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962A -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962A
KR20240056962A KR1020220137097A KR20220137097A KR20240056962A KR 20240056962 A KR20240056962 A KR 20240056962A KR 1020220137097 A KR1020220137097 A KR 1020220137097A KR 20220137097 A KR20220137097 A KR 20220137097A KR 20240056962 A KR20240056962 A KR 20240056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tification
crosswalk
display device
guidan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식
Original Assignee
신충식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충식 filed Critical 신충식
Publication of KR2024005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Abstract

본 발명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정면 적소에 부분적으로 장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에는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프로그램이 셋팅된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the guiding display device it informs}
본 발명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개선하여 포괄적으로 사용하되, 횡단보도에 설치할 경우 어린이들의 주의를 다시 한 번 환기시키며 보행사고를 방지하고, 도로나 공사장 주변에 설치할 경우 전방의 도로 상황과 공사장 등의 상황을 미리 인지시켜줌으로써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정체의 이유와 공사 정보 등을 제공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라는 것은 도로나 공사현장 등 각종 현지에서 발생하는 상황 및 지시를 특정인 또는 불특정 다수인에게 식별하에 알려주도록 하는 장치인 것이다.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교통신호를 알리기 위한 교통 신호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교통 신호등은 자동차의 운전자, 보행자 및 자전거에게 통행권의 규제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적색과 청색 그리고 황색 및 지시선의 신호등을 점멸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르게 사용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일 예로 공사 또는 차량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호수를 대신하여 도로에 마네킹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를 서행시키거나, 차선을 변경 및 통제하는 일 예도 알려지고 있다.
상술했던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궁극적인 사용 목적은 안전을 도모하여 인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사전에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는 사용처와 환경에 따라, 그리고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작되어 사용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능과 목적을 갖고 제작 및 사용되고 있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는 사용처와 용도에 따라 대부분이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고 있는 터라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실증을 느끼게 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다.
한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와는 무관하면서 운전자와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로와 인도를 경계하는 경계선에 울타리의 기능을 하는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가드레일은 횡단보도 구간을 제외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지면에 수직으로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는 다수의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추락 및 인도로의 돌진을 방지하며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있다.
한편, 가드레일은 횡단보도 구간을 제외한 상태에서 설치하다 보니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횡단보도 내에서의 사고가 빈번하였고, 특히 주의가 산만한 어린이들의 횡단보도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물론,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는 전적으로 운전자의 과실로 결정되지만, 어린이들의 충분한 규율 학습이 부족하다는 요인과, 규율과 규범을 생활화 하고 또 스스로 체험하며 습관화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부분에서 부족하다는 요인도 횡단보도 교통사고의 요인으로 규명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KR 10-2008-0006954 A KR 10-2017-0085669 A KR 10-2022-0109916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개선하여 포괄적으로 사용하되, 횡단보도를 보행하는 어린이 또는 운전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개선하여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상황을 미리 주의시킴으로써 차막힘 현상에 대한 정확한 안내와 공사현장을 상기시킬 수 있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외형을 각 지역을 상징하는 인물의 캐릭터로 제작하거나, 지역 축제의 상징물과 캐릭터로 제작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 범위를 다양하게 확대할 수 있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정면 적소에 부분적으로 장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에는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프로그램이 셋팅된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에 끼워서 걸림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본체가 단독으로 입설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받침대는, 지면이나 도로에 고정되는 베이스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수직 지지대, 및 한쪽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축을 중심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기 베이스 지지대에 축을 중심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지지대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후면에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거나 횡단보도 근처에 독립적으로 입설하기 위한 받침대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상기 본체는 전기 접속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신호등의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제어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후면에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거나 횡단보도 근처에 독립적으로 입설하기 위한 받침대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횡단보도와 인접하며 설치된 신호등에는 적색, 청색의 신호를 무선으로 발신하는 발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하는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부를 갖춘 제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다양한 문구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하고 구조를 개선하여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어린이들에게는 규율과 규범을 반복적으로 주입시키는 학습효과 부여함으로써 생활 습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하고 구조를 개선하여 도로상에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상황을 미리 인지시키도록 하여 운전자가 운전할 때 차막힘 현상으로 인한 지루함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형상을 각 지역을 상징하는 인물의 캐릭터로 제작하거나, 지역 축제의 상징물을 캐릭터로 제작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킴은 물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안내 문구를 선택적으로 바꿔가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사용폭을 다양하게 확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일 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에서 적용되는 받침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사용상태 일 예를 보인 정면도
부연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가 받침대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받침대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의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이나 캐릭터로 제작된다.
물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전기 및 PCB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부품들이 설치되며, 상기 전기 및 전자부품들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동작되거나 내외 적소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과 도면 표현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정면 적소에 부분적으로 장착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1)에는 다양한 문구 또는 음성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셋팅된 제어부(20)가 분리 및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20)는 그 표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본체(10)에 일체로 장착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다양한 문구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20)를 조작함으로써 LED가 점등되며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상기한 음성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어부(20)를 조작함으로써 도면표현을 생략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문구와 음성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각각 동작될 수 있지만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본체(10)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지만,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본체(1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와 상기 본체(10)는 커넥터에 의해 전기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결합부(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장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가드레일(G)의 프레임에 끼워서 장착되는 고정부(31)와, 상기 프레임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3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결합부재(32)로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G)을 매개로 결합부(30)를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결합부(30)에 별도로 구비된 받침대(40)를 장착하여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독립적으로 입설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40)는, 지면이나 노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지지대(41)와 상기 베이스 지지대(41)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수직 지지대(42)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41)와 상기 수직 지지대(42)는 서포트 지지대(4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지지대(43)는 한쪽이 상기 수직 지지대(42)에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유동되도록 결합되고, 서포트 지지대(43)의 다른 쪽은 상기 베이스 지지대(41)에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유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한 도 2에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구비된 결합부(30)에 받침대(40)를 장착하여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도 4 내지 도 5에는 본체(10)의 후면에 구비된 결합부(30)를 횡단보도의 가드레일(G)을 매개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드레일(G)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 구조, 즉,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관체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가드레일(G)을 에워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31)의 내주면 형상이 상기 가드레일(G)의 단면 구조와 상응한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본체(10)의 후면에 장착한 후 상기 가드레일(G)에 장착하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드레일(G)의 폭과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부(31)는 높낮이와 좌,우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부(31)가 결합되는 미도시한 다수의 결합공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본체(1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도면부호를 생략한 신호등과 전기 접속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등의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본체(1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인접하여 배치하되, 상기 신호등에는 적색, 청색의 신호를 무선으로 발신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10)에 장착된 상기 제어부(20)에는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하는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횡단보도 특히 어린이들이 자주 왕래하는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인접하는 도로상의 횡단보도에 설치하여 예를들어, 신호등의 청색 신호등이 점등될 경우 본체(10)의 제어부(20)에서는 "건너세요" 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건너세요"를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횡단할 때 한번 더 확인 후 도로를 횡단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에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도로에 설치하여 "사고 처리중" 또는 "공사중"이라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며 운전자들에게 차막힘의 원인을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지루함을 느끼거나 짜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장착부
20 ; 제어부 30 ; 결합부
31 ; 고정부 32 ; 결합부재
40 ; 받침대 41 ; 베이스 지지대
42 ; 수직 지지대 43 ; 서포트 지지대
"G" ; 가드레일

Claims (6)

  1.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정면 적소에 부분적으로 장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에는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프로그램이 셋팅된 제어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에 끼워서 걸림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본체가 단독으로 입설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지면이나 도로에 고정되는 베이스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수직 지지대, 및
    한쪽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축을 중심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은 상기 베이스 지지대에 축을 중심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트 지지대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5.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후면에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거나 횡단보도 근처에 독립적으로 입설하기 위한 받침대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상기 본체는 전기 접속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신호등의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다양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는 제어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6. 다양한 캐릭터로 외관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후면에 횡단보도를 가이드하는 가드레일을 매개로 장착되거나 횡단보도 근처에 독립적으로 입설하기 위한 받침대가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횡단보도와 인접하며 설치된 신호등에는 적색, 청색의 신호를 무선으로 발신하는 발신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소에는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하는 적색, 청색의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수신부를 갖춘 제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다양한 문구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성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KR1020220137097A 2022-10-24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KR20240056962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962A true KR20240056962A (ko) 2024-05-0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11669A2 (pt) sinalizador piscante em combinação com um sinal de rua, sinalizador piscante e método para reduzir a velocidade de tráfego de veìculos
US8098172B2 (en) Adaptable traffic control sign
US20190103022A1 (en) Portable remotely operated traffic control signals
KR102208572B1 (ko) Led를 이용한 보조 교통 신호등
CN112523018B (zh) 一种城乡结合部主干路地铁施工路段诱导系统
KR100389501B1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KR20240056962A (ko) 알림 및 안내 표시장치
KR101767031B1 (ko) 자동차 운전자용 잔여 표시기
CN109255968A (zh) 一种多功能交通信号灯
KR20100045022A (ko) 횡단보도용 차단기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CN203049495U (zh) 人行道安全通行闸口
CN216793098U (zh) 一种智能交通信号灯
KR102363225B1 (ko) 다방향에서 확인 가능한 신호등
KR102315187B1 (ko)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KR101683736B1 (ko) 이동식 보행신호장치
KR200420993Y1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200306767Y1 (ko) 보행자 및 운전자를 위한 안전 신호등
KR101125781B1 (ko)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점등되는 4색 경고등이 구비되고, 여자 아이로 형상화된 횡단보도 교통안전용 컬러조형물
KR200364089Y1 (ko) 교통안전신호보조기구
KR20000020225U (ko) 색맹운전자 식별용 교통신호등
KR102394353B1 (ko) 공공정보 알림 기능을 구비한 다목적 교통신호 장치
CN210857016U (zh) 一种公路工程用的道路改道引导装置
CN210984165U (zh) 一种多功能面板显示标志牌
KR200352005Y1 (ko) 횡단보도 표시 및 보행자 안전 유도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