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590A -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 Google Patents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590A
KR20240056590A KR1020247011879A KR20247011879A KR20240056590A KR 20240056590 A KR20240056590 A KR 20240056590A KR 1020247011879 A KR1020247011879 A KR 1020247011879A KR 20247011879 A KR20247011879 A KR 20247011879A KR 20240056590 A KR20240056590 A KR 2024005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hell
key
plug
lock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클리포드
마이클 한스 빅룬드
Original Assignee
도마카바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마카바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마카바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5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42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additional key identifying function, e.g. with use of additional key operated rotor-blocking elements, not of split pin tumbl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41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key blad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key
    • E05B19/0052Rectangular flat keys
    • E05B19/0058Rectangular flat keys with key bits on at least one wide side surface of the ke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35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directly actuated tumb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57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 E05B27/006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increased picking resistance whereby a small rotation without the correct key blocks further rotation of the r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1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operated by other surfaces of the key, e.g. openings receiving projections on the tumb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14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with keys of which different parts operate separate mechanism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잠금 장치 코어는 쉘,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쉘 내에 있고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플러그,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한 제2 로킹 위치를 갖는다.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통해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벡터 성분 및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벡터 성분을 갖는다.

Description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본 개시내용은 열쇠 및 잠금 장치 코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캠 차단 기능을 갖는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에 관한 것이다.
열쇠를 검증하고 잠금 장치 코어의 로킹 또는 로킹 해제를 허용하는 차단 수단을 갖는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예가 본 기술 분야에 확립되어 있다.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와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되지 않은 열쇠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를 로킹 해제하거나 로킹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기 위해 열쇠를 검증하는 수단을 통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장치 코어는 핀이 열쇠의 프로파일에 의해 적절하게 맞물릴 때 로킹 해제 위치로 배치하기 위해 열쇠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열쇠 프로파일이 핀과 적절하게 맞물리지 않으면, 열쇠가 검증되지 않고, 잠금 장치 코어가 로킹 해제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열쇠의 완전한 삽입을 허용하고 차단을 우회하는 맞물림 피처를 갖지 않는 한, 열쇠가 키웨이에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요소가 잠금 장치 코어에 통합될 수 있다.
보안에 대해 추가적인 개선을 갖는 배리어를 로킹 해제 및/또는 로킹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실시예에서, 로킹 상태 및 로킹 해제 상태를 갖는 잠금 장치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가 제공된다.
제1 예("예 1")에서, 잠금 장치 코어는 쉘,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쉘 내에 위치 설정되고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플러그,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한 제2 로킹 위치를 갖고,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통해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벡터 성분 및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벡터 성분을 갖는다.
제2 예("예 2")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더 포함하는데, 잠금 장치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로, 그 후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 로킹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3 예("예 3")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더 포함하는데,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은 잠금 장치의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포함한다.
제4 예("예 4")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잠금 장치는 로커를 포함하고, 로커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 로킹 위치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5 예("예 5")에서, 열쇠와 조합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플러그는 키웨이를 더 포함하고, 열쇠는 키웨이에 삽입 가능한 생크를 포함한다.
제6 예("예 6")에서, 예 5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플러그는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 코어는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블록,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핀, 막대, 및 스프링을 포함한다. 블록, 막대, 핀 및 스프링은 플러그의 잠금 장치 통로 내에 위치 설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스프링은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블록에 편향력을 공급한다.
제7 예("예 7")에서, 예 6의 잠금 장치 코어는 홈과 숄더를 갖는 생크를 포함하고, 홈은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고 막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면을 갖는다.
제8 예("예 8")에서, 예 7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열쇠의 생크는 홈과 숄더를 포함하고, 홈은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고 막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면을 갖는다.
제9 예("예 9")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제2 이동을 통해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로킹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2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제2 이동 벡터 성분과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제2 이동 벡터 성분을 갖는다.
제10 예("예 10")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쉘은 잠금 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로킹 위치에서 잠금 장치의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로킹 해제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2 로킹 위치에서 잠금 장치의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된다.
제11 예("예 11")에서, 예 1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더 포함하는데,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다.
제12 예("예 12")에서, 잠금 장치 코어는 쉘,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쉘 내에 위치 설정되고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플러그, 로커를 포함하고, 로커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한 제2 로킹 위치 사이에서 잠금 장치의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3 예("예 13")에서, 예 12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다.
제14 예("예 14")에서, 예 12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제1 로킹 위치는 플러그의 전방 표면에 대해 로커의 운동 범위 내에서 최근위 위치를 정의하고, 제2 로킹 위치는 로커의 운동 범위 내에서 플러그의 전방 표면에 대해 최원위 위치를 정의한다.
제15 예("예 15")에서, 예 14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 제2 로킹 위치로의 로커의 이동은 운동 범위를 통한 로커의 순차적인 회전을 포함한다.
제16 예("예 16")에서, 예 12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쉘은 잠금 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플러그는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며, 로커는 잠금 장치 통로 내에 위치 설정된다.
제17 예("예 17")에서, 예 16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로커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단 표면을 갖는다.
제18 예("예 18")에서, 예 17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제1 로킹 위치에서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로킹 해제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2 로킹 위치에서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제19 예("예 19")에서, 예 12의 잠금 장치 코어는 다음을 더 포함하는데, 플러그는 로커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 코어는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블록, 로커로부터 연장되는 핀, 막대, 및 스프링을 포함한다. 막대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며 막대의 구동은 잠금 장치의 이동을 야기한다.
제20 예("예 20")에서, 예 19의 잠금 장치 코어는, 열쇠와 조합하여, 다음을 포함하는데, 플러그는 열쇠를 수용하기 위한 키웨이를 포함하고, 열쇠는 홈을 갖는 생크를 포함하며, 홈은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 및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막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단면을 갖는다.
제21 예("예 21")에서, 배리어를 로킹 해제하는 방법은, 잠금 장치 코어의 키웨이에 열쇠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삽입 단계는 잠금 장치를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며, 잠금 장치는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후속의 제2 로킹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는 것은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포함하며,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벡터 성분 및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벡터 성분을 갖는다. 방법은 쉘 내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2 예("예 22")에서, 예 21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데, 열쇠는 삽입 단계 동안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의 핀과 맞물리는 숄더를 정의하는 홈을 갖는 생크를 포함한다.
제23 예("예 23")에서, 예 21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데,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다.
제24 예("예 24")에서, 열쇠는, 열쇠 보우, 열쇠 보우로부터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열쇠 생크로서, 열쇠 생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열쇠 생크, 및 열쇠 생크를 따라 그리고 열쇠 생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홈은 열쇠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25 예("예 25")에서, 예 24의 열쇠는 다음을 포함하는데, 홈은 복수의 교차 플랫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제26 예("예 26")에서, 예 25의 열쇠는 잠금 장치 코어를 더 포함하고, 홈은 잠금 장치 코어를 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해제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 코어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7 예("예 27")에서, 예 26의 열쇠는 다음을 더 포함하는데, 잠금 장치 코어는 쉘을 포함하고,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다.
제28 예("예 28")에서, 열쇠 블랭크로부터 열쇠를 형성하는 방법은, 열쇠 블랭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절삭 공구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로서, 절삭 공구는 열쇠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단계, 홈의 길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열쇠 블랭크를 따라 절삭 공구를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홈의 길이는 열쇠 생크의 길이보다 더 짧은, 단계; 및 절삭 공구를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쇠 블랭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9 예("예 29")에서, 예 28의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데, 절삭 공구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는 절삭 공구를 열쇠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특징 및 이점과 기타 특징 및 이점,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식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지고 더 잘 이해될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를 갖는 핸들이 있는 배리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와 열쇠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열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열쇠의 열쇠 블랭크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4의 선 5A-5A를 따라 취한 열쇠 블랭크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열쇠 블랭크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2 및 도 3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a는 제1 구성의 도 2 내지 도 4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와 열쇠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9b는 제2 구성의 도 2 내지 도 4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와 열쇠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9c는 제3 구성의 도 2 내지 도 4의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와 열쇠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의 입면도이다.
대응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며, 이러한 예시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이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며, 이는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을 하나도 빠뜨리는 것이 없는 것으로 하거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그 교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설명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대응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결합", "결합된", "커플러"라는 용어와 그 변형은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 상태에 있는 배열 및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적어도 제3 구성요소를 통해 "결합"됨), 여전히 서로 협력하거나 상호 작용하는 배열을 모두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 본 개시내용과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제1, 제2, 제3 및 제4와 같은 숫자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특징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사용은 구성요소 또는 특징의 순서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숫자 용어는 독자가 참조되는 구성요소 또는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되며 구성요소 또는 특징의 특정 순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협소하게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잠금 장치 코어(20) 및 후퇴 가능한 래치(16)를 갖는 핸들(12)을 포함하는 도어(10) 형태의 배리어를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퇴 가능한 래치(16)는 상향 방향(13) 또는 하향 방향(15)으로 핸들(12)의 구동으로 후퇴된다. 후퇴 가능한 래치(16)는 핸들(12)이 로킹 해제 구성일 때만 핸들(12)의 구동을 통해 후퇴될 수 있으며, 이는 로킹 해제 상태에 있는 잠금 장치 코어(20)에 의해 제어된다. 잠금 장치 코어(20)의 로킹 또는 로킹 해제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잠금 장치 코어(20)의 키웨이(40)에 삽입된 열쇠(32)(도 2)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추가로, 잠금 장치 코어(20)는 소형 포맷 교체 가능한 코어(small format interchangeable core)(SFIC)일 수 있으며, 잠금 장치 코어(20)가, 예를 들어 제어 핀을 사용하여 핸들(12)에서 제거 및 교체되도록 구성되는 추가 이점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복수의 핀 텀블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핀 텀블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 및 열쇠/열쇠 블랭크/열쇠 본체(32)의 접근 권한을 추가로 확인하는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20)가 제공되고, 이는 도 2 내지 도 11 및 본 명세서의 대응하는 설명에 예시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잠금 장치 코어(20)와 열쇠(32)의 좌하단 사시도이다. 열쇠(32)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열쇠(32)의 삽입 및 구동에 기초하여 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해제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잠금 장치 코어(20)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열쇠(32)는 열쇠 생크(34)와 열쇠 보우(36)를 포함한다. 열쇠 생크(34)는 잠금 장치 코어(20)의 키웨이(40)의 프로파일과 맞물리고 핀 텀블러 조립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외부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핀 텀블러 조립체는, 열쇠 생크(34)의 외부 프로파일이 잠금 장치 코어(20)의 키웨이(40) 내에 완전히 맞물릴 때(즉, 열쇠(32)가 키웨이(4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핀 텀블러가 전단 라인에 위치 설정되어 부분적으로 잠금 장치 코어(20)가 로킹 해제 상태에 있게 하도록 기능한다. 더 구체적으로, 적절한 열쇠(32)가 키웨이(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 텀블러는 더 이상 쉘(22) 내에서 플러그(26)의 회전에 저항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쇠(32)는 열쇠 생크(34) 및 열쇠 보우(36)를 포함한다. 열쇠 생크(34)는 홈(38)과 숄더(39)를 포함한다. 열쇠 보우(36)는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연장되는(명목상 축과 일치하거나 명목상 평행한) 열쇠 보우(36)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방향 축(A)을 대체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에 의해 정의된다. 열쇠 생크(34)는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연장되는(명목상 축과 일치하거나 명목상 평행한) 열쇠 생크(34)의 길이(31)보다 더 짧은 길이방향 축(A)을 대체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에 의해 정의된다. 열쇠 생크(34)의 폭은 열쇠 생크(34)의 길이(31)를 따라 대략 일정하다. 또한, 열쇠 생크(34)는 적어도 2개의 측면, 예시적으로 우측 측면(35) 및 좌측 측면(37)(도 5b), 상단 표면(도시되지 않음), 및 하단 표면(41)을 포함한다. 우측 측면(35)은 좌측 측면(37) 반대쪽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상단 표면은 하단 표면(41) 반대쪽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외부 프로파일은 열쇠 블랭크(32)로 절삭되었으며, 홈(38)은 열쇠 생크(34)에 유지되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열쇠 블랭크(32)와 대조되고, 여기서 홈(38)은 존재하지만 외부 프로파일은 아직 절삭되지 않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프로파일은 열쇠 생크(34)의 전체 길이(31)를 따라 연장되며 밀링, 연삭 및 기타 적용 가능한 기계가공 프로세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열쇠(32)로 절삭될 수 있다. 외부 프로파일은, 열쇠(32)가 잠금 장치 코어(20)에 삽입될 수 있고 외부 프로파일이 핀 텀블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릴 수 있게 잠금 장치 코어(20)와 양립 가능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된다. 외부 프로파일은 홈(38)과 숄더(39)가 외부 프로파일에 의해 방해되거나 변경되지 않는 방식으로 기계가공된다. 홈(38) 및 숄더(39)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열쇠(32)의 삽입 후, 홈(38)이 열쇠(32)의 완전한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잠금 장치 코어(20)의 요소, 예컨대 막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숄더(39)는 잠금 장치 코어(20)의 요소 또는 막대에 대한 배리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숄더(39)는 열쇠 생크(34)의 벽 정의 홈(38)의 최근위 단부에 의해 구체적으로 정의된다. 다양한 실시예,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홈(38)과 숄더(39) 각각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38)의 단면은 원형, 반원형, 직사각형이거나 불규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38)의 단면 형상은, 도 8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잠금 장치 코어(20)의 대응 부분과 맞물릴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숄더(39)는 홈(38)의 최근위 표면보다는 홈(38) 내의 상대 포켓일 수 있다.
도 4는 열쇠(32)의 열쇠 블랭크의 사시도를 예시하고, 여기서, 열쇠(32)는 홈(38)과 숄더(39)를 포함하지만, 열쇠(32)는 핀 텀블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기 위한 외부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밀링, 연삭 또는 달리 기계가공되지 않았다. 홈(38)은 열쇠 생크(34)의 길이의 일부만 연장하는 열쇠 생크(34)를 따라 길이(33)를 갖고, 그에 따라 홈(38)의 길이(33)는 열쇠 생크(34)의 길이(31)보다 더 짧다. 홈(38)의 길이(33)는 열쇠 생크(34)의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연장된다(명목상 축과 일치하거나 명목상 평행함). 예를 들어, 길이(33)는 열쇠 생크(34)의 길이(31)의 50%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33)는 열쇠 생크(34)의 길이(31)의 55%, 60%, 65%, 70%, 또는 75%인 값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길이(33)는 길이(31)의 80% 내지 95%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홈(38)의 길이(33)는 열쇠 생크(34)의 길이(31)의 20%, 25%, 또는 30%인 값을 갖는다. 전술한 백분율은 길이(33)의 치수의 비제한적인 예이며, 홈(38)의 길이(33)에 대해 다양한 다른 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33)는 길이(31)의 10% 내지 9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홈(38)은 제한되지 않지만 3D 인쇄, 엔드밀링, 또는 사이드밀링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홈(38)은 공칭 플랫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절삭 공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홈(38)은 열쇠 생크(3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절삭 공구, 예를 들어 엔드밀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절삭 공구는 열쇠 생크(34)의 길이방향 축(A)을 가로질러 배향된다. 도 4 내지 도 5b는 절삭 공구가 열쇠 생크(34)의 우측 측면(35)과 맞물린 경우를 예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절삭 공구는 홈(38)을 형성하기 위해 열쇠 생크(34)의 좌측 측면(37)과 맞물릴 수 있다. 절삭 공구는 열쇠 생크(3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맞물리고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열쇠 생크(34)를 따라 이동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절삭 공구는 열쇠 생크(34)와 맞물리거나 접촉하는 지점에서 열쇠 생크(34)로부터 재료를 제거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엔드밀이 사용되는 경우, 홈(38)의 후방 표면을 따라 플랫이 형성될 수 있다. 엔드밀이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공칭 플랫이 홈(38)의 상단 및 하단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홈(38)을 정의하는 교차하는 공칭 플랫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절삭 공구는 길이방향 축(A)에 명목상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추가로, 홈(38)의 형상은 열쇠 생크(34)와 맞물리는 절삭 공구의 단부 부분의 형상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절삭 공구는 홈(38)의 길이(33)를 정의하는 길이만큼 열쇠 생크(34)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길이방향 축(A)을 따른 홈(38)의 길이(33)는 교체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20)와의 양립 가능성을 허용하는 원하는 길이로 변경 및 맞춤화될 수 있으며, 단면 홈(38)의 형상은 절삭 공구의 변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선 5A-5A를 따라 취한 열쇠(32)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홈(38)은 교차하는 선형 연장 플랫에 의해 정의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면은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불규칙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는 열쇠(32)의 추가 실시예의 단면을 예시하는데, 여기서, 홈(38)의 단면 형상은 불규칙 형상이고 또한 복수의 교차하는 공칭 플랫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의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A)(도 4)에 직교하여 취한 홈(38)의 단면은 홈(38)의 길이(33)(도 4)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칭 플랫을 정의한다. 홈(38)은 대체로 홈(38)의 길이(33)를 통해 연속되지만, 홈(38) 내에 포켓, 배리어, 숄더 또는 만입부가 있을 수 있다. 홈(38)의 형상 및 길이(33)는, 도 8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잠금 장치 코어(20)의 보안 막대(64)(도 4)와 적절하게 맞물리도록 제조된다. 숄더(39)는 적어도 도 3 내지 도 5b에 대체로 평탄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숄더(39)는 홈(38)과 숄더(39)의 형성 방법에 기초하여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숄더(39)의 표면은 대체로 아치형이거나 곡선형일 수 있다.  숄더(39)의 형상 또는 구성은 다양할 수 있지만, 숄더(39)는, 도 8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가 일단 숄더(39)와 접촉하면 열쇠(32)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보안 막대(64)에 대한 배리어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잠금 장치 코어(20)는 원위 단부(46)와 근위 단부(48) 사이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세장형이다. 잠금 장치 코어(20)는 원위 단부(46)(도 6)의 후방 표면(47)과 근위 단부(48)(도 6)의 전방 표면(49)(도 9a)을 포함한다. 잠금 장치 코어(20)는 쉘(22), 코어 슬리브(24), 플러그(26), 면 플레이트(28), 및 코어 클립(30)을 특징으로 한다. 쉘(22)은 잠금 장치 코어(20)의 잠금 장치 또는 차단기(로커(50)로서 예시됨)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수용부(42) 및 핀 텀블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44)를 갖는 하단 표면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핀 텀블러 조립체는, 열쇠(32)가 키웨이(40) 내에서 완전히 맞물릴 때, 핀 텀블러가 전단 라인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동되어 플러그(26)가 쉘(22) 내에서 제1 위치로부터 플러그(26)의 제2 위치로 회전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코어 슬리브(24)는 또한, 로커(50)가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 및 잠금 장치 코어(20)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 코어(20)의 로커(50)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수용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26)는 쉘(22) 내에 위치 설정되며 길이방향 축(L)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즉, 후퇴 가능한 래치(16)를 구동시키기 위해 핸들(12)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와 도어(10)를 통한 출입을 허용하도록 핸들(12)의 회전이 후퇴 가능한 래치(16)를 구동하게 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쉘(2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면 플레이트(28)는 잠금 장치 코어(20)의 근위 단부(48)에 위치 설정되고 잠금 장치 코어(20)의 쉘(22) 및 플러그(26)와 동일 평면에 있다.
도 7은 잠금 장치 코어(20)의 정면도를 예시하며, 잠금 장치 코어(20)의 근위 단부(48)에 있는 전방 표면(49)을 예시한다.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쉘(22)은 슬리브(24) 및 플러그(26)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쉘(22)은 전면 플레이트(28)의 대응하는 8자 프로파일에 수용되는 8자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쉘(22)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84),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82),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87)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다.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슬리브(24)는 쉘(22)의 허리 부분(87)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8자 프로파일은 소형 포맷 교체 가능한 코어(SFIC)로 알려져 있다. 쉘(22)은 또한 대형 포맷 교체 가능한 코어(large format interchangeable core)("LFIC") 및 기타 알려진 코어와 양립 가능하도록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도 8은 잠금 장치 코어(20)의 분해도이며 잠금 장치 코어(20)의 조립을 예시한다. 플러그(26)는 원위 단부(25)와 근위 단부(27)를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6)는 키웨이(40) 및 로커(50)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를 수용하기 위한 로커 통로(60)로서 예시된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는 로커(50), 보안 막대(64)로서 예시된 막대, 돌출부를 포함하는 블록(66), 및 블록(66)의 돌출부 위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블록(66)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70)으로서 예시된 편향 요소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로커(50)는 모놀리식의 원피스 조립체이다. 로커(50)는 제1 단부(51), 제2 단부(53), 및 제1 단부(51)와 제2 단부(53)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단 표면(55)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55)의 적어도 일부는 비교적 선형이다. 로커(50)는 로커(50)의 제1 측면(56)에 있는 제1 아암(52), 및 로커(50)의 제2 측면(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제2 아암(54)을 추가로 포함한다. 로커(50)의 제2 측면에서, 로커(50)는 로커(50)의 제2 측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핀(59)(도 9a, 도 9b 및 도 9c)을 추가로 포함한다.
조립 시, 보안 막대(64)는 로커 통로(60)의 제1 부분에 삽입된다. 로커(50)는 보안 막대(64)에 측방향으로 인접한 로커 통로(60)의 제2 부분에 삽입된다. 로커 통로(60)는, 보안 막대(64)와 블록(66)의 삽입 시, 로커 통로(60)가 길이방향 축(L)을 따른(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이동만을 허용하고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보안 막대(64)와 블록(66)의 이동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를 향해, 보안 막대(64)의 일부가 키웨이(40) 내로 돌출되게 하는 로커 통로(60)와 키웨이(40) 사이의 개구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안 막대(64)는,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열쇠(32)(도 2)와의 맞물림을 위해 접근 가능하도록 키웨이(40) 내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삽입 시, 제1 아암(52)과 제2 아암(54)은 플러그(26)의 다양한 개구를 통해 회전식으로 지지되어 로커(50)가 아암(52, 54)의 공유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플러그(26)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로커(50)의 핀(59)(도 9a)은, 도 9a 내지 도 9c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의 근위 표면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고 바로 인접한 영역으로 연장된다. 블록(66)은 로커(50)의 핀(59)이 보안 막대(64)와 블록(66) 사이에 끼워지도록 보안 막대(64)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고 근접한 로커 통로(60)의 제1 부분 내에 삽입된다. 스프링(70)은 블록(66)의 돌출부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 설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70)은 블록(66)과 로커(50)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프링(70)으로 설명되지만, 편향 요소는 블록(66)을 편향시키기 위한 다양한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플러그(26)의 근위 단부(27)는 면 플레이트(28) 상에 삽입되어, 면 플레이트(28)가 플러그(26)의 근위 단부(27)에 결합되고 근위 단부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 설정된다. 면 플레이트(28)는 상부 영역(74)과 하부 영역(76)을 갖는 "8자"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 영역(74)은 제1 개구(78)를 갖고 하부 영역(76)은 제2 개구(80)를 가지며, 그에 따라 플러그(26)는 면 플레이트(28)의 제2 개구(80) 내에 수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면 플레이트(28)는 면 플레이트(28)와 플러그(26)가 동일 평면에 있도록 카운터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코어 슬리브(24)는 플러그(26)를 둘러싸고 면 플레이트(2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때까지 플러그(26)의 원위 단부(25) 위에 삽입된다. 코어 슬리브(24)는 잠금 장치 수용부(88)를 포함하고,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가 적어도 플러그(26)의 로커 통로(60)의 제2 부분과 정렬되어 로커(50)가 로커 통로(60) 밖으로 그리고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 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된다. 코어 슬리브(24)는 또한 핀 텀블러 조립체의 복수의 핀 텀블러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45)를 포함한다.
쉘(22)은 쉘(22)이 면 플레이트(28)에 맞접할 때까지 코어 슬리브(24) 및 플러그(26) 위에 삽입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쉘(22)의 외부 주연부는 면 플레이트(28)의 형상에 대응하는 "8자" 형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쉘(22)은 하부 영역(82)과 상부 영역(84)을 포함한다. 하부 영역(82)은 플러그(26)를 수용하고 둘러싸기 위한 하부 개구(86)를 포함한다. 쉘(22)의 상부 영역(84)은 면 플레이트(28)의 상부 영역(74)에 맞접하고 하부 영역(82)은 면 플레이트(28)의 하부 영역(76)에 맞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플러그(26)와 쉘(22)은 모두 면 플레이트(28)와 동일 평면에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쉘(22)은 핀 텀블러 조립체의 핀 텀블러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44) 및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의 로커(50)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코어 슬리브(24)와 플러그(26) 위에 위치 설정될 때,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는 플러그(26)의 로커 통로(60) 및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와 정렬된다. 쉘(22)의 복수의 개구(44)는 코어 슬리브(24)의 복수의 개구(45)와 정렬된다. 잠금 장치 코어(20)의 원위 단부(46)를 향해, 코어 클립(30)은 플러그(26)의 원주방향 홈(90) 내에 수용되고 플러그(26)와 코어 슬리브(24)를 쉘(22)에 결합시킨다.
도어(10)(도 2)의 핸들(12)(도 2)을 로킹 해제하기 위해 열쇠(32)와 함께 사용되는 잠금 장치 코어(20)의 작동을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9a 내지 도 9c의 개시를 위해, 핀 텀블러 조립체의 복수의 핀 텀블러는 쉘(22) 내에서 플러그(26)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잠금 장치 코어(20) 내에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도 9a 내지 도 9c의 설명은, 쉘(22) 내에서 플러그(26)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핀 텀블러를 적절하게 위치 설정하는 열쇠(32)의 능력과 별개로 도어(10)를 로킹 해제하기 위해 접근했을 때 열쇠(32)를 확인하기 위한 로커(50) 및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9a는 잠금 장치 코어(20)의 단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는 스프링(70)의 편향력으로 인해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에 맞접한다. 스프링(70)은, 스프링(70)이 로커(50)의 운동 범위 전체에 걸쳐 블록(66)과 코어 클립(30) 사이에 압축된 상태에서 코어 클립(30)에 맞접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 및 블록(66)은 잠금 장치 코어(2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이동에만 허용된다. 이와 같이, 보안 막대(64)의 임의의 운동은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방향으로 있을 것이다. 핀(59)은 로커 통로(60) 내에서 블록(66)과 보안 막대(6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핀(59)의 이동은 길이방향 축(L)을 따르도록(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하도록) 제한된다. 또한, 로커(50)는 플러그(26)의 개구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로커(50)의 제1 아암(52)과 제2 아암(54)으로 인해 피봇축(X)(도 6, 도 10)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으로 제한된다. 보안 막대(64)가 스프링(70)에 의해 편향되어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에 맞접함에 따라, 핀(59)은 로커(50)의 제1 단부(51)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 내로 연장되게 하는 위치로 편향된다. 이 위치는 로커(50)의 운동 범위의 일 단부를 정의하고, 여기서, 제1 단부(51)는 쉘(22)에 대한 플러그(26)의 임의의 회전을 차단하고 로커(50)는 운동 범위를 따른 임의의 다른 위치에 있는 것보다 잠금 장치 코어(20)의 전방 표면(49) 및 근위 단부(48)(도 8)에 대해 더 근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보안 막대(64)는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고, 따라서 핀(59) 및 블록(66)은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 및 도 9a의 그 위치 설정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보안 막대(64)의 이동은 코어 클립(30)에 대해 스프링(70)을 더욱 압축한다. 추가로, 핀(59)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 결과, 로커(50)는 로커(50)의 운동 범위 내의 중간인 위치로 피봇된다. 이 위치에서, 로커(50)의 제1 및 제2 단부(51, 53)는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되지 않으며 플러그(26)는 쉘(2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9c는 길이방향 축(L)(도 9b보다 도 9c에서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로부터 더 이격됨)을 따라(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로부터 더 원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보안 막대(64)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블록(66)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록(66)의 위치 설정보다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에 대해 도 9c에서 더 원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고, 블록(66)은 코어 클립(30)에 대해 스프링(70)을 더 압축한다. 핀(59)은 또한 블록(66)과 보안 막대(64) 사이에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도 9b의 핀(59)의 위치 설정과 비교하여 더 원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보안 막대(64)와 블록(66)이 로커 통로(60)의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로커(5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편향되고, 잠금 장치는 로커(50)의 제2 단부(53)가 잠금 장치 수용부(42) 내로 연장되도록 피봇축(X)(도 6, 도 10)을 중심으로 피봇되었다. 따라서, 플러그(26)는 쉘(22)에 대한 회전이 차단된다. 도 9c에 예시된 위치 설정은 로커(50)의 운동 범위의 제2 범위 또는 제2 단부를 정의하고, 여기서, 로커(50)는 운동 범위를 따른 임의의 다른 위치보다 잠금 장치 코어(20)의 근위 단부(48)(도 8)에 대해 더 원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도 9a 내지 도 9c는 구성요소가 운동 범위의 일 단부로부터 운동 범위의 반대쪽 단부로 이동할 때 로커(50)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의 요소의 운동 범위를 예시한다. 이동의 구동은 도 9a 내지 도 9c를 계속 참조하여 여기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가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열쇠(32)는 전술한 운동 범위를 통해 로커(50) 및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를 구동시키기 위해 플러그(26)의 키웨이(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열쇠 생크(34)는 홈(38)(도 1)과 숄더(39)(도 2)가 보안 막대(64)와 적절하게 맞물리고 보안 막대(64)를 충분히 구동시키는 피처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접근이 확인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보안 막대(64)의 일부가 키웨이(40)의 일부 내로 연장되므로, 삽입 시, 열쇠 생크(34)의 홈(38)은 보안 막대(64)를 적절히 구동시키기 위해 보안 막대(64)를 수용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보안 막대(64)는 스프링(70)에 대해 압축되어 로커(50)를 제2 로킹 위치로 구동시키게 되며, 이는 도 9c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추가로, 열쇠(32)는 핀 텀블러 조립체와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아, 쉘(22)에 대한 플러그(26)의 회전을 금지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는 대체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홈(38)은 보안 막대(64)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대체로 삼각형 단면을 갖고, 보안 막대(64)는 로커(50)를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9b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추가 예에서, 홈(38)이 반원형 단면을 갖고 보안 막대(64)가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보안 막대(64)의 적어도 일부가 홈(38)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로커(50)는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홈(38)과 숄더(39)가 원형 단면을 갖고 보안 막대(64)가 정사각형 단면을 유지하는 경우, 보안 막대(64)는 홈(38)에 의해 적절하게 수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로커(50)를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단면 형상이 홈(38)과 보안 막대(64) 모두와 통합되어 맞물림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로, 홈(38)(도 2)은 구동을 위해 보안 막대(64)와 충분히 맞물리도록 열쇠 생크(34)를 따라 특정 길이를 필요로 한다. 보안 막대(64)가 홈(38)에 의해 수용되고 숄더(39)에 맞접하면, 열쇠(32)는 보안 막대(64)를 전방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보안 막대(64)는 로커(50)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게 하도록 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한정된 양만큼 구동되며, 이는 도 9b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이, 홈(38)의 길이(33)(도 4)는 로커(50)를 로킹 해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양만큼 보안 막대(6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홈(38)의 길이(33)(도 4)가 너무 크면, 열쇠(32)를 완전히 삽입한 후에도, 숄더(39)가 보안 막대(64)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어 보안 막대(64)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홈(38)의 길이(33)(도 4)가 너무 작은 경우, 열쇠(32)를 삽입하면 보안 막대(64)와 맞물려 보안 막대를 로커 통로(60) 내에서 너무 멀리, 그에 따라 로킹 해제 위치에서 벗어나게 구동할 수 있다. 이들 예는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9a를 다시 참조하면, 로커(50)는 열쇠(32)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를 구동시키지 않은 제1 로킹 위치에 예시되어 있다. 보안 막대(64)는 로커(50)의 핀(59)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는 블록(66) 및 스프링(70)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 설정되어, 보안 막대(64)와 블록(66) 사이에 끼워진다. 스프링(70)은 로커(50)의 제1 단부(51)가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되도록 로커(50)를 편향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커(50)의 하단 표면(55)은 잠금 장치 코어(20)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다. 로커(50)의 제1 단부(51)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된 상태에서, 로커(50)의 제1 단부(51)는 쉘(22)에 대한 플러그(26)의 회전을 차단하여 열쇠(32)가 잠금 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로커(50)는 제1 로킹 위치에 있고 잠금 장치 코어(20)는 로킹 상태에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열쇠(32)가 키웨이(40)에 삽입되는 동안, 열쇠 생크(34)의 숄더(39)는 보안 막대(64)와 맞물리지 않는다. 이는 열쇠(32)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홈(38)의 길이(33)(도 4)가 보안 막대(64)와 맞물리기에는 너무 크거나 형상이 불충분한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홈(38) 및 그에 따라 숄더(39)는 보안 막대(64)와 맞물리기 위해 다양한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홈(38)은 보안 막대(64)를 수용할 수 있는 삼각형 단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9a의 위치 설정에서는, 열쇠(32)가 잠금 장치 코어(2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거나, 홈(38)의 길이(33)(도 4)가 너무 커서 숄더(39)와 보안 막대(64) 사이의 맞물림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숄더(39)는 로커(50)의 회전을 야기하기 위해 보안 막대(64)를 구동시키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열쇠 생크(34)가 핀 텀블러 조립체의 핀 텀블러를 전단 라인에 있도록 구동시키도록 핀 텀블러 조립체에 대응하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플러그(26)는 플러그(26)의 회전을 차단하는 로커(50)의 제1 단부(51)로 인해, 핸들(12)(도 1)을 로킹 해제하는 회전이 금지될 것이다.
도 9b는 로킹 해제 위치에서 로커(50) 및 이에 따라 잠금 장치 코어(20)를 예시한다. 로커(50)는 제1 이동을 통해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를 구동시키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된 열쇠(32)를 키웨이(40)에 삽입함으로써 야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38) 및 이에 따라 열쇠(32)의 숄더(39)는 보안 막대(64)를 구동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되어야 한다.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홈(38)과 숄더(39)는 홈(38) 내에 보안 막대(64)를 수용할 수 있는 단면을 가지며, 일단 완전히 삽입되면 보안 막대(64)와 적절하게 맞물릴 수 있는 열쇠 생크(34)를 따라 길이(33)(도 4)를 갖는다. 이와 같이, 열쇠(32)를 삽입하는 동안, 홈(38)의 숄더(39)는 보안 막대(64)와 맞물리고 길이방향 축(L)을 따르는 방향으로 열쇠 생크(34)에 대해 원위측으로 스프링(70)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보안 막대(64)를 구동시킨다. 보안 막대(64)가 스프링(70)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구동됨에 따라, 핀(59)이 보안 막대(64)와 블록(66) 사이에 위치 설정되므로 로커(50)의 핀(59)이 동일한 방향으로 원위 방향으로 푸시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70)이 코어 클립(30)에 대해 더욱 압축된다. 따라서, 로커(50)는, 로커(50)의 제1 단부(51)가 더 이상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와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회전하거나 피봇한다. 로커(50)는 플러그(26)의 제1 및 제2 개구 내에 유지되는 제1 아암(52)과 제2 아암(54)의 결과로 피봇하지만, 핀(59)은 보안 막대(64)의 이동과 동시에 로커 통로(6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은 로커(50)의 제1 및 제2 아암(52, 54)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하는 플러그(26)의 측방향 피봇축(X)(도 6, 도 10)을 중심으로 한 로커(50)의 회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피봇축(X)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L)(도 2)에 직교하고(단, 오프셋됨) 로커(50)는 피봇축(X)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피봇축(X)을 중심으로 한 로커(50)의 회전은 플러그(26)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제1 벡터 성분, 및 플러그(26)의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단, 가능하게는 이격된) 제2 벡터 성분을 갖는 로커(50)의 제1 이동을 야기한다. 도 9a 및 도 9b의 예시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단부(51)는, 길이방향 축(L)을 따른 상이한 위치(도 9a의 위치보다 도 9b의 위치에서 코어 클립(30)에 더 가까운) 및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상이한 위치(도 9a에서보다 도 9b에서 길이방향 축(L)에 직교하여 측정된 42로부터 더 먼)에 위치 설정된다는 점에서 로커(50)의 예시적인 제1 이동을 겪는다. 로커(50)는 중심이 로커(5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캠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도 9b에 예시된 로킹 해제 위치로의 로커(50)의 제1 이동 동안, 홈(38)은, 로커(50)의 제1 단부(51)가 더 이상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되지 않고, 로커(50)의 제2 단부(53)가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되지 않을 때까지 열쇠(32)의 숄더(39)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를 보안 막대(64)를 푸시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만 구동시키도록 적절하게 크기 설정 및 형상화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통해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가 로커(50)에 의해 중단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위치에서, 로커(50)의 하단 표면(55)은 플러그(26)의 길이방향 축(L)과 대체로 평행하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열쇠 생크(34)가 핀 텀블러 조립체와 효과적으로 맞물리는 외부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열쇠 보우(36)의 회전은 쉘(22)에 대해 잠금 장치 코어(20) 내에서 플러그(26)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 위치에서, 핸들(12)(도 1)이 로킹 해제되고 도어(10)(도 1)가 개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로킹 해제 위치는, 열쇠(32)가 플러그(26)의 키웨이(40)에 더 이상 삽입될 수 없고 키웨이(40) 밖으로만 다시 후퇴될 수 있도록 열쇠(32)의 말단 위치로 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로커(50)는 제2 이동을 통해 도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로킹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로킹 위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하지만 유사하게 잠금 장치 코어(20) 내에서 쉘(22)에 대한 플러그(26)의 회전을 금지한다. 제2 이동은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의 지속적인 구동의 결과이고, 여기서 보안 막대(64)는 열쇠 보우(36)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구동된다.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62)의 지속적인 구동은, 열쇠 생크(34)를 따른 홈(38)의 길이(33)(도 4)가 너무 작아서, 로커(50)가 도 9b의 로킹 해제 위치에 위치 설정된 후에 보안 막대(64)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결과일 수 있다. 제2 이동은 플러그(26)의 길이방향 축(L)을 따른(즉, 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제1 벡터 성분 및 플러그(26)의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단, 가능하게는 이격된) 제2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도 9b 및 도 9c의 예시를 다시 참조하면, 제2 단부(53)는, 길이방향 축(L)을 따른 상이한 위치(도 9b에서보다 도 9c의 위치에서 코어 클립(30)에 더 가까운) 및 길이방향 축(L)을 가로지르는 상이한 위치(도 9b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 설정되는 것과 비교하여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됨)에 위치 설정된다는 점에서 로커(50)의 예시적인 제2 이동을 겪는다. 이 위치에서, 열쇠 보우(36)가 회전되면,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되는 로커(50)로 인해 쉘(22)에 대한 플러그(26)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로커(50)는 제2 로킹 위치에 있고 잠금 장치 코어(20)는 로킹 상태에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단 표면(55)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의 제1 이동 및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로킹 위치로의 제2 이동은 로커(50)의 운동 범위의 일 단부로부터 로커(50)의 운동 범위의 제2 단부까지 피봇축(X)(도 6, 도 10)을 중심으로 한 로커(50)의 순차적인 구동 및 회전을 정의한다.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로킹 위치에 있는 잠금 장치 코어(20)를 예시하는 도 6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되고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26)는 코어 슬리브(24) 및 쉘(22) 내에 위치 설정된다. 플러그(26)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 막대(64)의 일부가 키웨이(40) 내로 연장되도록, 로커 통로(60)의 적어도 일부가 키웨이(4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상태로 키웨이(40)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 로커 통로(6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70)은 보안 막대(도시되지 않음)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 블록(66)의 돌출부 위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로커(50)는 플러그(26)의 로커 통로(60) 내에 수용되며, 플러그(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아암(52) 및 제2 아암(54)이 플러그(26)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축(X)을 정의한다. 예시되고 도 9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장치 코어(20)가 제1 로킹 위치에서 구성되는 경우, 로커(50)의 제1 단부(51)는 코어 슬리브(24)의 잠금 장치 수용부(88)와 쉘(22)의 잠금 장치 수용부(42)를 통해 연장된다. 이는 쉘(22)에 대해 잠금 장치 코어(20) 내에서 회전하는 플러그(26)의 능력을 금지한다.
도 11은 로커(50)가 도 9a 및 도 10에 도시된 제1 로킹 위치에 위치 설정되는 동안 플러그(26)의 피봇축(X)(도 10)을 통한 도 10의 선 11-11을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보안 막대(64)는 로커(50)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플러그(26)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핀(59)은 보안 막대(64)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안 막대(64)는 열쇠(32)(도 2)의 홈(38)(도 2)과 맞물리는 부분인 키웨이(40)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도 2 및 도 1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안 막대(64)는 대체로 정사각형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면 프로파일은 원형, 난형, 또는 불규칙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설계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그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개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관례적인 관행 내에 있는 본 개시내용으로부터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9)

  1. 잠금 장치 코어이며,
    쉘;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쉘 내에 위치 설정되고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플러그;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한 제2 로킹 위치를 갖고,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통해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1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벡터 성분 및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벡터 성분을 갖는, 잠금 장치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로, 그 후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 로킹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
  3.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은 잠금 장치의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
  4.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로커를 포함하고, 로커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2 로킹 위치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
  5. 제1항에 있어서, 열쇠와 조합하여, 플러그는 키웨이를 더 포함하고, 열쇠는 키웨이에 삽입 가능한 생크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
  6. 제5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 코어는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블록;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핀;
    막대;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블록, 막대, 핀 및 스프링은 플러그의 잠금 장치 통로 내에 위치 설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스프링은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블록에 편향력을 공급하는, 잠금 장치 코어.
  7. 제6항에 있어서, 열쇠의 생크는 홈과 숄더를 포함하고, 홈은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고 막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면을 갖는, 잠금 장치 코어.
  8. 제7항에 있어서, 키웨이에서 열쇠의 구동은 열쇠의 숄더가 스프링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막대를 구동시키게 하여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야기하고 잠금 장치를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잠금 장치 코어.
  9.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제2 이동을 통해 로킹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로킹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제2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제2 이동 벡터 성분과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제2 이동 벡터 성분을 갖는, 잠금 장치 코어.
  10. 제1항에 있어서, 쉘은 잠금 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로킹 위치에서 잠금 장치의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로킹 해제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2 로킹 위치에서 잠금 장치의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는, 잠금 장치 코어.
  11. 제1항에 있어서,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은, 잠금 장치 코어.
  12. 잠금 장치 코어이며,
    쉘;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쉘 내에 위치 설정되고 쉘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플러그;
    로커를 포함하고, 로커는: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 및
    쉘에 대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와 상이한 제2 로킹 위치 사이에서 잠금 장치의 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잠금 장치 코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은, 잠금 장치 코어.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위치는 플러그의 전방 표면에 대해 로커의 운동 범위 내에서 최근위 위치를 정의하고, 제2 로킹 위치는 로커의 운동 범위 내에서 플러그의 전방 표면에 대해 최원위 위치를 정의하는, 잠금 장치 코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 제2 로킹 위치로의 로커의 이동은 운동 범위를 통한 로커의 순차적인 회전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
  16. 제12항에 있어서, 쉘은 잠금 장치 수용부를 포함하고 플러그는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며, 로커는 잠금 장치 통로 내에 위치 설정되는, 잠금 장치 코어.
  17. 제16항에 있어서, 로커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단 표면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로킹 위치에서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로킹 해제 위치에서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제2 로킹 위치에서 제2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고 제1 단부는 잠금 장치 수용부 안으로 연장되지 않는, 잠금 장치 코어.
  19. 제12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로커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 장치 통로를 포함하고 잠금 장치 코어는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블록;
    로커로부터 연장되는 핀;
    막대;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막대는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며, 막대의 구동은 잠금 장치의 이동을 야기하는, 잠금 장치 코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열쇠와 조합하여, 플러그는 열쇠를 수용하기 위한 키웨이를 포함하고, 열쇠는 홈을 포함하는 생크를 포함하며, 홈은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 및 잠금 장치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막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단면을 포함하는, 잠금 장치 코어.
  21. 배리어를 로킹 해제하는 방법이며,
    잠금 장치 코어의 키웨이에 열쇠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삽입 단계는 잠금 장치를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로킹 위치로부터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며, 잠금 장치는 쉘 내에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후속의 제2 로킹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는 것은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을 포함하며, 잠금 장치의 제1 이동은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벡터 성분 및 플러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축을 따른 벡터 성분을 갖는, 단계; 및
    쉘 내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열쇠는 삽입 단계 동안 잠금 장치를 제1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의 핀과 맞물리는 숄더를 정의하는 홈을 갖는 생크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은, 방법.
  24. 열쇠이며,
    열쇠 보우,
    열쇠 보우로부터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열쇠 생크로서, 열쇠 생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외부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열쇠 생크; 및
    열쇠 생크를 따라 그리고 열쇠 생크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홈은 열쇠 생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열쇠.
  25. 제24항에 있어서, 홈은 복수의 교차 플랫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열쇠.
  26. 제25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 코어를 더 포함하고, 홈은 잠금 장치 코어를 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해제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 코어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열쇠.
  27. 제26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 코어는 쉘을 포함하고, 쉘은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1 원통형 부분을 갖는 상부 영역,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제2 원통형 부분을 갖는 하부 영역, 및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를 갖는 허리 부분을 갖고, 제3 최대 측방향 범위는 제1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고 제2 최대 측방향 범위보다 더 작은, 열쇠.
  28. 열쇠 블랭크로부터 열쇠를 형성하는 방법이며,
    열쇠 블랭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절삭 공구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로서, 절삭 공구는 열쇠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단계;
    홈의 길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열쇠 블랭크를 따라 절삭 공구를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홈의 길이는 열쇠 생크의 길이보다 더 짧은, 단계; 및
    절삭 공구를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열쇠 블랭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절삭 공구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는 절삭 공구를 열쇠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11879A 2021-09-14 2022-09-14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KR20240056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75,091 2021-09-14
US17/475,091 US20230082003A1 (en) 2021-09-14 2021-09-14 Key and core with cam blocking
PCT/US2022/043415 WO2023043761A1 (en) 2021-09-14 2022-09-14 Key and core with cam blo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590A true KR20240056590A (ko) 2024-04-30

Family

ID=8359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879A KR20240056590A (ko) 2021-09-14 2022-09-14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082003A1 (ko)
KR (1) KR20240056590A (ko)
CN (1) CN117940646A (ko)
CA (1) CA3231673A1 (ko)
TW (1) TW202311611A (ko)
WO (1) WO20230437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566A (en) * 1995-09-18 1997-04-01 Brandt; Greg N. Cylinder lock and key
DE10050460A1 (de) * 2000-10-12 2002-04-25 Winkhaus Fa August Schlüssel für einen Profilschließzylinder und Profilschließzylinder
CN101711300B (zh) * 2007-05-01 2013-08-14 史丹利安全科技有限公司 钥匙和具有侧销的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761A1 (en) 2023-03-23
TW202311611A (zh) 2023-03-16
CN117940646A (zh) 2024-04-26
CA3231673A1 (en) 2023-03-23
US20240159081A1 (en) 2024-05-16
US20230082003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3949B1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with rotary release
DE60224011T2 (de) Drehstiftzuhaltungsschloss mit seitenstab und seitenstabsteuerung
EP1155427B1 (de)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halterung eines identifikationsgebers, wie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insbesondere für einen züdanlassschalter
PL192598B1 (pl) Układ zamka bębenkowego i klucza, surowy klucz do zamka bębenkowego oraz klucz do zamka bębenkowego
AU760894B2 (en) Lock with removable core
CZ2000302A3 (cs) Cylindrický zámek
US10337210B2 (en) Interchangeable cylinder lock core for a cylinder lock unit
AU725728B2 (en) Lock system with key trapping
HU220985B1 (hu) Zárszerkezet hengerzárral és laposkulccsal
US20210381275A1 (en) Key blank and key for actuating a disk cylin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key blank and key
PL186558B1 (pl) Zespół zamka bębenkowego i klucza, zamek bębenkowy i surowy klucz do zamka bębenkowego
EP1112428B1 (en) Moveable element key and key handle and lock
EP1752601B1 (en) Reprogrammable lock
US20100199731A1 (en) Pin tumbler cylinder lock
KR20240056590A (ko) 열쇠 및 캠 차단 기능이 있는 코어
EP1247926A2 (en) Assembly of revolving cylinder lock and key
EP1899558A1 (en) Key and lock
TW445338B (en) Key for security cylinder, security cylinder, and bolt or lock equipped with a cylinder
EP3103944B1 (en) Key with a pivoting element and a lock
JP4219685B2 (ja) サイドバーが制御された回転ピンタンブラー式サイドバー錠
EP4019717B1 (en) Lock cylinder with an improved security
CS235085B2 (en) Cylindrical lock with flat key
CZ9902697A3 (cs) Cylindrický uzamykací systém
PL179053B1 (pl) Urządzenie zamykające z zamkiem bębenkowym i kluczem płaskim
CZ171497A3 (cs) Zámková vlož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