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866A - 점착식 종이벽지 - Google Patents

점착식 종이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866A
KR20240050866A KR1020220130777A KR20220130777A KR20240050866A KR 20240050866 A KR20240050866 A KR 20240050866A KR 1020220130777 A KR1020220130777 A KR 1020220130777A KR 20220130777 A KR20220130777 A KR 20220130777A KR 20240050866 A KR20240050866 A KR 2024005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llpaper
adhesive
pap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에스금강
김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에스금강, 김윤경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에스금강
Priority to KR102022013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866A/ko
Publication of KR2024005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86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펄프 및 열을 흡수할 경우 형태가 변형되는 열변형소재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종이층(110);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접착층(120); 상기 접착층(120) 위에 구비되어 습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유지층(130); 및 상기 형태유지층(130) 위에 구비되며 벽지를 벽면에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140);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는 열가압에 의해 형성된 열가압코팅층(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 종이벽지에 관한 것이며, 종이벽지가 외부의 습기를 빨아들이더라도 우글쭈글하게 울지 않고 벽면에 최초 부착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별도의 풀칠작업 없이 벽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이형지만 제거한 상태에서 곧바로 점착식으로 부착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점착식 종이벽지 {ADHESIVE WALLPAPER}
본 발명은 점착식 종이벽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종이벽지가 외부의 습기를 빨아들이더라도 우글쭈글하게 울지 않고 벽면에 최초 부착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별도의 풀칠작업 없이 벽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이형지만 제거한 상태에서 곧바로 점착식으로 부착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 종이벽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실내의 벽면에 부착시켜 실내로 노출된 콘크리트 또는 합판 등의 최외층 벽의 표면을 최종적으로 마감하기 위한 건축 및 인테리어 제품이며, 최근에는 직조섬유 등을 소재로 한 벽지가 출시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벽지의 주재료로는 목재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종이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종이벽지는 벽지와 벽면 사이를 풀(glue) 등과 같은 액상 접착제(接着劑)를 이용하여 접착제가 건조 및 경화되면 벽지와 벽면 사이가 완전히 굳어서 비가역적으로 접착되는 원리로 부착되는 방식이었으며, 종이를 주재료로 하여 제작되는 종이벽지의 경우 일반적인 스티커에 적용되는 점착제(粘着劑)를 이용하여 종이벽지를 벽면에 붙이면 습기가 종이가 흡수되면서 우글쭈글하게 울면서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가 있는 바, 종이벽지를 점착식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액상 풀 등과 같은 "접착제(接着劑)"를 이용하여 벽지를 벽면에 완전히 부착(접착)시킬 경우에는 벽지가 실내의 습기를 어느 정도 흡수하더라도 접착제에 의하여 벽지가 벽면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이므로 그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스티커 성분과 같은 "점착제(粘着劑)"를 이용하여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벽지가 벽면에 완전하게 접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벽지가 실내의 습기를 흡수할 경우 벽지의 형태가 완전히 펴진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우글쭈글하게 울면서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은 풀칠을 할 필요가 없는 종이벽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의 종이벽지 또한 비닐(6)과 종이(7)를 제거한 후에 드러나는 접착제(5)를 이용하여 종이벽지(1)를 벽면에 완전히 접착시키는 방식인바, 벽면에 접착된 종이벽지를 떼어낸 후 다시 부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벽지의 접착을 위한 별도의 풀칠작업 없이 벽지를 벽면에 가압하는 작업만으로도 벽지를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를 다시 벽면으로부터 떼어낸 후 재부착이 가능하며,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벽지의 종이성분이 실내의 습기를 흡수한 상태에서도 벽지가 우글쭈글하게 울면서 변형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신규한 벽지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4-0003551호(1994.02.21)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벽지가 외부의 습기를 빨아들이더라도 우글쭈글하게 울지 않고 벽면에 최초 부착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별도의 풀칠작업 없이 벽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이형지만 제거한 상태에서 곧바로 점착식으로 부착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 종이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는 목재펄프 및 열을 흡수할 경우 형태가 변형되는 열변형소재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종이층(110);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습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유지층(130); 및 상기 형태유지층(130) 위에 구비되며 벽지를 벽면에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140);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는 열가압에 의해 형성된 열가압코팅층(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형태유지층(130)은 이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층(120)에 의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1,200 내지 1,500㎏/㎠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20)은 상온에서 건조 및 경화되어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서로 완전히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40)에 의해 상온에서 벽지를 가압함으로써 벽지가 부착될 벽면에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점착시킴으로써 벽지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과,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벽지에 다시 외력을 가하여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는 종이벽지가 외부의 습기를 빨아들이더라도 우글쭈글하게 울지 않고 벽면에 최초 부착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별도의 풀칠작업 없이 벽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이형지만 제거한 상태에서 곧바로 점착식으로 부착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중 "점착(粘着)"은 저압(손으로 살짝 문지르면서 눌러주는 정도)을 가해주는 조건에서 접촉하면 바로 결합강도를 형성할 수 있는 성질을 뜻하며, "접착(接着)"은 두 개의 고체 면이 접착제가 되는 제3의 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합하는 성질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점착(粘着)"과 "접착(接着)"은 모두 액체상태에서 공기 중에 노출되면 순간적으로 고체 또는 고체에 가까운 성상으로 변하는 석유화학 제품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며, 액체에서 고체상태로 변하면서 상대적으로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 접착제이며, 상대적으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점착제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점착제의 원료로는 아크릴레이트나 실리콘이 사용되며, 에스테르고무, 페놀수지 등이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고, 피마자유, 폴리이소부틸렌 등 저분자 물질을 첨가하여 끈적끈적한 점착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점착제의 가장 큰 특징은 한 번 붙였다 떼어낸 후에 다시 붙일 수 있는 어느 정도의 지속성을 갖는다는 것이며, 또한 이들은 부착 과정에서 형태가 변하지도 않는 특성이 있다.
한편, 접착제는 예를 들어, 본드, 순간접착제, 액체 또는 고체 풀 등이 이에 해당하며, 실온 (약 15 내지 30℃ 정도)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변해 강한 접착력을 갖는 특성이 있다.
접착제는 완전히 마른 후에 떼어내면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접착력이 완전히 사라져 버리게 된다.
한편, 접착제는 대부분 에폭시수지를 원료로 하며, 녹말풀, 고무풀과 같은 고분자 용액을 사용하거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중합반응(분자량이 작은 분자가 연속으로 결합을 하여 분자량이 큰 분자 하나를 만드는 것)으로 액상을 고분자로 만드는 방법, 고분자의 고체에 열을 가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핫멜트 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후술하는 다양한 구성들은 기술적으로 서로 함께 적용되지 못하는 특수한 조합이 아닌 이상, 기술된 다양한 구성들을 하기 명시되지 않은 기타 다양한 조합으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조합의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적인 적층 단면도이며,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는 통상적인 종이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펄프와 함께 고온의 열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열변형소재가 혼합되어 형성된 복합종이층(110);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접착층(120); 상기 접착층(120) 위에 구비되어 습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유지층(130); 및 상기 형태유지층(130) 위에 구비되며 벽지를 벽면 등에 반복적으로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140);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은 열가압에 의해 형성된 열가압코팅층(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형태유지층(130)은 접착층(120)에 의하지 않고 기타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결합수단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점착층(140) 위에는 사용자가 벽면에 점착시키기 위하여 벽지를 사용할 때 제거할 수 있는 이형지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상적인 종이가 목재펄프로 제조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복합종이층(110)은 목재펄프와 함께 열을 흡수할 경우 형태가 변형되는 열변형소재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변형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종이층은 통상적인 종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목재펄프에 상기 폴리프로필렌(PP) 및/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일정 비율(예를 들어, 목재펄프 100중량당 상기 합성수지 소재 30 내지 100 중량)로 혼합한 후, 이를 고온으로 융해하여 혼합용액을 준비하고,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종이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종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변형소재는 예를 들어, 0.05 내지 0.5㎛의 평균입경을 갖는 분말형태로 혼합되거나 또는 0.5 내지 2㎜의 평균직경을 갖는 미세절편 형태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복합종이에는 종이의 주성분인 목재펄프에 상기 열변형소재가 고르게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복합종이층(110)을 구성하는 복합종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용액에 폴리프로필렌(PP)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부직포 절편 (예를 들어, 약 2 내지 3㎜ 정도의 직경을 갖는 절편)을 혼합한 후, 이를 이용하여 복합종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혼합용액 100중량당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 절편을 5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PP부직포 및/또는 PET부직포 절편을 혼합할 경우 후술하는 고온 가압에 의해 형성되는 열가압코팅층(150)의 조직이 부직포 절편이 녹은 후 냉각되면서 굳는 과정에서 불규칙하게 단단히 표면에 고착형성됨으로써, 열가압코팅층(150)이 어느 일정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형성된 열가압코팅층(150)은 복합종이층(110)을 모든 방향으로 매우 단단하게 잡아줌으로써 복합종이층(110)에 습기가 흡수됨에 따라 복합종이층(110)이 우글쭈글하게 변형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복합종이층(110)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미세 금속입자 (예를 들어, 0.01 내지 0.05㎛의 평균입경을 갖는 철(Fe)입자)를 PP 또는 PET 용융액에 넣고 고르게 혼합하고, 이와 같이 준비된 혼합용융액을 예를 들어, 스프레이 분사하면서 동시에 열풍에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건조하여 복합소재 건조체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준비된 복합소재 건조체를 0.05 내지 0.5㎛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미세 분쇄하여 복합소재 분쇄물을 준비한다.
한편, 이와 같이 준비된 복합소재 분쇄물을 목재펄프에 혼합하여 종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종이가 건조되기 전에 종이의 일 측면에 자력을 가해줌으로써 상기 복합소재 분쇄물이 자력에 의하여 자력이 가해지는 쪽인 종이의 일 측면(예를 들어, 아래면)으로 비대칭적으로 분포되도록 복합소재 종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복합소재 분쇄물에 전술한 PP부직포 및/또는 PET부직포 절편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복합소재 종이를 본 발명에 적용할 경우, 상기 복합소재 분쇄물이 다른 면에 비하여 더욱 많이 분포된 면을 벽지의 최외곽면으로 하고, 해당면에 후술하는 열가압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열가압 공정을 수행할 경우 열가압면으로 형성되는 열가압코팅층(150)을 더욱 치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연접하여 실내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복합종이층(110)에 포함된 종이성분이 습기를 흡수하면서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태유지층(130)이 구비되며, 복합종이층(110)과 형태유지층(130)의 사이는 접착층(120)이 구비되어 이들을 서로 견고하게 접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알루미늄(Al)분말을 폴리프로필렌(PP)분말 및/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분말과 같은 수지분말과 혼합하고 이를 고온으로 융해시켜 준비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용융압출성형법(extursion molding), T다이법(T-Die), 용액유연법(solution casting) 등을 통하여 박막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박막의 두께는 약 10 내지 500㎛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알루미늄(Al)분말 100중량부당 상기 수지분말을 약 100 내지 2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박막필름형태로 준비된 형태유지층(130)을 상기 복합종이층(1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게 되며, 이러한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접착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접착층(120)은 상온에서 건조 및 경화되어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서로 완전히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와 같이 복합종이층(110)의 일면에 형태유지층(130)을 접착시킨 후, 열가압이 가능한 롤러 등을 이용하여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 약 70 내지 90℃의 열을 가하면서 롤러로 가압함으로써 열가압코팅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열가압이 가능한 롤러 등을 이용하여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 약 70 내지 90℃의 열을 가하면서 롤러로 가압하면 복합종이층(110)에 포함된 수지성분 (PP 또는 PET 등)이 종이성분에 혼합된 상태에서 용융되고 냉각되면서 매끈한 표면층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표면층인 열가압코팅층(150)은 표면이 매끄럽고 상대적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바, 실내의 수분이 복합종이층(110)으로 쉽게 침투하지 못하게 되며, 수분이 일부 복합종이층(110)으로 침투하더라도, 치밀하고 단단하게 복합종이층(110)과 일체로 연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열가압코팅층(150)이 복합종이층(110)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종이층(110)에 포함된 종이성분이 습기를 흡수하더라도 보통의 벽지 종이와 달리 쉽게 우글쭈글하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열가압코팅층(150)이 형성된 후에 상기 형태유지층(130)의 타면에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종이벽지를 벽면 등에 반복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층(1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착층(140)은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점착제 성분으로는 일반적으로 종이스티커 또는 스카치테이프 등의 점착성 부여에 사용되는 점착제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종이벽지가 완성되며,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140)의 표면에 이형지(필름)을 부착하고 사용시에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시공대상 벽면에 종이벽지를 점착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열가압코팅층(150)은 복합종이층(110)의 표면에 형태유지층(130)을 접착시킨 후에 타면을 열가압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합종이층(110)의 표면에 형태유지층(130)을 접착시키기 전단계에서 열가압코팅층(110)의 일면을 열가압하여 열가압코팅층(150)을 형성시킨 후에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 형태유지층(130)을 접착시키거나, 또는 열가압코팅층(110)의 일면을 열가압하여 열가압코팅층(150)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 형태유지층(130)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열가압코팅층(150)의 반대면에서 복합종이층(110)을 견고한 접착에 의하여 단단하게 잡아줌으로써, 통상의 종이제조에 사용되는 목재펄프에 의한 종이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종이층(110)이 습기를 흡수할 경우 습기의 흡수에 의해 종이가 변형됨에 따라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어느 정도 단단한 경강도(hardness, siffness)를 갖는 소재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예를 들어, 1,200 내지 1,500㎏/㎠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 종이벽지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태유지층(130)을 알루미늄 성분이 포함된 알루미늄박막층으로 형성할 경우, 실외와 접하는 벽면의 냉기 및 습기 등이 종이벽지 쪽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갖게 되며, 실내의 열기가 종이벽지를 거쳐 벽면과 접해있는 점착층(14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점착층(140)의 점착력이 약해지는 현상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 종이벽지는 점착층(140)에 의해 상온(15 내지 30℃, 예를 들어 25℃)에서 벽지를 가압함으로써 벽지가 부착될 벽면에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점착시킴으로써 벽지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 및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벽지에 다시 벽지를 떼어내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게 되며, 점착상태에서 실내의 습도 변화에 따라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종이성분에 수분이 흡수되더라도 일반 종이벽지와 달리 습기에 의하여 벽지가 우글쭈글하게 울면서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100: 점착식 종이벽지 110: 복합종이층
120: 접착층 130: 형태유지층
140: 점착층 150: 열가압코팅층

Claims (6)

  1. 목재펄프 및 열을 흡수할 경우 형태가 변형되는 열변형소재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종이층(110);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습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유지층(130); 및
    상기 형태유지층(130) 위에 구비되며 벽지를 벽면에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착층(140);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종이층(110)의 타면에는 열가압에 의해 형성된 열가압코팅층(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종이벽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형태유지층(130)은 이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층(120)에 의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종이벽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1,200 내지 1,500㎏/㎠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종이벽지.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형태유지층(130)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종이벽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120)은 상온에서 건조 및 경화되어 상기 복합종이층(110)과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서로 완전히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종이벽지.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140)에 의해 상온에서 벽지를 가압함으로써 벽지가 부착될 벽면에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점착시킴으로써 벽지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과,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벽지에 다시 외력을 가하여 상기 형태유지층(130)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점착식 종이벽지.
KR1020220130777A 2022-10-12 2022-10-12 점착식 종이벽지 KR20240050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77A KR20240050866A (ko) 2022-10-12 2022-10-12 점착식 종이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777A KR20240050866A (ko) 2022-10-12 2022-10-12 점착식 종이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866A true KR20240050866A (ko) 2024-04-19

Family

ID=9088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777A KR20240050866A (ko) 2022-10-12 2022-10-12 점착식 종이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8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51Y1 (ko) 1990-06-30 1994-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혈당측정기의 측정실 차광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551Y1 (ko) 1990-06-30 1994-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혈당측정기의 측정실 차광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2904B2 (ja) 電磁誘導加熱用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それを用いた接着構造物、及び接着構造物の製造方法
JP2012213894A (ja) 真空成形用加飾フィルム、加飾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44311A1 (ja) 接合体、ルーフ構造体、それに用いる積層シート及び積層シートの使用方法
KR20240050866A (ko) 점착식 종이벽지
JP2010229247A (ja) 両面貼着体とその製造方法
JPH093409A (ja)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9041034A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3003109B2 (ja) 積層体
KR101828031B1 (ko) 양면 폴리비닐알코올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JP6579455B2 (ja) 真空成形用加飾フィルム、加飾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6799520U (zh) 一种自离型聚乙烯薄膜
JPH03231981A (ja) 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372092B2 (ja) 積層物および接着フィルム
JPH0124062B2 (ko)
KR200368965Y1 (ko) 핫멜트 시트가 부착된 천연 무늬목 내장재
JPS5825706B2 (ja) セツチヤクホウホウ
CN109777306A (zh) 电子电器素材用热变更胶黏剂、胶带结构及其制备工艺
JPH0314888A (ja) 熱硬化型シート状粘接着体
JPH04189886A (ja) 熱硬化型粘着剤組成物
JPH01110585A (ja) シーラーテープまたはシートまたは成形物
KR101819935B1 (ko)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0044898A (ja) 反応性を示す粘弾性基材を用いた両面接着テ―プ
JP2016130017A (ja) 真空成形用加飾フィルム、加飾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53993B2 (ko)
JP3051290U (ja) 展示用パネル