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208B1 -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208B1
KR102315208B1 KR1020157030464A KR20157030464A KR102315208B1 KR 102315208 B1 KR102315208 B1 KR 102315208B1 KR 1020157030464 A KR1020157030464 A KR 1020157030464A KR 20157030464 A KR20157030464 A KR 20157030464A KR 102315208 B1 KR102315208 B1 KR 10231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scalp
mucous membranes
perle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433A (ko
Inventor
발레리 안드레-프라이
니콜라 베쉐뜨왈
사빈 파인
패트리시아 레쎌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위니베르시테 끌로드 베르나르 리옹 Ⅰ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씨엔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위니베르시테 끌로드 베르나르 리옹 Ⅰ,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씨엔알에스) filed Critical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135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국소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두피의 하나 이상의 관심 부위에,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장미증, 모세혈관확장증, 갈라지고 건조해지는 것, 및/또는 협측 및/또는 안구 점막의 장애를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 데 국소 사용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또는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과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피부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A POLYGONUM BISTORTA EXTRACT}
본 발명은,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perlecan)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dystroglycan)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Polygonum bistorta) 추출물의 국소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저판의 헤파란 술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HSPG) 중에서, 페를레칸이 상피, 특히 표피의 형태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히 피부의 각질세포와 내피 세포의 생존, 증식 및 분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를레칸은 성장 인자의 생체내 이용 효율을 제어함으로써 이들 과정을 조절한다.
디스트로글리칸은 페를레칸의 잠재적 수용체인 당단백질이다.
페를레칸과 디스트로글리칸은 각종 조직, 예컨대 상피 및 내피 뿐만 아니라 각종 세포 유형, 예컨대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및 내피 세포에 위치한 아주 흔한 구조인 기저막 상에서 발현된다. 이들은 함께 상호 작용하여, 피부, 점막 및 두피의 구조, 특히 상피의 구조, 및 특히 표피 및 진피의 구조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공교롭게도,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특히 시간생물학적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페를레칸과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은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페를레칸의 발현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진피표피 접합부 및 진피 모세관의 수준에서 상당히 감소된다. 이러한 감소는 상기 단백질의 분해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각질세포 및 내피 세포에 의한 그의 발현, 및 아주 특히 그의 전사적 조절에 있어서의 그의 발현의 감소에 기인한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페를레칸의 합성 결여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특히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 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페를레칸과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항상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고, 노화 동안, 특히 시간생물학적 노화 동안 분해되는 그들의 단단함과 밀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상당히 중요하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이,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 보다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우선적으로는 피부의 각질세포 및/또는 내피 세포에서의, 기저판의 HSPG 및 당단백질의 발현, 및 보다 특히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특히 피부에 있는 각질세포와 내피 세포 둘 다를 표적으로 하면, 1) 피부, 점막 및/또는 두피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미세혈관 경로를 개선시키는 효과와 2) 특히 광도 관점에서 안색을 개선시키는 효과 둘 다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페를레칸 뿐만 아니라 디스트로글리칸을 표적으로 하면, 또한 페를레칸의 발현과 활성의 경로에 대해 완전하게 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폴리고눔 비스토르타는 2400 m 이하 고도의 북미와 아시아, 그리고 지중해 지역을 제외한 유럽에서 발견되는 식물이다. 이는 질소가 풍부한 토양에서, 스트림의 가장자리에서, 습식 및 산악 목초지에서 성장한다. 진정제 및 수렴제로서 복막에 투여되는 경우에 그의 진통 효과에 관하여 공지되어 있고, 이는 강력한 치유의 항설사 강장제로서 보고되었다.
출원 FR2867977에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및/또는 그의 특정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하 근육의 수축을 제한함으로써 피부 상의 잔주름과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기 위해 의도된 미용, 제약용 및 피부미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이들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는 수많은 식물 추출물 중에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가 언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허에 기재된 효과는 보툴리눔(botulinum) 독소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근육 이완 작용에 기인한 기계적 효과이다. 따라서, 이는 근육억제제를 이용하여 관찰된 피부의 완화 작용과는 반대의 효과인, 단단함과 밀도 상의 증가를 가져다 주는 본 발명에 따른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에 대한 작용 경로와 매우 상이한 결과와 작용 기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스트로글리칸이 근육 수축에 기여하므로, 이에 따라 그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근육억제에 대한 반대 효과를 유도시킨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국소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미용 제품이고, 특히 인간의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두피의 하나 이상의 관심 부위에 국소 적용된다.
우선적으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뿌리로부터 수득되는데, 우선적으로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우선적으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를 사용하면,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각질세포 및/또는 내피 세포, 바람직하게 피부의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이 자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이러한 식물의 전체로부터 추출될 수 있거나, 또는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특히 뿌리, 줄기, 나무껍질, 꽃, 씨앗, 배아 및/또는 잎으로부터 선택된 부분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우선적으로, 뿌리로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식물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바람직하게 1% 내지 10% (p/p)를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바람직하게 양성자성 극성 용매, 및 유리하게는 물, 알콜, 글리콜, 폴리올, 또는 물/알콜,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콜 혼합물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롤, 부틸렌 글리콜 또는 기타 글리콜, 예컨대 크실리톨 등과의 혼합물로서의 물)에서 100/0 내지 0/100 (v/v)으로 침용(maceration)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추출물은 우선적으로,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수성 용액으로 추출함으로써 수득된, 특히 수성 용액, 보다 더 유리하게는 부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 특히 알콜을 함유하지 않는, 보다 특히 물 만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중량% 초과, 유리하게 70 중량% 이상, 특히 80 중량% 이상, 보다 특히 90 중량% 이상, 특히 95 중량% 이상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에 침용시킴으로써 수득된 모든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임의로 식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후에, 우선적으로 4℃에서 냉 침용시키거나 또는 주위 온도, 즉 18 내지 25℃, 우선적으로 20℃에서 침용시킴으로써 수득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주위 온도, 우선적으로 20℃에서 침용시킴으로써 수득된다.
하나의 우선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30분 내지 24시간, 우선적으로 1시간 내지 5시간, 보다 우선적으로 2시간의 기간 동안 침용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이어서, 이로써 수득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활성 가용성 분획을 회수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시키고/시키거나 여과시키고/시키거나 증류시킨다. 0.45 ㎛, 보다 우선적으로 0.22 ㎛의 컷-오프(cut-off) 역치에서 우선적으로 여과시킨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그리고 추출의 어느 단계에서, 상기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부가의 탈색 및/또는 탈취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또한 연속해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냉동 건조 또는 미립화에 의해 농축시킬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 추출 동안 식물, 바람직하게 뿌리의 양은 식물/추출 용매의 혼합물, 우선적으로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이다. 특히, 식물을 추출하기 전에 제분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추출이 2시간 지속되고 주위 온도, 특히 20℃에서 수행된다. 훨씬 더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단지 미량의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트랜스-스틸벤(trans-stilbene) (C14H12, MW 180.24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의 형태, 예컨대 라폰틴(rhapontin)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epsilon-viniferin), 레스베라트롤 아세테이트, 포름산 에스테르 및 글루코시드, 또는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를, 근육 수축 효과를 나타내기에 불충분한 양,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미만, 우선적으로 0.001 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트랜스-스틸벤 (C14H12, MW 180.24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의 형태, 예컨대 라폰틴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 레스베라트롤 아세테이트 및 글루코시드, 및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를 함유하지 않는다.
수득된 추출물은 우선적으로, 용매, 특히 극성 용매, 예컨대 물, 알콜, 폴리올, 글리콜 또는 그의 혼합물, 우선적으로 수성-글리콜성 혼합물, 보다 우선적으로 카프릴릴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을 함유하는 혼합물에서 가용성이다.
유리하게, 상기 추출물은 헥실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헥실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보다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헥실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에서 가용성이다. 유리하게, 상기 추출물은 카프릴릴 글리콜을 함유하는,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을 함유하는, 보다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에서 가용성이다. 유리하게, 수성 용액은 부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건강한 피부", "건강한 점막" 또는 "건강한 두피"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적용되고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비-병리학적"인 것으로 불리우는, 즉 어떠한 피부 감염, 질환 또는 병태, 예컨대 칸디다증, 농가진, 건선, 습진, 여드름 또는 피부염, 또는 어떠한 상처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피부, 점막 또는 두피 부위를 의미하기 위해 의도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미용 제품"은 비-치료적 사용, 즉 건강한 피부,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두피 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국소"는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및/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을, 특히 인간의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관심 부위의 표면에, 특히 직접 적용하거나 또는 분무에 의해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표현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의 자극"은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유전자 및/또는 단백질 발현 각각, 우선적으로 단백질 발현 상의 증가를 의미하기 위해 의도된다. 이러한 증가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과의 접촉시,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나타내는 한 가지 이상의 세포 유형, 유리하게 각질세포 및/또는 내피 세포 (이는 우선적으로 피부성임)을 포함하는 모델 상에서 측정할 수 있고; 대조군 모델,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과 접촉시키지 않은 모델에서의 유전자 및/또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각각의 유전자 및/또는 단백질 발현이 10% 이상, 유리하게는 20% 이상 증가됨으로써 반영된다. 이러한 발현 상의 증가는 우선적으로, 단백질 발현 증가이다. 상기 모델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점막"은 특히 협측 점막, 특히 협측, 입술, 비강, 안구, 항문 및/또는 비뇨 생식기 점막, 특히 입술 점막을 의미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 특히 시간생물학적(chronobiological) 및/또는 광생물학적(photobiological) 노화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항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고/하거나, 특히 표피에서 상기 항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기저막, 우선적으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강화시키기 위한,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와 연관된, 특히 표피 수준에서의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혈관화의 감소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고/하거나,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특히 피부의 모세관의 구조를 개선시키기 위해 [이는 특히, 피부에서의 클라우딘(claudin) 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짐] 상기 혈관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형태발생을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특히 노화, 특히 시간생물학적 노화가 진행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구조, 우선적으로 표피 구조를 복원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의 안색을, 특히 이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개선시키고 (이는 특히, 피부에서의 클라우딘 5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단단함 및/또는 밀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 감소를 퇴치하기 위한,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목적은, 유리하게는 붉은 반점을 제거함으로써, 및/또는 안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및/또는 광택이 나고, 광채가 나며, 건강하고/하거나 영양분이 공급된 외관, 잘 생겨보이는 효과 및/또는 분홍색빛 광채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안색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실제로, 안색의 광채는 일반적으로, 피부의 건강한 상태를 반영한다. 수많은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이 균일하지 않은 우중충한 안색을 유발시킬 수 있다. 피부 안색의 광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스트레스, 피로, 호르몬 변화,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탈수, 오염제, 및 시간생물학적 및 광생물학적 노화를 언급할 수 있다. 이들 요인은 안색을 우중충하게 만들고, 비균일하거나, 광채가 없거나, 왁스같거나 또는 심지어 창백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은 미세혈관 경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에 더 많은 영양분을 공급하고 더 잘 해독시킬 수 있으므로, 영양분이 공급된 건강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색은 미세순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미세혈관에 도달하면, 빛이 녹색 범위에서 특이적으로 흡수하는 적혈구와 접촉하게 된다. 적색은 표면에서 반사되어, 피부에 분홍색빛 색조를 제공하므로, 분홍색빛 광채를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우딘 5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안색의 광채를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안색의 광채는 또한, 피부의 반사 능력에 좌우된다. 이러한 반사 능력은 피부의 질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보다 부드럽고, 보다 유연한 질감을 갖는 피부가 더 우수한 측면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 자극을 통하여, 표피 구조를 복원시키고 수득된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형태발생을 개선시키면,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안색의 광채 또는 홍조 상의 개선은 특히, 객관적인 기기 분석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내 측정 방법은, 시험된 생성물을 적용하기 전 및 후에 45°에서 취한 지원자의 얼굴을 교차 편광으로 고해상도 사진을 찍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디지털 사진을 기초로 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부의 색상, 광채, 균일성 및 질감과 관계된 특이적 파라미터 (예를 들어, L*, a*, b*, C, h°)를 추출하고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시험된 생성물을 적용하기 전 및 후에 45°에서 취한 지원자의 얼굴을 교차 편광 및 평행 편광으로 찍은 고해상도 사진을 기초로 한 상기 방법에 따라서, 특히 광택을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디지털 사진을 기초로 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광택과 관계된 특이적 파라미터, 예컨대 거울면 광택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광택을 추출하고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목적은, 특히 원숙한 피부 및/또는 노화의 첫 번째 징후를 나타내는 피부에 대한 주름 및/또는 잔주름을 감소 또는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 특히 시간생물학적 또는 광생물학적 노화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원숙한 피부"는 50세 이상 남성 또는 여성의 피부, 유리하게는 갱년기 여성의 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노화의 첫 번째 징후를 나타내는 피부"는 30세 내지 40세 남성 또는 여성의 피부, 유리하게는 첫 번째 표현식의 주름을 보여주는 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또 다른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목적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항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고/하거나, 특히 표피에서 상기 항상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항상성, 특히 피부의 항상성, 및 특히 표피의 항상성은 피부의 세포, 및 특히 각질세포의 증식 과정과 분화 과정 간의 미세하게 조절된 균형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들 증식 과정과 분화 과정은 피부의 리뉴얼(renewal) 및/또는 재생에 참여하고, 피부의 일정한 두께, 및 특히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항상성은 또한, 피부, 점막 및 두피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시키는 데 참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의 항상성은 특정의 생리학적 요인 (연령, 폐경, 호르몬, 스트레스 등) 및 외적 요인 (오염 작용제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상피, 특히 표피의 재생 가능성은 더 낮아진다: 기저 층의 세포는 덜 활발하게 분할되므로, 특히 표피의 리뉴얼이 느려지고/지거나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세포 리뉴얼은 표면에서 제거된 세포의 손실을 더 이상 보상해주지 못하므로, 상피, 특히 표피의 위축이 초래되고/되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두께가 감소되고/되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밀도 및/또는 단단함이 상실된다. 이러한 현상은 폐경에 의해 더 두드러질 수 있다. 폐경과 연관된 호르몬 결핍은 특히 대사 활성 상의 저하를 수반하여, 각질세포 증식을 감소시키고 표피의 분화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특히 갱년기 여성에게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두께를 유지 및/또는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 및/또는 개선시키고/시키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단단함 및/또는 밀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항상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해준다.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의 증가는 특히, 생존 조건 하에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생검 모델 상에서 생체 외에 평가할 수 있다.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는 시험 생성물을 적용하기 전에 본 실험을 시작할 때, 및 시험 생성물의 존재 하에 시험 기간이 끝날 때, 예를 들어 4일째, 우선적으로 7일째에 측정한다.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는 상기 생성물의 적용 후의 측정치가 시험 기간이 끝날때 5% 이상, 우선적으로 10% 이상인 경우에 증가된 것으로 간주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이 적용되는, 특히 인간의 피부의 관심 부위는 얼굴, 목, 목둘레선, 가슴 및/또는 손, 및 아주 특히 코 홈 및/또는 특히 다크 서클 상의 눈 주위 부위 및 눈가의 잔주름 및/또는 입술의 윤곽 및/또는 이마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나, 상기 추출물은 또한, 신체, 특히 복부, 허벅지, 엉덩이, 궁둥이 및/또는 허리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단단함 및/또는 밀도의 상실을 보여줄 수 있는 신체 부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식물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내에,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x 10-4 내지 10 중량%, 유리하게 1 x 10-4 내지 5 중량%, 보다 특히 1 x 10-3 내지 3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유리하게, 상기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내에,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x 10-4 내지 10 중량%, 우선적으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x 10-4 내지 5 중량%, 유리하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x 10-3 내지 3 중량%, 특히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유리하게,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트랜스-스틸벤 (C14H12, MW 180.24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의 형태, 예컨대 라폰틴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 레스베라트롤 아세테이트, 포름산 에스테르,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글루코시드를,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중량% 미만, 우선적으로 0.0001 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트랜스-스틸벤 (C14H12, MW 180.24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의 형태, 예컨대 라폰틴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 레스베라트롤 아세테이트, 포름산 에스테르 및/또는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글루코시드를,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중량% 미만, 우선적으로 0.0001 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보다 더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 및/또는 트랜스-스틸벤 (C14H12, MW 180.24 g/mol)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및/또는 레스베라트롤 유사체의 형태, 예컨대 라폰틴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 레스베라트롤 아세테이트, 포름산 에스테르, 및/또는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장미증, 모세혈관확장증, 갈라지고 건조해지는 것의 관리 및/또는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및/또는 협측 및/또는 안구 점막의 병리학적 상태의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한, 특히 협측 점막의 수준에서의 밀도 및/또는 단단함의 상실과 연관된 협측 점막의 병리학적 상태의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및/또는 협측 혈관 구조의 개선을 위한 및/또는 안구 점막의 수준에서의 밀도 및/또는 단단함의 상실과 연관된 안구 점막의 병리학적 상태의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및/또는 안구 혈관 구조의 개선을 위한 피부과용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미용 제품용으로 또는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에 존재한다.
이러한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은 국소 적용용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미용 제품용으로 또는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상기 조성물 또는 이러한 조성물의 구성분이 과도한 독성, 부적합성, 불안정성,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의 등가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인간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인간 두피와의 접촉에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이외에, 미용 제품용으로 또는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연화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컨디셔너, 매팅(matting) 작용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텍스처링 작용제, 광택제, 필름 형성제, 가용화제, 색소, 염료, 향료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다. 이들 부형제는 바람직하게, 아미노산 및 그의 유도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셀룰로스 중합체 및 유도체, 라놀린 유도체, 인지질,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다제, 수크로스-기반 안정화제,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자연 및 합성 왁스,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비비누화(unsaponifiable) 화합물, 피토스테롤, 식물 에스테르, 실리콘 및 그의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호호바(jojoba) 오일 및 그의 유도체, 지용성/수용성 에스테르, 베타인, 아미녹시드, 식물 추출물, 수크로스 에스테르, 이산화티타늄, 글리신 및 파라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스테아레트(steareth)-2, 스테아레트-21, 글리콜-15 스테아릴 에테르, 세테아릴 알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부틸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자연 토코페롤, 글리세린, 디히드록시세틸 소듐 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 히드록시세틸 에테르,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노나노인, 옥틸 코코에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라우레트-7, 카르보머,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글리세롤, 비사볼롤, 디메티콘, 수산화나트륨, PEG 30-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카프르산/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황산마그네슘, EDTA, 시클로메티콘, 크산탄 검, 시트르산,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미네랄 왁스 및 오일,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펠라르고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PEG 8, 밀랍, 수소화 야자씨 오일 글리세리드, 라놀린 오일, 참깨 오일, 세틸 락테이트, 라놀린 알콜, 피마자 오일, 이산화티타늄, 락토스, 수크로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등장성 식염수 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 크림 또는 수성 젤 또는 오일성 젤, 특히 샤워 젤, 샴푸; 밀크;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나노에멀젼 (특히 수중유 또는 유중수 또는 다중 또는 실리콘-기반이다); 마스크; 세럼; 로션; 액체 비누; 피부과용 바; 연고; 폼(foam); 패치; 무수 제품 (이는 바람직하게,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 예를 들어 메이크업 파우더의 형태, 봉의 형태 또는 스틱의 형태, 특히 립스틱의 형태이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 이는 크림 또는 세럼, 특히 아이 라이너 또는 립 라이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다 특히 얼굴에, 우선적으로 매일, 우선적으로 1일 1회 또는 2회, 우선적으로 아침 및/또는 저녁에 적용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기타 관심 성분, 특히 미용 관심 성분, 우선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지닌 작용제를 함유한다. 우선적으로, 이들은 피부 및/또는 점막의 밀도 및/또는 단단함을 개선시키고/시키거나 피부의 안색 및/또는 피부의 항상성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또는 항노화 조성물의 통상적인 성분들이고, 특히 충진제, 팽창제, 보습제, 및 세포외 매트릭스 분자를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또한, 보충적 또는 임의로 상승적 효과를 가져다 주는 미용 활성 성분, 예컨대 보습 활성제, 항노화 활성제, 자유-라디칼 소기성 활성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GF) 보호제, 섬유아세포 활성 및/또는 증식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및/또는 샘물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예를 들어 피부-착색 또는 색소 침착 유발제; NO-신타제 억제제; 지성 피부 관리용 지루성 방지제; 상승적 또는 보충적 효과를 위해,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의 합성을 자극하고/하거나 그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작용제; 상승적 또는 보충적 효과를 위해, 섬유아세포 또는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각질세포 분화를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항미생물제; 팽창제; 오염방지제 또는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scavenger); 완화, 진정 또는 이완제; 상승적 또는 보충적 효과를 위해, 특히 얼굴 안색의 광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미세순환시 작용하는 작용제; 광보호제; 치유제; 체중 감량제; 상승적 또는 보충적 효과를 위한 항노화제 또는 임의로 보습제 및/또는 표피의 장벽을 강화시키기 위한 작용제일 수 있다.
보습제, 연화제 또는 습윤제 활성제는 장벽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무감각 수분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고/있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거나 또는 피지선의 분비 활성을 자극할 수 있고/있거나 세포 내에서의 수분의 순환을 개선시키기 위해 아쿠아포린(aquaporin)의 합성을 자극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다음 활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세린, 우레아 및 그의 유도체; 마린 필링 스피어(Marine Filling Spheres™), 어드밴스트 모이스처라이징 컴플렉스(Advanced Moisturizing Complex™), 히알루로닉 필링 스피어(Hyaluronic Filling Spheres™), 베제탈 필링 스피어(Vegetal filling spheres™), 오스모겔린(Osmogelline™), 마이크로패치(Micropatch™)란 상표명으로 판매중인 제품; 알킬셀룰로스, 레시틴, 스핑고이드-기반 화합물, 세라미드,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그의 유도체, 글리코스핑고리피드, 피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필수 지방산, 1,2-디아실글리세롤, 4-크로마논, 펜타시클릭 트리테르펜, 예컨대 우르솔산, 바셀린, 라놀린, 당, 특히 트레할로스 및 그의 유도체, 람노스, 프럭토스, 말토스, 락토스, 에리트리톨, 만니톨, D-크실로스 및 글루코스, 아데노신 및 그의 유도체, 소르비톨, 다가 알콜, 유리하게 C2-C6, 및 보다 유리하게 C3-C6 다가 알콜, 예컨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및 그의 혼합물, 글리세롤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 락테이트, 펜탄디올, 세린, 락트산, AHA, BHA, 소듐 피돌레이트, 크실리톨, 소듐 락테이트, 엑토인 및 그의 유도체, 키토산 및 그의 유도체, 콜라겐, 플랑크톤, 스테로이드성 유도체 (DHEA, 그의 7-산소화 및/또는 17-알킬화 유도체 및 사포게닌 포함), 메틸 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비타민 D 및 그의 유도체, 말바 실베스트레스(Malva sylvestres) 추출물 또는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추출물, 아크릴산 단독중합체, 베타-글루칸 및 특히 소듐 카르복시메틸 베타-글루칸, C-글리코시드 유도체, 예컨대 출원 WO 02/051828에 기재된 것, 사향 장미 오일, 아연이 풍부한 미세조류 프로피리듐 크루엔툼(Prophyridium cruentum)의 추출물 [알구알란 아연(Algualane Zinc™)이란 상표명으로 빈시엔스(Vincience)에 의해 판매됨], 아르기닌, 아세틸 헥사펩티드 [디퓨포린(Diffuporine™)이란 상표명으로 리포테크(Lipotech)에 의해 판매됨], 비올라 트리콜로르(Viola tricolor) 가수분해물 [아쿠아필린(Aquaphyline™)이란 상표명으로 실랍(Silab)에 의해 판매됨].
활성제는 또한, 항노화제, 즉 특히 피부 장벽에 대한 재구조화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제, 피부 단백질, 특히 진피 단백질, 예컨대 콜라겐의 당화반응을 방지하고/하거나 저하시키는 작용제,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자극하기 위한 활성제 및 그의 혼합물, 전반적인 항노화 작용을 수반하는 작용제, 특히 니아신아미드 또는 비타민 B3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피부 장벽에 대한 재구조화 효과를 지닌 작용제는 효모 추출물, 예컨대 렐리피듐(Relipidium™)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로부터 판매됨], 스핑고신, 예컨대 살리실로일 스핑고신; 크실리톨, 크실리틸 폴리글리코시드 및 크실리탄의 혼합물; 솔라나세아에(Solanaceae)의 추출물, 예컨대 리피데센스(Lipidessence™)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로부터 판매됨) 및 그의 혼합물 중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세라미드, 스핑고이드-기반 화합물, 글리코스핑고리피드,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그의 유도체, 피토스테롤, 필수 지방산, 디아실글리세롤, 4-크로마논 및 그의 크로몬 유도체 및 혼합물, 비타민 B5 또는 판토테네이트 및 유도체를 언급할 수 있다.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자극하기 위한 활성제는, 예를 들어 비오틴; 피롤리돈카르복실산의 나트륨 염, 망간 염, 아연 염 및 마그네슘 염의 혼합물; 아연 글루코네이트, 구리 글루코네이트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의 혼합물;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지루성 방지제는 5α-환원효소 억제제, 예컨대 레티노이드, 사르코신, 아연 염, 특히 아연 글루코네이트, 아연 살리실레이트, 아젤라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및/또는 그의 혼합물, 및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 추출물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에 의해 MAT XS™ 브라이트란 상표명으로 판매됨]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지 흡수제, 특히 탈크 및/또는 흡수성 중합체, 항박테리아제, 특히 특허 출원 FR2863893에 기재된 것, 및 특히 볼도(Boldo) 추출물, 예컨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베타푸어(Betapur™)란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추출물, 여드름 방지제, 특히 레티노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이소트레티노인, 아다팔렌 및/또는 13-시스-레티노산 및 벤조일 퍼옥시드, 국소 항생제, 특히 에리트로마이신 및/또는 클린다마이신 포스페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진피의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거나 또는 그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활성제 중에서, 다음과 같이 작용하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 피브로넥틴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특히 옥수수 추출물, 예컨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델리너(Deliner™)란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추출물, 및 세데르마(Sederma) 캄파니에 의해 매트릭실(Matrixil™)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팔미토일 펜타펩티드;
- 세포외 매트릭스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GF2)의 분해 및/또는 변성에 대항하여 상기 성장 인자를 보호하기 위한 작용제, 특히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특허 출원 번호 FR0654316에 기재된 바와 같은 히비스쿠스 아벨모스쿠스 (Hibiscus abelmoscus) 추출물 및/또는 섬유아세포 성장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판매된 피토킨(Phytokine™)이란 상표명으로 공지되고 또한, 특허 출원 EP 1 119 344 B1 [라보라토리즈 엑스팬사이언스(Laboratoires Expanscience)]에 기재된, 펩티드를 함유하는 발효된 콩 추출물, 및 우선적으로 이들 두 추출물의 조합물;
- 라미닌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특히 생명공학에 의해 변형된 맥아의 추출물, 예컨대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바살라인(Basaline™)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추출물;
- 히알루로난 신타제 2 (HAS2)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특허 출원 FR 2 893 252 A1에 기재된 식물 추출물 및 특히, 갈란가(Galanga) [알피니아 갈란가(Alpinia galanga)]의 수성 추출물;
- 리실 옥시다제 유사 (LOXL)의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예컨대 게오필라 코르디폴리아(Geophila cordifolia) 추출물 및 특허 출원 FR2855968에 기재된 것, 특히 딜(dill) 추출물;
- 세포내 ATP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 특히 조류 라미나리아 디기타타 (Laminaria digitata)의 추출물;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을 자극하기 위한 활성제, 예컨대 우유 발효 생성물;
- 콜라겐-자극성 활성제, 예컨대 레티놀 및/또는 비타민 C;
- 메탈로프로테이나제 (MMP), 예컨대 보다 특히 MMP 1, 2, 3 및 9를 억제하는 활성제, 예컨대 레티노이드 및 유도체, 올리고펩티드 및 리포펩티드, 리포아미노산, 콜라리프트(Collalift™)란 상표명으로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에 의해 판매된 맥아 추출물, 엑스트라셀륨(Extracellium™)이란 상표명으로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에 의해 판매되는 가수분해된 감자 추출물; 리코펜; 이소플라본, 케르세틴, 카엠프페롤 및 아피게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각질세포 증식을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는 특히 레티노이드, 예컨대 레티놀 및 그의 에스테르 (레티닐 팔미테이트 및 프롤로글루시놀 포함)를 포함한다. 각질세포 분화를 자극하기 위한 작용제는, 예를 들어 미네랄, 예컨대 칼슘 및 리그난, 예컨대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 및 또한,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에 의해 뉴로비옥스(Neurobiox™)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lium)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항미생물제는 특히,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또는 트리클로산), 3,4,4'-트리클로로바닐리드, 페녹시에탄올, 페녹시프로판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헥사미딘, 이세티오네이트, 메트로니다졸 및 그의 염, 미코나졸 및 그의 염, 이트라코나졸, 테르코나졸, 에코나졸, 케토코나졸, 사페르코나졸, 플루코나졸, 클로트리마졸, 부토코나졸, 옥시코나졸, 술파코나졸, 술코나졸, 테르비나핀, 운데실렌산 및 그의 염, 벤조일 퍼옥시드, 3-히드록시벤조산, 4-히드록시벤조산, 피트산, N-아세틸-L-시스테인 산, 리포산, 아젤라산 및 그의 염, 아라키돈산, 레소르시놀, 옥톡시글리세린, 옥타노일글리신, 카프릴릴 글리콜, 10-히드록시-2-데카노산, 파르네솔, 피토스핑고신,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팽창제 중에서, 특히 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우레탄 라텍스 또는 아크릴성 라텍스; 자연 기원의 중합체, 특히 전분의 형태 또는 카라기난의 형태의 폴리홀로시드, 알기네이트, 한천, 겔란, 셀룰로스-기반 중합체 및 펙틴; 콩 식물성 단백질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 혼합 실리케이트; 왁스 미립자; 예를 들어 실리카 및 실리카-알루미나 복합체로부터 선택된 무기 충진제의 콜로이드성 입자; 및 또한 그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오염 방지제", 특히 예를 들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아스코르빌 글루코시드 포함)로써 나타낸 오존 스캐빈저; 페놀 및 폴리페닐, 특히 탄닌, 엘라그산 및 타닌산; 에피갈로카테킨 및 이를 함유하는 자연 추출물, 특히 녹차 추출물; 안토시안; 페놀 산, 스틸벤;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화합물 스캐빈저, 탄닌, 예컨대 엘라그산 및 인돌 유도체인 활성제 및/또는 중금속을 포획하는 활성제, 예컨대 EDTA,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인 활성제, 예컨대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비오플라보노이드; 조효소 Q10 또는 유비퀴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완화제로서,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펜타시클릭 트리테르펜, 우르솔산 및 그의 염, 올레아놀산 및 그의 염, 베툴린산 및 그의 염, 살리실산 염 및 특히, 아연 살리실레이트, 비사볼롤, 알란토인, 불포화 오메가-3 오일, 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인도메타신 및 베타메타손, 소염 활성제, 및 특히 출원 FR2847267에 기재된 것, 특히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에 의해 인히파세(Inhipase™)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푸에라리아 로바타(Pueraria lobata) 뿌리 추출물,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추출물.
미세순환시 작용하는 활성 성분 (혈관보호제 또는 혈관확장제)은 플라보노이드, 루스코게닌, 니코티네이트 및 필수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광보호 활성제 또는 UVA- 및/또는 UVB-차단제 성분은 특히, UVA 및/또는 UVB 범위에서 활성인 광보호제, 예컨대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특히 바스프에 의해 판매되는 우비눌(Uvinul) P25™, 살리실산 유도체, 특히 호모살레이트 단독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연합된 호모살레이트,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신남산 유도체,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바스프에 의해 특히 우비눌 N539™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옥토크릴렌 포함], 벤조페논 유도체, 특히 바스프에 의해 특히 우비눌 400™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벤조페논-1, 벤질리덴캄포르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바스프에 의해 특히 우비눌 T150™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에틸헥실 트리아존 포함],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이미다졸린 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 유도체, 4,4-디아릴부타디엔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이다.
웰빙의 효과를 제공하는 활성제, 예컨대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베타-엔도르핀의 효과를 모방하는 활성제, 예컨대 특허 출원 US 2006069032에 언급된 것; 베타-엔도르핀의 합성을 자극하는 활성제, 예컨대 식물 테프로시아 푸르푸레아(Tephrosia purpurea)의 추출물.
체중 감량 활성제는 특히,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단백질 리파제를 억제하는 작용제, 예컨대 특허 US 2003086949 [콜레티카(Coletica)]에 기재된 것, 및 특히 페루비안 리아나 (Peruvian liana) [운카리아 토멘토사(Uncaria tomentosa)]의 추출물; 배수 활성제, 특히 헤스페리틴 라우레이트 [플라바그룸(Flavagrum™)], 또는 케르시틴 카프릴레이트 [플라벤저(Flavenger™)]; 효소 포스포디에스테라제를 억제하는 작용제, 아데닐레이트 시클라제, cAMP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제 및/또는 스페르민 및/또는 스페르미딘을 포획할 수 있는 작용제. 이들 활성제의 예로서, 콜레우스 포르스콜리이(Coleus forskohlii) 뿌리 추출물, 세크로피아 옵투사(Cecropia obtusa) 추출물, 우바 락투카(Uva lactuca) 추출물, 카페인, 포르스콜린, 테오필린, 테오브로민, 및/또는 그의 유도체, 바스프 뷰티 캐어 솔루션즈 프랑스 SAS에 의해 판매되는 슬리멕세스(Slimexcess™)란 상표명의 가수분해된 카파 카라기난 생성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어떠한 탈색제 및/또는 항-티로시나제 및/또는 멜라노생성-억제제도 함유하지 않는다.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건강 및/또는 신체적 외모를 개선시키는, 미용 제품용으로 활성인 수많은 성분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최상의 효과를 수득하기 위하여 미용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합물은 이들을 서로 병용한 경우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 병용물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된다. 문헌 [The 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Second Edition (1992)]에는 국소용으로 특히 적합한, 미용 제품 산업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각종 미용 및 제약 성분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부류의 성분의 예는 다음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마제, 흡수제, 미용 목적의 화합물, 예컨대 향수; 색소; 염료; 필수 오일; 수렴제, 예컨대 클로브 오일, 멘톨, 캄포어, 유칼립투스 오일, 에우게놀, 멘틸 락테이트, 윗치 헤이즐(witch hazel) 증류액; 항여드름제; 항응집제; 소포제; 항미생물제, 예컨대 아이오도프로필 부틸카르바메이트;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완충제; 팽윤제; 킬레이트제; 첨가제; 살균제; 변성제; 증점제; 및 비타민; 필름-형성성 물질; 중합체; 유백화제; pH 조정제; 환원제; 컨디셔닝제, 예컨대 습윤제, 및 그의 유도체 또는 등가물.
본 발명의 또한 또 다른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우선적으로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용매, 특히 극성 용매, 예컨대 물, 알콜, 폴리올, 글리콜 또는 그의 혼합물, 우선적으로 수성-글리콜성 혼합물, 보다 우선적으로 카프릴릴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특히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리하게 헥실렌 글리콜 및 카프릴릴 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서 가용화시킨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이 가용화되는 수성 용액은 헥실렌 글리콜,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헥실렌 글리콜, 보다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헥실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이 가용화되는 수성 용액은 카프릴릴 글리콜,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 보다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카프릴릴 글리콜을 포함한다.
특히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이 가용화되는 수성 용액은 특히 상기 표시된 비율의 헥실렌 글리콜 및 카프릴릴 글리콜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우선적으로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수성 용액에 가용화된다. 특히, 이러한 수성 용액은 헥실렌 글리콜 및 카프릴릴 글리콜을, 유리하게 이들 구성분에 대해 상기 표시된 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가용화되는 수성 용액은 증점제 및/또는 구조화제, 예컨대 크산탄 검을, 유리하게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인간의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두피의 하나 이상의 관심 부위에, 특히 세포외 매트릭스 및/또는 상피 기저막,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 및/또는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이러한 미용 관리 방법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 특히 시간생물학적 및/또는 광생물학적 노화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항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고/하거나, 특히 표피에서 상기 항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기저막, 우선적으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강화시키기 위한,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와 연관된, 특히 표피 수준에서의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혈관화의 감소를 방지하고/하거나 퇴치하고/하거나, 특히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특히 피부의 모세관의 구조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혈관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형태발생을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 특히 노화, 특히 시간생물학적 노화가 진행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구조, 우선적으로 표피 구조를 복원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의 안색을, 특히 이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개선시키기 위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단단함 및/또는 밀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 감소를 퇴치하기 위한,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단지 예시로써 제공되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조로 한 설명서를 판독한 후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이고, 실시예를 포함한, 전체로서 취한 상기 설명서를 기초로 하여 어떠한 선행 기술에 비해서도 신규한 것으로 나타나는 어떠한 특징도, 그의 기능과 그의 일반적 성질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각 실시예는 일반적인 범위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그리고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온도는 ℃로 표현되고, 압력은 대기압이다.
도 1은 실시예 6에 기재된 시험에 따라서 배양한지 0일째 (T0) 및 7일째 (T7)의 처리 (0.5% 하의 추출물)를 수반한 배양에서 또는 처리를 수반하지 않는 배양에서 (대조군), 50세 공여자로부터의 생검에서 측정된 페를레칸의 발현 수준 상의 변화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수성 추출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제조
a)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뿌리를 제분시킨 다음, 주위 온도, 즉 18 내지 25℃, 본 경우에는 대략 20℃에서 2시간 동안 물에 침용시키는데, 제분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뿌리의 함량은 총 식물/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이다.
불용성 물질을 0.45 ㎛에서 여과시킴으로써 분리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회수한다. 이러한 추출물을 다음 실시예 2, 4, 5 및 6에서 최종 배양 배지 중에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하였다.
이로써 수득된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 트랜스-스틸벤 (C14H12, MW 180.24 g/mol), 라폰틴 (구조식 C21H24O9, MW 420.14 g/mol), 데옥시라폰틴 (C21H24O8, MW 404.14 g/mol), 엡실론-비니페린, 및 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3-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 (C20H22O8, MW 390.13 g/mol) 중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또한, 실시예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미용 성분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b)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뿌리를 제분시킨 다음, 우선적으로 0 내지 20℃의 온도, 우선적으로 4℃에서 물에 1% (w/w)로 침용시킨다.
교반을 수반한 침용 시간은 유리하게, 30분 내지 24시간이고, 본 경우에는 16시간이다.
상기 용액을 우선적으로 8000 rpm 하에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회수한다. 이 상등액을 각종 컷-오프 역치, 및 특히 0.22 ㎛에서 필터 상에 한외여과시킨다.
이로써 수득된 추출물을 액체 형태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3에서 각종 투여량으로 사용하였다.
c)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뿌리를 제분시킨 다음, 우선적으로 0 내지 20℃의 온도, 본 경우에는 4℃에서 물/부틸렌 글리콜 혼합물 (75%/25%)에 침용시킨다. 교반을 수반한 침용 시간은 유리하게, 30분 내지 24시간이고, 본 경우에는 10시간이다.
상기 용액을 우선적으로 8000 rpm 하에 10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회수한다. 이 상등액을 각종 컷-오프 역치, 및 특히 0.45 ㎛에서 필터 상에 한외여과시킨다.
이어서, 이로써 수득된 추출물을, 특히 말토덱스트린 지지체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물에 1% (w/w)로 재가용화시킨다.
실시예 2: 각질세포에서의 페를레칸 발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효과
형광면역검정 (FIA)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이는 형광에 의해 관심 항원 (본 경우에는 페를레칸이다)을 밝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반-정량적이고, 고도로 감수성이며 재현 가능하고, 변성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관심 단백질을 그의 환경 내에서의 그의 천연 형태로 탐지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50세 공여자로부터의 복부 피부 생검으로부터의 각질세포를 추출하고, 이를 웰당 5,000개 세포의 밀도로 웰의 바닥에 부착시키며, 완전 배지, 즉 태아 송아지 혈청 (FCS)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3일 동안 성장시킨 다음, FCS를 수반하지 않는 한정 배지에서 16시간 동안 성장시킨다. 그 다음, 이들을 상기 최종 배양 배지에서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a)에서 수득된 추출물과 함께 48시간 동안 배양하거나,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대조군으로 지칭됨)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이어서, 상기 세포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에서 세척한 후, 고정시키고, 투과시키며 정체가 드러나게 하였다. 90분 동안 (항-페를레칸) 1차 항체를 적용하기 전에, 상기 세포를 1시간 동안 1%의 BSA (소 혈청 알부민)로 포화시킨다. PBS 완충액에서 세척한 후, 플루오로크롬 FITC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와 연결된 2차 항체를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이어서, 세포를 PBS 완충액에 세척한 다음, 20 mM의 수산화암모늄 및 0.5%의 100% 트리톤으로 가용화시킨다. 그 다음, 적당한 필터를 이용하여 분광형광계 상에서 형광을 판독한다. 그 결과가 다음 표 1에 수집 분석되어 있다. 본 실험은 12회 수행한다 (n=12). 다음 표 내의 값은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교한 비율 (%)로서의 값을 나타낸다. 그 값은 추출물의 각종 배치 상에서의 몇 가지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표 1>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각질세포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 비율 (%)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1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각질세포에서의 페를레칸 단백질 발현의 상당한 증가를 유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구조적 응집력 상의 개선을 유도시킨다.
실시예 3: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 발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효과
본 기술은 50세 또는 30세 또는 신생아 공여자로부터의 복부 피부 생검으로부터 추출된 내피 세포 상에서 수행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 2a, 3 및 4에 수집 분석되어 있는데;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표 2>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50세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b)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2

<표 2a>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50세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3

<표 3> 사용된 활성제의 함수로서 30세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b)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4

<표 4>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신생아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 비율 (%). n=6;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b)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5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시험된 용량에서, 내피 세포에서의 페를레칸 단백질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혈관 구조적 응집력을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의 그의 특성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공여자의 연령에 상관없이 관찰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실시예 1a)에 따르는 추출물의 보다 우수한 유효성을 입증하고 있다.
실시예 4: 각질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효과
본 기술은 관심 항원이 본 경우에 디스트로글리칸이고 사용된 항체가 항-디스트로글리칸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다.
그 결과는 다음 표 5에 수집 분석되어 있는데;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표 5>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50세 공여자의 각질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6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시험된 용량에서, 각질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 단백질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의 구조적 응집력 상의 개선을 유도시킨다.
실시예 5: 내피 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효과
본 기술은 관심 항원이 본 경우에 디스트로글리칸이고 사용된 항체가 항-디스트로글리칸이며, 기술을 각질세포 상에서가 아니라 내피 세포 상에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다.
그 결과는 다음 표 6 및 7에 수집 분석되어 있는데;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표 6>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30세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7

<표 7> 사용된 추출물의 용량의 함수로서 50세 공여자의 내피 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 비율 (%). n=12;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최종 배양 배지 중에서의 중량%로서 다양한 투여량으로 시험된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됨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8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시험된 용량에서, 내피 세포에서의 디스트로글리칸 단백질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혈관 구조적 응집력을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의 그의 특성을 증명하였다.
실시예 6: 상피 기저막 , 특히 진피표피 접합부 내에서의 페를레칸 발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수성 추출물의 생체외 평가
페를레칸의 면역표지화 후 50세 여성으로부터의 복부 피부의 생검 상에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상기 생검을 배양 배지 중의 0.5 중량%로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특이적 배지, 또는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 (대조군)에서 7일 기간 동안 생존 조건 하에 놓아두었다. 생검이 나타나 있는데, 즉 상피, 우선적으로 표피가 배지로 커버되지 않는다.
페를레칸의 면역형광성 표지화물을 관찰하고, 반-정량적 영상 분석에 의해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진피표피 접합부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을 반영하는 형광의 평균 세기와 형광의 국재화를 연구하고, 실험을 시작할 때와 실험이 끝날 때에 측정하였다. 진피표피 접합부를 단편화한 경우에, 상기 평균 세기의 평균이 생성되었다. 그 결과는 임의 형광 단위 (AFU)로 표현된다. 생검을 배양물 내에 놓아두자 마자 취한 측정치는 "T0"이고, 배양 7일째에 취한 측정치는 "T7"이다. 본 실험은 1회 (n=1) 수행하였다. 그 결과가 도 1에 가시화되었다.
도 1a는 T0에서의 형광의 세기 및 국재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T7 (대조군)에서 생검에 있어서의 형광의 세기 및 국재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T7, 즉 상기 추출물로 처리한지 7일 후에 생검에 있어서의 형광의 세기 및 국재화를 도시한 것이다.
결론:
형광은 진피표피 접합부에서 T0 (도 1a)과 T7 (도 1b) 사이에서 감소됨으로써, 배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피표피 접합부 내에서의 페를레칸의 발현이 감소된다는 것을 (대조군) 입증해주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존재 하에서는, 페를레칸 단백질 발현이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지되었는데, 이는 T7에서 관찰된 형광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다 (도 1c).
실시예 7: 미용 조성물 (미용 성분) 내로 혼입될 것으로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상기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하고, 이를 다음 제제의 다른 성분과 혼합한다:
Figure 112015102567618-pct00009

실시예 8: 피부 안색의 광채와 항주름 효과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임상 시험
미용 크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로 크림 내에 포함된 실시예 7의 조성물을 50명의 백인 대상체에게서 시험하였는데, 실시예 7의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크림으로 이루어진 플라시보를 이용한 다른 50명의 백인 대상체와 비교해서 44명의 개인을 평가하였다 (절반은 45세 이상이고, 나머지 절반은 25세 내지 45세이다). 상기 크림은 8주 동안 1일 2회 얼굴 전체에 적용한다. 그 결과의 평가는 영상화, 즉 비시아(Visia) CR® 시스템 [캔필드(Canfield)]을 이용하여 취한 확대 사진을 기초로 한 영상 분석에 의해, 그 효과를 평가한 (점수 매기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및 설문지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통하여 4주째에 수행하였다.
따라서, 피부과 전문의는 미리 규정된 등급에 따라서 안색의 광채와 눈가의 잔주름에 점수를 매겼다.
비시아 CR® 시스템 (캔필드)은 생체내 디지털 영상 포착 시스템이다. 더욱이, 수득된 영상을 연속해서 분석함으로써, 상기 처리의 유효성에 있어서 특징적인 몇 가지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피부 질감 파라미터를 영상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질감은 영상 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얼굴 영상에서 사전에 규정된 관심 영역에서의 그레이 레벨(gray level)의 분포도로서 설명될 수 있다. 엔트로피는 피부 구조의 복잡성을 반영한다. 피부가 더 반반해지고, 이에 따라 균등해지고 더 부드러워지면 엔트로피는 감소된다.
피부의 균일성은 그레이 레벨 간의 콘트라스트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 콘트라스트는 피부의 결(grain)과 상관이 있고, 피부의 결이 더 고와지면 콘트라스트는 감소된다.
상기 2가지 파라미터는 동시 발생 행렬로부터 계산된 하랄릭(Haralick) 지표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영상을 찍은 각종 시간 사이의 영상들을 공간적으로 정렬시킨 후에, 주름의 진전을 확대 사진 상에서 평가하였다. 이때, 주름은 비색 공간에 투영함으로써 확인한다. 임계값 설정한 후, 주름을 확인한다. 관심 영역 (ROI)에 상응하는 마스크(mask)를 규정한다. 주름에 상응하는 화소(pixel)를, 적용하기 전 (T0), 처리한지 2주 후 (T2wk) 및 처리한지 4주 후 (T4wk)에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관심 영역에서 정량화한다.
소정의 부위 상에서의 모든 주름의 길이를 부가함으로써, 눈가의 잔주름의 외견상 누적 길이를 또한 측정하였다. 이러한 길이는 화소의 크기 (1 화소 = 0.03 mm)를 통하여 결정한다. 수많은 분할된 화소 (1 화소 = 0.03 mm)의 표면적 (㎟)을 계산함으로써, 눈가의 잔주름의 외견상 표면적을 또한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다음 표 8, 9, 10, 11, 12 및 13에 제시된다.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EM"은 평균의 표준 오차를 의미하며, "VAR"은 대조군 T0과 비교한 비율 (%)로서의 변동을 의미한다. T0과 비교한 유의적 역치는 각 표에서 언급된 통계 시험에 따르는 "유의성" 칼럼에 표시된다.
<표 8>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제공된 평균 시각적 점수로서의 안색의 광채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0

* 윌콕슨(Wilcoxon) 시험
<표 9>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제공된 평균 시각적 점수로서의 눈가의 주름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1

* 윌콕슨 시험
<표 10>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영상 분석에 의한 피부의 부드러움 (엔트로피)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2

* 원-웨이 아노바(One-way Anova) 시험
<표 11>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영상 분석에 의한 피부의 균일성 (콘트라스트)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3

* 원-웨이 아노바 시험
<표 12>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영상 분석에 의한 눈가의 잔주름의 외견상 누적 길이 (mm)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4

* 원-웨이 아노바 시험
<표 13> 적용하기 전 (T0), 및 적용한지 2주 후 (T2wk) 및 이어서 적용한지 4주 후 (T4wk)에 영상 분석에 의한 눈가의 잔주름의 외견상 표면적 (㎟)의 진전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5

* 원-웨이 아노바 시험
결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특성이 생체내에서 관찰되었고 입증되었다. 실제로, 표 8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적용된지 단지 2주 후에 안색의 광채가 개선되고, 이러한 효과가 적용 4주 후에도 추가로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콘트라스트의 감소를 통하여 피부의 결에 있어서의 개선과 피부의 균일성에 있어서의 개선을 보여주는 표 11에서의 결과에서 입증된다. 더욱이, 피부의 부드러움은 명백하게 개선되었다 (표 10).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표 9에서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름을 감소시키는데, 특히 주름의 외견상 길이 (표 12) 및 주름의 외견상 표면적 (표 13)을 감소시킨다 (이는 유의적이다).
실시예 9: 융합 전( preconfluent ) 내피 세포 상에서 면역형광에 의한 클라우 딘-5의 입증
50세 여성으로부터의 정상 인간 피부의 생검으로부터 내피 세포의 단층 배양물 [론자(Lonza)] 상에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클라우딘-5 면역형광 후에 입증하였다.
상기 세포를 시딩하고, EGM2 배지 (론자)에서 배양하며, 10일 동안 증폭시킨 다음, 50,000개 세포/㎠로 면역조직화학 판 [랩텍(Labteck)] 상에 다시 시딩하고, EGM2 배양 배지 (론자) 중의 0.5% 하에 48시간 동안 추출물 1a)의 존재 하에 놓아두거나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 배지 (대조군)와 접촉하게 하였다.
클라우딘-5의 면역형광성 표지화물을 관찰하고, 반-정량적 영상 분석에 의해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내피 세포에서의 클라우딘-5의 발현을 반영하는 형광의 평균 세기와 형광의 국재화를 연구하고, 실험이 끝날 무렵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임의 형광 단위 (AFU)로 표현되고, 다음 표 14에 제시된다; "평균"은 평균을 의미하고, "SD"는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표 14>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6

결론:
t-시험 (p<0.027)을 통하여, 형광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존재 하에 48시간 이내에 상당히 증가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피 세포의 클라우딘-5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내피 세포의 수준에서 치밀 접합부를 개선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종 부분 A, B, C, D, E, 또는 F를 함께 혼합하기 위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바람직하게 실시예 1a)에 따라서 수득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또한 다음 실시양태에 따라서 수득된, 5%의 콩 레시틴을 함유하고 사급화 콩 용액 (600 g 최종)이 혼입된 리포솜의 형태일 수 있다:
30 g의 콩 레시틴, 12 g의 사급화 콩 용액, 및 실시예 1a)에 따라서 제조된 1.5 g의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을 샘플 튜브에 놓아두고, 447 g의 순수한 실험용수에 희석시킨다.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자기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10분 동안 격렬하게 균질화시킴으로써, 리포솜의 평균 크기가 정확한 균질화 조건에 따라서 100 내지 800 나노미터의 범위일 수 있는 리포솜성 용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현탁액을 1시간 동안 온화하게 교반시켜 둔다. 그 다음, 90 g의 부틸렌 글리콜, 6 g의 페녹시에탄올 및 6 g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겔화제)를 가한다.
미용 제제 10a: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7

미용 제제 10b: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8

미용 제제 10c:
Figure 112015102567618-pct00019

연고 형태의 피부과용 제제 10D:
Figure 112015102567618-pct00020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은 실시예 1a)에 기재된 것이고, 이후 멸균 및 건조 단계에 적용된다.

Claims (22)

  1. 국소 적용에 의해 페를레칸 또는 디스트로글리칸, 또는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Polygonum bistorta) 추출물로서,
    - 붉은 반점을 제거함으로써, 또는 안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또는 광택이 나거나, 광채가 나거나, 건강하거나 영양분이 공급된 외관, 또는 분홍색빛 광채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거나,
    - 주름 또는 잔주름, 또는 주름 및 잔주름을 감소 또는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퇴치하거나,
    -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항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퇴치하거나,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항상성을 개선시키거나,
    -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상피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단단함 또는 밀도를 개선시키거나, 또는
    -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와 연관된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및/또는 노화가 진행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구조를 복원시키기 위한,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뿌리로부터의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포외 매트릭스에서 페를레칸 또는 디스트로글리칸, 또는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을 자극하기 위한 추출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페를레칸 또는 디스트로글리칸,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 단백질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추출물.
  6. 제1항에 있어서, 붉은 반점을 제거함으로써, 또는 안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또는 광택이 나거나, 광채가 나거나, 건강하거나 영양분이 공급된 외관, 또는 분홍색빛 광채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기 위한 추출물.
  7. 제1항에 있어서, 주름 또는 잔주름, 또는 주름 및 잔주름을 감소 또는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퇴치하기 위한 추출물.
  8.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항상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퇴치하거나,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항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추출물.
  9.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상피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한 추출물.
  10.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단단함 또는 밀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추출물.
  11.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노화와 연관된 각질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및/또는 노화가 진행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두피의 상피 구조를 복원시키기 위한 추출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강한 피부 또는 건강한 점막 또는 건강한 두피의 하나 이상의 관심 부위에 국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피부의 관심 부위가 얼굴, 목, 목둘레선, 가슴 및 손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용 제품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액에서 가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수성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가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또는 두피의 각질세포 또는 내피 세포에서 페를레칸 또는 디스트로글리칸, 또는 페를레칸 및 디스트로글리칸의 발현을 자극하기 위한 추출물.
  18. 제14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이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 크림 또는 수성 젤 또는 오일성 젤; 밀크;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나노에멀젼; 마스크; 세럼; 로션; 액체 비누; 피부과용 바; 연고; 폼; 패치; 무수 제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19. 국소 사용함으로써 장미증, 모세혈관확장증, 갈라지고 건조해지는 것, 또는 협측 또는 안구 점막의 병리학적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 및 피부과용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피부과용 조성물.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7030464A 2013-03-27 2014-03-27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KR102315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2769A FR3003758B1 (fr) 2013-03-27 2013-03-27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olygonum bistorta
FR1352769 2013-03-27
PCT/FR2014/050731 WO2014155012A1 (fr) 2013-03-27 2014-03-27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un extrait de polygonum bistor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433A KR20150135433A (ko) 2015-12-02
KR102315208B1 true KR102315208B1 (ko) 2021-10-20

Family

ID=4879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64A KR102315208B1 (ko) 2013-03-27 2014-03-27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051462A1 (ko)
EP (1) EP2978503B1 (ko)
JP (1) JP2016515567A (ko)
KR (1) KR102315208B1 (ko)
CN (1) CN105263583B (ko)
BR (1) BR112015024642A2 (ko)
ES (1) ES2753401T3 (ko)
FR (1) FR3003758B1 (ko)
WO (1) WO2014155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1549A (ja) * 2013-10-02 2015-04-1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アトロジン−1抑制剤
ITUA20162405A1 (it) 2016-04-08 2017-10-08 Indena Spa Composizioni cosmetiche per la protezione dagli agenti inquinanti atmosferici
US11529300B2 (en) * 2019-07-03 2022-12-20 Jamrm, Llc Formulations for enhancing skin firmness, density and thickness
KR102247330B1 (ko) * 2019-12-19 2021-05-06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WO2024062470A1 (en) * 2022-09-21 2024-03-28 Moraz Medical Herbs (1989) Ltd. Derm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N115844785A (zh) * 2022-12-24 2023-03-28 广西大学 植物染发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54316A (fr) 1927-06-30 1929-04-04 Ig Farbenindustrie Ag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dérivés d'hydrocarbures et d'hydrocarbures non saturés
JPS60104005A (ja) * 1983-11-08 1985-06-08 Kobayashi Kooc:Kk 美白化粧料
JP2542849B2 (ja) * 1987-06-04 1996-10-09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JPH09287982A (ja) * 1996-04-23 1997-11-0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FR2784029B1 (fr) 1998-10-05 2001-01-05 Pharmascience Lab Methode de prevention et/ou de traitement cosmetique des vergetures de la peau et utilisation en dermatologie
FR2818547B1 (fr) 2000-12-22 2006-11-17 Oreal Nouveaux derives c-glycosides et utilisation
FR2824334B1 (fr) 2001-05-03 2003-10-10 Coletica Procede pour tester une substance eventuellement active dans le domaine de la lipolyse et son utilisation principalement cosmetique
US20030118617A1 (en) * 2001-12-21 2003-06-26 Avon Products, Inc. Resveratrol analogues
EP1398019A1 (de) * 2002-09-13 2004-03-17 Cognis France S.A. Verfahren zum Schutz und zur Modulation von Dermal Epidermal Junctions
FR2844714B1 (fr) * 2002-09-20 2007-04-27 Af Consulting Compositions pour les soins de la peau subissant un desequilibre hormonal, et contenant un ou des oligomeres de resveratrol, en particulier de l'epsilone-viniferine, et/ou certains de leurs derives
FR2847267B1 (fr) 2002-11-19 2006-07-28 Coletica Procede de test de l'activite d'une substance potentiellement active pour inhiber l'activite enzymatique de la phospholipase a2
FR2855968B1 (fr) 2003-06-13 2012-11-30 Coletica Stimulation de la synthese et de l'activite d'une isoforme de la lysyl oxydase-like loxl pour stimuler la formation de fibres elastiques
US20050036974A1 (en) 2003-07-17 2005-02-17 L'oreal Beta-endorphin activity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FR2867977B1 (fr) * 2004-03-26 2013-04-12 Af Consulting Compositions pour limiter les rides de la peau provoquees par les contractions des muscles sous-cutanes et contenant du resveratrol et/ou de ses derives
FR2863893B1 (fr) 2005-02-02 2008-04-18 Coletica Utilisation de principes actifs stimulant les beta-defensines humaines de type 2 et/ou de type 3
FR2893252B1 (fr) 2005-11-17 2008-02-15 Engelhard Lyon Sa Extraits vegetaux stimulant has2
JP2007186457A (ja) * 2006-01-13 2007-07-26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タ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JP4800049B2 (ja) * 2006-01-31 2011-10-2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mTORを活性化する製剤及びmTORを活性化する方法
KR100909574B1 (ko) * 2009-04-06 2009-07-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권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03758B1 (fr) 2015-07-17
EP2978503B1 (fr) 2019-08-07
ES2753401T3 (es) 2020-04-08
CN105263583A (zh) 2016-01-20
WO2014155012A9 (fr) 2014-11-20
CN105263583B (zh) 2020-11-24
WO2014155012A1 (fr) 2014-10-02
FR3003758A1 (fr) 2014-10-03
JP2016515567A (ja) 2016-05-30
US20160051462A1 (en) 2016-02-25
EP2978503A1 (fr) 2016-02-03
KR20150135433A (ko) 2015-12-02
BR112015024642A2 (pt)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930B1 (ko) 화장료 용도의 아니고잔토스 플라비두스 추출물
JP6968534B2 (ja) ピキア・アノマーラ及びチコリ根抽出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KR102625374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의 과피의 추출물의 용도
KR102315208B1 (ko)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US20230381075A1 (en) Botanical and bacterial extracts displaying retinol-like activity
US20220241181A1 (en) Novel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s of an extract of cistus monspeliensis
US20190125657A1 (en) Cosmetic use of khaya senegalensis extract
KR102588031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 추출물의 용도
US20150056310A1 (en) Cosmetic method for increasing collagen expression in skin comprising topically applying an extract of quassia amara
US20160220477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an extract of tapirira guianensis
CN116685307A (zh) 卷曲乳杆菌菌株和/或包含其的组合物的美容、营养或皮肤病学用途
KR20050022315A (ko) 국소투여에 의한 로디올라 크레뉼라타 추출물의 이용
JP2022543141A (ja) ヤナギラン(Epilobium angustifolium)抽出物の新規な化粧用使用
FR3019988A1 (fr) Utilisation cosmetique d&#39;un extrait de chicorium intybus
FR3010307A1 (fr) Utilis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d&#39;avicularine
BR112019025318B1 (pt) Uso cosmético do extrato de pericarpo de nephelium lappaceum, e, processo de cuidado cosmético
AU2016273940A1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chicory root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