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181A -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181A
KR20240051181A KR1020247009173A KR20247009173A KR20240051181A KR 20240051181 A KR20240051181 A KR 20240051181A KR 1020247009173 A KR1020247009173 A KR 1020247009173A KR 20247009173 A KR20247009173 A KR 20247009173A KR 20240051181 A KR20240051181 A KR 2024005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laminated glass
vehicle window
window assembly
transpar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신 첸
진리앙 관
지안밍 장
Original Assignee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푸야오 글라스 인더스트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5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1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를 제공한다.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접합 유리, 고정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접합 유리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주 시야 부분으로서 주 시야 방향을 가지며, 고정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고정홈의 개구 방향은 주 시야 방향을 등지고, 복수개의 고정홈은 복수개의 기능 조립체를 고정 및 장착하는 데 각각 사용되며, 연결 부재는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를 연결한다. 기능 조립체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파장 범위는 380nm ~ 1650nm이고, 고정 부재는 0°의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380 ~ 1650nm 파장 범위 내의 신호에 대해 적어도 92%의 투과율을 갖는다. 기능 조립체의 신호 전송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반대되므로, 고정홈을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되어 신호 투과율이 증가된다. 아울러, 고정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표면이 평탄하며, 연결 부재에 의해 접합 유리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강도가 크고 구현을 위한 공정 난이도가 낮다.

Description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출원일은 2021년 9월 28일이고, 출원 번호는 202111145784.3이며, 발명의 명칭은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이며, 선행 출원의 내용은 본 출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차량 부품 제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줄곧 사람들의 중요한 교통수단 중 하나이며, 첨단 운전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ing Assistance System)이 집적된 전면 바람막이 유리는 차량 운전 체험을 개선하는 중요한 연구 방향 중 하나이다.
현재, ADAS의 다양한 기능 조립체는 대부분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전면 바람막이 유리의 일측에 집적되는데, 단열, 자외선 차단, 전기 가열, 추가 설치되는 해빛 가림 밴드 등과 같이, 전면 바람막이 유리에 결합되는 기능이 점점 더 많아지면서, ADAS의 기능 조립체의 기능 구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약 전면 바람막이 유리의 ADAS 영역에 대해서만 적응적 설계를 진행하면 요구되는 공정의 난이도가 높다. 또한, 전면 바람막이 유리 외부에 플라스틱 블록을 접합하여 ADAS의 기능 조립체를 집적하는 경우도 있으나, 외부 표면이 평탄하지 않고 전체적인 강도가 약하다. 이 밖에, ADAS가 집적된 전면 바람막이 유리는 ADAS 영역에 대한 국부적인 광학 요구가 높으며, 국부적인 높은 광학 요구를 추구할 경우, 전체 전면 바람막이 유리의 성형 난이도가 높아지고 제품 수율이 낮아지며 비용이 높아진다.
본 출원은 신호 투과율이 낮고, 강도가 약하며, 공정 난이도가 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은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접합 유리, 고정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접합 유리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주 시야 부분으로서 주 시야 방향을 가지며, 고정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고정홈의 개구 방향은 주 시야 방향을 등지고, 복수개의 고정홈은 복수개의 기능 조립체를 고정 및 장착하는 데 각각 사용되며, 기능 조립체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파장 범위는 380nm ~ 1650nm이고, 연결 부재는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를 연결한다. 접합 유리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간층, 제1 투명 플레이트 및 제2 투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투명 플레이트는 제1 주 표면, 제1 상단면 및 제2 주 표면을 포함하고, 제2 투명 플레이트는 제3 주 표면, 제2 상단면 및 제4 주 표면을 포함하며, 열가소성 중간층은 제2 주 표면과 제3 주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고정 부재는 외표면과 내표면을 갖고, 외표면과 제1 주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고정 부재는 제1 상단면 및 제2 상단면에 고정 연결된다.
기능 조립체의 신호 전송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반대되므로, 고정홈은 기능 조립체의 고정 및 장착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 시야 방향에서 고정 부재에 있어서의 고정홈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고정 부재의 고정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고정홈에 고정되는 기능 조립체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가 송신되거나 수신될 경우, 고정홈을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되어 신호 투과율이 증가된다. 아울러, 고정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표면이 평탄하며, 연결 부재에 의해 접합 유리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강도가 크고 구현을 위한 공정 난이도가 낮다.
선택적으로, 380 ~ 780nm 파장 범위 내에서 접합 유리는 적어도 70%의 투과율을 갖고, 고정 부재는 0°의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380 ~ 1650nm 파장 범위 내의 신호에 대해 적어도 92%의 투과율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780 ~ 25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접합 유리는 30%보다 작거나 같은 투과율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본체 및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고정홈은 본체에 설치되고, 연장부는 접합 유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연장부와 접합 유리의 중첩 부분의 길이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본체의 길이의 비율 범위는 0.1 ~ 1이다.
선택적으로, 연장부는 제2 주 표면, 제3 주 표면 또는 제4 주 표면에 고정 연결되고, 연결 부재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는 중첩 단면을 갖고, 접착층은 중첩 단면에 대응되게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를 접착시킨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돌출부는 접합 유리에 인접한 고정 부재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의 접합선 방향에서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의 횡방향 곡률반경은 3800mm을 초과하지 않고, 최소치는 2200mm보다 작지 않다.
선택적으로,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과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2mm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연결 부재는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제1 접착부는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제2 접착부는 고정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며, 제1 접착부와 제2 접착부는 서로 협동하여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를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주 시야 방향에서 고정 부재에 있어서의 상이한 고정홈이 형성된 곳의 두께는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기능층을 더 포함하며, 기능층은 적어도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홈의 내표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보호층은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 부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접합 유리와 고정 부재 간의 접합 강도는 105kg 이상이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수지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를 사용하고 사출성형, 압출 또는 몰드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227g의 스틸 볼이 2.5m의 충격 높이에서 충격을 가할 때 파열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열가소성 중간층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0.5mm보다 작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돌출부의 외측 표면과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외측 표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고, 제2 돌출부의 내측 표면은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과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2mm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과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50mm보다 작거나 같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차량을 더 제공하고, 차량은 제1 양태에 따른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프레임을 포함하고,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차량 프레임에 탑재 및 장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예일 뿐이고,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평면 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는 점이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은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를 제공하고,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접합 유리(11), 고정 부재(12) 및 연결 부재(13)를 포함한다. 접합 유리(11)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주 시야 부분으로서, 주 시야 방향을 갖는다. 고정 부재(12)는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홈(121)을 포함하며, 고정홈(121)의 개구 방향은 주 시야 방향을 등지고, 복수개의 고정홈(121)은 각각 복수개의 기능 조립체(14)를 고정 및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며,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파장 범위는 380nm~1650nm이고, 연결 부재(13)는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3은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접합 유리(11)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간층(111),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제1 투명 플레이트(112)는 제1 주 표면(1121), 제1 상단면(1122) 및 제2 주 표면(1123)을 포함한다. 제2 투명 플레이트(113)는 제3 주 표면(1131), 제2 상단면(1132) 및 제4 주 표면(1133)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간층(111)은 제2 주 표면(1123)과 제3 주 표면(1131)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 부재(12)에는 외표면 및 내표면이 구비되고, 고정 부재(12)의 외표면과 제1 주 표면(1121)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고정 부재(12)는 제1 상단면(1122) 및 제2 상단면(1132)에 고정 연결된다.
380~780nm 파장 범위 내에서 접합 유리(11) 는 적어도 70%의 투과율을 갖고, 고정 부재(12)는 0°의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380~1650nm 파장 범위 내의 신호에 대해 적어도 92%의 투과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차량에 응용되고,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일반적으로 주 시야 부분을 가지며, 차량 내부의 사람은 주로 주 시야 부분을 통해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 밖의 상황을 관찰하고, 즉 주 시야 방향은 차량 내부의 사람이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를 통해 차량 밖을 관찰하는 시선 방향이며, 구체적으로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접합 유리(11)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주 시야 부분으로서, 380~780nm 파장 범위 내에서 접합 유리(11)는 적어도 70%의 투과율을 갖고, 즉 주행 안전성을 보장하도록 가시광선 투과율은 70%보다 크거나 같다.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및 제2 투명 플레이트(113)는 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soda-lime-silica glass),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aluminosilicate glass), 리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lithium aluminosilicate glass) 또는 보로실리케이트 유리(borosilicate glass)와 같은 무기 유리를 선택할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유리와 같은 유기 유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111)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이온 중간층(ionic interlayer)(예를 들면, SentryGlas®Plus(SGP))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111)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고, 다층 구조의 예로는 2층 구조, 3층 구조, 4층 구조 또는 5층 구조 등이 있을 수 있다. 연결 부재(13)를 통해 접합 유리(11)의 상부에 고정 부재(12)를 추가 설치하여 기능 조립체(14)를 탑재 및 장착하도록 한다. 고정 부재(12)는 수지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resin-based composite material)를 사용하고,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 또는 몰드 압착 공정(mold press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표면 일치 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접합 유리(11)는 기능 조립체(14)의 성능 요구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접합 유리(11)의 완정성을 유지하므로, 접합 유리(11)의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더 낮은 비용으로 단열, 차외선 차단, 전기 가열, 방음, 추가 설치되는 해빛 가림 밴드 등 더 많은 복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능 조립체가 더욱 잘 작동되며 접합 유리와 서로 분리되어 상호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780~25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접합 유리(11)는 30%보다 작거나 같은 투과율을 가지므로 단열 수요를 만족시킨다. 구체적으로 본체 착색된 열가소성 중간층(111),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및/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투명 플레이트(112)의 제2 주 표면(1123)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제3 주 표면(1131) 사이에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단열 코팅층,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단열 코팅막 등과 같은 단열 조립체를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제1 투명 플레이트(112)의 제2 주 표면(1123)과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제3 주 표면(1131) 사이에 전기 가열 조립체, 방음 조립체, 헤드업 디스플레이 조립체 등을 설치하여 서리 제거 및 안개 제거, 방음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수요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고정 부재(12)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 공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고정 부재(12)는 일체로 성형되어 고정 부재(12)의 외표면이 비교적 평탄하며, 이는 차량의 와이퍼 고무 스트립의 작동 안정성에 유리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2)는 비유리 등 투명 재료를 사용하므로, 고정 부재(12)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고정 부재(12)가 단일시트 유리 등 투명 재료를 사용할 때 강도가 부족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의 강도는 국가표준에 규정된 강화 유리 강도, 즉 227g의 스틸 볼이 2.5m의 충격 높이에서 충격을 가할 때 고정 부재(12)가 파열되지 않는 강도에 도달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부재(12)는 조립 탄성 및 형상 가소성이 높으며, 일정한 두께 범위 내에서 기존의 투명 기판의 두께와 강도 사이의 모순, 경질 투명 유리판과 경질 투명 유리판의 접합면이 정렬되기 어려운 공정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는 다른 공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기능 조립체(14)의 장착에 적응되도록, 고정홈(121)의 개구 직경은 상이할 수 있다. 기능 조립체(14)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 조립체(14)가 레이저 레이더일 경우, 800nm~1600nm의 근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정확한 장착 각도에서, 레이저 레이더가 905nm 파장 또는 1550nm 파장의 레이저를 발사할 경우, 신호 투과율은 85%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 기능 조립체(14)가 카메라일 경우, 가시광선(380nm~780nm) 또는 근적외선 신호(780nm~1400nm)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가 송신신되는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고,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반대됨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 조립체(14)의 신호 전송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반대되므로, 고정홈(121)은 기능 조립체(14)의 고정 및 장착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 시야 방향에서 고정 부재(12)에 있어서의 고정홈(121)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고정홈(12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고정홈(121)에 고정되는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가 송신되거나 수신될 경우, 고정홈(121)을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되어 신호 투과율이 증가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감소된 외관 특징은 기능 조립체의 장착 및 위치결정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고정 부재(12)는 일체로 성형되고, 표면이 평탄하며, 연결 부재(13)에 의해 접합 유리(11)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강도가 크고 구현을 위한 공정 난이도가 낮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는 비유리 등 투명 재료로 제조되므로, PC 또는 PMMA 등 수지 보드에 의한 제조 과정에서 적외선 보조제 및 첨가제를 첨가하여, SABIC PC(121R-21051)와 COVESTRO PC(2405-450601) 및 HY700H-HG PMMA 등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는 플레이트와 같이, 고정 부재(12)가 높은 적외선 투과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의 더 얇은 두께를 구현하는 것을 전제로, 신호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공정을 더 용이하게 구현하므로, 고정 부재(12)는 더 높은 투과율과 더 얇은 두께 및 양호한 강도를 동시에 가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예에서, 고정 부재(12)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돌출부는 접합 유리(11)에 인접한 고정 부재(12)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4)는 열가소성 중간층(111)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제1 투명 플레이트(112)와 제2 투명 플레이트(113) 사이의 갭에 대응되도록 한다. 서로 인접하는 곳에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의 표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므로, 연결 부재(13)는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더욱 잘 연결함으로써,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연결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3)를 위해 공간을 남겨두고, 제1 돌출부(124)가 접합 유리(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돌출부(124)의 돌출 길이는 0.5mm보다 작거나 같다. 바람직하게,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돌출부(124)의 돌출 길이는 0.4mm보다 작거나 같다. 구체적으로,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돌출부(124)의 돌출 길이는 0.37mm, 0.35mm, 0.30mm일 수 있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고정 부재(12)는 본체(122) 및 본체(12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하며, 고정홈(121)은 본체(122)에 설치되고, 연장부(123)는 접합 유리(1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연장부(123)와 접합 유리(11)의 중첩 부분의 길이(H)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본체(122)의 길이(L)의 비율 범위는 0.1~1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23)는 고정 부재(12)와 접합 유리(11)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123)는 연결 부재(13)가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더욱 잘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킴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123)와 접합 유리(11)의 중첩 부분의 길이(H)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본체(122)의 길이(L)의 비율 범위는 0.1~1이다. 바람직하게, 연장부(123)와 접합 유리(11)의 중첩 부분의 길이(H)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본체(122)의 길이(L)의 비율 범위는 0.4~0.7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23)와 접합 유리(11)의 중첩 부분의 길이(H)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본체(122)의 길이(L)의 비율 범위는 0.45, 0.56, 0.63 등일 수 있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3,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1122)과 제2 상단면(1132)은 대략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고, 구체적으로, 생산 공정의 오차에 따라,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1122)과 제2 상단면(1132)의 높이 차이는 2mm보다 작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5 ~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상단면(1122)과 제2 상단면(1132)의 높이 차이는 2mm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연결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 차이는 5mm보다 크거나 같다. 접합 유리의 전체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 차이는 50mm보다 작거나 같으며, 더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 차이는 20mm보다 작거나 같다. 여기서, 상기 높이 차이는 제1 상단면(1122)이 제2 상단면(1132)보다 높은 부분일 수 있고, 제2 상단면(1132)이 제1 상단면(1122)보다 높은 부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2)는 제2 돌출부(125)를 더 포함하고고, 제2 돌출부(125)는 접합 유리(11)에 인접한 고정 부재(12)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일측 표면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와 이전 실시예의 같은 점은, 서로 인접하는 곳에서 접합 유리(11)의 표면 형상과 고정 부재(12)의 표면 형상이 서로 대응되어, 연결 부재(13)가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더욱 잘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이전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2 돌출부(125)가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일측 표면에 대응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25)의 형상이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며, 다시 말하면, 제2 돌출부(125)의 외측 표면과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외측 표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고, 제2 돌출부(125)의 내측 표면은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에 대응되며,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형상이란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방식은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연결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며, 아울러, 접합 유리(11)의 외측 표면에서 고정 부재(12)의 외측 표면으로 매끄럽게 과도되므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전체 표면이 평탄해짐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125)에 의해 접합 유리(1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 본 출원은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제2 돌출부(125)의 길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연장부(123)를 제2 주 표면(1123), 제3 주 표면(1131) 또는 제4 주 표면(1133)에 고정 연결하는 것을 각각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3 ~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연결 부재(13)는 제1 접착부(131) 및 제2 접착부(132)를 포함하고, 제1 접착부(131)는 제1 투명 플레이트(112) 또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제2 접착부(132)는 고정 부재(12)와 일체로 성형되며, 제1 접착부(131)는 제2 접착부(132)와 서로 협동하여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부(131)와 제2 접착부(132)는 대응되는 조합이고, 예를 들어, 제1 접착부(131)가 삽입홈일 경우, 제2 접착부(132)는 걸림 버클이고, 제2 접착부(132)는 제1 접착부(131)에 감입되어 제1 접착부(131)에 걸림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 예를 들어, 제1 접착부(131)가 자기 흡인 부재이면, 제2 접착부(132)는 자성을 갖는 재료이고, 제2 접착부(132)와 제1 접착부(131)가 맞닿을 때 자기 흡인력이 생성되어 제1 접착부(131)가 제2 접착부(132)에 고정된다. 또 예를 들어, 제1 접착부(131)가 접착제이면, 제2 접착부(132)는 접착 가능 부재이고, 제2 접착부(132)와 제1 접착부(131)가 맞닿을때 접착력이 생성되어 제1 접착부(131)가 제2 접착부(132)에 고정된다. 본 출원은 제1 접착부(131)와 제2 접착부(132)의 대응 조합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부분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투명 플레이트(112)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보다 높고, 제1 접착부(131)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에 인접한 제1 투명 플레이트(112)의 일측 표면에 설치된다. 연결 부재(13)는 제3 접착부(133) 및 제4 접착부(134)를 더 포함하고, 제3 접착부(133)는 제1 투명 플레이트(112)를 등지는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제4 접착부(134)는 고정 부재(12)로부터 연장되며, 제4 접착부(134)와 제3 접착부(133)가 서로 협동될 경우,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고정이 강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접합 강도를 보장하는 전제 하에, 접합선에서 차량 천정을 향하는 방향에서 고정 부재(12)의 표면이 일정한 과도 균일성을 갖도록 최적화하고, 또한 고정 부재(12)의 전자기파 신호창의 광학 표면 정밀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의 접합선 방향에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의 횡방향 곡률반경은 3800mm을 초과하지 않고, 최소치는 2200mm보다 작지 않다. 구체적으로, ÷100mm의 범위 내에서 접합선 양측의 고정 부재(12)와 접합 유리(11)의 면곡률 반경은 2500mm 이상이고, 이는 접합 유리(11) 또는 고정 부재(12)의 표면이 급격하게 만곡됨으로 인한 강도 부족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접합 강도는 105kg 이상임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접합선 방향에서의 횡방향 곡률반경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의 연결선의 연장 방향에서의 만곡 정도를 의미하며, 접합 유리(11)에 수직되게 내부를 향하거나 외부를 향하는 만곡 정도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접합 강도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를 그의 가장자리 형상에 매칭되는 판금 프레임에 배치하고,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기하학적 중심에 하중을 가하되, 200mm*200mm의 면적에 하중을 가하며, 가해지는 하중이 매번 증가되는 양은 5kg이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에 첫번재 크랙이 나타나거나 접합 부분에 금이 생길 때까지 하중의 전체 무게가 접합 강도이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의 고정 연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본 출원은 연결 부재(13)의 수량,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 ~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투명 플레이트(112)와 제2 투명 플레이트(113)의 높이는 다를 수 있고, 대응되는 고정 부재(12)의 형상, 제1 접착부(131) 및 제2 접착부(132)의 위치도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의 부분 단면도이다. 고정 부재(12)와 접합 유리(11) 간의 연결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본 출원은 접합 유리(11) 및 고정 부재(12)의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주 시야 방향에서 고정 부재(12)에 있어서의 상이한 고정홈(121)이 형성된 곳의 두께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전자기파 신호가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방향은 주 시야 방향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반대되고, 상이한 기능 조립체(14)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는 상이하다. 따라서,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이한 고정홈(121)의 두께는 상이하고, 상이한 기능 조립체(14)에 대응되므로, 고정 부재(12)의 강도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신호 투과율을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기능 조립체(14)가 레이더일 경우, 주 시야 방향에서대응하는 고정홈(121)의 두께는 1.8mm 이하일 수 있고, 기능 조립체(14)가 다기능 카메라(독일어: Multifunktionskamera, MFK)일 경우, 주 시야 방향에서 대응하는 고정홈(121)의 두께는 약 2.5mm일 수 있으며, 기능 조립체(14)가 레인 센서(Rain sensor, RS)일 경우, 주 시야 방향에서 대응하는 고정홈(121)의 두께는 약 3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파 신호의 투과율이 최적화되고, 즉 전자기파 신호가 0°의 입사각으로 입사될 때 전자기파 신호 투과율은 92% 이상에 도달하고,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에 도달하며, 전자기파 신호가 66°의 입사각으로 입사될 때 전자기파 신호 투과율은 80%에 도달하고,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에 도달함을 이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기능층(15)을 더 포함한다. 기능층(15)은 고정 부재(12)의 표면에 설치되며, 고정 부재(12)의 표면은 적어도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홈(121)의 내표면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2)의 전자기파 신호 전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홈(121)의 내표면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12)의 표면에 적외선 반사 방지층(infrared anti-reflection layer), 가시광선 반사 방지층(visible light antireflection layer), 김서림 방지층(anti-fog layer), 가열용 투명 도전성 산화물층(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등과 같은 기능층(15)이 설치된다. 기능층(15)은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 또는 스프레이 코팅 또는 필름 접착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보호층(16)를 더 포함하며, 보호층(16)은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 부재(12)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2)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 시야 방향에서의 고정 부재(12)의 외측 표면, 즉 주 시야 방향에서의 바깥쪽을 향하는 표면에는 보호층(16)이 더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층(16)의 내마모성이 100회전 마모에 견딜수 있는 정도에 도달할 경우, 보호층(16)의 헤이즈는 2%보다 작다.
한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3 ~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연결 부재(13)는 접착층(135)을 포함하며,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는 중첩 단면을 갖고, 접착층(135)은 중첩 단면에 대응되게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사이에 설치되어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를 접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는 또한 접착층(13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접착층(135)은 일정한 점성을 가지므로,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여 접합 유리(11)와 고정 부재(12) 간의 연결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차량(2)을 더 제공하고,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평면도이다. 차량(2)은 상술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 및 차량 프레임(21)을 포함하고고,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차량 프레임(21)에 탑재 및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1)는 위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응용하여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고, 아울러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응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종합하면, 본 명세서의 내용을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
접합 유리 11
열가소성 중간층 111
제1 투명 플레이트 112
제1 주 표면 1121
제1 상단면 1122
제2 주 표면 1123
제2 투명 플레이트 113
제3 주 표면 1131
제2 상단면 1132
제4 주 표면 1133
고정 부재 12
고정홈 121
본체 122
연장부 123
제1 돌출부 124
제2 돌출부 125
연결 부재 13
제1 접착부 131
제2 접착부 132
제3 접착부 133
제4 접착부 134
접착층 135
기능 조립체 14
기능층 15
보호층 16
차량 2
차량 프레임 21

Claims (20)

  1.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로서,
    접합 유리, 고정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의 주 시야 부분으로서 주 시야 방향을 가지며, 상기 고정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또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의 개구 방향은 상기 주 시야 방향을 등지고, 복수개의 상기 고정홈은 복수개의 기능 조립체를 고정 및 장착하는 데에에 각각 사용되며, 상기 기능 조립체에 의해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파장 범위는 380nm ~ 1650nm이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접합 유리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간층, 제1 투명 플레이트 및 제2 투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플레이트는 제1 주 표면, 제1 상단면 및 제2 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투명 플레이트는 제3 주 표면, 제2 상단면 및 제4 주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은 상기 제2 주 표면과 상기 제3 주 표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외표면과 내표면을 갖고, 상기 외표면과 상기 제1 주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상단면 및 상기 제2 상단면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380 ~ 780nm 파장 범위 내에서 상기 접합 유리는 적어도 70%의 투과율을 갖고, 상기 고정 부재는 0°의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380 ~ 1650nm 파장 범위 내의 신호에 대해 적어도 92%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780 ~ 25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상기 접합 유리는 30%보다 작거나 같은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본체 및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고정홈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합 유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접합 유리의 중첩 부분의 길이와 상기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본체의 길이의 비율 범위는 0.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주 표면, 상기 제3 주 표면 또는 상기 제4 주 표면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는 중첩 단면을 갖고, 상기 접착층은 중첩 단면에 대응되게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합 유리에 인접한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접합선 방향에서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횡방향 곡률반경은 3800mm을 초과하지 않고, 최소치는 2200mm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단면과 상기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5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고정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접착부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야 방향에서 상기 고정 부재에 있어서의 상이한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곳의 두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기능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층은 적어도 주 시야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홈의 내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주 시야 방향에서의 상기 고정 부재의 외측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와 상기 고정 부재 간의 접합 강도는 105k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수지 또는 수지계 복합 재료를 사용하고, 사출 성형, 압출 또는 몰드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227g의 스틸 볼이 2.5m의 충격 높이에서 충격을 가할 때 파열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0.5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외측 표면과 상기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외측 표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 표면은 상기 제1 투명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투명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의 일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단면과 상기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2m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야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단면과 상기 제2 상단면의 높이 차이는 50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20. 차량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는 상기 차량 프레임에 탑재 및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47009173A 2021-09-28 2022-09-28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KR20240051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45784.3A CN113858923B (zh) 2021-09-28 2021-09-28 车窗总成及车辆
CN202111145784.3 2021-09-28
PCT/CN2022/122000 WO2023051574A1 (zh) 2021-09-28 2022-09-28 车窗总成及车辆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181A true KR20240051181A (ko) 2024-04-19

Family

ID=7899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173A KR20240051181A (ko) 2021-09-28 2022-09-28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1181A (ko)
CN (1) CN113858923B (ko)
WO (1) WO2023051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8923B (zh) * 2021-09-28 2022-07-0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总成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827B2 (ja) * 1986-04-28 1997-01-22 東海興業 株式会社 自動車用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05611B4 (de) * 2004-02-05 2006-04-2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partiell abdunkelbarem Sichtfeld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elektrochrom verfärbbaren Flächenelements in einer transparenten Scheibe, insbesondere einer Windschutzscheibe
CN101243023B (zh) * 2005-08-16 2012-07-18 旭硝子株式会社 车窗用夹层玻璃
JPWO2007049766A1 (ja) * 2005-10-28 2009-04-3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シェードバンド付き合わせガラス
JP6211823B2 (ja) * 2013-06-20 2017-10-1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インドウ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19921A1 (ja) * 2013-08-05 2015-02-12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の合わせガラス
CN204895061U (zh) * 2015-06-26 2015-12-23 信义汽车部件(天津)有限公司 汽车夹层天窗玻璃
EP3412448B1 (en) * 2017-06-02 2021-07-07 AGC Inc. Laminated glass
GB201711553D0 (en) * 2017-07-18 2017-08-30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DE112018004359T5 (de) * 2017-09-29 2020-09-24 Agp America S.A. Laminat mit dünner einsatzsichtbehinderung aufweisend bessere festigkeit und optische qualität
CN208646560U (zh) * 2018-08-21 2019-03-26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发光的车窗玻璃
CN113195431B (zh) * 2019-03-29 2023-12-0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车辆用夹层玻璃及车辆
JP7282313B2 (ja) * 2019-08-20 2023-05-29 Agc株式会社 樹脂枠体付き板状体の製造装置
CN111409314B (zh) * 2020-03-24 2021-11-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夹层玻璃
CN111703151A (zh) * 2020-06-28 2020-09-25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局部高红外线透过的夹层隔热玻璃
CN111761894B (zh) * 2020-06-28 2021-08-06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局部高红外线透过的电加热前挡玻璃
CN112456811B (zh) * 2020-11-18 2022-05-10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镀膜玻璃及其夹层玻璃
CN112693288A (zh) * 2021-01-13 2021-04-23 上海联净复合材料技术有限公司 汽车玻璃、车辆及车辆的控制方法
CN113858923B (zh) * 2021-09-28 2022-07-0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总成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1574A1 (zh) 2023-04-06
CN113858923A (zh) 2021-12-31
CN113858923B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653B2 (en) Transparent laminated glass and use thereof
TWI583548B (zh) 玻璃樹脂積層體
JP2008534429A (ja) 改善された選択性を有する多層板ガラス
US20180281568A1 (en) Automotive laminated glass
US11511525B2 (en) Laminated glazing
CN114312248B (zh) 车窗玻璃及其制备方法、车辆
JP5640906B2 (ja) 合わせガラス
US7553536B1 (en) Laminated glazing with high crash test resistance
US11110857B2 (en) Luminous laminated automotive glazing comprising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manufacture thereof
KR20240051181A (ko) 차량 윈도우 어셈블리 및 차량
US20230373195A1 (en) Laminated glazing
WO2023078381A1 (zh) 夹层玻璃组件、信号传输系统及车辆
CN114746374A (zh) 具有中性色太阳能控制涂层的汽车玻璃
CN114290770B (zh) 红外高透挡风玻璃
JP7482885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を備えた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
CN108136879A (zh) 车辆玻璃装置
WO2018123919A1 (ja) アンテナ付き窓ガラス、アンテナ付き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車両
JP2008182045A (ja) 電波吸収体及びits/dsrc施設
EP4361115A1 (en) Front windshield and automobile
WO2020261925A1 (ja) 合わせガラス
WO2023062169A1 (en) Glazing with insert
CN116100879A (zh) 夹层玻璃、车窗玻璃及车辆
CN115302889A (zh) 一种防爆玻璃
WO2024017968A1 (en) Lighting vehicle glazing
CN118103208A (zh) 具有嵌件的嵌装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