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6542A -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6542A
KR20240056542A KR1020247010212A KR20247010212A KR20240056542A KR 20240056542 A KR20240056542 A KR 20240056542A KR 1020247010212 A KR1020247010212 A KR 1020247010212A KR 20247010212 A KR20247010212 A KR 20247010212A KR 20240056542 A KR20240056542 A KR 20240056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er
electronic component
unique number
user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유키 나카가와
코이치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5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65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2Articles, e.g. small electrical components, attached to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전자부품 수납 릴에 대해, 전자부품의 제조자 측 및 사용자 측에서 다양한 관리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고유 ID(유니크 번호)가 수납된 RFID 태그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수납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를 고유 ID와 결부하여 클라우드(외부 기억 장치)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수납 릴별로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출하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하는 단계와, RFID 태그에 수납된 고유 ID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고유 ID에 기초하여 클라우드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칩이나 콘덴서 칩 등의 소형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부품 메이커에서는 제조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하나의 수납체에 수납하고, 공장 내에서 운반, 보관 등을 실시함과 함께, 수납체별로 세트 메이커에 출하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수납체의 형태로는 전자부품을 하나씩 나누어 유지한 테이프를 릴에 감은 것, 전자부품을 정렬시켜서 수납하는 매거진 외, 흩어진 상태, 즉 벌크 상태로 수납하는 벌크 케이스나 배깅 법식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물품의 제조 관리를 실시하기 위해, 관리 대상이 되는 개체에 RFID 태그를 장착하고, 그 RFID 태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ID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태그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248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58494호
전자부품의 소형화가 현저하게 진행됨에 따라, 대량의 전자부품을 관리함에 있어서는 수납체를 관리 대상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에는 수납체를 다양한 형태로 관리하는 점에 대해 언급되어 있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수납체에 대해, 전자부품의 제조자 측 및 전자부품의 사용자 측에서 다양한 관리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가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긴 릴, 및 상기 테이프 및 상기 릴 중 적어도 하나에 유니크 번호가 수납된 RFID 태그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를 상기 유니크 번호와 결부하여 외부 기억 장치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 제조된 전자부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수납된 상기 유니크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가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긴 릴, 및 상기 테이프 및 상기 릴 중 적어도 하나에 RFID 태그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와 결부된 유니크 번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정보를 상기 유니크 번호와 결부하여 외부 기억 장치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유니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 제조된 전자부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수납된 상기 유니크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전자부품 수납 릴에 대해, 전자부품의 제조자 측 및 전자부품의 사용자 측에서 다양한 관리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및 전자부품 수납 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RFID 태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릴에 테이프를 감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릴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메이커 및 세트 메이커가 각각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관리하기 위한 하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클라우드 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RFID 태그에 고유 ID를 입력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실장 장치로서의 마운터가 포함하는 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상기 부품 공급 장치에 지정 고유 ID를 입력하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으로서, 부품 메이커 측의 제조자 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으로서, 세트 메이커 측의 사용자 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부품 메이커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이 포함하는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부품 메이커에서 보관 장소로부터 피킹한 전자부품 수납 릴이 포함하는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부품 메이커 측에서 라벨이 첩부(貼付)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함에 있어,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의 포장 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출하 시에서 포장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의 운반 중에 RFID 태그를 판독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출하 시에서의 RFID 태그를 판독하는 다른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세트 메이커 측에서 라벨에 식별 씰이 첩부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세트 메이커에서 릴 취급자가 고유 ID를 판독하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부품 메이커 및 세트 메이커 각각에서 독자의 고유 ID를 이용하고, 그들 고유 ID를 공통의 고유 ID에 결부하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되는 테이프(21)와, 테이프(21)가 감기는 릴(25)을 포함한다. 도 2는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된 테이프(21)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21)는 캐리어 테이프(22)와, 캐리어 테이프(22)의 표면 측을 덮는 커버 테이프(23)를 가진다. 캐리어 테이프(22)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나 종이 등을 재료로 하여 장척(長尺)인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 테이프(22)는 복수개의 수납부(22a)와, 복수개의 이송 구멍(22b)을 가진다. 수납부(22a)는 캐리어 테이프(22)의 표면 측에 개구되는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오목 부분이다. 하나의 수납부(22a)에는 하나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된다. 전자부품(10)으로는 예를 들면 반도체 칩이나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이며, 예를 들면 길이방향 길이가 1.2㎜ 이하의 직방체 형상의 소형 전자부품이다. 수납부(22a)는 캐리어 테이프(2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1열로 늘어서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수납부(22a)는 캐리어 테이프(22)의 폭방향에서 한쪽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송 구멍(22b)은 캐리어 테이프(22)의 표리에 관통하는 원형상의 투공(透孔)이다. 이송 구멍(22b)은 캐리어 테이프(2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1열로 늘어서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송 구멍(22b)은 캐리어 테이프(22)의 폭방향에서 수납부(22a)와 반대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반송 스프로킷의 살이 이송 구멍(22b)에 감입(嵌入)된다. 상기 반송 스프로킷이 회전함으로써, 테이프(21)는 반송된다.
커버 테이프(23)는 예를 들면 투명한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제로서, 편면(片面)이 점착면이 된 장척인 띠 형상의 점착 테이프이다. 커버 테이프(23)는 점착면이 캐리어 테이프(22)의 표면에 밀착되어 각 수납부(22a)를 덮으면서 이송 구멍(22b)을 막지 않는 상태로 캐리어 테이프(22)에 점착된다. 이로써 전자부품(10)은 수납부(22a)에 봉입된 상태로 수납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수납한 테이프(21)는 릴(25)에 커버 테이프(23)가 점착된 표면 측이 안둘레 측이 되는 상태로 권회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은 릴(25)별로 운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21)의 일단부(一端部)에 RFID 태그(30)가 점착되어 마련된다. RFID 태그(30)는 테이프(21)의 타단부(他端部)에 점착되어도 된다. 또한, RFID 태그(30)는 테이프(21)의 일단부 및 타단부 쌍방에 점착되어도 된다. 또한, RFID 태그(30)는 릴(25)에 점착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태그(30)는 기재(基材)가 되는 장방 형상의 수지제 시트(30a)와, 반도체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 RFID 칩(30b)과, 외부기기와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테나(30c)를 가지는 패시브형 트랜스폰더이다. RFID 칩(30b) 및 안테나(30c)는 시트(30a)에 첩부된다. RFID 태그(30)는 RFID 칩(30b) 및 안테나(30c)가 시트(30a) 내에 매설되는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RFID 칩(30b)은 CPU, 메모리, 통신 회로 등을 포함한다.
RFID 태그(30)는 메모리가 고쳐쓰기 불가(RO:Read Only), 1회의 고쳐 쓰기 가능(WORM:Wright Once Read Many), 고쳐 쓰기 가능(R/W:Read and Wright) 등의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RFID 태그(30)의 타입이 RO 또는 WORM인 경우, 입력할 수 있는 정보가 R/W에 비해 적긴 하지만, 비용이 싸게 해결된다.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30)는 기재가 되는 시트(30a)의 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감도가 양호해져서 정보의 읽고 쓰기를 실시하기 쉽다. 특히, 시트(30a)의 면에 대하여 직교, 혹은 그에 가까운 각도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감도가 높아져, 읽고 쓰기를 보다 실시하기 쉽다.
도 4는 릴(25)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5)은 권심(卷芯)(26)과, 권심(26)의 축방향 양 단부(端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원반 형상의 플랜지(27)를 가진다. 릴(25)은 수지의 성형체이다. 권심(26)에 전자부품(10)을 수납한 테이프(21)가 감기고, 그 테이프(21)가 한 쌍의 플랜지(27)에 협지되어, 도 1에 나타내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구성된다.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전자부품(10)을 예를 들면 수백개 단위로 수납한다. 권심(26)의 중심에 릴(2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이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26b)이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5)의 권심(26)에는 권심(26)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26a)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릿(26a)에 RFID 태그(30)가 마련된 테이프(21)의 선단부(21a)가 삽입되어서, 테이프(21)는 권심(26)에 감긴다. 테이프(21)의 선단부(21a)는 그 면 방향이 권심(26)의 축방향과 대략 직각이 되는 상태로 슬릿(26a)에 삽입된다. 테이프(21)는 슬릿(26a)으로부터 권심(26)의 외주면(外周面)으로 나오는 부분이, 커버 테이프(23)가 점착된 표면 측이 권심(26)의 외주면에 겹치도록 폴딩되어 권심(26)에 감긴다. 이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21)의 선단부(21a)에 마련된 RFID 태그(30)는 권심(26)의 측면(26c)을 면하는 상태로 권심(26)에 배치된다. 이로써, 외부와 RFID 태그(30) 사이에는 권심(26)이 얇은 측면(26c)의 부분밖에 존재하지 않으면서, RFID 태그(30)의 면에 대하여 읽고 쓰기 신호를 직교, 혹은 그에 가까운 각도에서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RFID 태그(30)에 대한 읽고 쓰기를 실시하기 쉽게 한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RFID 태그(30)가 테이프(21)의 타단부에 점착되어 있는 경우, RFID 태그(30)의 면은 권심(26)의 외주면을 따른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그 외주면에 직교하는 릴(25)의 레이디얼 방향으로부터의 읽고 쓰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RFID 태그(30)가 테이프(21)의 일단부 및 타단부 쌍방에 점착되어 있는 경우는 측면으로부터의 판독 및 상기 레이디얼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판독도 용이해진다.
한편, 권심(26)의 슬릿(26a)은 권심(26)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인 형태이어도 된다. 그 경우의 슬릿(26a)에 선단부(21a)를 삽입한 테이프(21)는 상기와 같이 폴딩하지 않고 그대로 권심(26)에 감을 수 있다.
도 6a는 전자부품(10)을 제조하는 부품 메이커(G) 및 전자부품(10)을 사용하는 세트 메이커(S)가 각각 포함하는 전자부품(10)을 관리하기 위한 하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부품 메이커(G)는 전자부품(10)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의 일례이다. 세트 메이커(S)는 전자부품(10)을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의 일례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FID 태그(30)에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번호로서의 고유 ID(30X)가 입력된다. 고유 ID(30X)는 RFID 칩(30b)에 입력된다. 한편, 고유 ID(30X)는 복수개의 숫자, 기호, 알파벳 등의 문자열이나 수열을 포함하고, RFID 태그(30)별로 다르지만, 여기서는 그들의 RFID 태그(30)별로 다른 고유 ID를 총칭하여 고유 ID(30X)라고 한다.
RFID 태그(30)가 RO인 경우에는 고유 ID(30X)가 미리 입력되어 수납되어 있는 RFID 태그(30)가 테이프(21)에 첩부된다. RFID 태그(30)가 WORM 또는 R/W인 경우에는 RFID 태그(30)에, 고유 ID(30X)가 라이터부(40)에 의해 입력되어 수납된다. RFID 태그(30)로의 고유 ID(30X)의 입력은 RFID 태그(30)를 테이프(21)에 첩부하기 전이어도 되고, 테이프(21)에 첩부한 후, 혹은 테이프(21)에 첩부하고 그 테이프(21)를 릴(25)에 감은 후이어도 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메이커(G)는 테이프(21)에 첩부됨으로써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에 부품 메이커(G) 측 정보인 제조자 측 정보에 결부된 고유 ID(30X)를 입력 가능한 라이터부(40)와,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에 기록된 제조자 측 정보에 결부된 고유 ID(30X)를 판독하는 리더부(42)와, 데이터베이스 서버(44)를 포함한다. 한편, 라이터부(40)와 리더부(42)는 양자를 일체로 한 리더 라이터부이어도 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4)는 부품 메이커(G) 측에서 준비된다.
라이터부(40)는 고유 ID(30X) 및 제조자 측 정보를 RFID 태그(30)에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서, 고유 ID(30X) 및 제조자 측 정보는 서로 결부되어 보존된다. 리더부(42)는 RFID 태그(30)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 ID(30X)를 판독한다. 부품 메이커(G) 측은 리더부(42)를 사용하여 고유 ID(30X)를 판독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액세스하고,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보존된 제조자 측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부품 메이커(G) 측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4)는 후술할 세트 메이커(S) 측의 데이터베이스 서버(54)와 함께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60)에 접속 가능하다. 한편, 클라우드란, 클라우드 컴퓨팅의 약자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데이터베이스, 기억 영역 등의 각종 자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의 총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클라우드(60)는 외부 기억 장치의 일례이며,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기억 영역이 외부 기억 장치의 일례이다.
한편, 외부 기억 장치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기억 영역이 아니어도 되고, 부품 메이커(G) 및 세트 메이커(S)가 통신 회선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기억 장치이면 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서버(44)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54)는 클라우드(60) 상에 있어도 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60)는 제조자 측 정보를 수납하는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과, 후술할 세트 메이커(S) 측의 사용자 측 정보를 수납하는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을 가진다. 부품 메이커(G) 측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보존된 고유 ID(30X) 및 제조자 측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클라우드(60)에 복사되어 보존된다. 세트 메이커(S) 측의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 보존된 고유 ID(30X) 및 사용자 측 정보의 일부는, 또는 전부가 클라우드(60)에 복사되어 보존된다. 부품 메이커(G) 및 세트 메이커(S)는 함께 클라우드(60)에 액세스함으로써, 고유 ID(30X)에 결부된 쌍방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라이터부(40)는 비접촉으로 정보를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RFID 라이터(41)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RFID 라이터(41) 각각은 부품 메이커(G)의 공장 내의 소정 부분에 배치된다. RFID 라이터(41)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로부터 판독한 고유 ID(30X) 및 제조자 측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복사하여 보존한다. 리더부(42)는 비접촉으로 제조자 측 정보에 결부된 고유 ID(30X)를 판독할 수 있는 복수개의 RFID 리더(43)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RFID 리더(43) 각각은 부품 메이커(G)의 공장 내의 소정 부분에 배치된다. RFID 리더(43)의 판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 및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된다.
세트 메이커(S)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에 세트 메이커(S) 측 정보인 사용자 측 정보에 결부된 고유 ID(30X)를 입력 가능한 라이터부(50)와,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에 기록된 고유 ID(30X)를 판독하는 리더부(52)와, 데이터베이스 서버(54)와, 마운터(56)를 포함한다. 마운터(56)는 실장 장치의 일례이다. 한편, RFID 태그(30)의 타입이 WORM이나 R/W인 경우, 라이터부(50)는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라이터부(50)는 고유 ID(30X) 및 사용자 측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서, 고유 ID(30X) 및 사용자 측 정보는 서로 결부되어 보존된다. 리더부(52)는 RFID 태그(30)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 ID(30X)를 판독한다. 리더부(52)는 고유 ID(30X)를 판독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 액세스하고,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 보존된 사용자 측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라이터부(50)는 비접촉으로 정보를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RFID 라이터(51)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RFID 라이터(51) 각각은 세트 메이커(S)의 공장 내의 소정 부분에 배치된다. RFID 라이터(51)는 사용자 측 정보 및 제조자 측 정보와 결부된 고유 ID(30X)를 RFID 태그(30)에 입력하여 기록해도 된다. 리더부(52)는 비접촉으로 고유 ID(30X)를 판독할 수 있는 복수개의 RFID 리더(53)를 포함한다. 리더부(52)는 제1 판독부의 일례이다. 복수개의 RFID 리더(53) 각각은 세트 메이커(S)의 공장 내의 소정 부분에 배치된다. RFID 리더(53)의 판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4) 및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수납된다.
부품 메이커(G)에서 리더부(42)는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보존된 사용자 정보의 일부(예를 들면, 전자부품(10)의 사용 수 등), 또는 전부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세트 메이커(S)에서 리더부(52)는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보존된 제조자 정보의 일부(예를 들면, 전자부품(10)의 생산 개수 등), 또는 전부를 판독할 수 있다.
마운터(56)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부품(10)을, 전자기기 세트가 포함하는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하여 실장하는 장치이다. 마운터(56)는 복수개의 부품 공급 장치(57)를 포함한다. 각 부품 공급 장치(57)에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세팅되고, 테이프(21)가 권출되어 전자부품(10)이 마운터(56)에 공급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운터(56)의 각 부품 공급 장치(57)에는 지정된 지정 고유 ID(57X)가 전자적으로 입력되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마운터(56)의 각 부품 공급 장치(57)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를 판독하는 RFID 리더(58)를 가진다. 지정 고유 ID(57X)는 지정 유니크 번호의 일례이다. RFID 리더(58)는 제2 판독부의 일례이다.
부품 메이커(G)는 공장 내에서 제조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상태로 운반, 보관하고, 세트 메이커(S)에 출하한다. 세트 메이커(S)는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입하하고, 전자부품 수납 릴(20) 내의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마운터(56)에 의해 전자기기 세트가 포함하는 전자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세트 메이커(S)는 전자회로 기판 등을 제조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메이커(G)에서는 제조자 측 단계(S1)가 실시된다. 부품 메이커(G)에서의 제조자 측 단계(S1)는 전자부품(10)의 패키징 과정, 검품·출하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세트 메이커(S)에서는 사용자 측 단계(S2)가 실시된다. 세트 메이커(S)에서의 사용자 측 단계(S2)는 전자부품(10)의 입하 과정, 보관 과정, 제조 과정, 처리 과정을 포함한다. 부품 메이커(G)에서는 제조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테이프(21)에 수납되고, 그 테이프(21)가 릴(25)에 감겨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된다. 부품 메이커(G)로부터,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출하된다. 부품 메이커(G)로부터 출하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세트 메이커(S)에 입하되어서 사용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부품 메이커(G) 및 세트 메이커(S)에서의 전자부품(10)의 흐름을 설명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0에 기재하는 "릴"은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말한다.
[부품 메이커(G)에서의 제조자 측 단계]
도 10은 부품 메이커(G) 측의 전자부품(10)의 흐름인 제조자 측 단계(S1)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부품 메이커(G)에서는 후술할 제조자 측 정보를 수납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가 미리 준비된다(단계(S101)). 또한, 부품 메이커(G)에서는 전자부품 수납 릴(20)별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식별하는 고유 ID(30X)가 준비된다(단계(S102)).
(패키징 과정)
패키징 과정에서는 RFID 태그(30)가 WORM 또는 R/W인 경우에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첩부되기 전, 혹은 첩부 후의 RFID 태그(30)에, 준비된 고유 ID(30X)를 입력한다(단계(S103)). 이어서, 제조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테이프(21)에 수납하고, 그 테이프(21)를 릴(25)에 감아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한 상태로 한다(단계(S104)). 이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수납함과 함께 고유 ID(30X)가 수납된 RFID 태그(30)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준비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가 RO인 경우, 고유 ID(30X)는 그 RFID 태그(30)에 미리 수납되어 있다. 그 경우에는 상기 단계(S103)는 생략되어, 테이프(21)에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된다.
패키징 과정에서는 제조자 측 정보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가 유지하는 고유 ID(30X)와 결부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수납되고, 추가로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된다(단계(S105)). 제조자 측 정보는 테이프(21)에 수납된 전자부품(10)에 관한, 부품 메이커(G) 측에서 설정 혹은 유지하는 복수개의 정보이다. 제조자 측 정보로는 전자부품(10)의 로트 번호,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되는 전자부품(10)의 수량, 전자부품(10)에 관한 성능 등의 제품 정보, 전자부품(10)에 관한 환경 정보, 전자부품(10)의 검사 번호 등이다. 전자부품(10)의 종류에 따라서는 MSL(Moisture Sensitivity Level)이 기록된다. MSL은 전자부품(10)에 포함되는 수분의 기화에 의한 체적 팽창이 발생하여 고장에 이른다는 현상에 대한 리스크를 나타낸 레벨이다. 한편, 로트 번호를 통해 전자부품(10)의 제조 프로세스의 정보를 입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고유 ID(30X)를 열쇠로 하거나, 함께 RFID 태그(30)에 보존되어 있는 열쇠를 사용하여 정보를 입수하게 된다.
부품 메이커(G)의 공장 내에서는 소정의 RFID 리더(43)에 의해,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가 판독되고, 고유 ID(30X)에 결부된 제조자 측 정보가 판독되어 그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관리된다.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61) 위에 둔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테이블(61)에 설치되는 RFID 리더(43)에 의해 판독된다.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판독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공장 내를 운반되어서 소정의 보관 장소에 보관된다(단계(S106)). 그리고, 다음 검품·처리 과정까지의 사이에서, RFID 태그(30)에 수납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공장 내에서의 재고 정보 관리, 이동 경로에 기초하는 로케이션 관리, 방범 관리 등이 실시된다. 재고 정보 관리, 로케이션 관리, 방범 관리는 공장 내에 배치되는 RFID 리더(43)의 판독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RFID 리더(43)는 예를 들면 통로에 마련되는 게이트, 실내로의 출입구 등에 배치되고,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통과하면, RFID 태그(30)에 기록된 고유 ID(30X)를 판독한다.
재고 정보 관리는 소정의 보관 장소에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됨으로써 재고의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보관 장소로의 출입구에 배치된 게이트를 통과하면, 그 게이트에 배치된 RFID 리더(43)로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판독됨으로써, 재고 있음으로 확인된다.
로케이션 관리는 공장 내에서 운반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복수개의 게이트를 통과하거나, 소정의 실내에 출입함으로써,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공장 내에서의 소재 위치를 차례대로 파악하는 관리이다. RFID 태그(30)는 금속 케이스 내에 수납되면 RFID 리더(43) 등으로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금속 탐지기나 X선 검사 장치를 병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소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방범 관리는 예를 들면 하나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예를 들면 RFID 태그(30)에 의한 출하의 확인이 실시되지 않은 상태로 공장 밖으로 나온 경우, 정규 루트에서의 출하가 아니다고 판단하는 관리이며, 경고를 발하는 등의 처치가 취해진다.
(검품·출하 과정)
검품·출하 과정에서 보관 장소로부터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피킹된다(단계(S107)), 이어서, 피킹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에 수납된 고유 ID(30X)가 판독된다(단계(S108)).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등의 보관 장소(62)로부터 피킹되어 운반용 카트(63)에 실리고, 카트(63) 상에서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센서(64)를 통해 RFID 리더(43)에 의해 판독된다. RFID 리더(43)는 카트(63)의 적절한 부분에 설치된다. 이로써, 그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출하된다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입력된다. RFID 리더(43)가 포함하는 판독 가능 거리보다도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근접하는 센서(64)를 통해 RFID 태그(30)에 기록된 고유 ID(30X)를 판독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를 통해 더 새로운 제조자 측 정보가, 피킹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가 포함하는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수납된다(단계(S109)). 여기서의 새로운 제조자 측 정보란, 예를 들면, 세트 메이커(S)에서 사용되는 부품 번호, 세트 메이커(S)로부터의 오더 번호, 부품 메이커(G)의 공장 번호, 제조에 관한 날짜, 벤더 번호 등인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릴(25)에 라벨(71)이 첩부된다(단계(S110)). 라벨(71)은 한쪽의 플랜지(27)의 표면에 붙여진다. 라벨(71)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 및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고유 ID(30X)와 결부되어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조자 측 정보, 혹은 그 이외의 출하 시에 필요로 하는 제조자 측 정보가 미리 인쇄되어 있다. 라벨(71)에 인쇄된 제조자 측 정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라벨(71)에, 제조자 측 정보와 결부된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도 된다.
하나 하나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RFID 리더(43)에 의해 판독되어,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검품이 실시된다(단계(S111)).
검품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박스에 포장되어서 세트 메이커(S)에 출하된다(단계(S112)).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소정 수가 하나의 외장 박스(81)에 수납되고, 복수개의 외장 박스(81)가 하나의 운반용 외박스(82)에 2단 겹침 상태로 수납되고, 또한 복수개의 운반용 외박스(82)가 팰릿(83)에 적재된다.
외장 박스(81)는 외장 박스(81)에 수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 각각의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기록된 RFID 태그(31)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운반용 외박스(82)는 운반용 외박스(82)에 수납된 복수개의 외장 박스(81) 각각의 RFID 태그(31)가 기록된 RFID 태그(3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팰릿(83)은 팰릿(83)에 적재된 복수개의 운반용 외박스(82) 각각의 RFID 태그(32)가 기록된 RFID 태그(3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납하고 있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고유 ID(30X)와, RFID 태그(31), RFID 태그(32) 및 RFID 태그(33)가 결부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44) 및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된다. 이로써, 외장 박스(81)별로, 운반용 외박스(82)별로, 팰릿(83)별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고유 ID(30X)를 일괄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운반용 외박스(82)를 팰릿(83)에 적재한 경우, 그 팰릿(83)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65)에 의해 출하 장소까지 운반된다. 포크리프트(65)가 게이트(66)를 통과함으로써, 게이트(66)에 배치된 센서(64)를 통해 RFID 리더(43)가 RFID 태그(31), RFID 태그(32) 및 RFID 태그(33)를 판독함으로써, 그들 RFID 태그(31), RFID 태그(32) 및 RFID 태그(33)에 결부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출하된 것을 확인하는 출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7은 출하 시에서의 RFID 태그(30)를 판독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서는 반송대(67)에서 반송 중인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수납한 외장 박스(81)를, 터널 형상의 게이트(68) 내에서 반송시키면서, 게이트(68)에 마련한 센서(64)를 통해 RFID 리더(43)에 의해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가 판독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4)에 액세스한 RFID 리더(43)에 의해, 판독한 고유 ID(30X)에 결부된 제조자 정보가 판독된다.
[세트 메이커(S)에서의 사용자 측 단계]
도 11은 세트 메이커(S) 측의 전자부품(10)의 흐름인 사용자 측 단계(S2)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세트 메이커(S)에서는 후술할 사용자 측 정보를 수납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4)가 미리 준비된다(단계(S201)).
(입하 과정)
입하 과정에서는 처음으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세트 메이커(S)의 공장에 입하된다(단계(S202)). 입하 과정에서는 소정의 RFID 리더(53)에 의해, 입하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가 판독되어, 그 RFID 태그(30)에 수납되어 있는 고유 ID(30X)가 판독된다(단계(S203)). 이로써, 세트 메이커(S)에서는 판독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제조자 측 정보를 클라우드(60)를 통해 입수한다(단계(S204)). 입수하는 제조자 측 정보로는 상술한 전자부품(10)의 로트 번호,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되는 전자부품(10)의 수량, 전자부품(10)에 관한 성능 등의 제품 정보, 전자부품(10)에 관한 환경 정보, 전자부품(10)의 검사 번호 등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외장 박스(81)에 수납되거나, 추가로 복수개의 외장 박스(81)이 운반용 외박스(82)에 수납되어 전자부품(10)이 세트 메이커(S)에 입하된 경우에는 외장 박스(81)가 포함하는 RFID 태그(31)나, 운반용 외박스(82)가 포함하는 RFID 태그(32)를 RFID 리더(53)로 판독한다. 이로써, 외장 박스(81)별로, 혹은 운반용 외박스(82)별로,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고유 ID(30X)를 일괄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세트 메이커(S)에서는 입하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로부터 판독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얻은 제조자 측 정보를,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수납한다(단계(S205)). 세트 메이커(S)에서는 세트 메이커(S)가 필요로 하는 소정의 사용 측 정보도 추가 정보로서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수납하는 경우가 있다(단계(S206)).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세트 메이커(S) 측에서의 독자의 식별 씰(72)이 붙여진다(단계(S207)). 식별 씰(72)은 적색, 청색, 황색 등의 단색 중 하나의 색을 포함한 씰이며, 라벨(71)에 붙여져도 된다. 식별 씰(72)의 색에 의해, 세트 메이커(S) 내에서 구별되는 처치가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대하여 실시된다. 예를 들면, 제조 라인, 제조순 등이 식별 씰(72)의 색별로 선택된다.
(보관 과정)
세트 메이커(S)에서, 제조 과정으로 옮겨가기 전에,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소정의 보관 장소에 보관되거나 보관 장소로부터 피킹되어서 운반되는 경우, 세트 메이커(S) 측에서도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소정의 RFID 리더(53)로 판독하여,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로케이션 관리, 즉 소재 위치를 검출하는 관리를 실시한다(단계(S208)). 한편, 이 밖에, 부품 메이커(G)와 마찬가지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재고 정보 관리나 방범 관리 등을, RFID 태그(30)를 판독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RFID 태그(30)는 금속 케이스 내에 수납되면, RFID 리더(53) 등으로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금속 탐지기나 X선 검사 장치를 병용한다.
또한, 세트 메이커(S)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취급하는 릴 취급자(90)가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판독하고, 판독한 고유 ID(30X)로부터, 릴 취급자(90)를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취급자로서 특정한다(단계(S209)). 릴 취급자(90)는 예를 들면, 작업 인원이나 작업 로봇,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운반하는 무인 반송차 등의 반송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릴 취급자(90)가 작업 인원의 경우, 휴대형 RFID 리더에 의해 RFID 태그(30)를 판독한다. 또한, 릴 취급자(90)가 작업 로봇이나 무인 반송차이었던 경우, 그들 작업 로봇이나 무인 반송차에 탑재된 RFID 리더에 의해 RFID 태그(30)를 판독한다.
(제조 과정)
제조 과정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보관 장소로부터 마운터(56)를 향해 불출이 실시되고, 마운터(56)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품 공급 장치(57) 각각에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세팅된다. 각 부품 공급 장치(57)에서는 RFID 리더(58)에 의해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판독하고, 판독한 고유 ID(30X)와 부품 공급 장치(57) 자신에게 지정된 지정 고유 ID(57X)를 대조한다(단계(S210)).
이로써,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부품 공급 장치(57)에서 실장해야 할 전자부품(10)을 수납한 전자부품 수납 릴(20)인지 여부가 확인되고, 전자부품(10)의 뒤바뀜이 미연에 방지된다. 예를 들면, 부품 공급 장치(57)에 적합하지 않은 전자부품(10)을 수납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세팅된 경우, 부품 공급 장치(57)는 가동하지 않고, 그 전자부품 수납 릴(20)은 부품 공급 장치(57)로부터 제외되며, 다음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세팅된다.
부품 공급 장치(57)에 세팅된 전자부품 수납 릴(20)로부터 테이프(21)가 권출되고, 그 테이프(21)로부터 전자부품(10)이 마운터(56)에 하나씩 공급되어, 전자부품(10)이 전자회로 기판에 실장된다(단계(S211)).
각 부품 공급 장치(57)에서는 단계(S204)에서 입수한 제조자 측 정보 중,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되는 전자부품(10)의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한 전자부품(10)의 소비량과 함께, 그 소비량에 기초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 내의 전자부품(10)의 잔량을 파악한다. 그리고 전자부품(10)의 잔량이 소정량을 하회하면, 입하된 다른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한다(단계(S212)).
또한,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은 고유 ID(30X)에 결부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54)에 보존되고, 추가로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보존된다(단계(S213)). 부품 메이커(G)에서는 고유 ID(30X)를 판독함으로써 세트 메이커(S)에서의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 때의 세트 메이커(S)에서의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은 인터넷이나 LAN 등의 전자적 전달 수단, 혹은 메모리 디바이스나 CD-ROM 등의 기록 미디어에 수납하여 전달하는 등의 물리적 전달 수단으로 부품 메이커(G)에 전달되어도 된다.
한편, 부품 메이커(G)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세트 메이커(S)로부터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이 전달된다. 부품 메이커(G)에서는 세트 메이커(S)로부터 전달되는 전자부품(10)의 소비량에 의해 세트 메이커(S)에서의 전자부품(10)의 잔량이 예측된다. 전자부품(10)의 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던 잔량을 하회하면, 부품 메이커(G)에서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하는 작업을 개시하여, 출하에 대비한다.
세트 메이커(S)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20) 내의 모든 전자부품(10)이 실장되면, 전자부품(10)이 꺼내진 테이프(21)가 폐기된다(단계(S214)). 빈 릴(25)은 재이용을 위해 부품 메이커(G)로 되돌려진다. RFID 태그(30)가 테이프(21)에 점착되어 있고 릴(25)에는 점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릴(25)의 재이용이 용이하다.
제조 과정 후의 처리 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10)이 잔존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중도 재고로서, 소정의 장소에 보관된다. 그 경우,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가 RFID 리더(53)로 판독되어, 중도 재고의 전자부품 수납 릴(20)로서 잔량 관리된다(단계(S215)).
이 밖에 처리 과정에서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를 판독함으로써 이용하는 전자부품(10)의 종류 혹은 제조하는 전자기기 세트의 양 등에 기초한 제조 경향 관리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방범 관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단계(S206)에서의 사용자 측 정보는 클라우드(60)에 보존되어도 된다.
또한, 클라우드(60)에 보존되는 사용자 측 정보는 부품 메이커(G) 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부품 메이커(G) 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됨으로써, 부품 메이커(G)는 세트 메이커(S)의 사양 양태나 재고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트 메이커(S)의 요구를 사전에 예상할 수 있고, 세트 메이커(S)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클라우드(60) 상에 보존되는 데이터는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보존되어도 된다. 블록 체인이 이용됨으로써 클라우드(60) 상에 보존된 데이터의 개찬이 어려워지고, 클라우드(60) 상에 보존된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RFID 태그(30)에 입력되는 고유 ID(30X)는 부품 메이커(G)와 세트 메이커(S)에서 공통(공통 고유 ID)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고유 ID(30X)를 부품 메이커(G)로부터 세트 메이커(S)에 일관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메이커(G) 측에서는 부품 메이커(G) 독자의 고유 ID(30Y)를 사용하고, 세트 메이커(S) 측에서는 세트 메이커(S) 독자의 고유 ID(30Z)를 사용해도 된다. 그 경우, 부품 메이커 측 고유 ID(30Y)와 세트 메이커 측 고유 ID(30Z)가 공통의 고유 ID(30X)에 결부되어, RFID 태그(30)에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품 메이커 측 고유 ID(30X) 및 세트 메이커 측 고유 ID(30Z) 중 어느 하나가 고유 ID(30X)와 동일하며, 고유 ID(30X)에, 부품 메이커 측 고유 ID(30X) 및 세트 메이커 측 고유 ID(30Z) 중 어느 하나가 결부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가 전자부품(10)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로서의 부품 메이커(G)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수납한 테이프(21)가 감긴 릴(25), 및 테이프(21) 및 릴(25) 중 적어도 하나에, 유니크 번호로서의 고유 ID(30X)가 수납된 RFID 태그(30)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를, 고유 ID(30X)와 결부하여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하는 단계와,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부품 메이커(G)에서 제조된 전자부품(10)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로서의 세트 메이커(S)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입하하는 단계와, RFID 태그(30)에 수납된 고유 ID(30X)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대해,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이용하여, 부품 메이커(G) 측 및 세트 메이커(S) 측 쌍방에서 다양한 관리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30)에 입력되는 고유 ID(30X)를 이용하여, 부품 메이커(G)로부터 세트 메이커(S)에 걸쳐, 전자부품(10)의 관리를 일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가 전자부품(10)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로서의 부품 메이커(G)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을 수납한 테이프(21)가 감긴 릴(25), 및 테이프(21) 및 릴(25) 중 적어도 하나에 RFID 태그(30)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와 결부된 유니크 번호로서의 고유 ID(30X)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를 고유 ID(30X)와 결부하여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하는 단계와, RFID 태그(30)에 고유 ID(30X)를 입력하는 단계와,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부품 메이커(G)에서 제조된 전자부품(10)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로서의 세트 메이커(S)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입하하는 단계와, RFID 태그(30)에 수납된 고유 ID(30X)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되는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대해, 전자부품 수납 릴(20)이 포함하는 RFID 태그(30)의 고유 ID(30X)를 이용하여, 부품 메이커(G) 측 및 세트 메이커(S) 측 쌍방에서 다양한 관리의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30)를 이용하여, 부품 메이커(G)로부터 세트 메이커(S)에 걸쳐, 일관적인 부품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 측 단계에서, 고유 ID(30X)에 기초하여 제조자 측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제조자 측 정보에 기초한 라벨(71)을 작성하며, 상기 라벨(71)을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첩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라벨(71)을 봄으로써 제조자 측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RFID 리더 등의 판독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자 측 정보에 기초하는 관리를 신속히 진행시킬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 측 단계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10)이 수납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출하하는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로부터 고유 ID(30X)를 일괄적으로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부품 메이커(G)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를 하나 하나 판독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고,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측 단계에서, 출하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입하함에 있어, 복수개의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로부터 고유 ID(30X)를 일괄적으로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세트 메이커(S)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RFID 태그(30)를 하나 하나 판독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고,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측 단계에서, 세트 메이커(S)의 소정 부분에 설치된 제1 판독부로서의 RFID 리더(53)에 의해 RFID 태그(30)를 판독하여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소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소재 위치를 항상 파악할 수 있고, 재고 정보 관리, 로케이션 관리, 방범 관리 등의 다양한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측 단계에서, 세트 메이커(S)의 소정 부분에 배치되는 릴 취급자(90)에 의해 RFID 태그(30)를 판독시킴으로써, 상기 릴 취급자(90)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세트 메이커(S)에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취급한 작업원이나 반송차 등을 항상 특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현재의 소재 위치를 적확하게 파악하는 등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측 단계에서, 실장 장치로서의 부품 공급 장치(57)가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10) 각각을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부품 공급 장치(57)는 지정된 지정 유니크 번호로서의 지정 고유 ID(57X)가 수납되어 있음과 함께, RFID 태그(30)를 판독하는 제2 판독부로서의 RFID 리더(58)를 가지며, RFID 리더(58)가 판독한 RFID 태그(30)에 수납되어 있는 고유 ID(30X)와 부품 공급 장치(57)에 지정된 지정 고유 ID(57X)를 대조한다.
이로써,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고유 ID(30X)가 부품 공급 장치(57)에서 실장해야 할 전자부품(10)을 수납한 전자부품 수납 릴(20)인지 여부가 확인되고, 결과적으로 전자부품(10)의 뒤바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 측 단계에서, 제조자 측 정보로서,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수납된 전자부품(10)의 수량 정보가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수납되고, 사용자 측 단계에서, 고유 ID(30X)에 기초해서 입수한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장치(57)가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한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을 파악함과 함께, 상기 소비량에 기초하여, 입하한 다른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세트 메이커(S)에서는 부품 공급 장치(57)에 대하여 전자부품(10)의 공급을 마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새로운 전자부품 수납 릴(20)로 갈아 끼우는 교환 작업을, 전자부품(10)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전자부품(10)의 실장을 전자부품 수납 릴(20)의 교환이 있어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전자부품(10)의 소비량은 고유 ID(30X)에 결부되어 상기 고유 ID(30X)가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보존됨과 함께, 제조자에게 전달된다.
이로써, 부품 메이커(G) 측에서는 세트 메이커(S)에서의 전자부품(10)의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부품 수납 릴(20)에 전자부품(10)을 수납하는 공정의 준비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1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제조자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전자부품(10)의 소비량에 기초하여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한다.
이로써, 부품 메이커(G)에서는 세트 메이커(S) 측의 전자부품(10)의 소비에 기초하여 효율적으로 전자부품 수납 릴(20)을 준비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12)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부품 메이커(G)에서는 고유 ID로서 부품 메이커(G) 측의 고유 ID(30Y)가 사용되고, 세트 메이커(S)에서는 고유 ID로서 세트 메이커(S) 측의 고유 ID(30Z)가 사용되며, 부품 메이커(G) 측의 고유 ID(30Y) 및 세트 메이커(S) 측의 고유 ID(30Z) 중 어느 하나가 고유 ID(30X)와 동일하고, 고유 ID(30X)에 부품 메이커(G) 측의 고유 ID(30Y) 및 세트 메이커(S) 측의 고유 ID(30Z) 중 어느 하나가 결부된다.
(13)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은 부품 메이커(G)에서는 고유 ID로서 부품 메이커(G) 측의 고유 ID(30Y)가 사용되며, 세트 메이커(S)에서는 고유 ID로서 세트 메이커(S) 측의 고유 ID(30Z)가 사용되고, 부품 메이커 측 고유 ID(30Y)와 세트 메이커 측 고유 ID(30Z)가 공통의 고유 ID(30X)에 결부된다.
이로써, 부품 메이커(G) 및 세트 메이커(S), 혹은 부품 메이커(G) 및 세트 메이커(S) 중 어느 하나에서, 각각 독자의 고유 ID(고유 ID(30Y), 고유 ID(30Z))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고유 ID를 붙이는 법이나 패턴 등을 각각의 메이커에서 변경하지 않고 운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은 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품 메이커(G)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44)를 생략하고, 고유 ID(30X) 및 제조자 측 정보를 직접 클라우드(60)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G)에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세트 메이커(S)도 마찬가지이며, 데이터베이스 서버(54)를 생략하고 고유 ID(30X) 및 사용자 측 정보를 직접 클라우드(60)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60S)에 보존하도록 해도 된다.
10: 전자부품
20: 전자부품 수납 릴
21: 테이프
25: 릴
30: RFID 태그
30X: 고유 ID(유니크 번호)
30Y: 부품 메이커 측 고유 ID(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
30Z: 세트 메이커 측 고유 ID(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
52: 리더부(제1 판독부)
56: 마운터(실장 장치)
57X: 지정 고유 ID(지정 유니크 번호)
58: RFID 리더(제2 판독부)
60: 클라우드(외부 기억 장치)
60G: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
60S: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
71: 라벨
90: 릴 취급자
G: 부품 메이커(제조자 측 시설)
S: 세트 메이커(사용자 측 시설)

Claims (13)

  1. 제조자가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긴 릴, 및 상기 테이프 및 상기 릴 중 적어도 하나에, 유니크 번호가 수납된 RFID 태그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를 상기 유니크 번호와 결부하여 외부 기억 장치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 제조된 전자부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수납된 상기 유니크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2. 제조자가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제조자 측 단계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수납한 테이프가 감긴 릴, 및 상기 테이프 및 상기 릴 중 적어도 하나에 RFID 태그가 마련된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조자 측 정보와 결부된 유니크 번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정보를 상기 유니크 번호와 결부하여 외부 기억 장치의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유니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자 측 단계와,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 제조된 전자부품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측 시설에서 실시되는 사용자 측 단계로서,
    출하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하는 단계와,
    상기 RFID 태그에 수납된 상기 유니크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된 제조자 측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측 단계에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자 측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제조자 측 정보에 기초한 라벨을 작성하며, 상기 라벨을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에 첩부(貼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측 단계에서, 복수개의 전자부품이 수납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출하하는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 복수개의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의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유니크 번호를 일괄적으로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측 단계에서, 출하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입하함에 있어, 복수개의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의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유니크 번호를 일괄적으로 판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측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측 시설의 소정 부분에 설치된 제1 판독부에 의해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의 소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측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측 시설의 소정 부분에 배치되는 릴 취급자에 의해 상기 RFID 태그를 판독시킴으로써 상기 릴 취급자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측 단계에서, 실장 장치가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에 수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 각각을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 장치는 지정된 지정 유니크 번호가 수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제2 판독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판독부가 판독한 상기 RFID 태그에 수납된 상기 유니크 번호와, 상기 실장 장치에 지정된 지정 유니크 번호를 대조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측 단계에서, 상기 제조자 측 정보로서,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에 수납된 전자부품의 수량 정보가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상기 제조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수납되고,
    상기 사용자 측 단계에서, 상기 유니크 번호에 기초해서 입수한 상기 수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장 장치가 상기 전자회로 기판에 배치한 전자부품의 소비량을 파악함과 함께, 상기 소비량에 기초하여, 입하한 다른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의 소비량은 상기 유니크 번호에 결부되어 상기 유니크 번호가 상기 외부 기억 장치의 사용자 측 정보 수납 영역에 보존됨과 함께, 상기 제조자에게 전달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자부품의 소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부품 수납 릴을 준비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는 상기 유니크 번호로서 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가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측 시설에서는 상기 유니크 번호로서 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가 사용되며,
    상기 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 및 상기 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니크 번호와 동일하고, 상기 유니크 번호에 상기 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 및 상기 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 중 어느 하나가 결부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측 시설에서는 상기 유니크 번호로서 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가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측 시설에서는 상기 유니크 번호로서 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가 사용되며,
    상기 제조자 측 유니크 번호와 상기 사용자 측 유니크 번호가 상기 유니크 번호에 결부되는,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KR1020247010212A 2021-10-29 2022-09-13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KR20240056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7990 2021-10-29
JPJP-P-2021-177990 2021-10-29
PCT/JP2022/034184 WO2023074159A1 (ja) 2021-10-29 2022-09-13 電子部品の管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6542A true KR20240056542A (ko) 2024-04-30

Family

ID=8615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212A KR20240056542A (ko) 2021-10-29 2022-09-13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74159A1 (ko)
KR (1) KR20240056542A (ko)
CN (1) CN117940861A (ko)
WO (1) WO20230741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494A (ja) 2001-06-01 2002-12-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移動体識別用無線タグ
JP2005324839A (ja) 2004-05-17 2005-11-2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包装形態および出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64014A1 (en) * 2004-04-08 2005-10-08 Unknown Closed-loop reel setup verification and traceability
JP4220490B2 (ja) * 2005-04-07 2009-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製品生産システム
JP6763701B2 (ja) * 2016-06-09 2020-09-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494A (ja) 2001-06-01 2002-12-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移動体識別用無線タグ
JP2005324839A (ja) 2004-05-17 2005-11-24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の包装形態および出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40861A (zh) 2024-04-26
JPWO2023074159A1 (ko) 2023-05-04
WO2023074159A1 (ja)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024Y1 (ko) 물품의 입출고 시스템
CN111587614B (zh) 保管装置及带盘保管方法
JP4819127B2 (ja) 部品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部品管理方法
JP4705107B2 (ja) 旅行バッグの追跡および位置確認を行うためのrfタグ
EP1635290B1 (en)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apparatus,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pallet and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JP2006076644A (ja) 物品搬送資材
US20080217394A1 (en) Operation support system, component arrangement recognition method and cassette arrangement recognition method i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5669921B2 (ja) 所在管理システム
JP2007070047A (ja) 搬送物品管理システム
JP3581791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無線タグ、物品管理棚
JP4552574B2 (ja) 物品搬送資材、及び物流管理システム
JP5455401B2 (ja) 所在管理システム
US8872661B2 (en) Closed loop location detection system
JP2009044094A (ja) リール部品実装システム
JP2004021281A (ja) 物品製造システム
KR20240056542A (ko)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KR20230159505A (ko) 전자부품의 관리 방법
JP2008100777A (ja) 搬送システム
WO2022123904A1 (ja) 電子部品の管理方法および電子部品の収納体
US20240164079A1 (en)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ion system
JP5331498B2 (ja) 図書保管管理装置及び図書保管管理方法
JP4028537B2 (ja) 部品の管理方法
JP3774049B2 (ja) 倉庫管理システム
JP2010251774A (ja) 部品搭載装置における作業支援システム、部品配列の認識方法およびカセット配列の認識方法
JP2008115009A (ja) 自動倉庫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