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458A -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458A
KR20240052458A KR1020220132527A KR20220132527A KR20240052458A KR 20240052458 A KR20240052458 A KR 20240052458A KR 1020220132527 A KR1020220132527 A KR 1020220132527A KR 20220132527 A KR20220132527 A KR 20220132527A KR 20240052458 A KR20240052458 A KR 20240052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frame
vehicle
module
sw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은
김한샘
이태경
이대희
황진호
이준구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458A/ko
Priority to US18/144,384 priority patent/US20240124077A1/en
Priority to DE102023112695.4A priority patent/DE102023112695A1/de
Priority to CN202310659050.XA priority patent/CN117885635A/zh
Publication of KR2024005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18Electric motor acting on road whee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9/00Steering deflectable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사이에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컨테이너 모듈; 및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에 컨테이너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작동하여 컨테이너 모듈이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도록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CONTAINER SWAPABLE VEHICLE}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와 결합 가능한 드라이브 모듈이 마련되고, 드라이브 모듈의 이동에 따라 컨테이너와의 결합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기술이다.
컨테이너, 특히 도로 수송이 가능한 선박용 컨테이너는 선박 및 화물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물품이다. 일부의 경우에, 상기와 같은 선박용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를 가지며 트랙터 트레일러와 같이 견인차량 뒤에 견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트레일러의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레일러는 화물의 편리한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해, 바퀴에 의해 상승된 컨테이너의 높이를 보상하도록 구성된 선적용 도크로 후진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화물을 지면에 대하여 로딩 및 언로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은 불편함 및/또는 추가의 작업을 초래하여, 화물을 취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지게차 등의 추가적인 장비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레일러형 컨테이너는 또한 추가적인 구조 및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트레일러 부품의 취급 필요성으로 인해 보관 및/또는 선적이 용이 하지 않거나 불편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718660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동부가 마련된 드라이브 모듈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대칭되며 연결부가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하는 메인 프레임이 마련되고, 하며 드라이브 모듈이 이동하여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컨테이너 모듈이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사이에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컨테이너 모듈; 및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에 컨테이너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작동하여 컨테이너 모듈이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도록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는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상단부를 연결하고, 메인 프레임에는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컨테이너 모듈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절곡부의 단부에서 드라이브 모듈의 범퍼부 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라이브 모듈을 추가로 연결하는 보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차량의 너비 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에는 컨테이너 모듈이 결합시 컨테이너 모듈의 정면 및 후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격벽부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부는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이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홈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액추에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삽입홈은 컨테이너 모듈에 마련되고,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브 모듈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는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이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는 독립 구동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에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휠을 회전시켜 차량의 측방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에는 메인 프레임의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조절부가 포함되며, 차고조절부는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을 결합시 차고를 하강시키고,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이 결합 완료시 차고를 상승시킬 수 있다.
드라이브 모듈에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또는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실내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루프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메인 프레임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측방 주행이 가능한 구동부가 마련된 드라이브 모듈과 드라이브 모듈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형성되어 측방 주행을 통해 드라이브 모듈 사이로 컨테이너 모듈을 삽입하고 결합부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컨테이너 모듈을 이동시키는 별물의 장치 없이 메인 프레임이 이동하여 컨테이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 발생시 어느 하나의 드라이브 모듈에 가해진 충격력이 연결부를 따라 다른 하나의 드라이브 모듈로 전달됨에 따라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차체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사이로 컨테이너가 배치되고 연결부가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차량의 무게 중심이 중앙으로 배치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이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메인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에 포함된 결합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에 포함된 구동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에 포함된 구동부의 조향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에 포함된 구동부의 차고 제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의 충돌시 에너지 전달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의 차량의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의 컨테이너 이동 차량은 일반적으로 메인 프레임의 전방부에 차량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마련되고,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에 컨테이너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컨테이너를 차량의 메인 프레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컨테이너를 메인 프레임 측으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필요하여 이러한 장치가 미비한 상태에서는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가 결합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컨테이너가 차량의 후방부에 위치됨에 따라 무게 중심 차량의 후방부에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 또는 차량의 미끄러지는 사고가 발생시 차량이 쉽게 전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접해 있는 차량까지 모두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을 제안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메인 프레임(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에 포함된 결합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은 메인 프레임(100), 컨테이너 모듈(200) 및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300)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은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 구동부(120) 마련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 및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연결함으로써 사이에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20)의 경우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 중 어느 일측에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드라이브 모듈(110)은 차량(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마련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조로 제조되거나 설계에 따라 일부 구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 모듈(110)의 너비는 차량(1)의 너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드라이브 모듈(110)에는 차량(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가 마련되어 메인 프레임(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연결하는 연결부(130)는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양단부가 드라이브 모듈(110)에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0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30)의 길이는 설계자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30)의 길이를 통해 차량(1)의 전장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가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서로 연결함에 따라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 사이에는 결합공간(160)이 형성되고 컨테이너는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간(160)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의 상태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도 11과 같이 컨테이너 모듈(20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연결부(130)가 삽입되고, 컨테이너 모듈(200)에서 전자석 등을 통해 로커(M)가 돌출되어 연결부(130)와 체결됨으로써 컨테이너 모듈(200)과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내구성과 성능 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간(160)으로 컨테이너 모듈(200)이 삽입되기 위해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된 구동부(120)가 작동하여 메인 프레임(100)을 컨테이너 모듈(200) 측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공간(160) 내부로 위치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간(160)에 컨테이너 모듈(200)이 위치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부(120)가 차량(1)을 구동시 컨테이너와 메인 프레임(100)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이 서로 결합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장치 없이 메인 프레임(100)이 이동하여 컨테이너 모듈(200)을 결합공간(160) 내부로 삽입되고 결합부(30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 상단부를 연결함에 따라 연결부(130)의 하부에는 결합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160)은 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결합공간(160)을 통해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공간(16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메인 프레임(1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0)에는 연결부(130)의 양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컨테이너 모듈(2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부(1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31)는 연결부(130)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31) 및 연장부(132)는 일체로 형성되며 브릿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공간(160) 내부에 컨테이너 모듈(200)이 삽입되고 결합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의 절곡부(131)는 컨테이너 모듈(2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의 주행시 절곡부(131)가 컨테이너 모듈(200)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지지함에 따라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곡부(131)를 통해 드라이브 모듈(110)과의 결합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차량(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는 한 쌍의 절곡부(131)의 단부에서 드라이브 모듈(110)의 범퍼부 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1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드라이브 모듈(110)에는 차량(1)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으로 마련된 범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연장부(132)는 절곡부(131)의 단부에서 차량(1)의 범퍼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32), 절곡부(131) 및 연결부(130)는 일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는 차량(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라이브 모듈(110)을 추가로 연결하는 보강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강부(140)는 연결부(130)가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차량(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추가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부(140)는 차체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의 충돌시 에너지 전달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메인 프레임(100)에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충돌 에너지의 경로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메인 프레임(100)에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충돌 에너지의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시, 드라이브 모듈(110)에 충격이 전달되고 충격은 연장부(132), 절곡부(131) 및 연결부(130)로 전달되는 제1 에너지 전달 경로와 드라이브 모듈(110)에서 보강부(140)를 통해 충격이 전달되는 제2 에너지 전달 경로를 통해 대향된 드라이브 모듈(110)로 충격 에너지를 전달하여 충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1)의 파손 감소하고 및 탑승객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시 제1 에너지 전달 경로 및 제2 에너지 전달 경로를 포함하며 컨테이너 모듈(200)의 상부 및 하부를 통해 제3 에너지 전달 경로와 제4 에너지 전달 경로를 통해 충격이 분산되어 차량(1)의 파손 및 승객의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메인 프레임(1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차량(1)의 너비 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라이브 모듈(110)을 연결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된 연결부(130)는 차량(1)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라이브 모듈(110)을 연결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더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0)의 제2 실시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에는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시 컨테이너 모듈(200)의 정면 및 후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격벽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격벽부(150)는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공간(160)에 결합시 드라이브 모듈(110)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 출돌시 에너지 전달 경로를 통해 전달된 충격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량(1)의 파손 및 승객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결합부(300)는 드라이브 모듈(110) 및 컨테이너 모듈(200)이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드라이브 모듈(110) 및 컨테이너 모듈(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홈(310)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삽입홈(310)으로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액추에이터(320)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300)는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의 결합되면 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300)에는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의 결합되어 서로 접촉되는 양면 중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310)과 타면에 삽입홈(310) 측으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액추에이터(320)가 마련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20)는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공간(160)에 삽입이 완료된 이후 작동되어 삽입홈(3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320)에는 삽입홈(310)에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자기회로 변경을 통해 자기력에 의해 삽입홈(310)과 액추에이터(320)를 고정시키는 마그네틱 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310)은 컨테이너 모듈(200)에 마련되고, 액추에이터(320)는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310)은 컨테이너 모듈(200)에 마련되며 액추에이터(320)가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됨으로써 액추에이터(320)는 드라이브 모듈(11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며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된 고전압 배터리를 전력을 인가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310) 및 액추에이터(320)의 배치는 일 실시예로서 위치가 서로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드라이브 모듈(110) 및 컨테이너 모듈(200)이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드라이브 모듈(110) 및 컨테이너 모듈(200)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300)는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 강건성을 향상시키며, 차량(1)의 회전 주행시 컨테이너 모듈(200)의 무게로 인해 차량(1) 스핀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결합부(300)는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0)의 전력을 컨테이너 모듈(200)에 입력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컨테이너 모듈(200)의 전력을 메인 프레임(100)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에 포함된 구동부(120)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에 포함된 구동부(120)의 조향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1)에 포함된 구동부(120)의 차고 제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구동부(120)는 독립 구동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된 구동부(1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독립 구동 모듈로 작동되어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드라이브 모듈(110)의 전방 주행 및 후방 주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20)에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량(1)의 휠(121)을 회전시켜 차량(1)의 측방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장치(12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독립 구동 모듈로 형성된 구동부(120)에는 휠(121)을 각각 90°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향장치(122)가 마련되어 차량(1)의 모든 휠(121)을 90°로 회전시켜 차량(1)의 측방주행을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은 측면 주행이 가능하여 측방으로 주행하여 결합공간(160) 내부로 컨테이너 모듈(200)을 삽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별도의 장치 없이 메인 프레임(100)의 이동으로만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동부에는 메인 프레임(100)의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조절부(123)가 포함되며, 차고조절부(123)는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을 결합시 차고를 하강시키고, 컨테이너 모듈(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결합 완료시 차고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조절부(123)는 도 9의 A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과 컨테이너 모듈(200)이 서로 결합시 차고를 낮춰 메인 프레임(100)을 컨테이너 모듈(200)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합이 완료시 차고를 상승시켜 차량(1)의 주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드라이브 모듈(110)에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또는 구동부(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실내공간(11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모듈(110)에 마련된 실내공간(111)에는 차량(1)의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미도시) 또는 구동부(120)의 모터(미도시)등이 탑재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루프 패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 패널(4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를 커버링함과 동시에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배선이 연결부(130)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루프패널이 전기배선을 커버링할 수 있다.
또한, 루프 패널(400)에는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이 서로 공조 장치가 연결되어 공조덕트가 마련되어 하나의 공조장치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110)의 공조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차량
100 : 메인 프레임
110 : 드라이브 모듈
111 : 실내공간
120 : 구동부
121 : 휠
122 : 조향장치
123 : 차고조절부
130 : 연결부
131 : 절곡부
132 : 연장부
140 : 보강부
150 : 격벽부
160 : 결합공간
200 : 컨테이너 모듈
300 : 결합부
310 : 삽입홈
320 : 액추에이터
400 : 루프 패널

Claims (15)

  1.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사이에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컨테이너 모듈; 및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에 컨테이너 모듈이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을 포함하고,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구동부가 마련되며, 구동부는 컨테이너 모듈이 메인 프레임의 결합공간 내부로 삽입되도록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는 한 쌍의 드라이브 모듈 상단부를 연결하고,
    메인 프레임에는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컨테이너 모듈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절곡부의 단부에서 드라이브 모듈의 범퍼부 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4.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라이브 모듈을 추가로 연결하는 보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5.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차량의 너비 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라이브 모듈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에는 컨테이너 모듈이 결합시 컨테이너 모듈의 정면 및 후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 격벽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부는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이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홈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액추에이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삽입홈은 컨테이너 모듈에 마련되고,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브 모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9. 청구항 7에 있어서,
    결합부는 드라이브 모듈 및 컨테이너 모듈이 마주하는 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는 독립 구동 모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구동부에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휠을 회전시켜 차량의 측방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구동부에는 메인 프레임의 차고를 조절하는 차고조절부가 포함되며,
    차고조절부는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을 결합시 차고를 하강시키고, 컨테이너 모듈과 메인 프레임이 결합 완료시 차고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드라이브 모듈에는 승객이 탑승하거나 또는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실내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4. 청구한 1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루프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15.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부는 메인 프레임과 컨테이너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KR1020220132527A 2022-10-14 2022-10-14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KR20240052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527A KR20240052458A (ko) 2022-10-14 2022-10-14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US18/144,384 US20240124077A1 (en) 2022-10-14 2023-05-08 Vehicle capable of container swapping
DE102023112695.4A DE102023112695A1 (de) 2022-10-14 2023-05-15 Fahrzeug zum austausch von containern
CN202310659050.XA CN117885635A (zh) 2022-10-14 2023-06-05 构造为用于能交换集装箱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527A KR20240052458A (ko) 2022-10-14 2022-10-14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458A true KR20240052458A (ko) 2024-04-23

Family

ID=9057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527A KR20240052458A (ko) 2022-10-14 2022-10-14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24077A1 (ko)
KR (1) KR20240052458A (ko)
CN (1) CN117885635A (ko)
DE (1) DE1020231126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660B1 (ko) 2003-03-24 2007-05-15 팩-랫 미니-무버 엘.엘.씨. 수송차량에 대한 보관용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및 그와 연관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660B1 (ko) 2003-03-24 2007-05-15 팩-랫 미니-무버 엘.엘.씨. 수송차량에 대한 보관용 컨테이너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및 그와 연관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112695A1 (de) 2024-04-25
CN117885635A (zh) 2024-04-16
US20240124077A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309B1 (ko) 차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00110761A (ko) 전기 차량용 플랫폼
JP6778725B2 (ja) 車両
US11820220B2 (en) Vehicular battery unit and vehicular underbody including the same
KR20220082488A (ko) 차량의 차체
CN108016504A (zh) 前车身加强结构
KR20240052458A (ko) 컨테이너의 스와핑이 가능한 차량
US6464446B1 (en) Vehicle with loading boxes for receiving loads
JP6516233B1 (ja) 電気自動車用の車台、及び、電気自動車
CN114379686B (zh) 车身及包括其的车辆
JP2015067122A (ja) 電気駆動機器を備える車両
CN216334433U (zh) 一种带有升降托板的多地形穿梭车
JPWO2020115839A1 (ja) 電気自動車用の車台、及び、電気自動車
JP4807839B2 (ja) 商用自動車の架装物載置機構
KR19990027824A (ko) 트럭의 리어범퍼장치
KR102506239B1 (ko)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
US11794813B2 (en) Vehicle body and vehicle
US11713081B2 (en) Vehicle body
CN217100250U (zh) 一种自走牵引两用底盘
US20220410789A1 (en) Vehicle transporting device
CN207173642U (zh) 一种空间无损压板堆叠周转车
JP2005255070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JP2023008215A (ja) リフト搬送台車
KR20240058324A (ko) 픽업 차량용 적재함 어댑터
JPS621442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