, 코 및 턱)을 포함하는 얼굴 피부, 외이도 및/또는 턱, 두피, 목, 등, 어깨, 팔뚝, 가슴, 손 및/또는 상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신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1Х10-4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Х10-4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Х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표, 특징 및 이점은, 순전히 예시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조로 하는 설명적인 서술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실시예를 포함하여 그 전문에서 취해진 설명으로부터 임의의 선행 기술에 비해 신규한 것으로 보이는 임의의 특징은 이의 기능 및 이의 일반적인 성질에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실시예는 일반적인 범위를 갖는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으로 주어지고,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온도는 섭씨 온도로 표현되고,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압력은 대기압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제조하는 여러 가지 방법.
실시예 1a): (물과 종자의 총 혼합물에 비해 w/w) 10 중량%의 밀링된 빅사 오렐라나 종자의 양을 용매로서 물 중에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침연시켰다. 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한 다음, 여과하고, 이어서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6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실시예 1b): (물과 종자의 총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을 물 중에 2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침연시켰다. 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한 다음, 여과하였다.
실시예 1c): (물과 종자의 총 중량에 비해) 2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을 물 중에 2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침연시켰다. 이어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하고, 여과하였다.
실시예 1d): 1(종자와 용매의 총 중량에 비해 w/w) 10 중량%의 밀링된 종자의 양을 에탄올:물 혼합물(80:20; v/v)로 구성된 용매에 80℃의 온도에서 1시간의 기간 동안 침연시켰다. 이어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하고, 여과한 다음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8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실시예 1e): (물과 잎의 총 중량에 비해) 10 중량%의 밀링된 잎의 양을 물 중에 8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침연시켰다. 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디캔팅한 다음, 여과하고, 이어서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최종 추출물의 총 중량에 비해 60 중량%의 말토덱스트린의 최종 양으로 분무-건조하였다.
실시예 2: 피지 분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특성.
방법
인간 피지세포를 완전 배양 배지(10%(배지 중 w/w)의 소 태아 혈청(FCS)이 있는 DMEM/HAM F12)에서 1 센티미터2 당 2500개의 세포로 접종하고, 37℃, 95% 초과의 상대 습도와 함께 5%의 CO2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성장 배양 배지를 1%의 인간 혈청(HS) 또는 100 ng/ml의 IGF1을 함유하는 표준 배양 배지(DMEM)로 대체하였다.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는 단계 전에 수득된 바와 같은 실시예 1a)에서 수득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배지와 추출물의 혼합물에 비해 0.02 w/w% 또는 0.05 w/w%로 37℃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PBS 완충제(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로 헹구고, 포름알데하이드 용액으로 고정시킨다. 피지세포의 수를 회흐스트 시약을 사용한 DNA 염색으로 결정하고, 형광을 465 nm(356 nm에서 여기)에서 기록하는 한편, 세포성 지질의 양을 나일 레드 염색(11)으로 결정한다. 총 지질의 형광을 625 nm(520 nm에서 여기)의 파장에서 측정하는 한편, 중성 지질의 형광을 530 nm(475 nm에서 여기)의 파장에서 측정한다. 그 결과는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백분율로서 표현되고(1%의 HS 또는 100 ng/mL의 IGF1을 이용한 평균 기저 발현(mean basal expression)), 평균 +/- 표준 편차(SD)로서 제시된다. 통계를 SigmaPlotTM 소프트웨어로 평가하였다.
결과
1. 1% HS에 의한 활성화
아시아인 피지세포, 25세.
N=3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1% HS로 처리된 피지세포에서 피지세포 증식 및 총 지질의 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IGF-1 100 ng/ml에 의한 활성화.
2.1. 백인 피지세포, 25세.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0.05%의 농도에서, IGF-1로 처리된 피지세포에서 피지세포 증식 및 총 지질과 중성 지질의 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유사한 결과를 0.02%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서 수득하였다.
2.2. 아시아인 피지세포, 25세.
Figure pct00003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0.05%의 농도에서, IGF-1로 처리된 피지세포에서 피지세포 증식 및 총 지질의 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실시예 3: IGF1-결합 단백질: IGFBP3 단백질의 유도.
BP3 단백질은 IGF-1가 이의 각 수용체 IGF1R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따라서, 상기 BP3 단백질은 IGF1-IGF1R 경로를 차단하고, 따라서 각질형성세포 과다증식 및 분화를 방해할 것이다. 이 단백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지성 피부에서 관찰되는 각화항진을 늦춘다.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IGFBP3 단백질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재료 및 방법
정상적인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최대 70% 존재비(confluence)까지 배양한 다음, 100 ng/ml의 IGF-1 또는 실시예 1a)에 따라 수득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고 0.1% 또는 0.05%(총 배지 중 w/w)에서 24시간 동안 분무-건조하였다. DNA를 검정하기 위해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층액을 ELISA 키트(LSBio 인간 IGFBP3 ELISA 키트 ref LS-F24538 lot 103180) 공급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ELISA에 의해 IGFBP3 단백질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한다.
결과
그 결과는 비-처리된 세포와 관련이 있다. 통계학적 t-검정 시험을 수행하고, 평균을 비교한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IGFBP3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켰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IV 합성의 증가.
방법:
건강한 24세 공여자의 유방으로부터 기원하는 "정상적인"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정의된 배지(KSFM)에서 실시예 1a)에 따라 제조된 3가지 상이한 최종 농도의 비. 오렐라나 추출물의 존재 하에 존재비(100%)까지 48시간의 기간 동안 배양한 후, 혼합하고 분무-건조한 다음, 배양 배지를 제거한다. 이어서, 수득된 세포층을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으로 용해시킨다. 용해물의 일부를 사용하여 DNA를 검정하였다. 콜라겐 IV를, 소 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 완충제 용액에서 1/2500까지 희석한 항-콜라겐 IV 항체(Acris, R1041)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60분의 기간 후, 1/25000 까지 희석한 2차 항체(PerkinElmer, AD0105)를 암실에서 1시간의 기간 동안 적용한다. 형광을 측정하였다(ENVision, PerkinElmer).
결과
형광 결과를, 비. 오렐라나 추출물의 부재 하에 동일한 세포 배지(대조군)로 수득된 형광에 비해 표준화하였고, 각각의 조건 하에 수득된 DNA의 백분율과 관련지었다. 제시된 결과는 검정법의 평균에 상응한다(SD: 표준 편차).
Figure pct00005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콜라겐 IV 합성을 증가시키므로, 피부의 모공을 수축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피지 분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임상 연구.
방법:
임상 연구를, 한쪽 부분은 위약으로 그리고 한쪽 부분은 실시예 1a)에서 수득되고 하기 기재된 조성물(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제형화된 바와 같이 0.25%의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로 절반-얼굴 시험에서 이중 맹검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피지측정기(Sebumeter™ SM 815)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1 cm2 당 150 마이크로그램 이상의 피지(극지성 피부)를 가지며 피지측정기(Sebumeter™ SM 815)를 사용하여 측정된 지질 지수가 1 cm2 당 120 내지 149 마이크로그램의 피지(지성 피부) 범위인 최대 10명의 지원자를 포함하여 20세 내지 45세의 35명의 아시아인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치료를 56일 동안 1일 2회 적용하였다.
Figure pct00006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샘플을 Sebutape® 패치를 사용하여 채취하고, 28일 및 56일에 치료 전(D0) 및 치료 후 피지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피지샘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2 내지 4일에 시작 시 평가된 뺨의 모공 크기를 훈련된 관계자가 수행한 임상 계산으로 평가하였다. 피부수분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28일 및 56일에 지원자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과: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28일간의 치료 후, 스팟(분비된 피지)의 수는 D0와 비교해 22%만큼 유의하게 저하하고, 위약과 비교해 14%만큼 유의하게 저하한다.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56일간의 치료 후, 스팟(분비된 피지)의 수는 D0와 비교해 37%만큼 유의하게 저하하고, 위약과 비교해 25%만큼 유의하게 저하한다.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28일간의 치료 후, 스팟의 면적은 D0와 비교해 46%만큼 유의하게 저하하고, 위약과 비교해 31%만큼 유의하게 저하한다.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56일간의 치료 후, 스팟(분비된 피지)의 수는 D0와 비교해 62%만큼 유의하게 저하하고, 위약과 비교해 36%만큼 유의하게 저하한다.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28일간의 치료 후, 모공 크기는 D0와 비교해 3%만큼 시각적으로 그리고 유의하게 저하한다.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에 의한 56일간의 치료 후, 모공 크기는 D0와 비교해 9%만큼, 그리고 위약과 비교해 3%만큼 유의하게 저하한다.
28일 및 56일의 치료 후, 0.2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 값을 D0에 대비해 3%만큼 유의하게 증가시킨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
사용되는 추출물은 실시예 1a)에서(말토덱스트린과 혼합 및 분무-건조 후) 분말 형태로 수득된 것이다.
실시예 6a): 피부결을 정돈하기 위한 토닉 케어
Figure pct00007
토닉 케어를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의해 3개의 상(phase)을 혼합함으로써 그리고 조성물을 5.1의 pH까지 조정함으로써 제조한다.
실시예 6b): 매트화 크림
Figure pct00008
크림을,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75℃까지 예열된 A 상과 B 상을 혼합한 다음, C 상과 D 상을 첨가하고 한편으로는 혼합하며 E 상을 갖는 조성물을 6.2의 pH 및 15000 mPas의 점도(Brookfield 기기(RVT; 23℃, 스핀들 TC; 20 rev/분)로 측정함)까지 조정함으로써 제조한다.
실시예 6c): 샴푸
Figure pct00009
샴푸를,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4개의 상을 혼합함으로써 그리고 조성물을 5.2의 pH 및 2200 mPas의 점도(Brookfield 기기(RVT; 23℃, 스핀들 5; 50 rev/분)로 측정함)까지 조정함으로써 제조한다.

Claims (17)

  1.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unaesthetic)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피지 분비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는 피부 모공 가시성(visibility) 및/또는 블랙헤드 형성 및/또는 피부 및/또는 모발의 번들거리고/거나 기름진 외양 및/또는 피부의 두터운(thick) 외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종자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양성자성 극성 용매에서의 추출에 의해, 유리하게는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수득된 분말의 총 중량에 비해, 2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농도의 말토덱스트린의 존재 하에 분무-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미용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또한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은 피부, 특히 두피, 및/또는 모발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1Х10-4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Х10-4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Х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미용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피부는 중성, 지성, 극지성 및/또는 혼합형이고/이거나 모발은 중성 및/또는 지성인, 용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는 백인 또는 아프리카인 또는 아시아인이고/이거나 모발은 백인, 아프리카인 또는 아시아인인, 용도.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은 세럼, 로션, 크림, 샴푸, 컨디셔너, 오일, 밀크, 연고, 페이스트, 폼, 에멀션, 하이드로겔, 샤워 젤, 마스크, 래커(lacquer), 스프레이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미용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크림, 세럼 또는 로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미용 관리 방법으로서, 피지 분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및/또는 피지 분비와 관련된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예방하고/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을 피부, 유리하게는 두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은 피지 분비가 불편하고/하거나 비미학적이고/이거나 불쾌한 신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미용 조성물 형태로 적용되고, 이 영역 또는 이들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이마, 뺨, 코, 관자놀이, T 존(이마, 코 및 턱)을 포함하는 얼굴 피부, 외이도 및/또는 턱, 두피, 목, 등, 어깨, 팔뚝, 가슴, 손 및/또는 상반신으로부터 선택되는 신체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
  15. 병리학적 과다지루(hyperseborrhoea) 및 지루성 습진(seborrhoeic eczema)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피지 과다생성과 연관된 병리학적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1Х10-4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Х10-4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Х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약제학적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
KR1020207035440A 2018-06-11 2019-06-06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KR20210019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079A FR3082122B1 (fr) 2018-06-11 2018-06-11 Utilisation d'un extrait de bixa orellana
FR1855079 2018-06-11
PCT/FR2019/051350 WO2019239035A1 (fr) 2018-06-11 2019-06-06 Utilisation d'un extrait de bixa orella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437A true KR20210019437A (ko) 2021-02-22

Family

ID=6503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440A KR20210019437A (ko) 2018-06-11 2019-06-06 빅사 오렐라나 추출물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59949A1 (ko)
EP (1) EP3801778B1 (ko)
JP (1) JP2021527076A (ko)
KR (1) KR20210019437A (ko)
CN (1) CN112236201B (ko)
FR (1) FR3082122B1 (ko)
WO (1) WO2019239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669A (zh) * 2021-10-08 2022-07-19 广州极男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男士控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159282A1 (en) * 2022-02-25 2023-08-31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oilness and shine of the skin and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54316A (fr) 1927-06-30 1929-04-04 Ig Farbenindustrie Ag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dérivés d'hydrocarbures et d'hydrocarbures non saturés
FR2555447A1 (fr) 1983-11-28 1985-05-31 Audy Rowland Jeanne Composition cosmetique solaire au rocou naturel : melange de quatre huiles vegetales naturelles. huile de rocouyer (roucouyer), produit revendique ainsi que les procedes d'extraction
JPH0812563B2 (ja) 1988-09-02 1996-0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H08231351A (ja) * 1995-03-01 1996-09-10 Shiseido Co Ltd 養毛料
US6043202A (en) * 1998-03-06 2000-03-28 Eriksen; Karla S. Shampoo compositions and oi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cradle cap
FR2784029B1 (fr) 1998-10-05 2001-01-05 Pharmascience Lab Methode de prevention et/ou de traitement cosmetique des vergetures de la peau et utilisation en dermatologie
FR2798591B1 (fr) 1999-09-22 2001-10-26 Pharmascience Lab Utilisation d'un produit d'huile vegetale pour augmenter la synthese des lipides cutanes en cosmetique, pharmacie ou dermatologie et en tant qu'additif alimentaire
US6753017B2 (en) * 2001-11-07 2004-06-22 Jrs Pharma Lp Process for preparing dry extracts
FR2855968B1 (fr) 2003-06-13 2012-11-30 Coletica Stimulation de la synthese et de l'activite d'une isoforme de la lysyl oxydase-like loxl pour stimuler la formation de fibres elastiques
FR2875701B1 (fr) * 2004-09-30 2008-08-08 Lm Cosmetics Sarl Nouvelle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e lignanes
FR2863893B1 (fr) 2005-02-02 2008-04-18 Coletica Utilisation de principes actifs stimulant les beta-defensines humaines de type 2 et/ou de type 3
JP2006257058A (ja) * 2005-03-15 2006-09-28 Koei Kogyo Kk 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頭髪用剤及び皮膚外用剤。
FR2893252B1 (fr) 2005-11-17 2008-02-15 Engelhard Lyon Sa Extraits vegetaux stimulant has2
FR2909873B1 (fr) * 2006-12-19 2009-01-23 Oreal Procede de coloration de la peau des hommes
FR2939039B1 (fr) * 2008-12-01 2010-12-3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 agent inhibiteur de secretion de sebum
FR2966042B1 (fr) * 2010-10-18 2012-11-09 Clarins Lab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e dianthus carthusianorum
KR102391369B1 (ko) * 2011-03-28 2022-04-26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FR2975008B1 (fr) * 2011-05-13 2014-03-07 Inst Biophytis Utilisation de composes et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 la degenerescence maculaire liee a l'age (dmla)
US20120305415A1 (en) * 2011-06-03 2012-12-06 Marina Gleyzer Cosmetic product
FR2994387B1 (fr) 2012-08-13 2016-07-29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Ingredient hydrata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A2884112C (en) * 2012-09-11 2021-11-16 Slh Optimal Health Llc Dental cleaning composition
KR20170130742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바이오엠 피부 재생용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9949A1 (en) 2021-08-26
JP2021527076A (ja) 2021-10-11
EP3801778B1 (fr) 2024-01-10
FR3082122A1 (fr) 2019-12-13
FR3082122B1 (fr) 2021-01-01
WO2019239035A1 (fr) 2019-12-19
CN112236201A (zh) 2021-01-15
EP3801778A1 (fr) 2021-04-14
CN112236201B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8534B2 (ja) ピキア・アノマーラ及びチコリ根抽出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US10016356B2 (en) Sebum secretion inhibitory agent
KR102625374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의 과피의 추출물의 용도
CN110022850B (zh) 包含松露提取物和新橙皮苷二氢查耳酮的组合物
US20190125657A1 (en) Cosmetic use of khaya senegalensis extract
KR20210105880A (ko) 시스투스 몬스펠리엔시스 추출물의 신규한 미용 및 피부과 용도
US20050153003A1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2315208B1 (ko)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CN110870880B (zh) 包含异常毕赤酵母和视黄醇的局部用组合物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JP2021004237A (ja) N−アシルジペプチド誘導体及びグリコール酸を含有する局所用組成物
CN105636653A (zh) 圭亚那塔皮漆木提取物的化妆品或皮肤病学用途
TWI788019B (zh) 果香菊萃取物用於製備調理肌膚的組合物之用途
JP2022543141A (ja) ヤナギラン(Epilobium angustifolium)抽出物の新規な化粧用使用
CN114423411A (zh) 榄仁提取物的化妆品或保健品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